■ 多 : 많을 다
[부수] 夕 (저녁석, 3획) [획수] 총6획
1. 많다
2. 낫다, 더 좋다, 뛰어나다
3. 아름답게 여기다
4. 많게 하다
5. 두텁다
6. 붇다, 늘어나다
7. 겹치다, 포개지다
8. (도량이)넓다
9. 중(重)히 여기다
10. 크다
11. 남다
12. 공훈(功勳), 전공(戰功)
13. 나머지
14. 단지(但只), 다만, 겨우
15. 두터이
16. 많이
17. 때마침
회의문자
多는 夕(석☞저녁)을 겹친 모양이 아니고 신에게 바치는 고기를 쌓은 모양으로 물건(物件)이 많음을 나타냄. 뒷날에 와서 夕(석☞밤)이 거듭 쌓여서 多(다)가 되었다고 생각하게 되었음.
질문)
사지선답(四枝選答)형이 아니라 사지선다(四枝選多)형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오늘 갑자기 든 의문...
네 가지 중 정답을 골라라(四枝選答)가 아니라
네 가지 중 많은 것을 골라라(四枝選多)!
웃기잖아요?
네 가지 중 대다수의 사람들이 인정할 만한 걸 골라라? 그런 의미인가요?
四枝選多를 직역, 의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작은 것도 놓치지 않는 열정이 보이는 듯 합니다.
우선 질문하신 四枝選多의 뜻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게 多인 것 같은데, 多의 뜻을 많다로 한정해서 생각하니 여러가지의 억측들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四枝選多에서 多의 뜻은 많다가 아니고 좋다 뛰어나다 입니다. 그러니까 네 개의 문항 중에서 가장 좋은 적합한 것을 골라라 입니다.
多의 뜻은 이 것 외에도 여러개 되지만, 참고로 사기에 나오는 한 문장을 예로 들겠습니다.
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 ( 천하의 사람들은 관중의 현명함을 칭찬하지 않고 포숙의 사람 알아보는 능력을 칭찬했다.)
여기서 多는 여러 사람 입에 오르다. 칭찬하다 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選多型(선다형)은 영어의 multiple choice의 번역입니다. 많은 것 중에서 더 나은 것을 선택한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일본어로는 多肢選択式(다지선택식)으로 번역을 했고 중국어로는 選擇題(선택제)로 번역했습니다.
한중일 모두 한자를 쓰지만 서구인들이 사용하는 하나의 용어도 각 나라 마다 다르게 번역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多는 많다는 뜻보다는 낫다, 뛰어나다란 의미로 쓰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