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에서 탑승수속을 할 때부터 탑승객이 많지 않아서 짐을 부칠 때도 널널해서 좋았고 비행기 안에서도 식사뿐 아니라 음료 맥주도 서비스가 되며 더구나 세 명이 앉는 좌석에 5시간을 혼자씩 누워서 갈 수 있었으니 지금까지 비행기를 타면서 이런 호사를 해 본 적이 없다. 식사하고 한 잠자고 일어나니 라오스에 도착해 있었다.
인천에서 라오항공을 타고 10:40분에 출발하였는데 비엔티안의 왓따이 공항에 도착한 시간이 현지시간으로 1:50분으로 다섯시간이 좀 더 걸렸다.
라오스는 한국보다 두 시간이 늦게 가기 때문에 한국시간으로는 3:50분인 셈이다.
여행사의 안내판에 있는 라오항공의 소개 사진...음식도 맛있고 승무원들도 친절하고 한국승무원도 있어서 전혀 문제가 없다.
호텔에 짐을 내려놓고 곧바로 비엔티안의 재래시장인 딸랏사오를 구경하러 갔었는데 지금은 재래시장을 다 밀어붙여서 재개발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볼 것이 없다고 한다.
길가 도로변에 노점상들이 재래시장의 모습이라고 구경을 하라고 하는데 덥기도하고 먼지가 많이 나서 재래시장을 허물고 중국사람이 지은 백화점 같은 곳에 들어가서 햇볕이 수그러질 때까지 쉬었다.
라오스는 전형적인 농업국가로 자체에서 만드는 공산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공산품은 태국이나 중국 등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공산품 가격은 싸지 않다고 한다.
인터넷에서는 재래시장에 대한 내용들이 많이 있어서 기대를 했는데 실망이다.
재래시장을 가는 길에 보이는 한글 간판 ...이런 한글 간판에 있는 술이나 상품들은 중국에서 만든 짝퉁들이
대부분이다.
재래시장이 다 재개발로 들어가서 길가에 있는 노점상들만 보았는데 덥고 먼지가 나서 잠깐보고 말았다.
앞에 하얀 것이 무엇인가 봤더니 죽순이다.
봉지에 들은 것은 뱀장어인데 우리나라의 뱀장어보다 작다.
쌀가루와 섞어서 만든 빵으로 촉촉하고 맛이 있다고 하는데 기회가 없어서 먹어보지 못했음
중국사람이 지은 백화점으로 라오스의 상권들을 중국사람들이 장악해 가고 있다고...
더워서 백화점 안에서 ...밖이 더워서 볕이 누그러질 때까지 아이스크림을 사먹으면서 노닥거리는데 종업원들은 손님이 오건말건 관심도 없으며 올 때나 나갈 때 인사할 줄도 모른다.
안내판 옆에서 장난질 하는 사람도...
햇볕이 어느정도 누그러질 때쯤 되어서 파탓루앙(Pha That Luang)이라는 사찰을 보러 갔는데 파탓루앙이라는 의미는 위대한 불탑’이라는 의미를 가졌다고 하며 16세기 셋타티랏(Setthathirat)왕 시대에 건축된 부처의
진신(眞身)사리탑으로 탑에는 부처의 유발과 가슴뼈가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이 탑 앞에는 이 탑을 건설한 셋타티랏의 동상의 있는데 이 왕은 라오스 최초의 왕조인 란창 왕조의 전성기를
이끈 인물이라고 한다.
탑의 바닥은 신도들이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각 층을 돌아가면서 통로가 있다. 각 층은 계단으로
연결되었고, 부처의 가르침을 기호화한 것들이 층마다 다른 건축양식으로 만들어져 있다고.파탓루앙은 19세기 태국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나 1935년 복원되었다고 한다.
우리가 갔을 때는 마침 수리중이라서 안에 들어가 보지 못하고 먼데서만 보았다.
이 사원에는 황금빛으로 만들어진 와불이 있는데 남방불교에는 누워계시는 부처님 곧 와불상이 많은데 왜
그런지는 알아보지 못했는데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있는 운주사에 있는 와불은 그 와불이 일어나는 날에는
새세상이 도래되는 날이라고 한다.
와불상 주면으로는 유골을 담아 둔 탑들이 담벼락을 따라 죽 있는데 사진들이 붙어 있는데 부자들이거나 유명한 사람들이라고 하며 보통사람들은 이런 곳에 안치를 할 수 없다고 한다.
라오스는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과 같이 소승불교국가로 전국민의 대다수가 불교신자이며 젊은이들은 한 번씩 승려생활을 체험한다고 하는데 길에서 탁발하는 동승들은 가난한 집의 자녀들로 이런 동승을 하면서 사찰에서 먹고 배우고 한다고 한다.
파탓루앙 사원... 라오스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라오스의 국장과 지폐에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
수리중인 파탓루앙 탑
누워계시는 황금색 부처님...왜 누워 계시는지 궁금하겠지만....
부처님이 누워계시는 것은 잠을 자는 것이 아닌 열반에 들기전 곧 죽기 직전의 모습이다. 열반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처님 머리 쪽에 있는 화려한 탑들은 부자들의 유골함이 든 탑이라고 한다.
조각을 해 놓은 나무로 본래 이곳에 있었던 나무처럼 보이는데....
무슨 건물인지 설명을 듣기는 했는데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보면 별로 중요하지 않았던 듯....
강당처럼 생겼는데...
내부도 화려하다.
벽과 천정에 있는 그림들은 라오스의 역사적인 사건들의 그림처럼 보인다.
주변에 보이는 건물들...
라오스를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곳의 첫 번째로 꼽은 타임즈지는 시간에 쫓기면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라오스의 아름다운 자연과 더불어 불교인의 심성을 지니고 가난하면서도 여유롭게 살아가는 것들을 보면서 요사이
말로 힐링을 하라고 한 것은 아닌지...
전정으로 라오스에서 힐링을 하기 위해서는 패키지가 아닌 배낭여행을 하여야 하는데 패키지밖에 모르는
한국사람들에게는 죽기 전에 가봐야 할 곳의 1위는 해당사항이 없는 셈이다.
등을 보이고 있는 사람이 사원을 만든 사람이라고 한다.
리하기 위해서 비계를 설치한 탑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이라고 한다.
사찰 경내를 둘러서
밖으로 나오면
이런 노점상들이 있다.
누워있는 부처님의 뒷모습이...
아마도 이 사찰은 누워있는 부처님이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상깊지 않을까....
바로 옆에 있는 라오스의 독립문이라고 하는 빠뚜사이를 보러 간다.
https://youtu.be/2cTy0eomwdk(파탓루앙 축제 유투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