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란 李之蘭 (1331(충혜왕 1)∼1402(태종 2)-끝내 중이 된 태조 이성계의 친구 고려 말 조선 초의 여진족 출신 장군으로 조선 개국공신이다. 자는 식형(式馨)이고 본관은 청해(靑海)이다. 본래의 성(姓)은 퉁(?)이고, 이름은 쿠룬투란티무르(古論豆蘭帖木兒)이다.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부카(阿羅不花)의 아들이며, 판우군부사(判右軍府事) 화영(和英)의 아버지이다. 출신지는 북청(北靑 : 靑海)이며 일찍이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었다. 부인은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의 조카딸 혜안택주(惠安宅主) 윤씨이다. 아버지의 벼슬을 이어받아 천호가 되었으며, 1371년(공민왕 20) 부하를 이끌고 고려에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게 되자, 청해 이씨(淸海 李氏)를 사성받았다. 1380년(우왕 6) 이성계의 부장으로 황산에서 아지발도(阿只拔都)가 이끄는 왜구를 물리쳤고(황산대첩), 1385년에도 이성계의 휘하로 왜구를 함주에서 격파하여 선력좌명공신(宣力佐命功臣)에 봉해지고 밀직부사에 임명되었다. 1388년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참가하였고, 1390년(공양왕 2) 밀직사가 되었다. 1392년 명을 도와 건주위(建州衛) 여진추장 월로티무르(月魯帖木兒)의 반란을 정벌한 공으로 명나라에 의하여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 조선왕조가 개국하자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한 공훈으로 보조좌명개국일등공신(補祚佐命開國一等功臣)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지고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올랐다. 1393년 경상도절제사로 왜구방어를 담당하였고, 이어 동북면도안무사가 되어 갑주·공주(孔州)의 성을 축조하였다. 또, 위화도의 회군에 참가한 공훈으로 회군일등공신(回軍一等功臣)에 봉해졌다. 1393년 동북면도안무사, 1398년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판형조사의흥삼군부사중군절제사 (判刑曹事義興三軍府事中軍節制使)가 되었다. 같은 해 제1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봉해지고,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도 공을 세워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3등에 봉해졌다. 태조가 영흥으로 은퇴하자 그도 풍양에 은거하면서 평생 많은 살상을 한 것을 크게 뉘우치고 불교에 귀의하였다. 종묘의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양렬(襄烈)이며, 묘는 함경남도 북청군 신북청읍 안곡리에 있고 진건면 용정리 하독정에 그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청해사(淸海祠)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