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개발계획 연계 전략
SOC 확충·관광 수요 창출
재정 건전성 확보방향 등
5개 분과별 심도 있게 논의
낙후된 강원 동해안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동해안 발전 전략 심포지엄이 8일 오후 강원대 삼척캠퍼스 제5공학관에서 열렸다.
강원일보사와 강원도, 동해안 6개 시·군이 공동 주최한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박양호 국토연구원장의 기조 강연에 이어 5개 분과로 나눠 동해안 발전을 위한 강원도와 정부의 역할, 두만강개발계획과 연계한 동해안 발전 전략, SOC(사회간접자본) 확충, 녹색성장에 맞춘 관광 수요 창출 전략, 행정구역 개편 방향, 재정 건전성 확보 방향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됐다.
박양호 국토연구원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중심 국가로 도약하려면 동해안이 발전해야 한다”며 “동해안은 전략적으로 첨단녹색산업과 국제 관광 문화 중추, 환동해 글로벌 메타경제권 중심지, 남북 교류 협력의 신요충지로 육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동해안 발전을 위한 강원도와 중앙 정부의 역할'에 대해 주제 발표를 한 배득종 연세대 교수는 “동해안 비전 및 추진 전략 수립을 지원하려면 강원발전연구원에 동해안 담당 상설 조직을 구성하고 강원도 본청의 지역발전담당관실을 강화해야 하며 강원도 환동해출장소의 기능도 경기 북부권의 독자적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경기도 제2청사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작은 목재 가공 마을에서 발전한 캐나다 밴쿠버를 동해안이 벤치마킹해야 할 하나의 사례로 제시한 뒤 “동해안은 온난화로 북극 항로가 열리면 유럽으로 가는 최단 거리가 되는 만큼 철도망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동계올림픽을 유치해 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홍진(강원도 지역협력담당) 경제학박사는 `두만강 개발 계획과 연계한 동해안 발전 전략'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핵심지역인 중국, 러시아, 몽골 등이 2020년까지 경제 협력 기반 구축을 완료하는 만큼 동해안이 이에 대비해 교통, 물류망을 확충하고 물동량을 확보할 산업단지를 개발하면 동북아 교통 물류의 허브로 도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 박사는 그러나 “우리가 이 기회를 살리지 못하면 중국, 러시아 물동량의 부산 이동은 물론 도내 물동량 유출로 지역 경제 침체는 가속화할 것”이라며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조기 지정과 속초항 국가항만 재지정, 북방 교역 및 해양 관광 거점 항만 조성, 속초·동해·삼척 등 항구별 특성화, 컨테이너 전용 부두 건설 및 선석 확충 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희종 강원일보사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중국이 북한을 통해 동해안 진출을 모색하는 등 동해안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며 “강원도는 물론 정부도 새로운 눈으로 동해안을 올바로 보고 전략적 대응을 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광재 지사는 이근식 정무(경제)부지사가 대독한 축사를 통해 “동해안 발전을 위해서는 대륙을 연결하는 철도망 구축과 양양공항 활성화, 심층수, 원자력, 녹색도시 등 많은 과제를 논의해야 한다”며 “이번에 도출된 고견을 정책에 반영해 동해안 발전의 초석으로 삼겠다”고 약속했다.
김대수 삼척시장은 환영사에서 “앞으로 원자력발전소, 방폐장, 제2원자력연구원을 유치해야 진정한 에너지 벨트로 거듭날 수 있다”며 “대담한 목표를 설정하지 않으면 동해안 발전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학기 동해시장, 김대수 삼척시장, 채용생 속초시장, 황종국 고성군수, 이계동 양양부군수, 김상찬 삼척시의회의장, 기세남 강릉시의회부의장, 신철수 도의회 교육위원장, 진장철 강원대 대학원장, 최선도 강원대 삼척캠퍼스 부총장 등 각계 인사들이 참석, 깊은 관심을 보였다.
삼척=장성일·고달순·정익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