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전인수(我田引水)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함 또는 억지로 자기에게 이롭도록 꾀함을 이르는 말이다.
我 : 나 아(戈/3)
田 : 밭 전(田/0)
引 : 끌 인(弓/1)
水 : 물 수(水/0)
(유의어)
견강부회(牽强附會)
수석침류(漱石枕流)
추주어륙(推舟於陸)
(상대어)
역지사지(易地思之)
성인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의 이익을 위해선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고 말이 아니면 듣지 말라고 하는 말이 있어도 이익 앞에선 정도에서 벗어나기 예사다. 보잘 것 없는 것을 가지고 이익을 다투다 사고가 잦으니 한 푼 돈 때문에 살인난다는 말까지 생겼다.
공동체 안에서 힘을 합쳐 일을 하고 분배를 할 때 공평하지 않고 자기에게 돌아오는 몫이 적으면 승복을 않는 것을 나무랄 수도 없다.
내 밭(我田)에 물 끌어대기(引水)란 이 성어는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이다.
일상생활에 아주 많이 인용되고 ‘제 논에 물 대기’라는 우리 속담도 있으니 번역한 말로 보이지만 실제 한국고전종합DB에선 사용된 예가 전혀 없다.
일본의 사자숙어(四字熟語)에는 내 밭에만 물을 끌어들인다는 의미에서 타인의 일은 생각하지 않고 자기의 이익만을 위해 억지 부리거나 행동하는 행위를 가리킨다고 나와 있다.
밭에도 물은 필요하므로 밭농사가 많은 일본에서 밭[田]으로 사용되던 숙어가 논[畓]농사가 많은 우리나라로 오면서 한자는 그대로 쓰고 풀이는 논으로 바뀌어 성어가 된 것으로 풀이한다.
농경시대 논농사에서 물이 없으면 벼를 못 기르니 살아나기 어렵다. 논도 지금처럼 평지가 적어 높이도 경계도 들쑥날쑥이어서 물길에 항상 신경을 곤두세웠다.
이런 판에 다른 곳에도 가야 하는 물을 자기 논에만 대면 죽기 살기로 싸울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억지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한다거나 황당한 논리로 합리화하는 일도 가리키게 됐다.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 삼는다고 말을 잘못하고도 오기로 고치지 않는 수석침류(漱石枕流)나 가당치도 않는 말을 억지로 갖다 붙여 이치에 맞추려고 하는 견강부회(牽强附會)와 통하는 말이다.
어떠한 일이 공정하지 않을 때 당연히 권리를 주장해야 한다. 단체 간의 다툼이 있을 때는 자기가 속한 편을 들기 마련이다. 그렇더라도 이치에 맞아야 떳떳하다.
한 가지 사실을 두고 자기편에 유리하게 온갖 이유를 갖다 붙이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정치권에서 조그만 일에도 다툼이 끊이지 않는 것은 상생하지 않고 억지로 물을 끌어들이는 행위다.
⏹ 아전인수(我田引水)
이 말은 본래 일본에서 만들어진 사자성어로, '내 밭에 물을 댄다', '자기 밭에 물을 댄다'는 뜻의 속담을 한자 我田引水로 나타낸 것이다.
밭농사가 많은 일본에서 '전(田)'으로 썼던 것이 논(畓)농사가 많은 우리나라로 오면서, 한자는 직수입하고 풀이는 '논'으로 하여 '내 논에 물대기'로 변해 기이한 모양새가 된 사자성어이다.
아전인수의 유래에 대해 몇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지형상 윗 논의 논둑을 헐어 아랫논에 물을 대는 것으로, 즉, 윗 논 주인이 열심히 채워 놓은 물을 훔쳐 가는 행위로 남의 농사야 망치든지 상관하지 않는 경우이다.
둘째, 저수지(못) 등에서 내려오는 물길 전체가 자기 논으로 가도록 하는 행위이다. 옛날에 마을주민이 공동으로 조성한 저수지(못) 등에서 농부가 모내기에 대비하여 물길(수로) 중 논의 물고(물꼬) 부분과 연결되는 곳에 돌과 흙으로 쌓아 자기 논으로 물을 끌어 들이는데, 자기 논 아래에 위치한 논에도 물을 끌여들일 수 있도록 자기 논에 조금씩 들어가도록 배려하였는데, 일부 욕심 많은 사람은 아예 물 전체가 자기 논으로 갈 수 있도록 물길을 막는 경우가 있어 '물꼬 싸움', '삽자루 싸움'이라 하여 종종 싸움이 나는 경우가 있었다.
셋째, 일본의 경우 아전인수는 일본의 지형상 기복이 있어 논에 관개(灌漑)하려면 여러 집의 협력이 필요한데, 이 성어는 사람들이 자기의 논으로만 물을 끌어 들이지 않고, 집단의 협력정신이 있어야 함을 훈계하는 경우이다.
위 경우에서의 두 번째, 세 번째 내용이 거의 유사하다. 즉, 아전인수란 여러 사람이 골고루 혜택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지 않고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하는 행위, 즉 '제 논에만 물을 끌어들이는' 행위에서 유래, 근거한다고 생각된다.
농경사회에서의 물의 중요성(절대성)에 비하여 부족한 물로 인해 일부 염치없는 사람들의 행위로 인하여 생긴 사자성어가 아닌가 생각된다.
▶️ 我(나 아)는 ❶회의문자로 手(수)와 창 과(戈; 창, 무기)部를 합(合)한 글자라고 생각하였으나 옛 모양은 톱니 모양의 날이 붙은 무기(武器)인 듯하다. 나중에 발음(發音)이 같으므로 나, 자기의 뜻으로 쓰게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我자는 ‘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我자는 톱니 모양의 날이 달린 창을 그린 것이다. 이것은 서유기(西遊記)에서 저팔계가 가지고 다니던 삼지창과도 같다. 我자는 이렇게 삼지창을 그린 것이지만 일찍이 ‘나’를 뜻하는 1인칭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갑골문이 만들어졌던 은상(殷商) 시기에도 我자를 ‘나’라는 뜻으로 사용한 것을 보면 본래의 의미는 일찌감치 쓰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我자가 왜 ‘나’를 뜻하게 됐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석은 없다. 다만 서로 같은 무기를 들고 싸웠다는 의미에서 ‘나’나 ‘우리’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는 추측만이 있을 뿐이다. 한자에는 余(나 여)나 吾(나 오), 朕(나 짐)자처럼 본래는 ‘나’와는 관계없던 글자들이 시기에 따라 자신을 뜻하는 글자로 쓰였었기 때문에 我자도 그러한 예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我(아)는 ①나 ②우리 ③외고집(자기의 생각을 굽히지 아니하는 일) ④나의 ⑤아집을 부리다 ⑥굶주리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나 오(吾),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저 피(彼)이다. 용례로는 소아에 집착함을 아집(我執), 나의 뜻을 아의(我意), 우리 나라를 아국(我國), 우리 여러 사람이나 우리들을 아등(我等), 우리 나라를 아방(我邦), 자기 의견에만 집착하는 잘못된 견해를 아견(我見), 우리 편 군대나 운동 경기 등에서 우리 편을 아군(我軍), 자기를 자랑하고 남을 업신여기는 번뇌를 아만(我慢), 나에게 애착하는 번뇌를 아애(我愛), 자기의 이익을 아리(我利), 참 나가 있는 것으로 아는 잘못된 생각을 아상(我想), 자기 혼자만의 욕심을 아욕(我慾),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자아(自我), 육체적인 나를 소아(小我), 남과 구별된 개인로서의 자아를 개아(個我), 저편과 우리편 또는 남과 자기를 피아(彼我), 스스로를 잊고 있음을 몰아(沒我),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음을 망아(忘我), 바깥 사물과 나를 물아(物我), 나 밖의 모든 것을 비아(非我), 자기의 존재를 인정하는 자아를 실아(實我), 자기의 이익만을 생각하여 행동함을 위아(爲我), 오직 내가 제일이라는 유아(唯我), 남이 자기를 따름을 응아(應我), 다른 사람과 자기를 인아(人我),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 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함을 아전인수(我田引水), 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책망을 들을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이르는 말을 아가사창(我歌査唱), 자신도 돌보지 못하는 형편이라는 뜻으로 후손이나 남을 걱정할 여력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아궁불열(我躬不閱), 이 세상에 나보다 존귀한 사람은 없다는 말을 유아독존(唯我獨尊), 자신의 존재를 완전히 잊고 흠뻑 취함을 무아도취(無我陶醉), 자기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상을 자아주의(自我主義), 남 잡이가 제 잡이로 남을 해하려 하다가 도리어 자기가 해를 입는 다는 뜻의 속담을 착타착아(捉他捉我), 상대방인 저쪽은 그르고 나는 올바름을 피곡아직(彼曲我直), 자기의 생각이나 행위에 대하여 스스로 하는 비판을 자아비판(自我批判) 등에 쓰인다.
▶️ 田(밭 전)은 ❶상형문자로 경작지의 주의의 경계와 속에 있는 논두렁 길을 본떴다. 본디 농경지나 사냥터를 나타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논은 답(沓), 밭은 전(田)으로 구별한다. ❷상형문자로 田자는 '밭'이나 '경작지'를 뜻하는 글자이다. 田자는 밭과 밭 사이의 도랑을 그린 것으로 갑골문에서부터 지금까지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벼농사는 약 1만 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농경이 시작되면서 인류가 정착할 수 있었고 이러한 기초 아래 중국문화가 탄생할 수 있었으니 田자는 중국 역사와도 매우 인연이 깊은 글자라고 할 수 있다. 田자는 벼의 재배법에 따라 조성된 밭을 본떠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밭'이나 '농사'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한다. 그러나 田자를 단순히 모양자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그래서 田(전)은 (1)밭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밭 ②경작지(耕作地) ③봉토(封土) ④사냥 ⑤농사 일을 맡아보는 관리 ⑥면적의 단위 ⑦큰북(대형의 북) ⑧단전(丹田) ⑨밭을 갈다 ⑩농사짓다 ⑪사냥하다 ⑫많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논 답(沓)이다. 용례로는 밭 문서를 전권(田券), 논밭과 동산이나 시골을 전원(田園), 밭농사 또는 밭곡식을 전작(田作), 논밭에 관한 제도를 전제(田制), 논밭의 주인을 전주(田主), 농부의 집을 전가(田家), 논밭과 집터를 전도(田堵), 논과 밭을 전지(田地) 또는 전답(田畓), 논밭을 재는 데 쓰던 자를 전척(田尺), 전답의 소작인을 전호(田戶), 사냥할 때 쓰는 화살을 전시(田矢), 논밭의 넓이를 전적(田積), 석유가 나는 지역을 유전(油田), 논을 밭으로 만듦을 번전(反田), 개인 소유의 논밭을 사전(私田), 국가 소유의 논밭을 공전(公田), 배꼽 아래로 한 치 다섯 푼 되는 곳을 단전(丹田), 풀과 나무를 불질러 버리고 파 일구어 농사를 짓는 밭을 화전(火田), 땅을 일구어 새로 밭을 만듦 또는 그 밭을 개전(開田), 엉뚱한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 보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전부지공(田夫之功), 위임을 받아 자기의 뜻대로 처리할 수 있는 사항을 일컫는 말을 전결사항(田結事項), 전원을 무대로 하여 쓰여진 소설을 일컫는 말을 전원소설(田園小說), 논밭과 동산이 황무지가 됨을 이르는 말을 전원장무(田園將蕪),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라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 볼 정도로 바뀐 것이나 세상의 모든 일이 엄청나게 변해버린 것을 이르는 말을 상전벽해(桑田碧海),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함 또는 억지로 자기에게 이롭도록 꾀함을 이르는 말을 아전인수(我田引水), 오이밭과 오얏나무 밑이라는 뜻으로 오이 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을 이르는 말을 과전이하(瓜田李下), 진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평한 말 또는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몰골 사납게 싸움을 일컫는 말을 이전투구(泥田鬪狗), 남전에서 옥이 난다는 뜻으로 명문에서 뛰어난 젊은이가 나옴을 칭찬하는 말을 남전생옥(藍田生玉),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이 생업을 즐기면서 평화로이 지냄을 이르는 말을 경전착정(耕田鑿井), 좁은 밭과 작은 집이라는 뜻으로 얼마 안 되는 재산이나 자기의 재산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촌전척택(寸田尺宅), 벼루를 밭으로 삼고 붓으로 간다는 뜻으로 문필로써 생활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필경연전(筆耕硯田), 자갈밭을 가는 소란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근면하고 인내심이 강한 성격을 평한 말을 석전경우(石田耕牛), 꽃밭에 불을 지른다는 뜻으로 젊은이의 앞을 막거나 그르침을 이르는 말을 화전충화(花田衝火) 등에 쓰인다.
▶️ 引(끌 인)은 ❶회의문자로 弓(궁; 활)과 뚫을 곤(丨; 뚫음)部를 합(合)한 글자이다. 뚫을 곤(丨; 뚫음)部는 나아가다, 곧 열다의 뜻이다. 따라서 引(인)은 활시위를 켕기다, 당기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引자는 '끌다'나 '당기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引자는 弓(활 궁)자와 丨(뚫을 곤)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引자의 갑골문을 보면 弓자에 大(큰 대)자가 함께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이 활시위를 당기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일부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사람 대신 弓자에 획이 하나 그어진 형태가 등장하기도 했는데, 소전에서는 이마저도 단순화되면서 지금의 引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引(인)은 ①(수레를)끌다 ②당기다 ③이끌다, 인도(引導)하다 ④늘이다, 연장(延長)하다⑤맡다 ⑥바루다(비뚤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바르게 하다) ⑦추천(推薦)하다, 천거(薦擧)하다 ⑧퍼지다, 만연(蔓延)하다 ⑨인용하다 ⑩넘겨 주다 ⑪(그물을)치다 ⑫다투다 ⑬물러나다 ⑭자진하다, 자살하다 ⑮부르다 ⑯노래 곡조(曲調), 악곡(樂曲) ⑰벗, 친구(親舊) ⑱통행증 ⑲가슴걸이(말 가슴에 걸어 안장에 매는 가죽끈) ⑳상여끈 ㉑길이 ㉒문체(文體)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인도할 도(導), 당길 만(挽), 끌 예(曳), 이끌 견(牽), 가르칠 회(誨),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닦을 수(修), 밀 추(推)이다. 용례로는 끌어 올림을 인상(引上), 끌어 내림을 인하(引下), 물건이나 권리를 넘기어 받음을 인수(引受), 이끌어 가르침 또는 길을 안내함을 인도(引導), 물건이나 권리를 넘겨줌을 인도(引渡), 다른 글 가운데서 문장이나 사례 등을 끌어 씀을 인용(引用), 예금이나 저금을 찾아냄을 인출(引出), 책임을 스스로 짐을 인책(引責), 물질이 서로 당기는 힘을 인력(引力), 인용하여 증거를 삼음을 인증(引證), 사람을 이끌고 거느림을 인솔(引率), 하던 일을 넘겨주거나 받는 일을 인계(引繼), 일정한 값에서 얼마를 덜어 냄을 할인(割引), 꾀어 냄을 유인(誘引), 끌어 당김을 견인(牽引), 잡아끌고 감으로 심문할 목적으로 피고인을 강제적으로 인치함을 구인(拘引), 책속의 항목이나 낱말을 빨리 찾도록 만든 목록을 색인(索引), 안으로 빨아 들임을 흡인(吸引), 업무 따위를 넘겨받고 물려줌을 일컫는 말을 인수인계(引受引繼),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고 스스로 꾸짖음을 일컫는 말을 인과자책(引過自責), 뜻이 같은 사람을 불러 모음을 이르는 말을 인류호붕(引類呼朋), 당기어 늘인다는 뜻으로 응용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인이신지(引而伸之),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넣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말을 아전인수(我田引水), 널리 예를 들어 그것을 증거로 사물을 설명함을 일컫는 말을 박인방증(博引旁證), 적용할 법 조문이 없을 때에 다른 법 조문을 끌어다 적용한다는 말을 방조인용(傍照引用) 등에 쓰인다.
▶️ 水(물 수)는 ❶상형문자로 氵(수)는 동자(同字)이다. 시냇물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물을 뜻한다. 본디 물 수(水)部는 시내의 뜻이었다. 부수로 쓸 때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로 쓰는 일이 많다. ❷상형문자로 水자는 ‘물’이나 ‘강물’, ‘액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水자는 시냇물 위로 비가 내리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水자의 갑골문을 보면 시냇물 주위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물’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水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액체’나 ‘헤엄치다’, ‘범람하다’와 같이 물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水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氵자나 氺자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水(수)는 (1)오행(五行)의 하나. 방위(方位)로는 북쪽, 계절로는 겨울, 빛깔로는 검정을 나타냄 (2)수요일(水曜日)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물 ②강물 ③액체(液體), 물과 관련된 일 ④홍수(洪水), 수재(水災), 큰물(비가 많이 와서 강이나 개천에 갑자기 크게 불은 물) ⑤수성(水星: 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 ⑥별자리의 이름 ⑦물을 적시다, 축이다 ⑧물을 긷다, 푸다 ⑨헤엄치다 ⑩물로써 공격하다 ⑪평평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내 천(川), 강 강(江), 물 하(河), 바다 해(海), 시내 계(溪), 바다 명(溟),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메 산(山), 큰 산 악(岳), 뭍 륙/육(陸), 불 화(火),빌 공(空)이다. 용례로는 물 속에서 몸을 뜨게 하고 손발을 놀리며 다니는 짓을 수영(水泳), 축축한 물의 기운을 수분(水分), 물속에 잠김을 수몰(水沒), 물을 보내는 통로를 수로(水路), 물의 겉을 이루는 면을 수면(水面), 홍수로 인한 해를 수해(水害), 물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수력(水力), 물의 깊이를 수심(水深), 저수지에 설치하여 수량을 조절하는 문을 수문(水門), 물의 양을 수량(水量), 물 속에서 자라는 풀을 수초(水草),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라는 수어지교(水魚之交), 깊고 넓은 물에는 큰 고기가 깃듦을 수관어대(水寬魚大), 물이 흐르면 자연히 개천을 이룬다는 수도거성(水到渠成), 물이 흐르면 고기가 다닌다는 수도어행(水到魚行), 흐르는 물과 하늘의 뜬구름이라는 수류운공(水流雲空), 물이 빠져 밑바닥의 돌이 드러난다는 수락석출(水落石出),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라는 수어지교(水魚之交), 물과 불은 서로 통하지 않는다는 수화불통(水火不通),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수적천석(水滴穿石)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