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화학-매크로 변동성 심화. 대안은 KCC - 우리투자증권
Dubai 유가 배럴당 110달러 이상의 강세 시현. 고유가 지속 가능성은 낮음
− WTI 및 Dubai 유가는 각각 배럴당 108달러, 112달러를 기록하여 강세 지속. 유럽의 경기 회복 기대감 및 시리아 지역의 정정 불안이 고유가를 견인.
−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및 시리아 지역의 적은 원유 생산량 등을 감안할 때 고유가 지속 가능성은 낮을 전망. 원유 펀더멘털 대비 높은 수준의 유가가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감을 불러일으키는 상황
정제마진은 동남아시아 충격으로 약세. 석유화학 경기 mid-cycle 수준으로 회복
− 아시아 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3.5달러로 적자 수준까지 하락. 2012년 Dubai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 내외를 기록 시정제마진이 약 15달러를 지속한 반면, 2013년 정제마진은 뚜렷하게 level-down된 상황
− 이는 아시아 2위 석유제품 수입국가인 인도네시아 수입량 감소가 크기 때문. 지난 6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을 각각 44%, 22% 인상. 인도네시아 정부의 연료보조금이 전체 예산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정부는 막대한 재정적자에 시달렸기 때문. 인도 역시 보조금 삭감을 시행하고 있어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재정 불안이 정제마진 약세로 연결 될 전망
− Butadiene을 제외한 대부분의 석유화학제품 마진은 mid-cycle 수준으로 회복. 높은 naphtha 가격으로 일시적인 마진 약세가 이어지나, 중국의 재고확충 수요 발생 및 실수요 개선으로 mid-cycle 수준의 마진 지속 가능할 전망
매크로 민감도가 낮고 valuation이 낮은 KCC가 top pick
− 석유화학경기는 mid-cycle이 지속되는 반면, 경기 회복 불확실성으로 valuation 확장은 제한될 전망. 이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업체 주가는 당분간 횡보할 전망. 반면, 정유업체 주가는 주요 이익 지표가 정점을 통과하여 낮은 주가 수준에도 불구하고 약세가 예상됨
− 불안정한 매크로 상황과 유화업종 내 valuation 부담에 따라 KCC의 투자 매력 부각될 전망. KCC는 1) 매크로와 무관한 국내 건자재, 페인트 등 주요 산업이 상승 사이클에 진입한 가운데, 2) 대규모 투자자산(약 3조원)을 보유하고 있어 valuation merit도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