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의 '검은 꽃'은 그간 접해본 것과 다른 역사소설이었다.
줄거리를 보면
『 러일 전쟁이 한창이던 1905년. 영국 기선 일포드 호는 신부와 무당, 양반과 황족,
내시 등 1033명을 태우고 멕시코로 향한다. 망국 직전의 나라에서 떠나는 그들이
기대한 것은 좋은 일자리와 더 나은 미래. 그러나 실은 대륙식민회사의 농간에 의
해 일손이 달리는 멕시코에 채무 노예료 팔려가는 길이었다. 배에서 내린 그들을
기다리는 것은, 낯선 환경과 에네켄 농장에서의 가혹한 의무노동이었다. 하지만 계
약 기간이 만료된 4년 후에 '해방'된 그들이 돌아갈 곳은 이미 사라지고 말았다. 그
들은 때마침 불어닥친 멕시코 혁명과 내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서로 죽고 죽이는 싸
움을 벌이거나, 이웃 과테말라 혁명군측에 가담하여 싸우기도 하고, '신대한'이라
는 소국을 세우기도 하지만 후에 정부군 소탕에 의해 대부분 전사하고 만다.』
한많은 이민수난사, 그러나 강한 민족주의의 표방을 기대하고 봤다간 그의 여지없
는 냉소적인 객관화에 한 방 먹고 말리라.
황석영은 이 책을 읽은 후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니 어쩐지 빈 먼지바람이 가슴 속을 스치고 지나간 듯하다"고 했다.
난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난 후 예리한 책갈피에 가슴을 베인듯 해 밤새 잠을 뒤척였다.
지금껏 내가 본 역사소설은 다분히 민족주의가 너무 강했다고 봐야하나?
이런 시선을 가진 역사소설이 처음이라 그동안 잘못된 민족주의에 빠졌던 것은 아닐까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태평양을 건너 지구의 반대편으로 가면서 1033명의 이민자들은 동아시아의 중세에서 서양의 근대로 넘어간다.
중세는 질서의 세계였다. 계급의 질서, 남녀의 질서,
그러나 근대는 혼합의 세계다.
계급의 질서도 남녀간의 질서도 민족간의 질서도 태평양을 넘으면서 믹서기에 마구 돌려지듯 새로운 것을 만든다.
새로운 혼합의 질서 속에 적응하는 자도, 적응하지 못하는 자도, 조금은 늦게, 조금은 빠르게 결국은 같은 혼합물이 되어버린다.
작가는 감정을 잘 정제하여 전혀 흥분도 감동도 하지않고 그저 서술할 뿐이었다.
한국 이민사 100년
지구 반대편 유카탄까지.
애니깽. Henequen의 멕시코식 발음. 멕시코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열대식물. 우리말 이름은 잎 모양이 용의 혀 같다 해서 용설란. 온대지방에서는 관상용으로 키우지만 꽃이 잘 피지 않아 세기식물이라 불리기도 하며 꽃을 피우고 나면 곧 죽는다.
애니깽에서 추출되는 섬유는 굵고 질긴 선박용 밧줄의 재료가 된다. 멕시코로 이민 간 우리나라 사람들이 바로 이 애니깽을 베는 노동을 했는데 무더위와 날카로운 가시 때문에 무척 고생을 많이 했다고 한다. 그러나 멕시코 현지인들보다 더 밑둥부터 잘라내어 농장주에게서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아무튼 남미로 이민한 사람들의 애환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 '애니깽'이다.
멕시코의 전통주 '데킬라'도 용설란에서 추출된 것이다.
나의 가보고 싶은 곳이 지도 위에 또 한 점 찍힌다.
마야문명과 함께한 멕시코.
첫댓글 어릴 때 우리집에도 용설란이 있었는데 이 책을 읽기 전까진 선인장인줄 알았습니다. 부모님께서 선인장이라고 하길래.... 백합목에 속한다고 하네요. 가시 엄청 세고 아파서 그들의 상처와 거친 손을 생생하게 상상할 수가 있었지요.
연락이 끊겨버린 고등학교 단짝도 멕시코에 사는데 다시 메일 한 번 넣어봐야겠네요.
저희 집에도 시아버님께서 키우시던 용설란이 있었거든요. 키가엄청 컸지요. 가시가 얼마나 강하든지 가끔 만지다가 찔려서 엄청 아팠던 게 생각납니다. '애니깽' 이란 오래 전에 소개 되었던 우리네 한많은 이민수난사의 영화가 생각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