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v.daum.net/v/20231029110019463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의
'가계부채 리스크와 거시요인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를 29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금융권 가계부채 규모가 연 평균 6.8% 증가했지만
실질 국민총소득(GNI)는 연 평균 2.4% 증가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가계부채 리스크의 정확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됐다.
가계부채 리스크가 증가하면 거시건전성이 악화돼 은행의 대출시장에서 중개기능이 떨어지고,
자본시장의 불안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어서다.
지난해말 1조6000억원이었던 은행권의 가계부채 NPL 규모는 내년말 최대 3조1000억원까지
높아질 수 있다. 가계 NPL비율은 0.18%에서 최대 0.34%까지 높아지게 된다.
보고서는 당장 큰 시스템 위기가 올 가능성은 극히 낮으나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말 은행권 충당금 적립잔액은 23조원, 자기자본이 279조원, 당기순이익이 18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면에서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거시 충격시에 개별 은행별로 차이가 클 수 있는 만큼 개별 차원에서 충당금 적립 비율을
선제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가계부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구성이 변동금리 중심에서
고정금리 위주로 바뀌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가 지원하는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대출이
서민과 청년층에 확대되도록 재정 지원 확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더불어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대출금리를 내려주는 '주택가격지수 연동 모기지' 상품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도 부연했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