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알리바바의 농촌 전자상거래 확대 新전략, ’농촌 타오바오’ | ||||||||||||||||||||||||||||||||||
---|---|---|---|---|---|---|---|---|---|---|---|---|---|---|---|---|---|---|---|---|---|---|---|---|---|---|---|---|---|---|---|---|---|---|---|
게시일 | 2015-08-17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이맹맹(칭다오무역관) | ||||||||||||||||||||||||||||||
--> -->
알리바바의 농촌 전자상거래 확대 新전략, '농촌 타오바오' - 10만 명의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를 전자상거래 세일즈맨으로 활용하는 전략 필요 - - 농촌 타오바오의 구매대행 서비스는 농촌형 O2O전략으로 확대 가능성 커 -
자료원: 枞阳在线
□ 왜 알리바바는 ‘농촌 타오바오’를 추진하나?
○ 농촌지역의 온라인 전자상거래확대를 위한 지원거점으로 추진 - 구매대행, 서비스관리 및 제공, 물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1000개 현급 서비스센터와 10만 개의 촌급 서비스센터를 설립할 것’을 발표. - 2014년 10월, “천현만촌(千县万村)” 프로젝트를 통해 3~5년 내 100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임을 밝힘.
○ 구매대행 및 농촌 특성에 맞는 제품 개발로 인터넷 미숙 소비자층을 추가로 확보. - 농촌 온라인 쇼핑인구는 2014년 말 기준, 7714만 명에 달했으며, 연간 증가율은 40.6% - 2014년 중국 농촌 온라인 쇼핑은 1800억 위안이며, 2016년까지 4600억 위안으로 성장 예상. - 2015년 3월 기준, 중국 93.5%의 농촌에서 광대역 인터넷 개통 완료.
□ 농촌 타오바오는 어떻게 구성되나?
○ 알리바바의 첫 번째 ‘농촌 타오바오’ 서비스센터는 2014년 10월 29일 저장성 퉁루현 푸춘장전(浙江省 桐庐县 富春江镇)에서 개점해, - 2015년 6월 말 기준 ‘농촌 타오바오’는 중국 17개 성에 설립. - 63개의 현급 서비스센터와 1,803개의 촌급 서비스센터가 운영 중임.
○ 농촌 타오바오는 현급(구급) 서비스센터와 촌급 서비스센터로 양분화. - 현급(县级)도시에 알리바바 직원을 파견해 현급 서비스센터를 설립하고, 현급 서비스센터를 통해 촌급 서비스센터를 구축하고 해당 지역 내에서의 전자상거래사업을 확대하고 있음. - ‘촌급 서비스센터’는 마을의 작은 상점 혹은 중심지에 개점해 서비스 센터 점주는 알리바바에서 교육받은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로 명명되며, 구매대행을 비롯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
※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란? 만 18세 이상의 휴대폰과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고, ‘농촌 타오바오’에 관심있는 사람은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를 신청 가능, 현급 서비스센터의 면접을 통해 선발.
□ 농촌 타오바오의 대형구매 절차와 제공 서비스는?
○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가 ‘농촌 타오바오’ 웹 사이트를 통해 주문·수령 후 주문자에게 인수하는 방식으로 물건대금의 대납 서비스 이용도 가능
- 촌민들은 주문한 제품의 값을 바로 지불하거나 서비스센터에서 일시적으로 대납 가능. - 대납서비스 이용 시 제품 수령 후 제품 만족시에만 지불하는 것도 가능.
○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는 알리바바에서 인증된 공용ID로 촌민들의 주문한 제품을 대행구매 - 제품 대행 구매 시 수수료가 발생하며, 알리바바는 지난 달 누적된 중개 수수료를 다음 달에 농촌 파트너에게 한번에 지불. - 현재 중개 수수료는 제품 판매액의 5~8%로 이것이 농촌 파트너의 수익이 됨.
农村淘宝 웹사이트(http://cun.taobao.com) 실제 화면 자료원:알리바바
□ 농촌 타오바오 웹사이트를 통해서 살 수 있는 것은?
○ ‘농촌 타오바오’ 웹사이트에 있는 상품들은 이미 알리바바의 타오바오와 톈마오(天猫)의 웹사이트에 있는 제품 - 단, 제품 판매인은 타오바오, 톈마오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제품 할인정보를 동시에 농촌 타오바오 웹 사이트에 올릴 것인지를 설정 가능. - 또한 제품이 판매될 시 농촌 타오바오 파트너에게 주는 중개 수수료의 비율을 설정 할 수 있음.
○ 최근 알리바바는 유명 브랜드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추진 중임. - 지난 6월 농촌 타오바오는 주요 11개 제조기업과 협약을 체결함. - 주요 참여기업은 TCL, 하이얼(海尔: Haier)), 메이디(美的: Midea), 하이신(海信:Hisense), 베티(华帝:Vatti), 창홍(长虹), 콘카(康佳: Concha), 완허(万和), 라오반추웨이(老板厨卫), 후이얼푸(惠而浦), 그란츠(格兰仕: Galanz) 등임. - 특히 로레알(L'OREAL)그룹과 유니레버(Unilever)그룹, 프록터 앤드 갬블(宝洁:Procter & Gamble)은 농촌 타오바오를 통해 ‘농촌 맞춤형 보디케어 제품(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제품)’을 판매함과 동시에 10개 현(县), 300개 촌을 대상으로 방문 메이크업 교육도 계획임.
□ 농촌 타오바오 TOP 10 제품은?
○ ‘15년 상반기에 판매된 제품군 1위는 대형 가전제품로 세탁기, 평면TV, 온수기, 냉장고, 냉동고, 에어컨 순으로 판매됨. - 최근 “6.18 할인행사”때 ‘농촌 타오바오’ 웹사이트에서 하루 동안 판매된 대형 가전제품은 1만3,863대이며, 판매액은 2000만 위안에 이름.
농촌 타오바오 2015년 상반기 판매 제품 TOP 10
□ 시사점
○ ‘농촌 타오바오’를 적극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 필요 - 신제품개발, 농촌 특화 이벤트 등을 적극 추진하는 중국 및 해외 제조업체와 같이 한국 업체는 발전 하고 있는 ‘농촌 타오바오’와 협력해 농촌 소비자의 수요를 적극 파악하고 농촌 소비자에 ‘맞춤형 제품’을 개발 생산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농촌 가전제품 시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 현재 중국의 농촌은 가전제품을 교체하는 단계임. 가전제품이 가장 많이 팔리고 앞으로의 소비잠재력 또한 큼. - TCL(중국 가전제품 제조업체)그룹의 셰판(谢帆) 부사장에 따르면, “기업들이 농촌 타오바오의 시장에 들어가는 시기는 빠를수록 좋다. TCL그룹은 중국 전역에 5만 개 이상의 판매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농촌의 촌급(村级)까지 분포시키지는 못했다. 하지만, 농촌 타오바오를 통해 농촌 촌급의 소비자들에게 TCL그룹의 가전제품을 팔 수 있게 됐다”라고 언급함. - 이는 대기업의 오프라인 유통망으로 한계점이 있는 부분을 알리바바의 농촌 타오바오를 활용해 농촌유통망 확보가 향후 시장확대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
자료원: 网易, 品观网, 阿里巴巴, 枞阳在线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실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