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AMD, 3nm GAAFET 트렌지스터 구조 채택 언급에 따른 삼성전자 수주 기대감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장비/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 CXL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UAE 원전 협업 및 체코 원전 수주 기대감 지속, 두산에너빌리티 SMR 건설 프로젝트 납품 모멘텀 지속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개방형 지도 데이터 플랫폼 오버추어 가입 소식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사회의 노령화와 온라인 시장의 발달로 뷰티 산업 성장 전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美 ASCO 등 제약·바이오 학회 기대감 속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삼성-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 소식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UAE 대통령 국빈 방문 기대감 및 국내 방산 추가 수주 모멘텀 지속 전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테러 테마 상승.
▷보험사 합산 보험손익 성장 전망 등에 생명보험/ 손해보험 테마 상승.
▷머스크 xAI 8조원 규모 투자 유치성공 소식 속 일부 관련주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정부, 우주 개발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AI(인공지능) 특수에 따른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모멘텀 지속 등에 전선/전력설비 테마 상승.
▷컨테이너 운임 강세 영향 지속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이 외 엔젤산업, 양자암호, 마이크로 LED,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출산장려정책, 테마파크, 그래핀 IT 대표주, 재난/안전(지진 등),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NI(네트워크통합), 모듈러주택,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무선충전기술, 공작기계, 항공기부품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매도 리포트 속 에코프로비엠이 하락한 가운데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 하락.
▷풍력/ 태양광에너지/ 수소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 일부 신재생 에너지 관련 테마 하락.
▷마운트곡스發 상환 우려 등에 비트코인 하락 속 일부 두나무/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이 외 탄소나노튜브(CNT), MLCC, 요소수, 수산, 화학섬유, NFT(대체불가토큰), 인터넷 대표주, 맥신(MXene), 조선기자재, 건설 대표주, 캐릭터상품, 자전거, 육계, 폐기물처리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한편,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국내 상장 중국기업, 화장품 테마가 상승한 반면, 음원/음반/엔터테인먼트, 면세점, 카지노,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는 차익 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하는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는 등락이 엇갈린 모습. |
반도체 관련주 | AMD, 3nm GAAFET 트렌지스터 구조 채택 언급에 따른삼성전자 수주 기대감 등에 상승 |
▷신영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지시간 5월24일 진행된 ITF(Imec Technology Conference) 2024에서 AMD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협업이 암시됐다고 밝힘. AMD는 전력 효율성과 성능 개선을 위해 3nm부터 GAAFET트렌지스터 구조를 채택하겠다고 언급했음. 현재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3nm에서 GAAFET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TSMC는 2nm부터 적용할 전망으로 이에 AMD가 3nm 제품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게 위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한다고 밝힘.
▷엔비디아發 훈풍도 지속되고 있음. 엔비디아는 지난 22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연일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엔비디아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62% 늘어난 260억4,400만 달러를 기록. 전분기대비로는 18% 증가. 이는 LSEG 예상치 246억5,000만 달러를 웃도는 수치임.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27% 증가한 226억 달러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칩스앤미디어, 가온칩스, 코아시아, 한미반도체, 에프에스티, 엑시콘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원자력발전 | UAE 원전 협업 및 체코 원전 수주 기대감 지속, 두산에너빌리티 SMR 건설 프로젝트 납품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오는 5월28~29일한국을 국빈 방문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은 모하메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경제투자, 에너지, 국방·방산, 첨단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강화와 양국 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 업계에선 이번 UAE 대통령의 방문으로 원전·방산·건설 등에서 협업이 기대되고 있음.
▷특히, 지난해 윤 대통령은 이재용 회장, 정의선 회장과 함께 UAE 바라카 원전 3호기 가동식에 참석하기도 했으며, 지난 4월에는 UAE가 2032년 가동을 목표로 두 번째 원전 단지 입찰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지기도 했음.
▷최근언론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 최대 소형모듈원전(SMR) 설계업체인 뉴스케일파워가 짓는 370억달러(약 50조원) 규모 SMR 건설 프로젝트에 원자로, 증기발생기 튜브 등 주기기를 납품할 것으로 전해짐. 공급물량은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SMR 시장이 본격 열리면서 두산 등 국내 원자력발전 기업이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이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아울러체코 원전 수주 및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증설에 따른 대체 에너지원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속 서전기전, 에너토크, 한전산업, 우리기술, 우진엔텍, 한신기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자율주행차 | 현대차그룹, 개방형 지도 데이터 플랫폼 오버추어 가입 소식에 상승 |
▷전일언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이 개방형 지도 데이터 플랫폼인 오버추어 맵스 파운데이션(이하 오버추어)에 가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오버추어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해외 빅테크 기업 및 독일의 지리정보기업인 톰톰 등이 ‘구글맵 종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설립한 프로젝트형 재단으로 알려짐.
▷현대차그룹이 오버추어에 가입한 건 구글과 애플 등이 자사 지도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비용을 부과하거나, 일부 제약을 두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며 오버추어가 구축한 지리 정보를 활용하면 현대차그룹의 차량에 장착된 순정 내비게이션의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칩스앤미디어, 라이콤, 아이쓰리시스템, 라닉스,에이스테크, 텔레칩스, LG전자 등 자율주행차 테마가 상승. 한편, LG전자는 AI 전력 효율 수혜주 분석 모멘텀이 지속된 점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화장품 | 사회의 노령화와 온라인 시장의 발달로 뷰티 산업 성장 전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사회의 노령화와 온라인 시장의 발달은 뷰티 산업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분석. 특히, 사회의 노령화 속도가 빠르고 온라인 침투율이 높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홈뷰티 디바이스 산업이 새로운 뷰티 산업으로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등 서구권에서는 온라인 시장의 성장과 함께 뷰티 산업 중 소비자 관여도가 높은 카테고리가 높은 매출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설명. 서구권의 스킨케어 산업이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구조적인 성장을 시작한 이유이며, 이러한 트렌드에 수혜를 볼 수 있는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특히, 미국인 등 서구권 소비자들의 피부는 동양인들 대비 주름과 자외선 등에 취약함에도, 서구권의 화장품 산업은 메이크업 중심으로 발달했으나,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서양인들의 스킨케어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고, 이는한국 뷰티 기업에 기회가 되고 있다고 분석.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오랜 기간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에겪지 않았던 피부 트러블 등을 겪는 경우가 늘어났다고 설명. 때마침 온라인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화장품 카테고리 중 소비자 관여도가 높은 스킨케어 카테코리가 성장할 수 있는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판단. 때마침 오징어 게임(2021.9) 등 한국 컨텐츠가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국 기초 화장품의 인기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분석.
▷이와 관련, 삐아, 오가닉티코스메틱, 비엘팜텍, 브이티, 한국화장품제조, 에이에스텍, 실리콘투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
제약/바이오 관련주 | 美 ASCO 등 제약·바이오 학회 기대감 속 상승 |
▷글로벌 제약·바이오 학회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nnual Meeting)가 현지시간으로 5월31일부터 6월4일까지 시카고에서 개최될 예정. HLB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관련 전체 내용을 이번 학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며, 유한양행은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와 얀센의 ‘리브리반트’ 병용요법 임상 3상 효과를 확인하는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 이외에도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등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의 핵심 파이프라인 연구 결과가 대거 공개되는 만큼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또한, 다음 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도 개최될 예정.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팜, 차바이오그룹,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등이 참석할 예정.
▷미국 의회에서 우시앱텍 등 중국 바이오기업과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제정을 논의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학회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등 분야에서 미국 시장 비중을 확대할 중요한 기회로 여기고있음.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산 신약의 글로벌 성과 도출 구간에 진입했다고 밝힘.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는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우선 심사중이라며, 3분기에 미국 시장에 출시해 유한양행의 출시 마일스톤 수령을 예상한다고 밝힘. 미국에 출시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를 기반으로 SK바이오팜은 매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할것으로 전망되며,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의 피하주사(SC)제형인 짐펜트라 역시 올해 미국에서 6,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압타바이오, HLB, 와이바이오로직스, 메드팩토, 압타머사이언스, 동국제약 등 제약업체/면역항암제/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 삼성-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이달 애플 아이폰16프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양산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짐. 제품 승인에 이어 양산 승인까지 받으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하반기 출시예정인 아이폰16 시리즈는 일반형 라인업(일반형·플러스) 2종과 프로 라인업(프로·프로맥스) 2종 등 모두 4종으로 구성된다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일반형·프로 라인업 4종 모두, LG디스플레이는 프로 라인업 2종 OLED만 납품한다고 전해짐. 아직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아이폰16프로맥스 OLED 양산 승인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만, LG디스플레이는 이달 아이폰16프로 OLED 양산 승인을 받으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격차를 좁힐 기회를 확보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프로이천, 제이엠티, 포인트엔지니어링, AP시스템, 덕산네오룩스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UAE 대통령 국빈 방문기대감 및 국내 방산 추가 수주 모멘텀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오는 5월28~29일 한국을 국빈 방문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은 모하메드 대통령과정상회담을 통해 경제투자, 에너지, 국방·방산, 첨단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강화와 양국 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 업계에서는 이번 UAE 대통령의 방문으로 방산·원전·건설 등에서 협업을 기대하고 있음.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방위산업이 추가 수주 모멘텀을 잃거나 횡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조금씩 나오고 있지만, 올해 수출 기조는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연간 200억 달러 신규 수주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탈세계화라는 새로운 관계 정립의 시대에 진입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며, 탈세계화에 있어 자주 국방력의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설명.
▷이어 하반기는 미국 대선 흐름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예상하지만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든, 바이든이 대통령이 되든, 방위산업에는 모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트럼프는 자국 우선주의와 국방예산 증액을 시작한 장본인이고, 바이든은 G2 의 갈등 상태를 유지하며 오히려 국방예산을 더욱 끌어올린 인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한편, 한화오션은 그룹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캐나다 방산 전시회 'CANSEC'에 참가해 잠수함과 무인함정 기술, 육상 무기를 선보인다고 밝힘. CANSEC은 매년 280개 이상 기업과 50개국 대표단이 참가하는 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로, 올해는 29∼30일(현지시간) 오타와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한화오션을 포함한 한화그룹 계열사가 CANSEC에 참가하는 것은 올해가 처음임.
▷이 같은 소식 속 한국항공우주, SNT다이내믹스, 코츠테크놀로지,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생명보험/ 손해보험 | 보험사 합산 보험손익 성장 전망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커버리지 손해보험사들의 2024E 합산 원수보험료는 1.8조원(YoY +5.9%)으로 2023년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3년 해외원보험 발생손해액 기저효과로 2024년에는 전년보다 낮아진 손해액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커버리지 보험사들의 2024E 합산 보험손익은 손해보험업 5.5조원(YoY +34.2%), 생명보험업 2.7조원(YoY +14.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삼성생명, 미래에셋생명, 한화생명, DB손 해보험, 삼성화재 등 생명보험/손해보험 테마가 상승. |
AI 챗봇(챗GPT 등) | 머스크 xAI 8조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60억달러(약 8조1,78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음. 27일(현지시간) xAI의 기업 블로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자금 조달에 성공한 사실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면서 핵심 투자자로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벤처캐피털인 앤드리슨 호로위츠와 세쿼이아 캐피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앤드 리서치 컴퍼니 등이 참여했다고 밝힘. 회사 측이밝힌 주요 투자자 중에는 알왈리드 빈 탈랄 사우디아라비아 왕자도 포함됐음.
▷xAI는 "앞으로 몇 달 동안 이런 가파른 진보의 궤도를 이어갈 것"이라며 "곧 여러 흥미로운 기술 업데이트와 제품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힘. 그러면서 "이번 라운드에 조달한 자금은 xAI의 첫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첨단 인프라를 구축하며, 미래 기술의 연구·개발을 가속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 한편, 언론에 따르면, xAI의 사전 평가된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가 180억달러(약 24조5,250억원)였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폴라리스오피스, 비트나인, 폴라리스AI, 마음AI 등 일부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