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천 1번입니다. 영천도 이제 버스 환승제 실시한거 알고 계시죠?
그러나 탑패스는 쓸 수 없고 오로지 대경교통카드로만 쓸 수 있습니다.
영천에는 대구시내버스의 2세대 단말기를 계속 쓰고 있기 때문이지요.
하차단말기에 대경단말기가 달렸는데 굉장히 어색해 보이더군요. 대구시내버스가 2세대 단말기 썼을땐 하차단말기가
없었을 때이다보니 괴리감이 좀 있네요...
참고로 이 버스는 영천역과 영천터미널을 모두 경유합니다.. 출발은 영천터미널에서 하는데... 노선을 보아하니
순환노선임에 틀림 없습니다.
영천터미널과 영천역은 두 정거장이면 간다죠?


포항 130번 버스입니다.. 어떤 분 말로는 포항시내버스는 현대차가 압도적이라고 하던데 정말이더군요
대우차 한대도 못봤습니다... (사실 저도 현대차를 더 선호하지만요.)
이 버스도 역시 순환노선이며, 포항역과 포항시외버스 터미널을 모두 연계하여 줍니다.
혹시나 포항역이나 포항시외버스 터미널을 오고 가실 분이 있다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포항역과 포항고속버스터미널, 또 포항고속버스터미널과 포항 시외버스 터미널을 연계하는 버스는 없는지 궁금하군요.

그리고 이건 영천터미널에서 찍은 건데... 크루저가 대차된 모양이군요 ㅎㅎ
영천~서울 고속버스도 하루 3회에서 4회로 1회 증회되었는데 그 1회가 우등고속이고 나머지는 일반고속이죠.
그러나 빨리 가는 사람들은 동대구에서 KTX로 환승할테고.. 아니면 동대구역과 동대구고속터미널이 가까우므로
싸게 가는 사람들의 경우 영천-> 서울 고속버스 시간 못맞추는 사람들은 영천 -> 무궁화 -> 동대구 -> 고속버스 -> 서울
이렇게 갈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동부정류장과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은 거리가 좀 있기 때문이지요.
첫댓글 사진을 보니 포항 130번에 좌석형 차량이 운행하고 있네요. 원래 입석노선인데 좌석요금받지는 않겠죠?ㅎ 포항 130번은 이용객은 그리 많지 않은 노선인것 같은데 좌석형 차량이 들어간것을 보니 이용객수가 늘어난듯 하네요. 하지만 이동,양학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포항역-포항시외버스터미널까지 소요시간은 긴편 입니다.
포항시내버스는 99%가 현대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우차량이라고는 101번에 운행되고 있는 대우형 초저상버스 1대가 유일 합니다. 연계노선 질문에서 포항역과 포항고속버스터미널을 직접 연계하는 노선은 없으며 포항시외버스터미널과 포항고속버스터미널을 연계하는 노선은 107번 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포항역~포항터미널 연계교통은 130번 말고는 없는것 같더군요... 포항역쪽에는 시내버스 많이 다니는가요? 포항역에 안가본지가 오래라서 모르겠습니다.. 포항역에서 시내까지 가깝다고 들었는데 그럼 버스가 좀 다닐것 같긴 합니다. 다만, 지금의 포항역은 철도 경쟁력이 없는게 아쉽긴 하지만요.
지금 포항역 경유하는 시내버스는 130번이 유일합니다.
포항시내버스의 경우 보통 배차간격이 얼마나 되나요? 재작년 주말 저녁에 효자역 인근에서 버스기다리는데 20분이 지나도록 차가 너무 안오더군요.
시내를 돌아다니는 100번대 일반버스는 10~15분 간격으로 보면 되고, 좌석버스는 노선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포항 시내 도로가 통행량에 비해 좁은 편이라 배차가 개판이 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효자역인근에는 입석버스 109번과 좌석버스 700번이 있습니다.(600번도 있지만 운행회수가 얼마되지 않아서 파악하기 어렵네요) 109번 배차간격은 20분, 700번은 30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