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행복이 함께하는 쉼터 원문보기 글쓴이: 마패
![]() |
생열귀나무 [해당화] [범의찔레] [가마귀밥나무] [붉은인가목] [좀붉은인가목] [뱀찔네] [산붉은인가목] [생열귀장미] |
![]() |
Rosa davurica Pall. |
![]() |
Rosaceae(장미과) |
![]() |
ヤマハマナス |
![]() |
Dahurian Rose |
![]() |
개화기 | ||||||||||||||||||||||||
| |||||||||||||||||||||||||
![]() |
꽃색 | ||||||||||||||||||||||||
![]() | |||||||||||||||||||||||||
![]() |
잎 |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두,원저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작은 선점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축 및 탁엽에 선모가 있다. | |||||||||||||||||||||||||
![]() |
열매 | ||||||||||||||||||||||||
열매는 크기 1.0-1.3㎝로 구형이고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6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 |||||||||||||||||||||||||
![]() |
꽃 |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길이 2cm이며 겉에 선점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안쪽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므라지고 홍자색이다. 수술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단지모양의 꽃받침통 변두리에 붙는다. 암술은 여럿으로 꽃받침통속 바닥에 붙어 있다. | |||||||||||||||||||||||||
![]() |
줄기 | ||||||||||||||||||||||||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탁엽 밑에 가시가 있다. | |||||||||||||||||||||||||
![]() |
원산지 | ||||||||||||||||||||||||
한국 | |||||||||||||||||||||||||
![]() |
분포 | ||||||||||||||||||||||||
▶일본, 사할린, 만주,시베리아, 아무르 등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의 표고 200~1,200m의 산록이나 계곡에서 자란다. | |||||||||||||||||||||||||
![]() |
형태 | ||||||||||||||||||||||||
낙엽 활엽 관목 | |||||||||||||||||||||||||
![]() |
크기 | ||||||||||||||||||||||||
높이 1~1.5m이다. |
![]() |
생육 환경 |
▶산록이나 계곡의 암석지에서 자란다.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 바닷가 또는 도심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습기가 있는 비옥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 |
![]() |
광선 |
중생 | |
![]() |
내한성 |
강함 | |
![]() |
토양 |
보통 | |
![]() |
수분 |
보통 | |
![]() |
꽃/번식방법 |
▶분근, 실생, 삽목에 의한다. 과육을 제거한 종자를 가을에 직파하거나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며, 1년생 가지로 꺾꽂이하면 발아율이 높다. | |
![]() |
결실기 |
6월 | |
![]() |
이용방안 |
▶관상용, 밀원, 향료, 열매는 식용하기도 한다. ▶과실은 자매과, 根(근)은 자매과근, 花(화)는 자매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자매화 ①과실이 익었을 때 따서 곧 햇볕에 말려서 건조한 다음에 꽃받침잎을 제거한다. 또는 신선한 과실을 둘로 쪼개서 果核(과핵)을 빼내고 건조한다. ②약효 : 소화촉진, 健脾(건비), 理氣(이기), 養血(양혈),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氣滯腹瀉(기체복사), 胃痛(위통),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자매화근 ①약효 : 월경폐지를 치료한다. 자매과근 18g을 달인 물에 계란을 넣어 복용한다. 세균성이질의 치료와 예방에 자매과근 600g에 물 4ℓ를 붓고 1ℓ가 되도록 달여서 1일 2-3회 1회 50-100㎖씩 복용하면 4-6일에 치료되고 복용 후 3-5일에 세균성이질의 발생과 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 ⑶자매화 - 월경과다에 생열귀나무의 꽃 3-6개를 달여서 복용한다. | |
![]() |
유사종 |
▶흰생열귀(for. alba Nakai):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긴생열귀(var.ellipsoidea Nakai): 타원형의 열매가 달리며 북부지역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민생열귀(R.silenidiflora):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왕가시나무, 개해당화, 흑산가시나무, 용가시나무, 털용가시나무, 축자가시나무, 찔레나무, 털가시나무, 해당화 등이 있다. |
붉은인가목은 이른 여름부터 꽃이 피는데, 설악산 이북 지역과 동강 등 중부지방의 산자락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이다. 키는 2m까지 크는데, 잎은 5∼9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우상복엽이 서로 어긋나게 달리고,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 또는 탁엽이 달려 있다. 지름이 3∼4cm 정도 되는 꽃송이는 분홍색 꽃잎을 가졌는데, 꽃잎 끝이 오목오목하여 하트처럼 보인다.
꽃송이 가운데에는 수술이 많은데, 거기서 은은하고 맑은 꽃향기가 난다.
붉은인가목을 꽃을 위주로 생각하다 보니 풀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낙엽지는 작은키 나무이다. 이른 여름부터 꽃이 피는데, 이즈음 숲이 좋은 높은 산에 가면 아이주먹만한 붉은 꽃송이를 달고 아름답고 향기롭게 피어 있는 붉은인가목을 그리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본래 강원도 이북 그러니까 설악산 같은 산에 주로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동강 같은 중부지방의 산자락에서도 볼 수 있어 알려진 것보다 분포범위가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초여름(혹은 아주 늦은 봄)에 피어나는 꽃을 보면 정말 장미와 닮아 있다. 식물들을 하나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옛날 재재종 장미가 어떻게 산에 와 있나?' 하고 되물을 정도이다. 지름이 3~4cm 정도되는 꽃송이는 분홍색 잎을 가졌는데, 꽃잎 끝이 오목오목하여 하트처럼 보인다. 가운데로는 수술이 많고, 역시 장미와 비슷하지만 훨씬 신선한 꽃향기를 가지고 있다. 가을에 익는 열매는 붉게 익는데, 이 역시 화탁이 남아 그대로 익는 장미의 열매를 연상하면 된다.
식용,한방으로 쓴다.
열매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레몬의 20배)베타카로틴도 많다.(당근의 10배) 뿌리는 항암 및 노화방지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성인병 예방,당뇨와 위통에도 효과가 있다.
서구인들은 꽃을 보기 위한 정원수에서부터 가장 우수한 천연비타민의 공급원으로 실생활에 폭넓게 이용하고 있다.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