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日月盈昃 (일월영측)
辰宿列張(진숙렬장)
장
2. 日月盈仄 辰宿列張 (일월영측 진숙열장)
해와 달은 차고 기울며 별과 별은 벌려 있다.
易曰 日中則?이요 月盈則虧라 하니 日은 一日之內에 中而?하고 月은 一月之內에 盈而虧하여
經緯錯綜이 如環無端이라.
주역<풍괘>에 이르기를, '해는 중천에 뜨면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진다.' 하였다. 해는 하루 안에
중천에 떴다가 기울고, 달은 한 달 안에 찼다가 이지러져 경위착종(이리저리 왔다갔다)함이
쇠고리와 같아 끝이 없다.
周天之度를 分爲十二次하면 是爲辰이요 而日月會를 分爲二十八次하여 而而十八宿行環列而分張也라.
주천의 도수를 12방위로 나누면 이것이 진이 되며, 해와 달이 만나는 곳을 28위치로 나눌 경우,
그 위치에 해당하는 28수(宿)가 순환운행하여 분포되어 있다.
日 날 일 동그란 해에 흑점이 있음을 표현한 갑골문자에서 비롯됨.
月 달 월 중국전설에 의한 토끼가 방아를 찧는다는 의미.
盈 찰 영 가득 차다.그릇은 용량에 따라 꽉 참이 다르다.
仄 기울 측 해가 기울어 지다.
辰 별 진(신) 북방별 북극성을 뜻함. 또는 꿈틀거릴 진.
宿 잘 숙, 별 수 남방별 남극성(죽은 별이므로 잔다고 표현)을 뜻함.
列 벌릴 렬 소를 잡을 때 칼로 벌리다에서 유래함.
張 베풀 장 활을 길게 잡아당기다.
* '별 볼일 없다' 는 죽고 삼을 별의 길흉으로 점치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1. 2 는 천지음양의 실체를 말한 것이다.
첫댓글 아! 멋지네요~첨봤어요!!
유익한 코너입니다. 잘 보고 따라하면 서예대가 부럽잖겠는걸요?
ㅎㅎ 조금만 기초가 있다면 집에서 연습해도 좋은 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