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matQ: 이 프로그램은 수백기가의 하드디스크를 처음 포맷할 때, 혹은 일반적인 포맷할 때 포맷을 빠르게 해주는 유틸이다. formatq c:라고 치면 C파티션/드라이브가 빠르게 포맷된다. 설명서 첨부 CopyLock: XP에서도 사용중인 프로세스를 무시하고, 파일을 대체/이름바꾸기/이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Renamer: 안지워지는 파일/폴더 이름을 바꿔서 지우기 DeleteDoctor 2.0: XP사용자에게 특히 많은 호평을 받은 무료 프로그램 DeleteDoctor 1.1: XP 사용자에게 특히 많은 호평을 받은 무료 프로그램 각종 하드디스크사에서 제공하는 로우레벨 포맷유틸리티: 회사별로 다 있다 120g하드도 되는 Fdisk최신버젼과 Format최신버젼: FAT32로 포맷됨 gdisk: 가장 쉽고 편리한 전문가용임. 필자의 테스트미비로 인해 첨부 안함 Delit: 파일이 복구불가능하도록 쉽게 삭제해줌. 프리웨어 MdirIII/Far: DOS용 프로그램임. RAR를 만든 RARlabs에서 FAR를 만듦. MdirIII 비슷합니다 160g이상 하드 포맷유틸(통합본)/ 링크1/링크2: CD굽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CD에다가 IMA파일을 구우면 됨 맥스터사에서 유출된 것으로, Freeware(무료프로그램)임 a:드라이브에 빈디스켓을 넣으면 복사됨 a:로 부팅하고 도스에서 사용한다 ◈ 참고: 130GB 이상의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사용(인식)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필요하다 ☞ 윈도우 2000 계열 : 서비스팩 4 이상이 포함 또는 설치 ☞ 윈도우 XP 계열 : 서비스팩 1 이상이 포함 또는 설치 ☞ 윈도우 ME/98 계열 : 이 유틸을 이용하여 파티션 및 포맷 ================================================= 또한 이 유틸리티는 맥스터사에서 제공한 프리웨어이지만, 타사의 하드디스크 포맷에도 사용가능함 다운받은 자료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하여 DOS 모드에서 사용 |
폴더옵션/보기 탭에서 "미리 보기 캐시 안 함" 체크를 해주고 탐색기를 재가동후 삭제
당나귀나 오버넷등에서 다운받은 영화파일들이, 윈도우 xp의 미리보기 기능 때문에 안지워지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레지스트리편집으로 삭제하는 방법이다
시작->실행->regedit 입력후..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Classes > CLSID > {87D62D94-71B3-4b9a-9489-5FE6850DC73E} > InProcServer32 의 하위키를 삭제하신후 파일을 삭제
귀찮으신 분들은 아래 파일을 다운받으신 후... 마우스우클릭눌러서 - 설치
메모장으로 빈문서를 만들어 덮어 쓰기를 후 삭제를 합니다
메모장을 열고 바로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에서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 파일 이름을 aaa.avi로 실제 aaa.avi파일이 있는 폴더에 덮어쓰기를 한 다음, 탐색기에서 aaa.avi파일을 삭제를 해봅니다.
Mdir와 비슷한 파일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삭제
DOS에서 사용가능: MdirIII/FAR(1번에서 다운받음)
원인:
그건 영화파일에 마우스 클릭하는 순간..윈도우에선 preview식으로 읽는다
그리고 나서 삭제 메시지가 뜨고 예를 누르게 되는데, 그럼 실행중이니 삭제할수 없다고 하고..
해결:
네로를 예로 들면 보통 영화시디 구울때처럼 데이터 굽기-파일 추가-경로창이 뜬다
거기서 그 파일을 지정하고 Delete 키로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Shift키를 누르고 Delete키를 누르면 완전삭제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사용하면, ACD See 같은 뷰어/WinM/total commander/FlyExplorer에서도 삭제 가능
다른 사람이나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중이라고 삭제가 안되면, 안전모드로 부팅후 삭제
증상:
프루나에서 100% 다운이 완료되면 Temp에서 incoming으로 옮겨지는데, p2p방식이므로 다른 사용자가 본인의 자료를 다운로드를 하는중이라면 삭제를 할 수가 없다...또한,공유위반이다
해결:
삭제를 하려면 랜카드에 케이블선을 뽑고 incoming으로 가셔서 지우면 된다
아니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여 다른 사람이 다운로드하기전에 incoming으로 가셔서 삭제
증상: 시스템에서 스왑하고 있는 파일이라 삭제가 안되었다
얼마전 eps포멧 형식의 파일을 만들었다가 Cd에 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 eps파일과 ai 파일이 윈도우 xp에서 불안정. cd를 구워도 계속 cd가 뻑나고(성공은 했지만 읽혀지지가 않는 오류)
파일이 확실히 이상이 있는데, 그래서 삭제를 할려고 하는데 이 넘이 삭제가 안된다고 하더군요. 별의 별 방법을 다 동원. 정말 다 동원 했습니다.
도스모드, 안전모드, txt로 붙여넣기, 네로로 지워보기 등등의 방법을 총동원해봤지만 결국 실패 더군요. 마지막 방법 작업관리자에서 하나 하나씩 프로세스를 꺼보면서 지워보기로 했습니다. 그래도 안돼던데...
해결:
(1) XP의 이동식디스크 포멧의 MS-dos 만들기를 통해 도스를 만들어서
recycle 폴더에 들어가
del *.*
(2) XP부팅시에 f8을 눌러서 안전모드 들어가서 지우심이..
DOS에서 CHKDSK c:/f
Windows환경에서 가끔 외부침입이나 잘못된 파일명으로 폴더나 파일이 삭제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Explorer는 물론, Command Prompt에 가서 del, rd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삭제권한이 모두 있는데도 안된다
이때는
del "?driveirectoryfile name"
rm /s "?driveirectory"
그러면 감쪽같이 지워진다
-= Tagged By NiuGuo =-같은 침입을 받았을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을 것이다
Microsoft기술자료를 첨부
내용출처 :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ko;320081
윈도우 me 를 사용하는 유저중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았는데도 c드라이브의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아서 c 드라이브를 뒤져보다가 _RESTORE 라는 폴더를 보고 엄청난 용량에 놀란 사용자들이 적지 않다. 보통 이 폴더의 크기는 2~5기가바이트정도나 되며 심할경우 10~20기가바이트를 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1. _RESTORE 폴더 그는 누구인가
RESTORE 폴더는 한마디로 시스템 복원소를 저장하는 폴더이다. 시스템이 큰 오류나 문제가 생겼을때 컴퓨터를 예전 상태로 복원을 하는 윈도우 ME 의 기능에서 복원을 하는데 필요한 구성소들을 저장하는 곳이 바로 이 폴더이다. 이 폴더는 과거의 시스템을 모두 백업시켜놓은 장소이므로 엄청난 용량을 차지하는 것이다
2. _RESTORE 의 특징
보통 이 폴더는 숨김처리가 되어 있다. 만약 모든파일 보기 기능을 사용하는 유저들은 들어가 보았을텐데. 파일 몇개가 있고 그 외에는 아무것도 없을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 폴더에는 엄청난 양의 자료가 저장되어있다. 이 폴더의 삭제를 시도해본 사람들은 이 폴더가 지워지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삭제 시도를 해도 파일이 사용중이라는 창이 뜨고 삭제는 실패를 한다. 폴더는 운영체제로부터 여러 겹의 보호를 받고 있다
3. _RESTORE 어떻게 삭제하나?
※경고 : 삭제를 추천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시스템 복원이 필요할 일도 거의 없지어 평소 떼 이 폴더는 있으나 마나 하지만 이 폴더를 삭제할 경우에는 시스템 복원이 필요할 때 복원 기능 사용이 불가능하며 잘못 삭제하면 운영체제에 타격이 갈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의 여유공간이 2~3기가바이트 이하인 사람들과 이 폴더를 정말 없애고 싶은 사람들에 한해 삭제를 권장한다
이 폴더를 삭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다음은 시스템 중심부를 건드리지 않고 삭제하는 방법이다
1._RESTORE 폴더가 보이지 않는 사용자들은 C 드라이브에 접속하여 '도구-폴더옵션-보기탭 에서 숨김폴더 표시' 를 선택하여 _RESTORE 폴더를 숨김해제한다
반투명하게 _RESTORE 폴더가 표시될 것이다. (원래 _RESTORE 폴더가 표시되어 있었다면 앞의 과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2._RESTORE 폴더 안으로 들어가보면 파일 몇개가 있는데 이 파일은 수동적으로 삭제할 수는 없다. (확인해 보고 싶으면 한번 삭제를 시도해 보아라.) 사실 이 파일 외에도 여러 파일이 있는데 보이지 않는다. 숨김파일 보기 기능을 써도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다른 기능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 기능을 해제해야 한다
3. _RESTORE 폴더 안으로 들어가서 도구-폴더옵션-보기 탭에서 아래로내려가 보면 '스템 복원 파일 숨김'(복원파일 숨김등 다른 말로도 있는데 비슷한 말을 고르면 된다.)이라는 곳이 있을것이다. 이를 체크 해제 한후 '적용'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_RESTORE 폴더에 숨겨진 복원 파일들이 모두 표시될 것이다. 이들이 바로 C 드라이브의 용량을 잡아먹는 주범이다
4. 표시된 파일들을 수동적으로 삭제한다.(이들은 너무 용량이 커 휴지통으로 들어갈 수 없으니 삭제할 때 SHIFT+DELETE 키를 이용해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완전삭제되도록 한다.)용량이 기가바이트 수준이므로 이들을 모두 지우는데 10분가량이 걸릴 것이다
5. 자 그리고 시스템을 재부팅 해보자. C 드라이브의 용량이 늘어났을 것이다!
윈도우 ME의 흉물 _RESTORE 폴더가 삭제되었다!
(1) 도구->폴더옵션->windows기본폴더사용
으로 하면 잘 지워진다
(2) 다른 파일까지 동시 드래그해서 삭제
이래도 안되면..동시에 두개 이상을 드래그해서..(쓸모없는 파일을 만들어서..드래그해서 놓으면 copy본이 생깁니다.) DEL을 눌러 지운다
avi, mp3, mpg등...미디어 화일에서 이런 현상이 많은데.. 클릭을 해서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윈도우는 이 파일을 자동으로 버퍼링하게 됩니다. 플래이할 준비를 한다
그래서 아무 프로그램도 실행 안했는데도..사용중이라면서 지울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3) 파일의 등록정보에서 '읽기전용'에 체크되어있으면 이를 해제후 삭제
가끔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내가 만들지도 않았는데 멋대로 만들어지는 이상한 파일(예 : 꿿뛪_줿.$$$)일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심코 지우다 보면 파일오류 1026이라며 지워지지 않는데, 아래의 방법을 따라하면 된다
(1.)일단 그 파일을 휴지통에 넣는다.
그러나 말처럼 쉽지 않을것이다. 십중팔구 파일이 옮겨지지도, 삭제되지도, 심지어는 이름바꾸기도 안될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하느냐? 그 파일이 있는 폴더째로 버리는 것이다
그 폴더 안에 있는 다른파일을 (지우려는 파일빼고) 백업해 놓는다
그러면 폴더안에 덩그러니 그 파일만 생겨날 것이다
(만약 하드 상위에 생성된 것이라면 나도 모른다 - -
그러나 이 상태로는 휴지통에 얌전히 들어가 주지 않으므로, 그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새로만들기->텍스트 파일 을 누른다(다른 파일유형을 해도 상관은 없다 단 폴더는 제외)
그리고 이름은 맘대로,, 정한다. 이제 파일이 하나 더 생겼다
오류파일 하나, 그리고 지금 만든 정상파일
그러면 이제 이 파일들이 담긴 폴더를 통째로 휴지통에 버린다
그러면 휴지통 설정에서 즉시삭제를 설정해 놓지 않는 이상 100프로 휴지통에 들어가 있을것이다
여기서 잠깐! 인터넷 임시파일 폴더(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나
Downloaded Program Files 폴더, 또는 TEMP폴더에 그 파일이 있다면 이 과정은 건너뛰어도 좋다
(2) 디스크 정리
시작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도구 ->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다(없으신 분들은 윈도우 씨디에서 설치)
아마 이것은 윈도우 98이상의 OS에는 대부분 들어있을 것이다
그러면 윈도가 설치되어있는 하드를 선택 (대부분 C: 드라이브일것이다)하고 확인을 누른다. 그뒤 나오는 창에서 확인을 누르면 깨끗하게 없어진다
어느날 컴퓨터 정리좀 해보겠다고 고용량 파일 혹은 잡파일들 하나하나 씩 삭제 하고 있는데...
띠용!! 이 녀석 뭐냐...뷁뷁뷁~~ 거리면서 오류만 뜨는 메세지... 이 녀석은 고용량 파일인데 지워지진 않고... 어쩔 땐 건들면 컴퓨터가 느려지질 않나 골때린다 골때려!!
해결법...
1. 화면상에 있는 윈도우 창들을 모두 끈다(윈도위탐색기도)
2. 시작 메뉴에 들어가서 보조 프로그램을 들어간다
3. 거기서 그림판,메모장,워드패드 3중에 하나를 선택해 실행한다
4. 파일 메뉴에서 열기를 눌러 녀석의 위치를 파악한다(않지워지는 파일을 찾는다)
5. 녀석(파일)을 살포시 눌러주고 딜리트(delete)키를 누르고 감상한다
스타크래프트같은 iso파일의 경우...
가상 시디롬에 그 이미지파일이 잡아 져 있다면 삭제가 되지 않는다. 우선 가상시디에서 그 파일을 빼고 삭제 하시면 된다
리니지의 경우에 간혹 삭제가 안되는 경우, 프로그램을 다시 다운받아 설치후, 삭제
트루타입 글꼴의 윤곽선은 글꼴 파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이 작업을 위해 일부 하드디스크 공간을 할당받으며 이때 TTFCACHE 란 파일이 생기게 된다
이 파일은 c:windows 폴더(윈도우가 설치된)에 있으며 숨김 속성을 가지고 있다
많은 종류의 글꼴이 설치되어 있는데, 많은 글꼴의 변경이나 추가 삭제 등의 작업 도중에
이 파일 내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글꼴이 목록에서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ttfcache를 더블클릭해서 열지말고, 이 파일은 삭제했다가 다시 부팅하면 다시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파일 삭제 방법1: 안전모드로 부팅후 삭제
파일 삭제 방법2: 다른 해결법은 안전모드로 부팅한 다음 ctrl+f 를 눌러서 ttfcache 를 찾은 다음 삭제후에 재부팅
윈도우 창의 우측 상단의 최소화, 최대화, 종료 버튼이 깨지는 것도, 이 TTFCACHE 파일의 문제로 이 경우엔 안전모드로 부팅하였다가 다시 정상 부팅을 하면 해결이 됩니다
(1) 설치된 프로그램오류: 설치된 프로그램중 오른쪽 클릭시 로드되는 DLL 파일에서 생기는 문제로 추정
의심되는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알집 알씨 기타 압축프로그램 또는 오른쪽 크릭시 나오는 프로그램들)을 삭제해보거나, 안되면 최종적으로는 포맷!
(2) 일단 삭제하고 싶으면, 키보드로 삭제
왼쪽 클릭 후 방향키 위에 Delete를 누르시면 휴지통으로 간다
Shift + Delete 키를 누르시면 한번에 완전삭제가 된다
증상: MMC 에서 C:WINDOWSSystem32compmgmt.msc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MMC 에서 C:WINDOWSSystem32compmgmt.msc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파일이 없거나,MMC 콘솔 파일이 아니거나,이전 버전의 MMC 에서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파일을 엑세스 하는 데 필요한 사용권한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해결:
위의 증상을 확인하기위해 Regsitry Monitor로 감시한 결과 아드레날린 2.0 베타 00, 01 모두 XP에서는 필수적인 XML 관련 레지스트를 삭제하는 것이었다. 즉, XML 스킨을 사용하는 아드레날린의 모든 버전에서 위와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설치된 아드레날린을 삭제한다
2.전용유틸에서 fixadrenalin.zip 파일을 다운받는다
3.다운받은 fixadrenalin.zip을 임의의 폴더에 풀고 fixadrenalin.reg를 두번 클릭
4.레지스트리 병합 여부를 묻는 확인창에서 확인을 클릭
주1: 아르레날린 00 버전의 경우 삭제/설치하면 XML 관련 레지스트가 복원되지만 01 버전은 삭제/설치해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다(즉, 설치해도 레지스트리가 복원되지않았다)
주2: 아드레날린을 제거할 때 삭제되는 XML 관련 레지스트리는 약 30여개이며, 이외에 상당수의 레지스트리가 삭제되었다
주3: 아드레날린을 삭제하지않아도 된다. 그러나 필자는 가급적 삭제할 것을 권고한다. 시스템 레지스트리를 지나치게 변경하는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가급적 설치하지않는 것이 낫다
개요: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접근이 거부되었다고 나오면서...지워지지 않는 파일이나 폴더가 있을 때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변경해주는 프로그램
가끔가다 21번 포트로 익명 접속허용 ftp 열어놓으면 파일명이나 폴더명에 태그 걸어서 못 지우는 파일이나 폴더 만들어놓는 경우가 있는데 (윈도의 경우 com1 이나.. 그런 식) 이걸로 이름 바꾼 후 지우면 됩니다.
해결:
RM.Exe 사용방법
c:>rm.exe -d PRN.exe 파일 지우기
c:>rm.exe -r PRN 폴더 지우기
renamer.exe 사용방법
이름을 바꾸고자 하는 폴더에 이 파일을 복사하고, 더블클릭하면 커멘드모드가 되면서..폴더및 화일명을 바꾸겠냐고 질문한다.
바꾼다면 Y를 치고 바꿀 폴더명이나 화일명을 입력하면 된다.
delrp.exe 사용방법
delrp c:del.txt 파일 지우기
VBS/Love_Letter 바이러스
이 바이러스의 증상은 JPG, JPEG 파일 등에 바이러스가 겹쳐쓰기되고 VBS 확장자가 추가된다
즉, vbs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은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것으로 해당파일의 내용은 날아가버린 상태이다
백신으로 바이러스를 치료하더라도 기존 파일을 복구할 수 없다
증상 : 파일의 확장자가 VBS, VBE인 경우 바이러스가 겹쳐쓰기되며 JS, JSE, CSS, WSH, SCT, HTA의 경우 바이러스로 겹쳐쓰기되고 확장자가 VBS로 바뀐다. 또한 JPG, JPEG 파일은 바이러스가 겹쳐쓰기되고 VBS 확장자가 추가된다.
그러나 MP3, MP2 파일은 숨김속성으로 변경되고 동일한 이름의 바이러스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love_letter.mp3 파일의 경우 love_letter.mp3 파일은 숨김속성으로 변경되고 love_letter.mp3.vbs 파일이 생성된다
치료방법 :
V3Pro 2000 Deluxe로 치료하는 경우
수동검사/오른쪽마우스검사/시스템/인터넷감시 옵션에서 검사할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지정한 후 진단/치료하면 되며, 레지스트리까지 수정해 주므로 추가로 작업할 필요가 없다
V3Pro 98이나 V3+NEO를 이용해서 치료할 경우:
레지스트리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 주어야 한다. V3Pro 98은 검사할때 모든 파일을 검사하도록 설정해 주어야 하며, V3+NEO는 /a 옵션을 주어 진단/치료해야 한다.
1. ALT+CTRL+DEL을 눌러 '프로그램 종료' 창에서 WScript가 실행되고 있으면 작업종료를 선택하여 실행을 중단한다.
2. 윈도우 바탕화면에서 시작→실행을 선택해 REGEDIT.EXE라고 입력한 후 다음과 같은 레지스트리 항목을 삭제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RunMSKernel32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RunServicesWin32DLL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RunWIN-BUGSFIX
3. 윈도우 폴더(보통 C:WINDOWS)에서 Win32DLL.vbs를 삭제한다
4. 윈도우 시스템 폴더(보통 C:WINDOWSSYSTEM)에서 MSKernel32.vbs, LOVE-LETTER-FOR-YOU.TXT.vbs, WinFAT32.exe 파일을 삭제한다
압축을 풀다가 실패한다거나, 오류난 동영상 파일등을 삭제 혹은 이동하려고 할 때, '이미 파일이 열려 있기 때문에 삭제 또는 이동할 수 없다'는 등의 메세지가 나오며 작업이 불가능할 때...
아래의 과정으로 언제든지 바로 삭제할 수 있다
*제어판의 '성능 및 유지 관리' - '관리 도구'에서 '컴퓨터 관리'를 더블 클릭(윈도우2003은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열려진 '컴퓨터 관리'창의 왼쪽 창에서 '시스템 도구'-'공유 폴더'를 클릭한 다음
오른쪽창의 '열린 파일'을 더블 클릭
'열린 파일'을 더블 클릭 하면 현재 열려진 파일이 나오며, 여기에서 삭제할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중모든 열린 파일 연결 끊기를 선택한다
*이제 지우려는 파일을 삭제하면 된다
증상: 보통 이런 경우 증상이 부팅 도중 멈춤으로 나타납니다. 아무리 기다려도 윈도진입이 안된다.
게다가 F8이후 안전모드로도 진입이 안되고,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도 진입이 안된다
얼마전 조각모음중 이런 문제가 발생 한 후 윈도를 밀 생각으로 XP시디부팅을 하게 되었는데...
그래서 설치를 하려고 하는데, G:의 파일시스템이 `알수 없음`으로 표시가 되는 것이다
해결:
재부팅 후 F8- `디렉터리 서비스 복원 모드(Windows 도메인 컨트롤러만 가능)`항목을 선택했는데
푸르나 사용중 다운되고 부팅안될때:
프루나 사용하다가 다운된 다음 부팅하다가 다시 멈추더군요복구콘솔로 진입 후 chkdsk /r x: (x는 드라이브 명)로 모든 드라이브에 대해서 실행해 주었는데,
그러니깐 하나의 드라이브만 빼고 모두 오류를 하나이상 발견 했다는 메시지가 떴다.
(물론 /r은 그 오류를 수정하게 하는 옵션이다)
그 후 EXIT로 복구콘솔 빠져나오며 재부팅 후에, 퍼팩트디스크 미리보기로 드라이브를 보니
문제가 생겼던 드라이브들의 MFT ZONE들의 위치가 이동되어 있었다
chkdsk가 오류를 수정하면서 MFT ZONE을 바로잡은 것 같음.
잦은 파티션 매직의 사용 및 퍼팩트디스크에 의한 잦은 시스템 영역 조각모음을 당해왔었던지라
MFT ZONE의 크기와 위치가 디폴트 상태에 비해 많이 바뀌어 있던 상황이었다
자료원: 매니안닷컴 박승욱(mulgae20) 님
파일 저장은 느린이유는 파일 전송시 하드섹터 하나하나에 자료를 기록하게 된다
예를들어, 100메가라는 동영상이 있다면 하드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A지점에서 Z지점까지의
하드내의 공간에 100메가라는 데이터를 하나하나 저장하게 됩니다. 그런데 A에서 Z까지 100메가의 공간을 집어 넣기 위해서 ABCDEFG~ 이렇게 공간 하나하나를 써가면서 기록를 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고 또한 자료를 기록할 때 CD-ROM에 있는 자료를 하드로 옮길때 CD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를 CD롬 뒤에 연결되어있는 연결선을 따라 메인보드로 이 자료들이 옮겨지고 이렇게 옮겨진 자료는 다시 하드로 전송하게 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있기 때문에 파일 저장이 느린 것이다
(1) 그런데 삭제는 왜 빠른것인가?
이미 저장되어있는 자료는 "하드"라는 창고에 들어있다
그리고 마우스로 A라는 동영상을 클릭해 DEL을 누르면 바로 삭제된다
그렇다고 실제로, 파일이 삭제되는 것은 아니고, 이 파일의 이름첫글자만 삭제된다(예전에 '파일복구강좌'에서 알아보았음)
이과정은 위에서 반복되어온 수많은 작업들이 필요없는 하드내에 있는 자료를 하드안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삭제가 빠른 것이다
전송하는 길이와 여러 하드웨어를 거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릴수 밖에 없고, 하드에서 삭제가 빠른건 하드내에서 그 작업을 끝내기 때문이다
(2) COPY(복사)명령
0과 1을 트랙에 기록을 해야 하므로 느리다
(3) MOVE(이동)명령
기록된 fat 정보만 옮깁니다. 한마디로, 어디에 무슨 파일이 있다는 정보만 옮기는 것이라 빠르다. 그래서 같은 드라이브/파티션에서 옮기면 금방 되는데, 다른 드라이브/파티션으로 옮기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관련사례] 제가 인터넷도구에서 파일삭제를 했는데 갑자기 용량이 20GB나 늘어났어요 평점 : 0 (0 명) 나도 평가하기 slimshady_lp 조회: 361 답변: 2 자료원: 네이버 지식인(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dir_id=108&docid=712891) 한 일주일전에 인터넷옵션에서 임시파일 삭제하는 코너에서, 파일삭제를 했거든요? 근데 그때는 한 1GB정도 늘어났는데요 |
위의 경우에 쓰는 방법이다
▲윈도우탐색기 도구모음에서 '오프라인파일' 항목을 보고 있는 모습
초보자의 경우에 위의 항목에 체크해제가 되어있어야한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까닭은 실수로 아래에 있는 설정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파일삭제를 하였을 때는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윈도우탐색기등에서 한번에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①윈도우탐색기 실행 - 원하는 파일 선택후 shift키 누르고 Del누름 |
일단 크게 3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①가장 안전한 방법:
|
①로우레벨포맷(각 hdd메이커별로 전문유틸있다): 로우레벨 포맷은 하드를 완전히 공장출하후 상태로 바꾸어두는 것.플레터의 모든 기록을 완전히 초기화 시켜두는 것인데, 로우레벨 포맷을 하면 완전히 초기화가 되어 하드에 기록을 할수가 없다 즉, 하드를 기록하는 방식조차 지워지기 때문에 사용을 할수가 없다 (사용하려면, 하드를 사용할수 있게끔 포맷을 해야한다. 그래서 매킨토시에서 썼던 하드를 윈도우컴퓨터에 달려면 포맷을 해야한다)
②일반 포맷(format): 일반포맷은 파티션 영역만을 포맷한다. 필자처럼 40기가하드를 2개이상 나눠쓰는 유저들은, format c:명령을 통해 C파티션만 삭제가 되므로, 윈98부팅CD로 부팅하여, D파티션에 있는 고스트이미지로 복원이 가능한 것이다일반포맷을 하게 되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까지 지워지나, 파티션 영역에 대한 것은 제외된다
③퀵포맷(format/q): 포맷시 설정에 따라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이 어딘지 나타내는 영역만을 지운다 |
첫댓글 펌이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감사합니다.읽기는 많이 읽었는데 도통 어떤 것으로 해야할지 몰라 망설려 지네요.아무거나 해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