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5670 아름다운 동행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영노기
    2. 바단다
    3. 가래골
    4. 은영
    5. 남사당
    1. 명서니
    2. 난폭한오리
    3. 하얀백합
    4. 아카샤
    5. 해피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라은화love
    2. 에이미,
    3. 비죠아
    4. 길성
    5. 수진d
    1. 싱싱
    2. 홍게김
    3. 시조명창
    4. 멋짱 박정순
    5. 달콤한푸우
 
카페 게시글
◐―― 삶의 이야기 방 사투리라~
도반(道伴) 추천 0 조회 268 25.02.09 07:56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2.09 11:12

    첫댓글 강원도 사투리도 있구요
    서울 사투리도 있습니다
    과거 조풍연, 이서구, 유한철 씨 등이
    방송에 나와서 쓰시던 말
    그게 서울 사투리입니다
    저는 금방 구별할 수 있습니다

    지금 쓰는 서울말에는 이북사투리가 있습니다
    특히 황해도 지방에서 피난오신 피난민들
    그 분들이 쓰셨던 사투리가 많지요
    주로 단어와 어미에 들어 있습니다

    50~60년대 영화에 보면 나옵니다
    마치 북한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지요
    북한출신 감독과 배우들이 많았습니다

    그래도 공공장소에서는
    올바른 표준말을 사용하는 게 맞습니다
    글로 쓰는대로 말해야 합니다

    언어가 통일돼야 합니다
    특히 방송이나 공식석상에서는 그렇습니다
    국민통합의 첫 걸음입니다

    억양이야 어쩔 수 없겠지요
    말하는 걸 들어보면 어디 출신인지 압니다

    나 군대생활 할 때는 경상도말이 주류였지요
    일부러 경상도말을 흉내내기도 했습니다
    경상도가 한국을 좌지우지 하던 때였으니까요
    경상도인들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입니다
    적어도 군대에서만큼은 그랬습니다

  • 작성자 25.02.09 09:39

    저도 충청도로 피란 내려가서 놀림 많이 당했습니다.
    그랬어요, 저랬어요, 한다고요.ㅎ

  • 25.02.09 09:47

    서울말씨= 표준어 , 거부감이 없고 듣기도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표준어를 써야 국민화합도 됩니다

  • 작성자 25.02.09 10:52

    맞습니다, 일반적으론 그렇죠.
    그런데 고향에 내려가면 그곳 사투리를 쓰기도하는데, 그게 정감있게 느껴지데요.

  • 25.02.09 11:22

    태어나 유년시절 을 보내며 부모님들이나 주변들과 소통하며 살아 왔기에 혀가 지방색으로 굳은 거져
    아무리 바꿔 보려 애써도 안되요 ㅋ

  • 작성자 25.02.09 12:02

    맞아요. 유년시절에 혀가 다 굳는답니다.
    저도 유년시절을 경인지방에서 보냈기에 충청도 억양을 맛깔나게 못냅니다.

  • 25.02.09 14:08

    가서 보고 와서 말씀 드리겠습니다(강방왕 마심게
    경상도 댕겨와서 말할께예 선배님의 제주 방언에 경상도 말로 풀이하며
    생각하니 웃음이 나옵니다.
    경상도에서 길을 물으면 거의 대동소이 하게 말합니다.
    이라가서 저라로 가고 저리로 가서 이리로 가면 됩니더 ㅎㅎㅎㅎㅎㅎ
    재미있게 글을 읽고 갑니다^^

  • 작성자 25.02.09 17:57

    방언들이 재미있는 게 많지요.^^
    개 혀? ..... 여름에 보신탕 먹을테냐는 충청도 말입니다.ㅎ

  • 25.02.09 14:12

    언어 소통에 문제가 없고, 다른 사람에게 이질감을 주거나 거부감을 주지 않은 범위내서 사용하는 것은 괜찮지만 일부러 강조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은 쫌~~

  • 작성자 25.02.09 17:58

    자기들끼리 친밀감이나 강조할 때 심한 사투리를 쓰기도 하는데
    다른사람들이야 듣기에 거북하기도 하지요.

  • 25.02.09 21:25

    제주도 땅 살 때도
    "강 봥왕 사야주"(가서 보고 사야지요)
    이시돌 목장 양돈장 악취 나는 곳에
    땅을 사다니 안타깝습니다.

    제주 방언은 외국어 같지요.
    알아 듣기 힘듭니다.
    했수광? (했나요)
    일본어 ですか데스까? 어감이 비슷하죠.
    투박한 느낌이 많지요.

    '살암시믄 살아진다'
    '힘들더라도 살다보면 살아갈 수 있다'
    좋은 말도 많습니다. ㅎ

  • 25.02.10 10:40

    오직 晉州 지방에만 있는 고유 사투리 하나
    "에나가" 를 소개 합니다
    '에나가'는 진주지방에서만 사용하는 방언인데
    "진짜야?" 하는 뜻 이랍니다 ㅎㅎ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