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達西區)
대구의 옛 지명이 '달구벌'이다.
달서구는 '달구벌의 서쪽에 위치한 구-지역'이라는 뜻에서
"달서구"라는 이름이 유래한 것이다.
(達句伐(달구벌) - 넓은 평야, 큰 마을(부락), 큰 성)
갈산동(葛山洞)
-뒷산에 칡나무가 많아 `칡뫼'로 불리어 졌는데, 칡뫼가 갈뫼로 다시 갈산으로 바뀌게 되었다고 한다.
감삼동(甘三洞)
-썰1:『경상도읍지』에는 ‘감삼못’이 달서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성당못보다도 규모가 더 큰 못이었던 감삼못은 감삼동의 지명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라시대부터 있었던 못으로 전해지며, ‘우물제’라고도 불렸던 감삼못은 현 달성고등학교 일대에 있었으나 1970년대 중반 개발로 인하여 없어졌다.)
-썰2: 약 300년 전 어느 날 원님이 이 지역을 지나가다가 시등(柿登, 현 감삼동 69-1번지 일대)에 있는 감나무에 달린 붉은 감을 보고 그 탐스러움을 감탄하였다.
이에 마을에서 인사차 나온 대표가 감을 원님께 대접하면서 마을 이름을 지어 달라고 부탁하였더니
감이 매우 달고 맛이 있어 세 개나 먹었으니 ‘감삼동’으로 지어 부르게 했다는 것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대곡동(大谷洞)
-본래 한실이라 불리어 졌는데, ‘한실’이란 큰골, 즉 골이 깊고 크다는 뜻이다.
-‘한’의 뜻은 크다 또는 넓다 로, 한자로 표기하면 大이고, ‘실’의 뜻은 고을 마을이란 뜻으로 한자의 谷이다.
즉 한실은 큰 마을이라는 뜻이므로 한자로 표기하여 대곡이 되었다.
도원동(桃源洞)
-골이 매우 깊고 그윽하고 경치가 아름다워서 중국의 무릉도원(武陵桃源)과 같다고 하여 ‘도원골’ 또는 ‘도원리’라 하였다고 한다.
-냇가에 복숭아 잎과 꽃이 떠내려 와서 따라 올라가니 복숭아나무가 많이 있고,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복숭아 도(桃)자를 따서 ‘도원동’이라고도 한다.
두류동(頭流洞)
-둥글게 펼쳐진 산의 형세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그 산이 둥글게 펼쳐져 있다고 묘사하여, ‘두리산’으로 불렀다는 이야기의 근거를 찾을 수 있다.
1918년에 제작된 『조선지형도』에도 두류산(頭流山)으로 표시되어 그 유래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동(本洞)
-조선 중기 이후 대구의 방리로 존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매자동과 취령동, 구암리를 합하여 송현동이라 하였다.
-1987년 본리동 일부를 남구 본동으로 법정동을 신설
-1988년 달서구를 신설할 때 본동을 편입
-1990년 달서구 송현2동을 송현2동과 본동으로 분동
본리동(本里洞)
-원래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지역
-옛날에는 작촌(鵲村)이라 불려졌다.(까치 작)
-지금부터 150여년 전 현재 본리초등학교가 있는 주변에 까치가 많이 살았던 데서 유래한 것이다.
-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감천리(甘川里)와 작촌동(鵲村洞)을 합하여 본리동이라 하였다.
-1988년에는 신설된 달서구에 편입되었다.
상인동(上仁洞)
-이 지역에 있는 상인산의 이름을 따서 상인리라 하였다.
성당동(聖堂洞)
-본래 상댕이 또는 성댕이라고 불렸다.
-1910년부터 성당동이라 불렸는데 이 지역의 산 모습이 못을 중심으로 하여 용이 승천하는 모양으로 길지(吉地)의 의미를 지닌 성당으로 불렀다.
또 하나의 설로는 천주교 성당이 있었다고 하여 성당동으로 불려졌다고 한다.
-이 성당은 일제시대때 만들어진 것으로 현 대성사 위쪽(두류산 서쪽 중턱)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곳이 대구지역 독립운동 장소로 발각되어 일제 경찰에 의하여 강제 철거, 폐쇄되었으며
1960년 두류산 공원 개발로 순환도로가 개설될때 까지 그 터와 사택이었던 집이 있었다고 한다.
송현동(松峴洞)
-이 지역에 솔고개[松峴]가 있었기 때문에, ‘솔고개’ 또는 ‘송현’이라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신당동(新塘洞)
-신당지(新塘池)라는 못에서 이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용산동(龍山洞)
-용산동은 와룡산 밑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용산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월성동(月城洞)
-본래 대구부 조암면의 지역인데, 1914년에 일리와 광수동을 합하여 조암의 위쪽이 되므로 상동(上洞)이라 하여 달성군 월배면에 편입되었다.
-이후 달성군 월배면에 편입 되었다가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는데, 대구시 수성구의 상동과 이름이 같아서 새 이름을 지었다.
이 때 월배면과 달성의 이름을 따서 ‘월성동’이라 하였다.
월암동(月岩洞)
-조선시대 대구부 조암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에 달성군 월배면에 속하였다가 1957년에 대구시에 편입되면서 기존의 명칭과 혼동을 피하여
월배와 조암의 이름을 따서 월암동이라 하였다.
유천동(流川洞)
-말 그대로 흐르는 내라는 뜻이다. (흐를 유, 내 천)
-비슬산 동북단에서 시작되어 월배면의 도원동의 상류로 구라동과 유천동 사이를 흐르는 내로서 연장이 11km나 되는데, 이 하천의 이름을 따서 동네이름을 유천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곡동(梨谷洞)
-와룡산 밑자락에 있는 마을에 배나무가 많았다 하여 배골[梨谷] 또는 배실이라고 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이곡동으로 하였다.
장동(壯洞)
-본래 장골이라 하였다.
장기동(長基洞)
-400여 년 전, 구씨(具氏)와 장씨(張氏)가 마을을 개척하여 구씨, 장씨의 터라하여 구장터라 불렀다고 하며,
그 후 100여 년 뒤 구씨는 대부분 떠나고 장씨가 마을을 이끌어 왔다고 하여 구자(具字)가 빠지고 장씨 터라는 뜻의 장기(張基)로 불려졌다.
죽전동(竹田洞)
-원래 이 지역에는 대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예전 50가구 정도의 주민이 농사를 짓고 살았으며, 생활이 어려웠기 때문에 부업으로 대나무 갈퀴를 만들어 팔았다고 한다.
이들이 만든 대나무 갈퀴는 서문시장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보급되었으며, 이렇게 대나무 갈퀴를 많이 생산하는 곳이라 하여 ‘죽전(竹田)’이라 한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도시개발이 이루어지기 전 1970년 만해도 이 마을에 큰 대밭이 있었고, 그 옛날에도 마을 안 빈 집터에 대나무밭의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진천동(辰泉洞)
-옛날 진천동에는 4개의 자연촌락인 오복촌, 새악단(새각단), 송정동, 용천동이 있었는데, 용천동의 순우리말 표현인 ‘미리샘’을 한자로 변용하면서
‘용 진(辰)’과 ‘샘 천(泉)’을 사용하여 ‘진천’으로 부른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파호동(巴湖洞)
-1270년 경 한씨(韓氏), 박씨(朴氏)가 이곳을 개척하여 범어, 강창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창 일부를 파산, 파호로 분리되어 파산(巴山)의 파(巴)와 인근을 흐르는 금호강(琴湖江)의 호(湖)를 따서 '파호동(巴湖洞)'이라고 불렀다.
호림동(狐林洞)
-들 한복판에 숲이 홀로 우거져있다하여 홀림(笏林)으로 불리다가, 여우 전설이 있는 동네라 하여 여우 호(狐)를 써서 호림동으로 개칭되었다.
호산동(虎山洞)
-1270년 경 한씨(韓氏), 박씨(朴氏)가 이곳을 개척하여 범어, 강창이라 불렀다.
- 그 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창을 파산, 파호로 분리시켰다.
-파산동의 옛 이름은 머무동또는 머무강창이라고 하는데, 머무동은 금호강으로 올라오던 소금배가 머무는 동네라 하여 생긴 이름이다.
-파산동은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지은 동명인데(파호동도 마찬가지) 파산동과 파호동 사이의 돌무덤에서 많은 뱀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파산'이라는 발음이 기업인들이 꺼리는 단어인 '파산(破産)'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2005년 4월에 동명을 호산동으로 변경하였다.
http://www.dalseo.daegu.kr/pages/executive/page.html?mc=1482
아니 동이 왜이렇게 많아 왜이렇게 난이제지쳤어요..
문제시 호다닥 수정~!
첫댓글 tmi 성당동에 성당성당 있음
앜ㅋㅋㅋㅋ 생각해보니 그러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지나가면서 보다가 한참 곱씹음 성당성당..? ㅋㅋㅋㅋ 지명이 성당이었음을
재밌어 ㅋㅋㅋ
재밌다
달서구 너무 넓어서 상인쪽이랑 성서 쪽이랑 아예 다른 동네 같아
오...흥미진진
오 ㅠ 내 고향 상인동 송현동 ㅠㅠ 상인동은 은근 심플하네
순우리말 지명 전부 한자어로바뀐게 일제강점기땐가? 순우리말이엿음 더좋앗을거같기도하당
우리집 유천동... 저 강..? 때문에 여름에 모기 미친듯이많았는데 이제 수질개선되서 좋아...
나 도원동에서 태어났는데 ㅠㅠㅠㅠ 도원초에서 4학년까지 다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