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 없애면 위암 재발률 절반 ‘뚝’
조기 위암 등의 고위험군에 대한 헬리코박터균 치료 효과 국내 첫 규명
내시경 절제술 받은 조기 위암 환자 1,007명 대상 5년 간 추적관찰
“헬리코박터균 있다면 조기 위암 치료 후 재발 방지 위해 제균 치료 필수”
서울아산병원 정훈용ㆍ배서은 연구팀,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 美소화기학회저널 발표

위궤양과 위염 등 위장 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꼽히는 헬리코박터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조기 위암과 같은 고위험군 환자의 재발 방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정훈용(소화기내과)ㆍ배서은(건강증진센터) 교수 연구팀은 조기 위암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가 제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위암 재발률이 절반가량 낮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소화기학회 공식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최신호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4부터 2008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 받고 헬리코박터균 검사를 받은 1,007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 위암 재발을 평균 5년 동안 추적 관찰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007명을 헬리코박터 감염이 없는 환자 340명,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 485명, 제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182명(제균 치료에 실패한 환자 포함)의 세 군으로 나눠 평균 5년 동안 위암 재발률을 살펴보았고 그 재발률은 각각 5%, 7%, 1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위암 재발률이 13%에서 7%로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획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앞의 조기 위암 환자 1,007명과 함께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위 선종(위암 전 단계) 환자 450명을 포함한 1,457명의 환자에 대한 추적관찰에서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서 위암 혹은 위 선종 재발률이 17%인 반면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는 6%의 재발률이 나타나, 위암 혹은 위 선종 재발률이 무려 3분의 1 정도의 수준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위 장막에 붙어사는 헬리코박터균은 위궤양과 위염 등 위장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4년 국제암평의회에서 위암의 1급 발병인자로 규정되는 등 많은 연구와 역학조사를 통해 위암 발생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왔다.
헬리코박터균이 위염을 유발하고, 위염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으로 진행하게 되어, 결국 이 상태에서 발암인자가 함께 작용해 위 선종, 위암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헬리코박터균의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는 주로 위장 질환이 없거나 단순 위염 등의 저위험군에 대한 결과로, 만성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 위 선종, 조기 위암 등 고위험군에서의 제균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일본에서의 연구가 몇 차례 있었을 뿐, 국내에서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정훈용 교수는 “국내 처음이자 최대 규모의 이번 코호트 연구를 통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저위험군뿐 아니라 위 선종, 조기 위암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도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로 조기 위암 환자의 위암 재발률을 줄일 수 있다는 이번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내시경 절제술 등의 조기 위암 치료 후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있다면 위암 재발 방지를 위해 제균 치료는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배서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성인의 60% 이상이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있어 위암의 예방을 위해 필요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여부를 확인 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조기 위암뿐만 아니라, 소화성궤양, 변연부 B세포 림프종 환자는 헬리코박터감염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1차 성공률은 70% 전후이며, 1차 치료 실패 시 2차 치료를 받아야 하고 치료 후에는 반드시 헬리코박터 제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인구 10만 명당 63명으로 세계에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 위암은 한국 남성에서 암 발생 1위, 여성에서는 4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 위암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헬리코박터 감염과 짜거나 탄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위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위 선종과 조기 위암으로 치료를 받은 경우 잔존해 있는 위에서 위암이 다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하며 ▲위암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에도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이 있는 환자는 1~2년 주기로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짠 음식과 탄 음식을 피하고, 채소를 많이 먹는 등 좋은 식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와 함께 필요 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함으로써 위암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출처:서울아산병원 건강소식
첫댓글 헬리코박터 제균이 위장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효과에 대한 건강정보 잘 습득해 갑니다. 즐겁고 유쾌한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의학 정보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암에 좋은 정보를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의학정보 고맙습니다. 잘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중요한 내용이군요.
헬코박터균제균이 위암발병율을 낮추는군요.
감사합니다.
<‘헬리코박터균’ 없애면 위암 재발률 절반 ‘뚝’> 중요한 건강 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의학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그렇군요, 핼리코박터균이 문제이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올려주셔서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