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변산반도가 국립공원이라는 것쯤은 안다. 변산 해수욕장이며 직소폭포며 내소사를 한 번쯤 가 본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의 입가에 오르내리는 이름난 곳일수록 피서철에는 사람들로 미여터지기 일쑤다. 변산반도 쪽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나는 변산반도의 막내 같은 아주 작고 호젓한 섬 하나를 알고 있다. 그 섬은 사실 나 혼자 숨겨 두었다가 혼자서만 살짝 만나고 싶은 애인 같은 곳이다. (나는 지금 심하게 갈등하고 있다. 그 애인을 공개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이고 있는 것이다. 내가 그 섬에 대한 천기를 누설하고 나면 바캉스철마다 오만 잡종 인간들의 지저분한 버라이어티쇼가 거기서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 섬으로 들어가는 정기 여객선은 없다. 변산반도의 고사포 해수욕장에서 보트를 타고 가야 하는데, 원불교 수련원에서 섬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여행객들이 쉽게 출입할 수 있는 곳은 아니다. 섬의 모양이 새우처럼 생겼다고 해서 하섬(蝦島)이라고 부르는 섬이다. 하섬에는 자동차가 없고, 노래방이 없고, 호객 행위가 없고, 쓰레기 더미가 없고, 욕설과 고함이 없고, 구멍가게도 하나 없다.
십여 년 전, 하섬에 처음 갔을 때였다. 나무와 풀과 꽃과 바람과 파도와 저녁 노을만 있는 바위섬으로 간다는 생각에 며칠 전부터 이것저것 챙기느라 부산을 떨었다. 술과 음료수와 과일과 고기에서부터 이쑤시개까지 메모를 해가면서 보따리를 쌌다. 마치 무인고도로 비장하게 들어가는 사람들처럼.
그렇게 먹을 것과 마실 것을 바리바리 싸들고 간 게 화근이었다. 2박 3일 동안 먹어도 먹어도 가지고 간 음식들은 줄어들지 않는 것이었다. 비지땀을 흘리며 들고 간 수박들은 방 한쪽 구석에서 뒹굴었고, 피난민처럼 넣어 간 이불과 베개 보따리는 한 번 풀어 볼 겨를도 없었다.
우리는 결국 가지고 간 것들을 다시 챙겨 들고 섬을 나와야 했다. 배부른 쓰레기 봉지와 짐을 부여안고 뭍으로 나가는 보트를 기다릴 때였다. 원불교의 교무님 한 분이 조용히 다가와 합장을 하면서 말씀하셨다.
"다음에는 다 두고 오셔요."
나는 부끄러워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섬에 가면 누구나 만사 제치고 거기서 며칠 더 머무르고 싶은 유혹에 빠지곤 한다. 제발 폭풍이라도 불어서 배가 뜨지 못했으면, 하고 은근히 기대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해마다 하섬에 갔지만, 한 번도 일정을 미루어서 좀 더 머무른 적이 없었다. 밀려 있는 원고와 빽빽한 약속들이 섬에서 게으름을 피우도록 놔두지 않았고, 무심한 하늘도 사나운 폭풍 한 줄기 보내주지 않았다.
나도 올 여름에는 제발 섬에 가서 한 번 갇히고 싶다. 그래서 스스로 섬이 좀 되어보고 싶다.
"섬, 하면/가고 싶지만//섬에 가면/섬을 볼 수가 없다/지워지지 않으려고/바다를 꽉 붙잡고는/섬이, 끊임없이 밀려드는 파도를 수평선 밖으로/밀어내느라 안간힘 쓰는 것을/보지 못한다//세상한테 이기지 못하고/너는 섬으로 가고 싶겠지/한 며칠, 하면서/짐을 꾸려 떠나고 싶겠지/혼자서 훌쩍, 하면서//섬에 한번 가 봐라, 그 곳에/파도 소리가 섬을 지우려고 밤새 파랗게 달려드는/민박집 형광등 불빛 아래/혼자 한번/섬이 되어 앉아 있어 봐라//삶이란 게 뭔가/삶이란 게 뭔가/너는 밤새도록 뜬눈 밝혀야 하리"(졸시 [섬]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