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인테리어목수클럽 원문보기 글쓴이: 빌트~
케이블, 강삭 (鋼索) cable 현수교나 사장교(斜長橋)에서 강선을 여러 줄 꼬아 인장 부재로서 사용한다. 강선을 꼬아 만든 와이어 케이블의 의미하기도 한다.
케이블 밴드 cable band 케이블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외주에 감는 밴드.
케이블 박스 네트워크 시스템 cable box network system 전주를 사용하여 상공에 가설되어 있는 전선. 전화선이나 각종 케이블류를 지중 구조물(케이블 박스) 내에 수납하는 시스템. 점검이 용이하고 전주도 불필요하며, 도로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금후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스템의 하나이다.
케이블 카 cable-car = cable-railway
케이블 기중기 (-起重機) cable crane 양측의 지주 사이에 안내용 와이어 로프를 걸고 권상 로프에 상하. 수평 방향을 이동하는 기중기. 건설 기계로서의 케이블 기중기는 댐 공사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부어 넣기, 하천 그 밖의 장애물을 넘어서의 화물 운송 및 다리의 가설, 기계의 조립 등에 이용되고 있다.
케이블식 가설 공법 (-式架設工法) cable erection 케이블을 걸치고 이것에 의해 지지하면서 교량 등을 가설하는 공법. 철탑, 케이블 등을 설치할 때에는 그 지점의 지질이나 지반 내력(耐力) 등을 충분히 조사하고 안전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종단함 (終端函) cable head 케이블을 사용할 때 필요한 그 끝부분의 절연 피복, 접속 단자의 가공, 실드 처리, 접속 등의 단말 처리를 하는 금속 용기.
케이블 피트 cable pit 변전소 등에서 다수의 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에 바닥에 설치하는 도랑.
케이블 래크 cable rack 케이블 공사에서 케이블을 부설하여 지지하기 위한 금속제의 틀.
강삭 철도 (鋼索鐵道) cable-railway 물매가 매우 큰 경우 차량을 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로프에 차량을 팽팽하게 연결하고 권상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두레박식과 순환식이 있으며, 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흔히 케이블카라고 부르며, 케이블 철도라고도 한다.
사장교 (斜長橋) cable stayed bridge 교각 위에 설치된 탑으로부터 케이블을 교량 거더의 몇 군데에서 비스듬히 당겨 현수교처럼 교량 거더를 달아맨 형식의 다리. 연속 거더로서 설계된다.
케이블 트로프 cable trough 지중에 포설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쓰이는 콘크리트제의 도랑과 뚜껑을 말한다. 단지 토로프라고도 한다.
케이블 터널 cable tunnel 전선이나 전화선을 매설하기 위한 터널. 또, 지하 발전소에서 나오는 송전 케이블용의 터널을 말한다.
삭도 (索道). 케이블 기중기 (-起重機) cableway (1) 가공 삭조에 의하여 재료를 운반하는 장치. (2) - cable crane
케이블 공사 (-工事) cable wiring 케이블을 부설하는 공사. 구조용의 가공 케이블을 설비하는 공사, 또는 전력 케이블 등을 설치하는 전기 배선 공사를 말한다. = cable work
케이블 공사 (-工事) cable work = cable wiring
CAB시스템, 캐브 시스템 CAB system CAB는 cable box의 약어. 전선의 지중화를 하기 위해 도로 지하에 설치하는 소규모이고 간이한 관로.
캡타이어 케이블 cabtire cable 고무 절연한 심선 위를 튼튼한 고무줄로 피복한 케이블을 말한다. 진동, 마찰, 굴곡, 충격 등에 강하다.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CPU에 있는 고 속의 일시 기억 장치. 사용 빈도가 높은 정보를 주기억 장치나 디스크에서 캐시 메모리로 옮김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컴퓨터 이용 설계 (-利用設計) CAD computer aided design 의 약어. 컴퓨터의 도움을 빌린 설계라는 의미이며, 설계의 전부를 컴퓨터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판단을 중시하면서 기계적인 작업을 컴퓨터에 맡기는 설계 과정.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을 이용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로 도형을 처리하면서 진행된다.
지적도 (地籍圖) cadaste 토지 대장에 기입되어 있는 토지의 그림.
지적부 (地籍簿) adastral book 토지의 호적 등본에 해당하는 것으로, 토지 등기부의 표제로 되는 것.
지적 세부 측량 (地籍細部測量) cadastral detail surveying 지적 도근점에 기초하에 필계점(筆界點)의 위치를 정하는 측량. 필계점 복원의 정밀도 목표를 15 ~ 20cm로 잡고 있기 때문에 필계선의 변길이가 대부분 수십 m임을 감안하면 평판 측량이 가장 적합하다.
저적도 (地籍圖) cadastral map 토지 소유자의 소유지별로 소재, 경계, 지목, 면적 등을 도시한 것으로, 토지 대장의 부도(付圖)라 한다.
지적 조사 (地籍調査) cadastral survey 토지의 어떤 단위에 관하여 필요한 조건을 행정적 또는 사법적으로 조사하여 토지 대장에 기록하여 등록하는 것. 토지에 관한 호적(등록) 조사이다.
지적 측량 (地籍測量) cadastral surveying 1필지에 대하여 그 소유자, 지번, 지목, 경계, 면적 등을 조사 측정하는 측량. - cadastral map
지적 도근 측량 (地籍圖根測量) cadastral topographic control surveying 지적 측량에 있어서의 세부 측량의 기준점(기준 3각점 또는 기준 다각점)을 설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소규모의 골조 측량.
캐드/캠, 컴퓨터 이용 설계/ 컴퓨터 이용 제조 (-支援設計/-支援製造) CAD/CAM computer aided design/ 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의 약어. 설계에서 생산에 이르는 과정을 효율화하기 위한, 컴퓨터를 이용한 시스템화 기술.
카드뮴 cadmium 전지나 전기 도금의 재료가 되는 은백색의 금속. 아연 광물과 함께 산출되며, 유독.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支援)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의 약어. 컴퓨터 모델에 의해 시작 이전의 제품의 성질, 성능을 예측 평가(시뮬레이션)하는 공학적 지원 시스템. 시뮬레이션 결과를 CAD데이터로서 저장하면 계산 결과의 가시화나 도면화 및 CAM데이터로서 생산 현장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농형 유도 전동기 (籠形誘導電動機) cage type induction motor 유도 전동기의 일종. 2매의 링 사이를 여러 줄의 축방향 막대로 연결한 농형의 도체 구조 회전자를 갖는 것.
컴퓨터 이용 학습 (-利用學習)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의 약어.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 방법으로, 교육 내용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설명, 설문, 학습자의 해답 평가 등을 한다.
케이슨 caisson [1] 항만 : 철근 콘크리트제의 상자 모양의 것으로, 부양식 독(dock)이나 육상의 독에서 제작되고 해상을 예항선(曳航船) 또는 기중기선에 의해 매달려 현장으로 운반되어 방파제 또는 중력식 구조의 계선안 본체로서 설치된다. - caisson breakwater. [2] 기초 : 오픈 케이슨 및 뉴매틱 케이슨의 총칭. 케이슨은 그 자체가 큰 단면을 가지며, 말뚝 기초에 비해 지지력이나 수평 저항력이 크고 또 수중 시공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슨은 기초로서 이용되는 것 외에 직4각형 단면인 것을 일렬로 배열하여 침하시켜 서로 통하게 하여 지하철이나 건물의 지하실 등으로 만들 수 있다. - well, open caisson
케이슨식 방파제 (-式防波堤) caisson breakwater 직립제(直立堤) 또는 혼성제(混成堤)의 방파제에 직립 벽체로서 케이슨을 이용한 것. 내파성(耐波性)이 강하고 케이슨 중힐 재질(中詰材質 : 속을 채우는 재료의 질)을 저하하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시공이 확실하다. 그러나 케이슨 제작 설비에 비용이 많이 들고 또 황천(荒天) 일수가 많은 경우에는 시공 일수가 현지히 제약을 받는 등의 단점이 있다.
잠함병 (潛函病), 케이슨병 (-病) caisson disease 뉴매틱 케이슨의 작업원이 고압의 케이슨 작업실에서 나왔을 때 일어나는 병. 이것은 고압에서 체내에 녹아 있던 공기가 몸 주변의 압력이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귀와 코의 장해외에 관절이나 근육병, 두통이나 구역질로 나타난다. 치료는 고압 산소실에 들어가 다시 한 번 작업시의 압력으로 만들고 나서 서서히 감압시킨다.
케이슨 기초 (-基礎) caisson foundation 케이슨을 침하시켜 설치한 기초.
케이슨 공법 (-工法), 잠함 공법 (潛函工法) caisson method 건축물의 지하실 전체 혹은 원통형의 콘크리트제 상자를 지상에서 만들고, 하부의 지반을 파서 지중에 침설(沈設)하는 기초 공법. 그림은 오픈 케이슨의 일례이다. - open caisson method, pneumatic caisson method
심초 말뚝 (深礎-) caisson pile 중기류의 반입이 곤란한 지형이나 옥석 등으로 인해 기계 굴착이 적합하지 않은 지반 또한 지하 수위가 깊은 장소에 사태 방지재를 조립해 가면서 주로 인력에 의해 소정 지반까지 굴착하여 현장 타설 공법에 의해 작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말뚝을 말한다. 사태 방지재로는 파형 철판(양철판)과 산형강에 의한 것이나 공장 가공된 라이너 플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말뚝의 시방은 구멍 직경 1.5 ~ 3.5m 정도, 깊이 10 ~ 20m급의 것이 많지만, 그 중에는 기초 바닥을 넓게 한 것도 있다. 사태 방지재를 묻어 없애느냐 아니면 제거하느냐에 따라 배근이나 조립 방법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설계시에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좋다.
감압 침하(減壓沈下) caisson-sinking by reducing air presure 공기 케이슨에서 케이슨이 자연 침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작업실 내의 기압을 낮추어 부압에 의해 침하시키는 방법. 최소한의 감압을 서서히 한다.
재해 (災害) calamity 인간 또는 토지, 시설, 생활 환경이 받는 피해.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외력의 작용이 유인으로 되어서 일어나는 외에 일상 재해 등도 포함한다. = disaster
재해 위험 구역 (災害危險區域) calamity danger district 해일. 높은 파도. 산사태 등에 의한 재해의 위험이 심한 구역으로서 지방 공공 단체가 지정하는 구역.
재해 예지 (災害豫知) calamity foreknowledge[prediction] 장래 일어날 수 있는 재해를 미리 아는 것. 재해를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 발생 요인, 확대 요인까지도 알 필요가 있다.
재해 조사 (災害調査) calamity survey 재해에 관한 조사. 재해 발생 후에 재해 빌생의 원인, 피해 상황, 피해 규모 등을 파악하여, 재해 방지에 도움이 되기 위해 행하여진다.
소석고 (燒石膏) calcined gypsum = burnt gypsum
염화 칼슘 (鹽化-) calcium chloride CaCl2의 무색의 결정. 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급결제(急結劑), 경화 촉진제, 방동제(防凍劑)로서 사용된다. 쇠를 부식시키므로 무근 콘크리트에만 사용한다.
수산화 석회 (水酸化石灰) calcium hydroxide = slaked lime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 calcium sulfo-aluminate 화학식 3CaO. 3Al2O3. CaSO의 화합물. 수화하여 에트링가이트(ettringite)를 생성한다. 이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의 팽창재도 있다.
면적 계산법 (面積計算法) calculation of areas 면적 계산 방법에는 직접 계산법과 도상(圖上)계산법이 있다. 직접 계산법은 거리, 각을 직접 측정하여 지도를 만들지 않고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이것에는 3변법, 배횡거법(倍橫距法), 오프셋법 등이 있다. 도상 계산법은 우선 구하는 구역의 평면도를 만들고 도상에서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것에는 3사법(三斜法), 가늘고 긴 직4각형으로 분할하는 방법, 방안(方眼)으로 분할하는 방법, 면적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구조 계산 (構造計算) calculation of construction 구조 역학을 바탕으로 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건축물에 작용하는 외력(고정 하중, 적재 하중, 지진력, 바람 하중, 눈 하중) 및 재료의 팽창, 수축 등에 대하여 계산하는 것. = structural calculation
평가식 환지 계산법 (評價式換地計算法) calculation of replotting by appraising method 노선가(路線價) 기타의 평가 방법에 의해서 지가를 평가하여 환지의 계산을 하는 방식.
면적식 환지 계산법 (面積式換地計算法) calculation of replotting by areal method 환지의 계산에 있어서 면적을 표준으로 하는 방식.
체적 계산법 (體積計算法) calculation of volumes 주로 토공량을 구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가늘고 긴 체적을 구하는 경우와 넓은 지역에 걸친 체적을 구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전자에는 각주(角柱)공식, 각뿔대 공식, 양단 평균법, 중앙 단면법 등이 있으며, 후자에는 직4각형 주체법(直四角形主體法), 3각 주체법(三角主體法), 등고선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칼데라 caldera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원형상의 오목형 함몰 지대로, 통상의 화구(火口)보다도 큰 것.
교정 (較正) calibration 시험기, 측정 기기 등의 눈금이나 측정값을 표준값과 비교하여 보정하는 것.
교정기 (矯正器) calibrator 철골 작업에서 토크 계수값의 측정이나 조임 기계를 조정하여 하이텐션 볼트의 축력(軸力)을 계측하는 기계. 유압 형식의 것이 일반적.
CBR시험 (-試驗) California bearing ratio test 노상토(路床土)의 지지력을 비교하기 위해 생각해 낸 관입 시험의 일종. 노상토 지지력 시험이라고도 한다. 도로의 기층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가장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크러셔.런(crusher-run)을 사용하여 지름 5cm의 피스톤을 관입했을 때의 관입 깊이와 단위 하중에 대한 단위 하중이 몇 %인가를 구하는 시험. 그 %를 CBR값이라 한다. 노상토 및 포장용 입상 재료의 강도 지표로서 사용된다.
캘리포니어 포인트 California point 궤도의 분기점에 두는 것으로, 이동식 분기기를 말한다(제품명).
캘리포니언 스위치 Californian switch 버력 반출용의 흙 운반차를 교체할 때 크로스 구간을 본선(레일)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의 교차.
캘리퍼 caliper 보링 구멍의 구멍 직경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밀도 검층에 있어서의 구멍 지름 보정을 하기 위한 장치. 구멍 지름의 측정으로 공벽(孔壁)의 붕괴 상태나 단층. 파쇄대의 유무, 지반의 경도(硬度)나 연도(軟度)를 알 수 있다.
코킹, 코킹재 (-材) calking [1] 틈을 충전하는 것. [2] 새시 주위, 콘크리트 이어붓기부, 커튼 월의 틈, 벽식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판의 이음 등에 충전하는 퍼티(putty) 모양의 재료.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한다. 실링재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와 유성 코킹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코킹 콤파운드 calking compound 외부 새시 둘레나 PC 판의 조인트 등에 방수나 기밀성 유지를 위해 충전하는 가소성 혹은 반유동성의 합성 재료.
코킹 접합 (-接合) calking joint 주철관의 접합법으로, 받음 구멍에 관을 꽂고, 틈에 얀(yarn)을 타입하여 납을 흘려 넣어서 코킹하는 방법.
유도 신호기 (誘導信號機) calling-on signal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장내(場內)신호기에 현시(現示)하여서는 안 될 경우, 그 신호기의 방호 구역 내에 열차를 진입시켜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호로 유도하는 것과 동일한 지시를 부여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신호기.
정온도 (靜穩度) calmness 정온도는 항내 파고로 나타낸다. 하역 가능한 한계 파고 및 항내 통선(通船)에 지장이 없는 파고는 0.5 ~ 1.0m이다. 따라서 그 항구에서의 필요한 하역 일수에 대해 이 정도의 파고를 진압할 수 있는 방파제의 천단고(天端高), 배치, 항구의 위치를 검토해야 한다.
칼 웰드 공법 (工法) calwelled method = earth drill method
컴퓨터 이용 제조 (-利用製造)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e의 약어. 컴퓨터의 도움을 빌린 제조라는 의미이며, 물품의 제조 공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화하는 것. CAD와의 연관이 중요시된다. - CAD
캠버 camber [1] 사태 방지재의 부착 고정, 흄관의 이동 방지 등에 사용되는 쐐기 모양의 나무 조각. [2] 차도 또는 보도의 횡단 형상에서 중간이 높게 된 것 또는 횡단 물매를 말한다. 교량. 도로에서는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노면 배수를 고려하여 붙이는 표수(表水)방향의 휨을 말한다. [3] 교량 거더를 가설후 휨 상태(소정의 높이)로 만들기 위하여 거더의 자체 무게도 고려하여 상향으로 붙이는 휨의 양. 교량 거더는 지간 중앙부를 약간 들어올려 휘게 한다. 특히 트러스교에서는 지간이 길고 처짐량도 많기 때문에 소정의 휨에 사하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한 휨 높이를 더한다.
캠클레이 모델 camclay model 로스코, 스코필드 등에 의해 개발된 탄소성 이론에 입각한 흙의 구성 모델을 말한다. 이 모델에서는 상태 경계 곡면이나 한계 상태의 개념이 도입되어, 찰흙의 전단. 압밀 현상을 통일적으로 표현한 선구적인 모델로서 그 후의 흙의 탄소성 모델의 기본이 되었다.
캠프장 (-場) camp site 산, 해변, 고원 등의 자연 속에서 천막 야영을 하는 장소.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캠프장에서는 공동의 급수장, 변소, 쓰레기 처리장 등이 정비되어 있다.
캠퍼스 campus 대학, 학교, 연구소의 부지와 그 속에 포함된는 건물, 시설의 천체를 말한다.
운하 (運河) canal 수운(水運)에 이용할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개설한 수로. 줄량물의 운반에 편리하므로 공업 지대에 개설되며, 연안 토지 이용의 증진에 도움이 된다. 또 매립지의 이용이나 저습지의 개량을 도모하는 경우에도 개설한다.
운하화 공사 (運河化工事) canalization work 하천 등을 운하로서 이용하기 위한 공사. 낙차가 있는 양수면 사이를 선박이 운항할 수 있게 공작물에 록(lock)이 있다.
수로식 발전소 (水路式發電所) canal system power station = conduit type power station
수로 (水路) canal water course = channel
상쇄율 (相殺率) canceling ratio 로드 밸런싱법에서 PC강재의 상향 반력에 의해 상쇄되는 연직 하중의 전 연직 하중에 대한 비율.
캐니프 믹서 Cannif mixer 주입 기계의 일종으로,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압송하는 구조이다. 주입 기계에는 그 밖에도 플랜저 펌프의 가동에 의한 그라우트 펌프가 있다.
천칭 (天秤), 캔트 cant (1)[1] 비계, 비계 통나무, 거더가 외팔보로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발판의 배치, 부착이 불량하여 사람이 올라 섰을 때, 반대측이 튀어 오르는 경우에 천칭이 걸린다고 한다. 높은 곳에서는 굴러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2) 곡선부에 있어서의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과의 고저차. 열차가 곡선을 통과할 때 원심력에 의해 바깥측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캔트 C는 C=GV2/127R (mm) G: 궤간 (mm), V: 열차 속도 (km/h), R:곡률반경(m).
캔틸레버 cantilever 한 끝이 고정 지지되고, 다른 끝이 자유로운 보.
외팔보, 캔틸레버 보 cantileverbeam = cantilever
캔틸레버교 (-橋) cantilever bridge = Gerber bridge
캔틸레버식 가설 (-式架設) cantilever erection 교량 가설에서 중간을 지지하지 않고 양쪽 기슭의 교대 또는 교각에서 경간의 중앙을 향하여 주(主)보 또는 주구(主構)를 캔틸레버식으로 돌출시켜 가설하는 방법.
외팔보 공법 (-工法) cantilever erection method 교량 거더의 일부를 고정 힌지로서 지지하고 각 부재를 크레인 등에 의해 외팔보의 형식으로 연결하여 가설하는 방법. 비교적 긴 지간(支間)에서 하며 수면위 등 지보공이 불필요한 경우는 유리하지만, 외팔보에 의한 휨 모멘트로 인해 상당한 가설 응력이 생기기 때문에 미리 가설 응력을 계산하여 보조 부재 등의 추가, 가설 응력의 소거, 부재의 보강 등을 고려해야 한다.
캔틸레버식 공법[콘크리트의] (-式工法) cantilever method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교의 가설 방식으로, 교대(橋臺) 또는 교각에서 외팔보 형식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순차적으로 보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법. 현장치기(cast-inplace) 하는 방식과 프리캐스트 블록(precast block)을 사용하는 방식의 2종류가 있으며, 전자를 현장치기 공법, 후자를 블록 공법이라 한다.
역 T형 옹벽 (逆-形擁壁) cantilever retaining wall 단면 형상이 T자를 거꾸로 한 모양의 옹벽.
편지지 널말뚝 (片支持-) cantilever sheet pile 널말뚝 뿌리부에 작용하는 수동 토압만으로 안정을 유지시키는 자립 널말뚝벽을 말한다.
캔틸레버 슬래브 cantilever slab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자유롭게 되어 있는 슬래브.
캔틸레버 경간 (-徑間) cantilever span 게르버 형식의 교량에서 현수 거더를 포함하는 경간.
캔틸레버 트러스교 (-橋) cantilever truss bridge 주구조에 게르버 구조를 응용한 트러스교.
시트, 캔버스 시트 canvas sheet 가설 울타리, 공사용 기재의 양생 등에 사용되는 포직물. 재질은 무명 외에 비닐,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의 것. 방화 처리를 한 것 등도 있다.
캡 cap 물이 새지 않도록 양끝이 삽구(揷口)인 관에 설치하는 주철제의 이형관.
용량 (容量) capacity 용기의 용적. 물체가 갖는 양.
칭량 (稱量) capacity of scale 계량기에 표시되는 최대의 질량.
캡 케이블 cap cabl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연속 거더에 있어서 지지점 위의 마이너스 휨 모멘트를 상쇄하도록 배치된 캡 모양의 PC케이블.
모세관 현상 (毛細管現象) capillarity 모세관을 액 내에 세우면 관을 적시는 액의 경우 관 내에 액이 상승하며, 적시지 않는 경우 액면은 하강한다. 이 현상은 표면 장력으로 인해 일어나며 이것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관의 직경을 d, 접촉각을 p, 표면 장력을 T라 하면 모세관 상승 높이 h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h = 2T cos @/dpg 콘크리트나 흙에서는 공극이나 간극이 모세관의 역할을 하며, 많은 수의 불규칙한 모세관이 존재한다. 흙에서는 상승 높이 h가 다음의 식으로 주어진다. h = c / eD10 여기서, c : 입경 등으로 결정되는 정수 (cm2), e : 간극비, D10 : 유효 지름 (cm)
모세관 압력 (毛細管壓力) capillary pressure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빨려 올라온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하여 주위의 흙입자를 서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한다. 이 때 흙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말한다.
모세관 상승고 (毛細管上昇高) capillary rise (height)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이 흙 속의 간극을 상승할 수 있는 한계의 높이. 흙의 간극은 연속해 있으나 복잡한 망상(網狀)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세관 상승고는 실험식으로 구한다. - capillary pressure
모세관수 (毛細管水) capillary water 재료 내의 작은 구멍 속에 포함되는 물.
노동 장비율 (勞動裝備率) capital equipment ratio 노동자 1인당의 자본 설비비. 자본 장비율이라고도 한다. 건설 기계는 리스 산업에 의한 공급이 많으므로 산업으로서의 노동 장비율이 계산된다.
자본 형성 (資本形成) capital formation 자본이 증가하는 것. 자본은 형성하는 총투자액을 충자본 형성이라 하고, 기존 자본의 감가분을 뺀 것을 순자본 형성이라 한다.
캐피털 게인 capital gain 토지나 가옥 등의 자산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실질적인 이익이 얻어지는 것.
자본 생산성 (資本生産性) capital productivity 생산성에 관한 개념의 하나. 투입한 자본에 대하여 그 투자에 의해 얻어진 생산액, 부가 가치액 등의 비율.
자본 회수 계수 (資本回收係數) capital recovery factor 건축물 등에 당초 투입한 자본을 일정 기간에 일정한 금액으로 회수하는 것으로 했을 때 당초의 투입 자본에 대한 회수액의 비율. 회수 연수와 이자율에 의해 복리 계산으로 산출되며, 연금 현가표의 연금 현가 계수의 역수로서 구해진다. - capitalization factor
캡 너트 cap nut 한쪽 면을 막아, 볼트가 관통하기 않는 모양으로 한 너트. 외관을 좋게 하거나 기밀성을 늘리기 위해 사용.
캡 록, 모암 (帽岩) cap rock [1] 석유 광상에서 저류암(貯留岩)을 직접 덮어 석유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있는 불투수성의 암석. [2] 암염 돔의 정상에 있는 암염 이외의 암석. [3] 지하에서 상승하는 고온의 증기 또는 열수(熱水)가 지표로 용출(湧出)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수성의 암석. 지층.
캐핑, 두겁, 두겁대 capping [1] 콘크리트 원기둥 공시체의 상면 다듬질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입 후 적당한 시기 [경련(硬練) 콘크리트에서는 2 ~ 6시간 후, 연련(軟練) 콘크리트에서는 6 ~ 24시간 후]에 공시체의 상면에 w/c=27 ~ 30%[초조강(超早强)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34 ~ 37%]의 연치(練置) 시멘트풀로 평활하게 다듬질을 한다. 급한 경우에는 유황이나 석고를 이용하여 캐핑을 한다. - sulfur capping [2] 일반적으로 물건 위를 감싸거나 위에 씌우거나 위에 부착하는 것. = metropolis
갓돌 capping stone 빗물이 별체에 침투하지 않도록 콘크리트벽, 옹벽, 벽돌벽 등의 상부에 씌우는 돌. = coping stone
캡 타이 cap ties 개방형(U자형)의 늑근(肋筋) 상부에 씌우도록 하여 부착하는 양단을 구부린 철근.
캡 록 cap rock ① 석유 광상에 있어서 저류암을 직접 덮어 석유의 위쪽으로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는 불투수성의 암석. ② 암염 돔의 정상에 있는 암염 이와의 암석. ③ 지하로부터 상승하는 고온의 증기 또는 열수의 지표로의 용출을 방해하는 불투수성의 암석·지층
탄소 아크 용접 (炭素-鎔接) carbon arc welding 아크 용접의 일종으로, 탄소 전극과 모재간, 또는 두 탄소 전극간에 발생하는 아크의 열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기계적 압력 또는 용접재를 써서 한다.
중성화[콘크리트의] (中性化)carbonation 콘크리트 속의 수산화 칼슘(Ca(OH)2)은 대기중의 탄산 가스(CO2)와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3)과 물(H2O)로 변화한다. 이 반응에 의해 알칼리성이었던 콘크리트(pH=12.5 정도)가 중성에 가까워지는데 이 현상을 중성화(콘크리트의)라 한다. - pH-value
탄소 벽돌 (炭素壁-) carbon brick 흑연이나 코크스 등의 탄소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고, 결합재로서 타르 피치 등을 사용한 벽돌.
탄산 가스 아크 용접 (炭酸-鎔接) carbon dioxide gas shielded arc welding 모재와 전극 와이어 사이에 아크열을 발생시켜 주위를 탄산 가스를 보호 매질로서 대기로부터 차폐하면서 하는 용접.
탄소 전극 (炭素電極) carbon electrode 탄소를 흑연 또는 구리 도금한 막대 모양의 전극. 아크 에어 가우징, 탄소 아크 용접 등에 사용한다.
탄소 당량 (炭素當量) carbon equivalent 강재의 기계적 성질이나 용접성은 성분을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나 양에 따라 좌우된다. 그들 원소의 영향을 강(鋼)의 기본적인 첨가 원소인 탄소의 양으로 환산한 것이 탄소 당량이며,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수식이 있다. 보통은 용접성에 착안한 다음 식이 사용되며, Ceq = 0.44%가 예열 필요성의 기준이 된다. Ceq = C + Si/24 + Mr/6 + Ni/40 + Cr/5 + Mo/4 + V/14
탄소 섬유 (炭素纖維) carbon fiber 각종 복합재로서 사용되며, 탄성, 강도의 면에서 뛰어난 동시에 열에도 강한 특성을 갖는다. = CF - 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
탄소 섬유 보강 콘크리트 (炭素纖維補强-) 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 석유나 석탄의 피치에서 제조되는 피치계 탄소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로, 종래의 콘크리트에 비해 인장 강도, 휨 강도가 5 ~10배, 휨의 인성이 200 ~ 300배로 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후는 건축 구조물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 CFRC
탄화 (炭化) carbonization 재료가 열분해나 불완전 연소를 일으켜서 각종 연소 생성물을 발생한 다음에 탄소가 남는 현상. 재료가 가열되어서 검게 탄 상태.
탄화 코르크 (炭化-) carbonized cork 코르크 알갱이를 압축하여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내부까지 탄화시켜서 분비하는 수지에 의해 교착시킨 것.
탄화법 (炭化法) carbonizing method 목재의 표면을 태워 3 ~ 10mm정도를 탄화시키는 방법. 처리 조작이 간단하고 저가이기 때문에 옛부터 내구력의 증강에 이용되어 왔다.
금강사 (金剛砂) carborudum 탄화 규소를 소재로 하는 연마재.
탄소강 (炭素鋼) carbon steel 탄소를 0.05 ~ 1.7% 범위로 포함하는 철과 탄소의 합금. Si 0 ~ 0.35%, Mn 0.2 ~ 0.8%, P 0.02 ~ 0.08%, S 0.02 ~ 0.08%, Cu 0 ~ 0.4% 정도를 포함한다. Si, Mn은 탈산제로서 제강할 때 첨가하고, 그 밖은 광석에 따라 오는 유해 원소이다. - steel
카보런덤 carborundum 전기로(電氣爐)에서 만들어지는 검은 결정. 단단하고 고온에 견디므로 돌의 연마에 사용하거나 찰흙 등 다른 재료에 섞어서 내화 재료로 사용된다.
차량 한계 (車輛限界) car-clearance 차량을 철도 시설과 접촉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선로상에 정위치한 때의 차량의 크기를 제한하는 한계.
엘리베이터 크레인식 주차 장치 (-式駐車裝置) car crane type parking equipment 기계식 주차 장치.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를 승강 동작과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을 합쳐서 크레인식으로 주행시키고, 엘리베이터에서 주차실로 이동시켜 주차하는 방식.
카드 보드 드레인 공법 (-工法) card-board drain method 버티컬 드레인 공법의 하나. 연약한점성토 지반 중에 인공의 연직 드레인을 다수 설치하여 배수 거리의 단축을 도모하고, 압밀을 촉진시킨다. 플라스틱 드레인이 쓰이고 있다.
카드 보드 드레인 공법 (-工法) card-board wicks method 연약 지반 개량 공법의 하나로, 연약 지반 속에 적당한 간격으로 연직 방향으로 카드 보드를 타설하고, 이것에 의해 배수를 촉진시켜 압밀에 의한 지반 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 페이퍼 드레인 공법이라고도 한다.
기본 수준면 (基本水準面) cardinal datum level 해도에 나타나는 수심의 기준면 즉, 기본 수준면은 국제 수로 회의에서 {수심의 기준면은 조위(潮位)가 그 이하로는 거의 떨어지지 않는 낮은 면이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 CDL
화물 에이프런 (貨物-) cargo apron 항공 화물의 취급량이 많은 공항에서는 화물전용 항공기가 취항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화물 전용 에이프런이 필요하며, 화물기의 운항 횟수, 화물 하역의 방식, 화물 터미널의 형식 등과 관련하여 계획된다.
접안 하역 (接岸荷役) cargo handling 본선을 부두의 안벽에 붙여 두고 하는 하역. 계선 하역, 안벽 하역 또는 잔교(棧橋) 하역 등이라 한다. - shipping and unloading
하역 기계 (荷役機械) cargo handling machine 선박 화물을 싣고 내리는 일이나 화물의 처리에 이용되는 기계류의 총칭. 이것은 부두에 있는 것, 선박 자체가 가지고 있는 것, 대선(臺船)에 붙어 있는 것으로 나뉜다. 유럽에서는 거의가 부두에 있는 하역 기계에 의하여 하역이 이루어지지만 미국 등에서는 선내의 하역 기계(예를들면, 마스트 크레인)를 주로 이용한다. 잡화의 하역에는 포크 리프트, 모빌 크레인, 켈트 컨베이어 등 이동식 기계가 많이 이용된다.
하역 (荷役) cargo handling 화물을 배에 싣는다든지 내리는 작업. 먼바다 하역과 접안 하역으로 나뉜다. = shipping and unloading
화물 터미널 시설(貨物-施設) cargo teminal facility 항공 화물의 집산, 격납, 세관 검사 등의 기능을 갖는 시설. 일반적으로 트럭 야드, 화물 옥상, 항공기로의 하역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칼릿 carlit 폭약의 일종으로, 과염소산 암모늄(NH4ClO4)을 주제(主劑)로 하고 규소철, 질산 암모늄, 목분, 중유, 니트로 화합물 등을 섞은 것. 갱외 발파용으로 발달했으나 후생 가스(after damp) 개량품이 나와 갱내에서도 이용하게 되었다. 계절의 변화에 대해 안정하며 가격도 다이너마이트보다 싸다.
칼슨형 변형계 (-型變形計) Carlson type strain gauge 콘크리트의 변형 측정용 매입 게이지. 그림과 같이 2개의 플랜지에 로드를 부착하고 2개의 강철제 스프링을 연결하여 로드 사이에 전기 저항선을 건 것. 콘크리트가 응력도 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신축하면 이 플랜지도 마찬가지로 신축하며, 전기 저항선이 늘어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줄어들면 감소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변형을 알아낼 수 있다.
자동차 보유율 (自動車保有率) car ownership rate 인구 1인 또는 1세대당이 보유하는 자동차 대수. 인구 1,000명당, 혹은 1대당의 인구 또는 세대수로 나타내기도 한다.
기계식 주차 설비 (機械式駐車設備) car parking equipment 차량의 출입, 주차를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하는 설비. 주차 공간의 절약에 도움이 되지만 관리 요원이나 기계의 보수 관리가 필요하다.
카 패서 car passer 복선(複線)쌓기의 경우 트롤리를 노선에서 노선으로 옮기는 간단한 방법의 장치. 카 패서에 의한 트럭의 교체는 간편하지만 대형 트롤리를 사용하는 경우, 대량의 버력 처리에는 능률이 나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곡척 (曲尺) carpenter's square 목공이나 석공등이 사용하는 금속제의 L자형 자. = steel square
목공구 (木工具) carpenter's tool 목재의 가공, 조립, 부착에 관한 공사의 총칭.
목공사(木工事) carpenter's work = carpentry
감속 장치 (減速裝置) car retarder 험프(hump) 조차장(操車場)에서 화차를 험프로부터 분류선으로 산전(散轉)할 때 일정한 장소에 설치하는 제동 장치. 화차의 형식, 중량, 기후, 계절 등에 따랄 제동력을 변화시켜 화차를 분류선의 적당한 곳에 정차하는 데 이용한다. 그 구조는 [1] 레일의 양측에 만든 제동 거더에 의해 바퀴를 끼워 제동하는 것. [2] 궤도에 자장을 만들고 주행 바퀴에 생기는 와전류의 작용에 의해 제동하는 것이 있다. - hump yard
차도 (車道) carriage way 자동차, 자전거 등의 차량 전용 도로. 보도에 대하여 말한다. 차도에는 필요에 따라서 주차대, 식수대, 분리대, 안전 지대 등이 두어진다. = driveway
캐리어 carrier 케이블식 가설 공법에 있어서 케이블 크레인의 주색(主索)상을 횡행색(橫行索,走行索)에 의해 가로 이동하는 활차. 캐리어는 주색의 처짐 곡선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중앙 부근에서는 편평한 곡선으로 되지만 지주 부근에서는 급경사로 되어 주행색(走行索)에는 상당히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의 이동 범위를 미리 결정해 둘 필요가 있다. - cable crane
캐리올 carry-all 트랙터와 이것으로 견인되는 차바퀴가 붙은 상자로, 상자 하면에 있는 날로 토사를 깎아서 운반하고, 고르기를 하는 기계.
캐리올 스크레이퍼 carry-all scraper 트랙터계 기계의 일종인 스크레이퍼는 피견인식과 자주식이 있으며, 피견인식 스크레이퍼를 속칭 캐리올 스크레이퍼라 한다. 즉, 굴착, 싣기, 흙운반, 고르기의 일관 작업을 하나의 기계로 할 수 있는 운반기계(스크레이퍼) 중 동력을 갖지 않고 트랙터로 견인되어 작업하는 스크레이퍼를 말한다.
환경 용량 (環境容量) carrying capacity 자연의 복원력을 잃지 않는 최대 인공 부하량을 말한다. 배수량의 상한, 수용 가능 인원수 등. = environmental acceptable limit, environmental capacity
운반 작용 (運搬作用) carrying operation 하천에서 침식 작용에 의해 생긴 토사립이 하류로 흘러서 운반되는 것. 운반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용류(溶流) : 수중에 용해하여 흐르는 것. [2] 부류(浮流) : 수중에 떠서 흐르는 것. [3] 소류(掃流) : 하상(河床) 을 굴러서 흐르는 것.
캐링 스크레이퍼 carrying scraper = carry-all
도달률 (到達率) carry-over factor 부재의 한 끝에 주어진 모멘트가 다른 끝에 도달하는 비율. - distribution factor
도달 모멘트 (到達-) carry-over moment 고정 모멘트법에 있어서 어느 절점 A에서 모멘트를 분할했을 때 각 재의 다른 끝에 생기는 모멘트. 다른 끝이 회전단인 경우에는 제로, 고정단인 경우에는 A단의 분할 모멘트의 1/2이다.
2륜 손수레 (二輪-) cart 콘크리트나 흙, 모래 등을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2륜의 강철제 손수레. 바퀴는 솔리드 타이어를 사용한 것이 많고 용량은 0.2m3 전후이다. 단지 2륜차라고도 한다.
카트리지 테이프 cartridge tape 카드 상에 주소록, 명함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그 데이터를 검색이나 정리하는 시스템. 각종 소프트웨어가 판매되고 있다.
낮은 비계 cart way 콘크리트 타설 등을 할 때 슬래브 배근을 흩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일륜차의 통로용으로서 설치되는 낮은 비계.
캐스케이드 cascade 서양식 정원의 조원법(造園法)의 하나로, 폭포와 같이 물을 낙하시키는 방식.
컴퓨터 지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支援-) CASE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약어. 시스템 개발 전공정의 생산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한 컴퓨터 지원에 의한 소프트웨어 공학. 각종 CASE툴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상류 공정을 지원하는 어퍼CASE가 주목되고 있다.
케이싱 파이프 casing pipe 보링을 할 때 천공한 측벽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측벽에 박아넣는 강관 또는 박어넣는 것.
케이싱 튜브 casing tube 보링이나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 작업시 굴착 중인 구멍의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의 구멍에 따라 박아 넣는 튜브이다. 일반적으로 구멍 굴착이 끝난 후에는 빼내지만 그대로 매입해 버리기도 한다.
허니콤 빔 castellated beam = honycomb beam
캐스터 caster 롤링 타워나 문짝의 다리 부분에 붙은 이동용 바퀴.
캐스터 게이트 caster gate - high pressure gate
카스티리아노의 정리 (-定理) Castigliano's theorem 탄성체의 변형 에너지에 관한 다음의 정리를 말한다. [1] 제1정리 : 변형 에너지의 특정한 변위에 의한 편미분은 해당하는 힘과 같다. [2] 제2정리 : 변형 에너지의 특정한 하중에 의한 편미분은 그 작용점의 변위를 준다.
캐스팅 플레이트 casting plat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정착 장치의 한 구성부재. PC강재의 끝을 지지하고, 그 긴장력을 콘크리트에 전달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는, PC강재 관통 구멍을 갖는 강판.
현장치기 콘크리트 (現場-) cast-in-place concrete 현장치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즉 현장에서 콘크리트 재료를 조합하고 이들을 비벼서 만든다.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 (現場-) cast-in-place concrete pile 미리 제작되어 있는 콘크리트 말뚝을 박는 대신 굴착 기계로 정해진 깊이까지 구멍을 파서, 그 속에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입하여 만든 말뚝. 말뚝 박기 공법에 비해 소음이나 진동이 적고 또한 대구경 말뚝의 시공이 가능하다. 굴착 공법에 따라 베노트(Benoto), 리버스 서큘레이션, 어스 드릴, 심초(深礎)등이 있으며, 프리팩트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CIP, MIP, PIP 말뚝 등이 있다.
주열 공법 (柱列工法) cast in place concrete pile wall 어스 오거식, 오거 케이슨식, 로터리 비트식, 퍼커션 비트식 또는 해머 크래브식 등의 천공기에 의해 땅 속에 구멍을 파고 인발 후의 공극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소일 시멘트 등을 충전한 후, 다시 필요에 따라 철근이나 철골 또는 PC말뚝 등을 세워 축조한 현장 타설 말뚝을 연속적으로 나란히 시공함으로써 일종의 지하 연속벽을 만드는 공법이다. 주열 공법은 소위 벽 모양의 지하 연속벽 공법과 비교할 때, 특히 지수성(止水性)이 떨어지지만 얕게 뿌리를 잘라 흙막이 지수벽에 적용하는 경우는 경제적이다.
웨트 조인트 cast-in-place joint = wet joint
현장치기 모르타르 말뚝 (現場-) cast-in-place mortar pile 굴착기로 지반을 뚫은 다음 굴착기 끝에서 모르타르를 압입 충전하고, 철근이나 형강을 삽입해서 만드는 현장치기 말뚝을 말한다. = cast-in-site mortar pile
현장치기 말뚝 (現場-) cast-in-place pile 프리팩트 콘크리트에 의한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의 하나로, CIP라 약기하며, 이것 외에 MIP, PIP가 있다. CIP는 굴착기계로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모르타르 주입관, 조립한 철근 및 자갈을 넣고 주입관을 통해 프리팩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철근 콘크리트 말뚝을 만든다. MIP는 선단에 프로펠러형의 날이 붙은 파이프를 통해 프리팩트 모르타르를 분출시키면서 회전시켜 흙 속에 밀어 넣고, 지산의 흙과 섞어 소일 콘크리트를 정해진 깊이까지 만들고 나서 파이프를 뺀다. PIP는 스크루 오거를 정해진 깊이까지 돌려 박고 흙과 함께 천천히 당겨 올리면서 오거의 중심 파이프로부터 프리팩트 모르타르를 압입하여 모르타르 말뚝을 만든다. CIP는 지반이 나쁜 곳에서는 케이싱 튜브가 필요하지만 MIP와 PIP는 철근을 뒤로부터 삽입하게 되지만 MIP에서는 소일 콘크리트이기 때문에 조립된 것의 삽입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 굵은 철근을 타입한다.
연속 지중벽 (連續地中壁) cast in site diaphragm wall 연속 지중벽은 진흙탕을 구멍 속에 채워서 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고, 진흙탕이 치환되도록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한 벽체. 연속 지중벽은 소음, 진동이 적은 공법으로, 토류벽(土留壁), 지수벽(止水壁), 지하철이나 지하실의 측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현장치기 모르타르 파일 (現場-) cast-in-site mortar pile = cast-in-place mortar pile
주철 (鑄鐵) cast iron 선철을 고철 등을 가해 용선로에서 다시 제조한 것. 이것에는 급격히 냉각했을 때 생기는 백주철과 냉각 속도를 느리게 했을 때 생기는 회주철이 있다. 이들은 주형에 주입하여 주물로 만들어 사용하며, 교량의 경우에는 베어링 슈(bearing shoe)나 배수공(catchbasin), 신축 이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철관 (鑄鐵管) cast iron pipe 수도 배수관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고급 주철관, 덕타일 주철관 등이 있으며, 인장 강도는 25 ~ 45kgf/mm2이다. 부식하지 않도록 정제(精製) 타르를 가열 인쇄 도장한다거나 모르타르를 관 내면에 원심력으로 부착시키는 모르타르 라이닝 도장 등을 실시한다. 이음에는 소켓형, 플랜지형, 메커니컬 조인트 등이 있다.
주강 (鑄鋼) cast steel 주강은 평로나 전기로 등에서 만들어지며 이것을 주형에 넣고 냉각한 후, 풀림(annealing)이나 불림(normaling), 또는 불림 후 뜨임(tempering) 등의 열처리를 가한 것을 주강품이라 한다. 주강은 주로 교량의 베어링 슈(bearing shoe)에 이용된다.
촉매 블론 아스팔트 (觸媒-) catalytic blown asphalt 촉매를 혼입하여 공기를 뿜어넣음으로써 연화점(軟化點), 신장도, 열 안정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방수 공사용으로서 사용한다. - blown asphalt
배수조 (排水槽), 배수받이 (排水-) catch-basin 지표를 흐르는 빗물이나 가정 배수 등을 받아 넣어, 배수구나 배수관에 접속시키기 위해 만든 홈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배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은 여기서 침전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청소를 한다. 도로에서 이용하고 있는 배수조는 노면의 표면수가 유입하는 입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구(側構) 홈통과 연석(緣石) 홈통이 있다.
배수통 (排水桶) catch basin drainage basin 옥외 배수관의 기점이나 집합 개소, 굴절 개소에 설치하는 고임통.
배수구 (排水構) catch drain 표면수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도랑. 지표에 만드는 지표 배수구와 땅 속에 만드는 지하 배수구로 나뉜다. 지표 배수구에는 임시로 설치하는 소굴(素掘)배수구, 지반의 침식.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나 소일 시멘트로 만든 배수구, 프리캐스트의 철근 콘크리트, U형 원심 철근 콘크리트 반원관으로 만든 배수구 등이 있다. 지하 배수구는 지하수를 배제하여 지하 수위를 저하시키므로 지반의 강도나 안정성을 높일 때 설치한다.
유역 면적 (流域面積) catchment area 하천의 어떤 지점을 가정할 때, 빗물이 전부 그곳에 모이는 구역을 말하며, 집수 면적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km2의 단위로 표시한다. 하천 계획, 발전 계획 등에 이용된다.
유치 인구 (誘致人口) catchment population 대상 자원이나 시설의 유치권 내에서의 이용 가능자의 인구를 말한다. - effective catchment ratio
현수선 (懸垂線) catenary 와이어 등 선상(線狀)의 물건이 2점에서 고정된 경우에 자중에 의해 매달린 상태의 형상을 말한다. 현수 곡선이라고도 한다. 선박 등의 계류삭의 안정 형상이 이런 곡선을 그리고, 그 형상은 장력과 자중에 의하여 형성된다. = catenary line
현수선 (懸垂線) catenary line = catenary
캐터필러 게이트 caterpillar gate - high pressure gate
캐소드, 음극 (陰極) cathode 금속 부식에 있어서 환원하는 측.
음극선관 (陰極線管) cathode ray tube = CRT
전기 방식법 (電氣防蝕法) cathodic protection 철강은 물 또는 흙 속에 용해되어 있는 염류 등의 전해질에 접촉하면 양이온으로 되어 용출하며 그것이 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강구조물을 음극으로 하여 늘 약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철 분자가 이온으로 되는 것을 막으면 강의 녹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원리에 의한 녹 방지법이 전기 방식이며, 외부 전원 방식과 유전양극(流電陽極)방식이 있다. 전자는 강압한 전류를 강구조물을 음극으로 하여 흐르게 해두는 방법으로, 상업용 전력을 변압 정류하여 강제적으로 방식 전류를 흐르게 하기 때문에 양극에는 흑연 등의 불용성 극을 이용한다. 유전 양극법에 비해 초기 투자가 적고 영구적이지만 유지비가 비싸다. 후자는 다른 금속과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방식(防蝕)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양극은 Mg, Zn, Al이나 이들 합금을 이용하고, 음극은 설치된 강구조물로 한다.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과 연결해 둠으로써 그 금속이 이온화되며 강구조물을 음극으로 하여 전기가 흐른다. 이 방법은 전원이 불필요하지만 양극이 되는 금속이 소모되기 때문에 교환을 필요로 한다. 현재는 전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특수 도료나 강재 자체의 내해수강(耐海水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 방식법은 도장이나 보수가 곤란한 강구조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음극 방식법 (陰極防蝕法) cathodic protection method 금속에 외부에서 적당한 크기의 전류를 가하고, 금속 표면을 모두 같은 전위로 하여 국부 전지에 의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전기 방식법의 하나이다.
고양이 눈 cat's eye 야간에 헤드라이트의 빛을 지향성 반사(반사 광 속의 대부분이 입사광과 동일 방향의 좁은 범위로 확산 없이 방향성을 가지고 되돌아오는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진 단체(單體)의 유리 구슬. 흔히 도로 등에 사용되어 운전자의 시선 유도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캣 워크 cat walk 현수교(懸垂橋) 등의 케이블 시공에 앞서 시공 기반 등으로서 공중에 걸쳐지는 통로 모양의 구조물. 가느다란 여러 개의 케이블 위의 바닥계에 네트 등을 깐다.
코킹 리벳 caulking 체결의 강판에서 수밀성(水密性)성과 기밀성(氣密性)이 필요한 경우, 단순한 리벳 접합만으로는 샐 위험이 있으므로 강판의 측단을 뾰족한 해머로 두드려 찌부러 뜨리고 틈새를 메꾸어 막는 것을 말한다. 공구로 코킹 해머, 코킹 세트를 사용한다. - caulking hammer
코킹재 (-材) caulking compound 실링재의 일종. 무브먼트가 거의 없는 줄눈에 충전하여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는 부정형의 재료. 유성 코킹으로 대표된다.
코킹 건 caulking gun 실링재나 코킹재를 줄눈 내로 주입 충전하기 위한 시공 기구. 실링 건이라고도 한다.
코킹 해머 caulking hammer 압축 공기나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휴대용 해머.
낙반 (落盤) cave-in 터널 굴착에 있어서 터널 천장 부근의 암석, 토사 등이 붕괴하는 것. 절리(節理)가 많은 지산이나 유수가 심한 지산에서는 낙반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동바리공의 블로킹을 확실하게 하는 등의 시공을 할 필요가 있다.
공동 현상 (空洞現象), 캐비테이션 cavitation 유속이 빨라질수록 유선(流線)의 휨으로 인한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수압이 매우 낮아지는 곳이 나타난다.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아지면 액체가 기화하거나 또는 녹아 있던 공기 등이 기포로 되기 때문에 공동(空洞)이 발생한다. 이 현상을 공동 현상 또는 캐비테이션이라 한다. 발생한 공동은 흐름과 함께 이동하며, 압력이 높은 곳에 오면 주위의 압력에 의해 찌부러지는데, 이 때 국소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이 고체면 가까이에서 일어나면 고체면에 구멍이 뚫려 버린다.
충전 그라우트(充塡-) cavity grouting 터널의 복공 콘크리트 및 실드 세그먼트와 굴착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동, 지반 침하에 의한 구조물의 기초에 생긴 공동 등을 그라우트에 의해 충전하는 것
비용 편익 분석 (費用便益分析) CBA 어떤 프로젝트의 실시에 있어서 각 대체안의 비용과 편익을 산출하고, 그 사회적인 평가를 하려는 방법을 말한다. 경제 분석이라고도 한다.
캘리포니어 지지율 (-支持率) CBR Carifornia bearing ratio의 약칭. 직경 50mm의 관입 피스톤을 공시체(供試體) 표면에 눌러 넣을 때의 일정 관입량에 대한 하중과 표준 하중과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노상토(路床土) 지지력비라고도 한다. 또한 기준면은 충분히 다져진 머캐덤형의 부순돌이 함수량이 변화해도 항상 CBR가 100%라는 점을 기준으로 한다. CBR 시험에는 실내 시험과 현장 시험이 있으며, 실내 시험에서는 96시간 수침시키고 나서 관입 시험을 하며, 최악의 조건에서의 CBR를 가정한다. 아스팔트 포장의 두께 결정에는 노상토의 설계 CBR와 자동차 교통량에서 포장 합계 두께를 결정하고 있다.
CCL 공법 (-工法) CCL system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정착 공법의 일종. PC강 연선을 쐐기로 정착하는 방법의 하나로, 싱글 스트랜드 시스템을 비롯한 네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호환 테이프 (-互換-) CCT = computer compatible tape
기본 수준면(基本水準面) CDL = cardinal datum level
시 디 롬, 콤팩트 디스크 롬 CD-ROM compact disk-read only memory의 약어. 오디오용 콤팩트 디스크를 사용한 재생 전용의 정보 전달 벙법으로, 현재는 주로 전자 출판의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금후 개인용 컴퓨터가 멀티미디어화 된 경우의 주요 기억 매체로서도 유력.
CD시험 (-試驗) CD-test = consolidated drained test
셀식 계선안 (-式繫船岸) cell quay wall 적선 형강 널말뚝을 타입하고 텔을 만들어 그 속을 토사로 채운 구조로, 셀이 평면형인 것에는 원형, 북 형, 클로버형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원형 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리 공장에서 강판으로 셀을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 설치하는 강판 셀식이 있다.
셀룰러 블록 cellular block 측벽뿐이고 밑판이 없는 철근 콘크리트제의 박스 모양의 것으로, 속에 석재 등을 채워 중력식 구조의 제체(提體)로서 이용된다. 별도로 제작한 밑판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소규모 방파제, 안벽, 호안 등에 이용되는 수가 많다.
셀룰러 코퍼 댐 cellular coffer dam 직선 강 널말뚝을 원통형으로 세우고 그 속에 토사를 채운 단체(單體)를 나란히 세워 아크부로 연결하여 만든 연속적인 벽체에 의한 가체절(假締切) 공법.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다른 공법에 비해 안정성이 크다. 일반 셀의 널말뚝 길이는 22m 정도이지만, 최근 많이 이용되는 프리패브 셀에스는 28m 정도의 것도 있다. 안정 계산으로는 셀 벽체를 강체(剛體)로 한 중력 댐 본체의 안정 계산과 널말뚝 응력 계산(굽힘 및 hoop tension), 밑둥묻힘 길이 및 내부 전단 저항을 검토한다.
기포 콘크리트 (氣泡-) cellular concrete 시멘트 페이스트에 발포제를 섞거나 혹은 안정한 거품과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어 이겨서 내부에 많은 기포를 포함시킨 다공질 콘크리트. 경량이고 흡음성, 열의 차단성이 뛰어나다. 비중 0.7 ~ 0.9 내외, 압축 강도 30 ~ 50kg/cm2, 열전도율 약 0.3kcal.m.h.도씨 의 것이 널리 쓰이고 있다. = bubble concrete
셀룰러 널말뚝 cellular sheet pile 물막이 공사 중 수심이 매우 깊을 때에 이용하는 강 널말뚝. 특수한 Y형 또는 T형의 이음에 의해 2열의 널말뚝으로 하여 강성(剛性)을 높여 사용한다. 또한 안벽에도 이용된다.
시멘트 cement 넓은 의미의 시멘트는 종류가 매우 많으며, 그 분류 방법도 여러 가지이지만 단순히 시멘트라고 하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가리킨다. - blended cement, portland cement
시멘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cement asphalt mortar 슬래브 궤도 구간의 궤도 슬래브와 콘크리트 노반과의 사이에 충전하여 궤도 슬래브를 정확한 높이로 유지하고 또한 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 성분은 시멘트와 아스팔트를 혼합한 것으로 CA모르타르라 약칭된다. - slab track
시멘테이션 cementation 흙입자간의 간극수에 포함되는 결합 물질이 긴 세월에 걸쳐서 흙입자간에 침전하여 화학적으로 흙입자를 결합시키는 것. 결합 물질에는 실리카, 철, 알루미늄의 수산화물, 유기물이나 각종 탄산염이 있다.
시멘트 바실루스 cement bacillus 에트린가이트(ettringite)를 말한다. 옛날은 콘크리트의 균열 원인 물질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시멘트의 세균(바실루스)이라고 불렀다.
시멘트 콘크리트 cement concrete 시멘트, 물, 골재를 주원료로 하고, 필요에 따라 혼합재를 가해서 적당한 비율로 비빈 콘크리트, 혹은 그것이 경화한 것.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鋪裝) cement concrete pavement 부순돌 등 입상(粒狀)재료로 이루어지는 노반 위에 시멘트 콘크리트판을 타설한 포장. 강성(剛性) 포장이라고도 한다.
단위 시멘트량 (單位-量) cement content per unit volume of concrete 프레시 콘크리트(fresh concrete) 1m3 중에 포함되는 시멘트의 무게.
목편 시멘트판 (木片-板) cemented chip board 약제 처리한 5 ~ 10mm의 나무 조각과 시멘트를 약 3 : 7의 비율로 섞어서 가압 성형한 판 모양의 재료. 벽, 천장 등의 바탕재, 치장재로 사용한다.
시멘트 증량제 (-增量劑) cement extender 실리카질 분말의 혼합제를 주체로 한 것.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지만, 단기 강도를 저하시켜 균열을 발생하는 결점도 있다.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하여 15%wt 를 한도로 한다.
시멘트 그라우트 cement grout 바위의 갈라진 곳이나 PC시스 내로의 주입에 사용하는 재료.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혹은 감수제(減水劑)나 팽창재 등의 각종 혼합재료를 가한 것.
시멘트 건 cement gun 모르타르 분사기.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을 물과 함께 노즐로부터 분사하여 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킨다. 흙끊기 부분의 낙석, 토사 붕괴 방지에 이용된다.
시멘트 건 공법 (-工法) cement gun shooting method = shotcrete
시멘트 머태덤 공법 (-工法) cement macadamix method 머캐덤식 포장의 일종으로, 맞물리는 골재의 결합재로 시멘트 풀을 사용한 포장 공법. 줄눈이 필요없으며 아스팔트 포장의 기층에 이용된다.
시멘트 머캐덤 포장 (-鋪裝) cement macadam pavement 결합재로서 시멘트 풀을 사용한 머캐덤 포장. 시멘트계의 간이 포장으로서 또한 역청계 포장의 기층으로서 사용되는 수가 있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1 : 2 또는 1 : 4 로서, 부순돌은 현무암, 석회암, 경질 석회암 등의 경질의 것을 사용하며, 크기는 3 ~ 6cm 또는 4 ~ 7cm가 많이 사용된다.
시멘트 유액 (-乳液) cement milk 시멘트와 물을 1 : 1 ~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 터널 굴착시의 용수(湧水) 처리의 주입 재료로서 사용되며, 그 주입 압력은 일반적으로 수압의 3 ~ 4배로 한다. 이 시멘트 유액에 의해 지산의 지질을 안정한 것으로 만든다.
시멘트 모르타르 cement mortar 시멘트에 모래를 섞어서 물로 비빈 것(시멘트 1에 대하여 모래 3의 비율로 섞은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시멘트 풀 cement paste 시멘트와 물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 것. 콘크리트에서는 골재와 골재(잔 골재. 굵은 골재)끼리 서로 잘 부착되도록 접착 역할을 한다.
시멘트 패트 cement pat 시멘트의 안정성을 위하여 시멘트 풀로 만든 것.
시멘트 제품(-製品) cement products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여 모래, 자갈, 보강재 등을 배합하고, 물로 비벼서 성형하여 경화시킨 내구성이 풍부한 토목. 건축용 제품을 총칭하는 것. - concrete preduct
시멘트 안정 처리 (-安定處理) cement stabilization 토질 안정 처리 공법의 일종으로, 현지 발생재 또는 이것에 보충재를 가한 것에 시멘트를 첨가하여 처리하는 공법. 1917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안정 처리를 함으로써 강도 증가, 함수량의 변화에 의한 강도 저하의 감소, 내구성의 증가를 꾀할 수 있으나 시공시에는 안정 처리 대상재와 시멘트의 충분한 혼합, 최적 함수비 상태에서의 다짐, 습한 거적이나 아스팔트 유제의 피복에 의한 양생 등이 필요하다. 시멘트에 의한 안정 처리토를 소일 시멘트라 한다. 보통은 1축 압축 강도가 30kgf/cm2 로 되는 시멘트량을 사용한다.
시멘트 서브실링 cement subsealing 콘크리트 포장판의 하부에 생긴 공극에 시멘트 등의 혼합물(슬러리)을 압입하여 공극을 채움과 동시에 포장판을 원래의 위치로 압상하는 공법.
시멘트 공극비설 (-空隙比設) cement void ratio theory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시멘트의 절개 용적 c 와 공극 [사용 수량(水量)과 공기 용적의 합] v 와의 비(比)인 공극 시멘트비 v/c, 또는 시멘트의 공극비 c/(v+c)에 의해 지배된다고 하는설. 탈보트에 의해 제창되었다.
횟물 먹이기 cement wash 시멘트를 물로 비빈 페이스트를 칠하는 것.
시멘트·물비 (-比) cement water ratio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속에 있어서의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 c/w. 어떤 컨시스턴시를 가진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그 사용 수량(水量)이 일정한 경우 시멘트의 사용량에 의해 정해지며, 시멘트·물비 c/w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이것을 시멘트·물비설이라 한다.
시멘트·물비설 (-比設) cement water ratio theory - cement water ratio
묘지 (墓地) cemetery 묘를 세우는 장소 또는 묘가 있는 장소.
묘원 (墓園) cemetery park 공원처럼 만든 묘지. 공원 묘지, 영원(靈園)등으로도 부른다. 도시 계획 사업으로 만드는 묘지는 전부 묘원으로 만들어진다. 어두운 느낌을 주는 종래의 묘지를 밝고 개방적인 장소로 만들어 양호한 녹지 공간으로 함으로써 묘지에 다양한 가치를 부가하고 도시 내 토지의 유효한 이용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묘원은 도시의 공원 녹지 계통의 일환으로서 환경 보전이나 레크레이션, 방재, 경관 등의 면에서 묘지에는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럽 등에서는 저명 인사가 매장된 묘원은 관광의 대상으로까지 되어 있다.
신생대 (新生代) Cenozoic era 지질 시대 최후의 시대로서 포유류의 전성 시대. 이 말기에 인류가 출현하여 현대에 이르고 있다. Cenozoic이란 recent animal life라는 의미이다. 제3기와 제4기로 나누어져 있다. 제3기의 지층은 고결도(固結度)는 낮으나 기초 지반으로서 적합하다. 그러나 지각 변동이 심했던 시대의 암석으로 인해 파쇄되어 풍화해 가는 경우가 많으며, 풍화되면 점토로 변하기 쉽다. 혈암, 이암, 점판암, 응회암 등이 이 시대에 많이 형성되었다. 이 풍화 점토화한 위치에는 랜드슬라이드(land-slide)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 랜드슬라이드를 제3기층 랜드슬라이드라 한다. 제4기층은 홍적세와 충적세로 나누어지고 홍적세를 빙하시대라 한다. 충적세는 현재 퇴적을 계속하고 있는 지층 또는 이것에 가까운 지층으로서 완전히 굳어져 있지는 않다. 현재의 하천 범람원, 3각주, 선상지(扇狀地), 모래 언덕 등이다.
시멘트 패트 cement pat 시멘트의 안정성을 위하여 시멘트 풀로 만든 것.
센터, 센터공 (-工) center (1) = arch center (2) 뉴매틱 케이슨의 작업실 구축에 이용되는 동바리공. 절단날부 및 작업실 천장 슬래브를 구축할 때, 전체 하중에 대해 충분히 안전함과 동시에 해체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센테에는 목제(木製), 강제(鋼製), 토사 센터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제 센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강제는 중량이 크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별로 이용되지 않는다. 토사 센터는 현재의 지반 중 절단날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굴착하여 절단날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재의 지반이 센터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므로 대형 케이슨처럼 중량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해체는 토사의 굴착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슨의 급격한 침하가 없어 안전하다.
중심축 (重心軸) center axis 단면의 중심(重心)을 통하는 임의의 축.
K자 크로싱 (-字-) center crossing 다이아몬드 크로싱, 슬립 스위치, 시저스(scissors) 크로싱의 중앙에 사용하는 것으로, 모양이 K자이므로 K자 크로싱이라 한다. 고정식과 가동식이 있는데 가동 크로싱은 차량의 주행시 주행 레일에 결선(缺線)부를 없앰으로써 이선(異線)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 가동 레일과 2개의 [^형]레일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번수가 큰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고정 K자 크로싱 (固定-字-) center crossing of diamond crossing 궤도에 잇어서의 다이아몬드 크로싱의 8번 이하의 교차부에 사용된다. 주강제(鑄鋼製)의 것과 레일을 가공하여 조립한 것이 있다.
센터 (다이애거널) 스테이 center (diagonal) stay = center tie
센터 지구 (-地區) center district 신도시 건설 등에서 지역의 중심이 되도록 계획된 지구 . 생활 관련 시설이나 학교, 상점가 등이 집약적으로 건설된다.
센터 드레인 center drain 터널의 용수(湧水)를 갱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터널 종단 방향을 흘러 내리게 하는 배수구, 혹은 배수 관로로 터널 중심에 1개 설치하는 것. - side-drain
센터 드릴 center drill 얇은 목재에 볼트 구멍을 뚫는 데 사용하는 공구 (구멍의 크기는 5 ~ 30mm).
중심공 잭 (中心孔-) center hole jack 유압 잭의 일종. 램(ram)의 중앙에 구멍이 관통한 책을 말한다. PC강재의 긴장 등에 쓰인다.
치심 (致心) centering [1] 평판(平板)을 설치할 때 평판상에 취한 점과 지상의 측저이 동일 연직선상에 있도록 하는 것. 이것에는 구심기(求心器)를 사용한다. [2] 측량 기계의 중심과 지상의 측점을 동일 연직 선상에 합치시키는 것으로 구심이라고도 한다.
심 이음 (心-) center joint 가로재를 받침 자리 복판(지지점)에서 잇는 것.
중심선 (中心線) center line 도형 또는 구조물의 중심을 보여주는 선. 굵기 0.2mm이하의 1점 쇄선을 사용한다.
유심 (流心) center line of stream 하천 횡단면의 최심부(最深部)를 연결한 선. 또는 최대 유 속의 점을 연결한 선을 말하기도 한다. 유심을 이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선을 유심선이라 한다.
하신 (河身) center of a stream in thr river 하천의 유로 중에서 흐름이 빠른 곳 또는 깊은 곳의 중심을 잇는 선.
부심 (浮心) center of buoyancy 수면하에 있는 물체 부분에 작용하는 부력의 합력 작용점은 물체가 배제한 물의 중심을 취하면 된다고 하는 것으로, 이것을 부심이라 한다.
곡률 중심 (曲率中心) center of curvature 곡선상의 s 및 s + #s 점에 있어서 법선 만난점의 극한값.
도심 (圖心) center of figure 도형의 중심. 두께가 균일한 평판을 생각했을 때의 중심(重心)에 해당한다.
중심 (重心) center of gravity 물체의 각부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력 작용점.
사진 중심 (寫眞中心) center of photograph 사진의 4변에 있는 지표를 이은 선의 만난점. 조정이 정확한 카메라에서는 주점과 일치한다. - principle point
곡률 중심 (曲率中心) center of radius of curvature 곡선상의 한 점에서 그 법선 방향으로 곡률 반경과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다.
강심 (剛心) center fo rigidity 구조물을 입체적으로 생각했을 때의 층의 수평력에 대한 회전 중심. 기둥과 벽의 수평력에 대한 강성에 의해 정해진다.
회전 중심 (回轉中心) center of rotation 강체(剛體)의 회전 운동의 중심이 되는 점.
비틀림 중심 (-中心) center fo torsion 단면에 비틀림 모멘트를 작용시킬 때 변형이 생기지 않는 점.
시중점 (視重點) center of vision 투시 화법에서 시점(視點)의 화면상으로의 투상. = C.V.
중앙 월류형 홍수토 (中央越流形洪水土) center over-flow type spillway 홍수토 형식의 하나로, 댐 위에 홍수토 설비를 하는 것. 이 형식의 홍수토를 사용하는 경우 중력 댐, 중공 중력 댐, 아치 중력 댐에서 홍수는 댐의 하류면에 따라서 유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아치 댐에 있어서 홍수는 댐의 하류로 자유 낙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에 있어서는 경제적으로 대량의 홍수를 유하할 수 있지만 후자에 있어서는 자유 낙하한 홍수가 댐의 기초를 손상하게 할 염려가 있어 홍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다른 형식의 홍수토가 이용된다.
중심 말뚝 (中心-) center peg 노선 측량에 있어서 결정된 노선의 중심선 위치를 지상에 표시하는 말뚝이며, 보통 노선의 기점으로부터 20m 마다 박는다.
센터 펀치, 펀치 center punching 공구강으로 만든 둥근 막대 또는 다각형 막대의 한 끝을 날카롭게 한 것. = punch
센터자 center rule 실드 굴착시의 센터 측량에 사용하는 도구. 알루미늄제 각 파이프 등의 온습도 영향을 잘 받지 않고, 튼튼한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센터 스파이럴 center spiral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PC강선을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나선형의 스페이서.
중앙대 (中央帶) center strip 차선을 왕복 방향별로 분리하고 다시 측방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만든 때 모양의 도로 부분을 말한다. 중앙대 가운데 차도면보다 1단 높게 되어 있는 띠 모양의 부분을 중앙 분리대라 한다.
센터 타이 center tie 현수교에 있어서 교축 방향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간의 중앙에 메인 케이블과 보강(補剛) 거더(또는 트러스)를 비스듬히 연결하는 케이블을 말한다. 역대칭 비틀림 진동의 억제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심심 (心心) center to center 두 재료의 중심에서 중심까지를 말한는 것.
열차 집중 제어 장치(列車集中制御裝置) centralized traffic control = CTC
중심 지구 (中心地區) central area 도시 기능으로 중요한 행정, 경제, 문화, 위락 등의 시설이 집단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도시의 중심부, 도심. 대규모의 고층 건축물이 건축되어 교통량도 매우 많은 지구로, 건축물의 용적 제한이나 가로, 주차장, 교통 기관의 정비를 필요로 한다. = central district
중심축 (重心軸) central axis 중심(重心)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축.
중앙 계량 방식 (中央計量方式) central batching plant system 콘크리트를 비비는 방식으로, 현장에서 떨어진 배치 플랜트에서 각 재료를 계량하고, 1 ~ 2배치분을 운반하여 현장에서 비벼, 타설한다.
중심 업무 지구 (中心業務地區) central business district 토지 이용 계획상의 지구 분류의 하나. 도시 가운데서 중추적 업무 기능이 집적하여 핵을 형성하고 있는 지구를 말한다.
중심 상업 지구 (中心商業地區) central commercial district 도시 중심부에 있으며, 대형 점포나 전문점 등 상업 점포가 집중하고 있는 지구. 교통의 거점, 백화점, 유명점 등이 존재한다.
중심 지구 (中心地區) central district = central area
중심 도갱 (中心導坑) central heading 터널 굴착 단면의 중앙에 설치된 도갱(導坑). 이 도갱을 사용하는 굴착 방식을 중심 도갱식 굴착이라 한다.
구심성 (求心性) centrality 형태적, 공간적으로, 중심을 향하는 효과, 또 그 성질. 원형이나 방상성의 형, 배열의 효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 centricity
집중 관리 방식 (集中管理方式) centralized control system 경영에 있어서의 각종 관리 기능을 본사 혹은 본부라고 불리는 중추 기구에 집중화한 관리 형태.
열차 집중 제어 장치 (列車集中制御裝置) centralized traffic control = CTC
중심 극한 정리 (中心極限定理) central limit theorem 다수의 독립한 확률 변수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변수의 확률 분포는 정규 분포에 따른다고 하는 정리.
중심 압축재 (中心壓縮材) centrally loaded compressed member 압축력의 합력이 단면의 도심(圖心)에 작용하는 부재.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central mixed concrete 고정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
중앙 공원 (中央公園) central park 각 도시의 중심 지구에 입지하고, 레크리에이션이나 문화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원의 일반 명칭.
중심지 이론 (中心地理論) central place theory 도시는 그 규모에 따라서 서비스하는 범위가 있으며, 그 서비스 범위가 한 지역의 도시군에 대해서 보면 계층적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 이론. 크리스털러(W.Christaller)가 제창했다.
중앙 연산 처리 장치 (中央演算處理裝置) 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중심 투영법 (中心投影法) central projection 투영선을 하나의 중심(視點)에 모이게 하는 투영법. 투시도법이라고 하며, 도면에 원근감이 생긴다.
열차 집중 제어 장치 (列車集中制御裝置) central traffic control = CTC
도시 중심 (都市中心) central urban area = city center
센터 centre 터널공사의 복공(覆工)에 있어서 콘크리트 거푸집의 동바리공.
센터 폼 centre form 실드 터널이나 산악 터널의 2차 복공에 사용하는 이동식 강철제 거푸집. 이동 방식, 지지 방식. 타설 범위 등에 따라 여러 형식으로 분류된다.
구심성 (求心性) centricity = centrality
원심 성형법 (遠心成形法) centrifugal casting 원심력을 응용하여 콘크리트 등을 기계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등이 있다.
원심 주조 강관 (遠心鑄造鋼管) centrifugal casting steel pipe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조한 강관.
원심력 주철관 (遠心力鑄鐵管) centrifugal cast-iron pipe 수평 또는 수직의 축 둘레에 회전시킨 주형에 주입한 용철에 원심력을 주어 주조한 철관.
원심력 다지기 (遠心力-) centrifugal compaction 원심력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성형 방법. 폴, 말뚝, 흄관 등 관류의 콘크리트 제품 성형에 이용된다.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 (遠心力-) centrifugal concrete pile 원통형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넣고 고속으로 거푸집을 회전시켜 만든 콘크리트 말뚝. 콘크리트는 원심력에 의하여 압축력을 받기 때문에 고강도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원심 하중 (遠心荷重) centrifugal load 활하중이 곡선상을 주행할 때 생기는 원심력 방향의 수평 하중. 출도교의 경우에는 교량 위에서 열차가 원운동할 때 생기며 곡선 주행시의 열차의 최고 속도에 의해 정해진다. 단, 원심 하중에서 충격은 고려하지 않는다. 도로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나 곡선 궤도를 갖는 도로교일 때는 원심 하중을 고려한다. - live load
원심력 사형 주철관 (遠心力砂形鑄鐵管) centrifugally cast-iron pipe in sand moulds 철관의 외경(外徑)과 같게 모래를 내장한 원통형의 금형을 수평으로 뉘워 놓고 고속 회전시키면서 그 일단에서 정확히 계량한 홈을 통하여 유입시켜 원심력에 의하여 제조한 철관.
원심력 성형 말뚝(遠心力成形-) centrifugally compacted reinforced concrete pile 원통형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고속으로 거푸집을 회전시키면서 만든 말뚝.
단면 상승 모멘트 (斷面相乘-) centrifugal moment 단면의 미소 면적 dA에 원점 O를 통하는 직각 좌표 x, y에서 그면까지의 거리 x 및 y를 곱한 것의 총합을 원점 O에 대한 단면 상승 모멘트 (Ixy = f xydA)라 한다.
원심 펌프 (遠心-) centrifugal pump 만수된 케이싱 내에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물에 원심력을 주어 압력이 생기도록 하여 물을 낮은 곳에서 높은 것으로 올리느 펌프. 터빈 펌프와는 달리 날개 수차의 출구 주위에 안내 날개가 붙어 있지 않다. 양정은 보통 10 ~ 20m 정도이다. 벌류트 펌프라고도 한다.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遠心力鐵筋-管) centrifugal reinforced concrete pipe 철근을 원통 농형(바구니형) 또는 원통형으로 조립한 것을 철제의 틀에 넣고,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성형한 관. 흄관이라고도 한다.
원심 함수 당량 (遠心含水當量) centrifuge moisture equivalent 물로 포화된 흙이 중력의 1,000배에 달하는 힘을 1시간 받았을 때에 보유하게 되는 함수량.
도심 (圖心) centroid = center of figure
도심축 (圖心軸) centroid axis 도심을 지나는 축. 예를 들면, nx, ny 등.
도기관 (陶器管), 도관 (陶管) ceramic pipe 직경 150mm 이상의 도기로 만들어진 관. 양질의 찰흙을 주원료로 하고, 토관보다 고온으로 소성해서 만든다. 흡수율은 토관보다 작다. 하수관 등으로 사용된다.
세라믹스 ceramics 일반적으로 시멘트, 유리, 도자기 등 천연의 무기물을 구워서 굳힌 요업 제품.
지진제 (地鎭祭) ceremony for sanctifying ground 기공에 앞서 대지 내에 제장(祭場)을 설치하고, 대지, 공사, 건축물의 평안을 비는 의식.
수채통 (-筒), 하수통 (下水筒) cesspool 하수도의 설비가 없는 곳에서 각 주택 혹은 여러 가구에서 오수를 모아두는 통.
C팩터 C-factor 사진 측량에 있어서 도화기(圖化機)에 의해 정확하게 그리는 것이 가능한 최소 등고선 간격 *h 와 촬영 고도 h와의 비 h/*h 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쓰이고 있다.
탄소 섬유 보강 콘크리트 (炭素纖維補强-) CFRC = 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
컴퓨터 그래픽스 CG = computer graphics
체인 chain 지름 3 ~ 4cm의 철제 링크를 연결하여 만든 자. 견고하여 습지 등에 사용되지만 무거워서 늘어짐이 크고 휴대가 불편하다. 양 핸들의 내측 홈 사이의 길이는 20cm이고, 이 길이를 1체인이라 하며, 100링크로 되어 있다.
체인 블록 chain block 훅에 걸린 큰 하중을 도르래와 감속 기어 장치에 의해 체인을 통해 인력과 같은 작은 인장력으로 감아 올려 체인에서 손을 떼도 감아 올려진 하중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치. 소형이지만 비교적 큰 힘을 낼 수 있고 양정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기계 조립, 강 구조물의 조립, 하물의 이동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구조상 웜 기어형과 평 기어형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인력으로 조작하는 가는 체인을 끌어 당겨 체인 풀리 및 이것과 동축의 웜을 돌리면, 웜 기어와 맞물려 이 기어와 동축으로 부착되어 있는 체인을 돌려 하물을 승강시킨다. 후자는 체인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힘을 평 기어에 의해 체인 풀리에 전달하여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린다. 양자 모두 체인에서 손을 떼도 감아 올려진 하중이 그대로 유지된다.
체인 피더 chain feeder 입경(粒徑)이 큰 골재 등을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장치. 회전하는 드럼에 중량이 큰 체인을 감아 걸어 저장통의 출구로 늘어뜨리고 원석의 흐름을 억제하면서 체인의 이동으로 적량을 송출하는 피더. 부순돌 플랜트에서는 그리즐리(grizzly)로 선별된 골재를 벨트 컨베이어로 보내는 공급 장치로서 사용한다. - plate feeder, grizzly
체인 호이스트 chain hoist 넓은 의미로는 체인 블록, 좁은 의미로는 전동기로 움직이는 체인 블록을 말한다.
강측 (降測) chaining downhill 경사지의 거리 측량 방법의 하나로, 경사면을 내려가는 방향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등측(登測)보다 작업이 용이하며 정밀도도 좋다. - chaining uphill
등측 (登測) chaining uphill 경사지의 거리 측량을 할 경우에 상향 물매의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 등측에서는 폴을 연직으로 세워 지상의 점과 줄자의 기점을 일치시킨다. - chaining downhill
쇄선 (鎖線) chain line 선의 일종으로, 단쇄선과 복쇄선이 있다. 단쇄선은 파선 사이에 점이 하나 들어가서 기둥, 벽의 중심선 혹은 평면의 절단 개소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복쇄선은 파선 사이에 점이 2개 들어 있다.
병렬 리벳 이음 (竝列-) chain riveting 다열 리벳 이음의 한 방식. 게이지를 리벳 경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체인 톱 chain saw 사슬 모양으로 된 톱니를 장원형의 강판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착하고, 이것을 벨트 모양으로 회전시켜 목재 등을 절단하는 기계톱.
수실 조압 수조 (水室調壓水槽) chamber surge tank 댐 수로식 발전소에서 부하가 급변하면 수격압이 압력 수로에 큰 충격으로 전달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 상부와 하부의 수실 및 수직갱으로 이루어지며, 수격압이 흡수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모접기 chamfer 콘크리트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내화, 미관 등을 위해, 밀 거푸집에 3각형의 재료를 못박아 콘크리트 모서리에 면을 만드는 것.
줄눈판 (-板) chamfer strip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면을 취하기 위해 거푸집에 사용하는 3각 기둥형의 막대.
샤모트 chamotte 내화 찰흙을 구워서 가루로 한 것. 샤모트라고 불리는 내화 벽돌의 재료, 혹은 내화 벽돌 쌓기 줄눈 재료로서 쓰인다.
샤모트 벽돌 (-壁-) chamotte brick 샤모트에 내화 찰흙을 가하여 소성한 보통의 내화 벽돌. 내화도는 1,690 ~ 1,750 도씨이다. = grog brick
설계 변경 (設計變更) change of design 일반적으로 이미 계획된 설계에 대한 부분적인 변경을 말한다. 발주자 또는 도급인이 제시하며, 발주자가 합의한 도급 계약 내용과 다른 공사 내용, 공사 착수의 시기 및 공사 완성의 시기 등이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계약 변경이다.
설계 변경 (設計變更) change of order = change of design
도류로 (導流路), 수로 (水路), 관거 (管渠) channel (1) 주로 비주류의 좌우 회전 교통을 위한 주행로에서 노면 표시, 연석(緣石, curb)등 연취(緣取)에 의해 독립한 차도 또는 차선을 만든 것. (2) = waterway (3) = pipe
구형재 (溝形材) channel bar 단면이 구형(다자형)인 재. 구형강은 이 종류의 하나이다.
채널 볼트 channel bolt 훅이 붙은 볼트. 철골 구조의 마감재를 단단히 체걸하는데 사용한다.
도류화 (導流化) channelization 평면 교차점에 있어서 직진 및 좌.우화전의 교통을 도류도(導流島)나 노면 표시의 설치에 의해 안전하고 적절하게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도류식 교차점 (導流式交叉點) channelized intersection 교통도(특히 導流島)를 설치하고 교통을 일정한 진로로 안내하여 처리하는 형식의 평면 교차점.
도류도 (導流島) channelizing island 도로 교통의 일부를 일정한 경로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차도 내에 만든 교통도(交通島). - channelized intersection, channelization
하도 (河道) channel of stream - river
하도 계획 (河道計劃) channel planning 개수 대상 구역에서 고안된 계획 고수 유량 이내의 크기 흐름을 필요한 안정성으로 항상 수용할 수 있고, 또한 가장 경제적으로 안정된 하도를 계획하는 것. 이 계획의 요소로는 계획 고수위, 하도의 종단 형상. 횡단 형상. 제방 단면 형상 또는 여유교 등이 있다. 이들 요소를 계획 고소 유량, 기본 고수를 중심으로 상호 관련시키면서 계획 검토한다.
하도 강수량 (河道降水量) channel precipitation - component of runoff, run-off
홈형강 (-形鋼) challel steel 홈형의 단면을 한 구조용 강재로, 형강의 일종.
하도 저류량 (河道貯溜量) channel storage 강의 구간을 나눌 경우 그 구간 내에 있는 수량.
수로식 발전소 (水路式發電所) channel type hydro electric power station 하천으로부터 취수한 물을 완만한 물매의 수로에 의해 하류로 유도하고, 하천과의 사이에 생긴 낙차를 이용하는 발전소로, 하천의 상.중류부의 하천 물매가 급한 장소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상류로부터 취수 댐, 취수구, 침사지, (무압)도수로, 수조(헤드 탱크), 수압 관로, 발전소, 방수로, 방수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generating electricity by water power
주택지 특성 (住宅地特性)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주택의 종류, 밀도, 주환경의 질 등의 물적 특성, 거주자의 연령 구성, 직업 등의 사회적 특성 등에 의해 형성되는 주택지의 성격을 말한다. =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특성값 (特性-) characteristic value for correction 정밀한 거리 측정을 할 때에는 장력, 온도 및 측정 방법 등을 일정하게 하고, 표준 길이와 비교 검정함으로써 그 줄자의 오차를 구해 측정 결과를 보정한다. 이 보정값을 특성값 또는 척상수(尺常數)라 한다.
전하 (電荷), 충전 (充電) charge (1) 상이한 물질을 마찰하면 서로 음(-), 양(+)의 전기가 발생한다. 이 전기를 전하라 하며, 단위는 쿨롬(C). (2) 축전지 또는 콘덴서에 전하를 축적하는 것.
도로 점용료 (道路占用料) charge for exclusive use of road 건설 공사에서 가설 시설의 설치 등을 위해 공공이나 사유의 도로를 사용하는 경우, 도로를 소유 혹은 관리하는 자에게 지불하는 사용료.
충전기 (充電器) charger 축전지(2차 전지)의 충전을 하는 기기. 정류기에 의한 직류 전압을 사용하여 방전 후의 전지에 전압을 가하여 충전을 한다.
샤르피 충격 시험 (-衝擊試驗) Charpy impact test - Charpy value
샤르피 충격값 (-衝擊-) Charpy impact value 새김눈을 갖는 재료에 충격력을 주었을 때 흡수되는 에너지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 재료의 인성(靭性), 취성(脆性)을 나타낸다.
샤르피 값 (- ) Charpy value 노치 메짐성을 시험하는 한 방법. 규정된 절결부를 만든 시험편에 대해 시험기의 핸들을 돌려서 진자 해머를 규정된 각도까지 끌어 올려 놓고 시험편의 절결부를 겨냥하여 진자 해머를 자유 낙하시켜 시험편을 파괴한 후, 잉여의 에너지로 반대쪽으로 튕겨 올라 최대 각도에 이르고 나서 다시 낙하한다. 이 최대 각도로부터 파괴에 소요되었던 에너지가 환산되는데 이 값을 샤르피값이라 하며, 이 값이 클수록 노치 메짐성이 우수하다. 이 시험에서는 V자형 절결부를 사용한 V노치 샤르피 충격 시험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 notch brittleness
즐형 신축 이음 (櫛形伸縮-) chasing expansion joint 신축 이음의 일종으로, 지간(支間) 20m 이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노면상의 주행성을 잘 보호하면서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교체(橋體)의 교축(橋軸) 방향 변형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빗 모양을 이루는 양쪽의 두꺼운 판이 서로 물고 있는 구조의 이음이다.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이음 자체는 내구력이 있는 반면, 배면(背面)의 상판(床版), 포장(鋪裝)에 손상이 생기기 쉽고 반복 하중이 빈번한 경우 특히 심하다. 이로 인해 노면상의 차량이 주행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핑거 조인트 라고도 한다. - expansion joint
채터 바 chatter bar 자동차 전용 도로나 일반 국도에서의 대면 통행 구간의 센터라인 상, 혹은 대면 통행에서 2차선으로 바뀌는 구간의 측선상에 설치되는, 고강도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띠 모양의 것. 대면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성 확보 등에 효과가 있다.
갈림, 건조 갈림 (乾燥-) check 목재의 건조 등이 원인으로 갈라지는 것을 말한다. = shake
체크 앤드 밸런스 check and balance 특정 부문에 힘이 집중하는 것을 피하고, 서로 억제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
검기선 (檢基線) check base line 3각 측량에 있어서 기선을 기초로 하여 3각망 또는 3각 체인을 확장해 가면 오차가 누적하기 때문에 점검 또는 오차의 처리를 위해 측량한 변을 검기선 또는 체크 베이스라 한다. - triangulation
측량 구멍 (測量-) check boring 실드 노선상의 지상부에서 케이싱 파이프로 보링을 하고, 세그먼트까지 관통시켜 실드 터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구멍.
사방 댐 (砂防-) checkdam 사방을 목적으로 축조되는 댐. 계류를 횡단하여 설치하며 상류로부터의 유송 사력(流送砂礫)을 저류 또는 조절하는 기능을 주로 하는 저사(貯砂) 댐과 하상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유수의 속도를 감소하고 하상(河床)의 침식을 예방하며, 또한 후방에 생기는 퇴적체에 의하여 상부의 산기슭을 고정하고 양안 산중턱의 붕괴를 방지하는 기능을 주로 하는 바닥 다짐 댐으로 나누지만 양자를 동시에 겸하는 경우도 있다.
역류 방지 댐퍼 (逆流防止-) check damper = cackdraft damper
바둑판형 도로망 (板形道路網) checkerboard type of street system 바둑판형으로 대소 도로가 계획적으로 배치되는 방식. = gridiron road system
줄무늬 강판 (-鋼板) checkered plate 강판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마름모꼴 또는 바둑눈꼴 등의 무늬를 돋혀 새김질한 판. 주로 신축 이음이나 계단의 발판 등에 쓰인다. = checkered steel plate
줄무늬 강판 (-鋼板) checkered steel plate = checkered plate
조사 (照査) checking 계획이나 목표가 실제와 차이가 있는지를 조회하는 것. 즉 체크하는 것.
검사선 (檢査線) check line 토지의 측량에 있어서 체인만으로 하는 경우 전구역을 3각형의 집합이 되도록 구분하고 3각형 각변의 길이를 측정하지만 제도 후의 점검을 위해 임의의 대각선 길이를 실측해 놓는다. 이를 검사선 또는 체크선이라 한다.
체크 리스트 check list 조사. 확인. 검토사항 등 대조할 점을 열거한 표.
검도 (檢圖) check of drawing 설계자. 제도자 이외의 사람이 도면의 정확성, 정밀성을 검사하는 것. 도면에는 검도의 날인란을 만들어 조직적으로 검도가 이루어지도록 배려하고 있다.
체크 시트 check sheet 점검. 검사 항목을 미리 기입해 두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양식화된 시트.
체크 밸브, 역지 밸브 (逆止-) check valve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흘리고 역류를 방지한 밸브. 펌프의 토출관 등에 사용된다. 그림은 배관용의 역지 밸브이다.
화학 혼합제 (化學混合劑) chemical admixture 그 계면 활성 작용에 의해서 콘크리트의 여러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합제.
케미컬 앵커 chemical anchor 앵커 종류의 하나. 수지계의 접착제에 의해 볼트를 정착시켜 앵커체로 한다.
케미컬 어세스먼트 chemical assessment 각종 화학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 방지를 위한 환경 조사.
화성 피막 (化成皮膜) chemical conversion coating 금속 표면에 산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에 의해 화학적으로 생성시킨 피막.
약액 주입 공법 (藥液注入工法) chemical feeding method 지반 개량 공법의 하나. 물유리 등의 약액을 지반에 주입하는 공법. 지하수의 물막이나 굴삭면, 터파기 저면의 안정 등 지반의 세기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섬유 (化學纖維) chemical fiber 콘크리트의 보강재로 사용하는 섬유. 비닐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약액 주입 (藥液注入) chemical grouting 주입 공법의 일종으로, 지반 내에 약액을 침투 주입시켜 그 겔(gel)화에 의해 지반의 지수(止水) 또는 강도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주입. 사질토에는 주로 지수를 목적으로 하는 침투 주입을, 점성토에는 강도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맥상(脈狀) 주입을 한다. 댐의 기초 개량 및 실드 공사에 있어서의 침하. 블로 방지, 흙막이의 토압경감 등의 보조 공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입재에는 규산염, 크롬 리그닌, 아크릴 아마이드 등의 계통이 있으며, 시멘트, 벤토나이트, 아스팔트 주입재로 구분된다. 주입법에는 로드 주입, 싱글 스트레이너 주입, 더블 패커식 2중관 주입, 로드식 2중관 한정 주입 등이 있다. 사용하는 약액은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하수 오염의 염려가 없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화학법 (化學法) chemical method 골재가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 속의 알칼리와 잠재적으로 갖는 반응성을 화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시험 용액 중의 알칼리 농도 감소량(Rc) 및 용해 알칼리량(Sc)을 측정함으로써 판정도로부터 골재의 알칼리. 실리카 반응을 추정하도록 하는 비료적 신속한 시험 방법이다.
화학적 산소 요구량 (化學的酸素要求量) chemical oxygen demand = COD
약품 침전 (藥品沈澱), 응집 침전 (凝集沈澱) chemical precipitation 정수장 침전법의 하나로, 수중의 부유물이 미립자로서 양이 많은 경우, 황산 알루미늄 등의 약품을 첨가하여 플록을 형성시키고 응집 작용에 의해 조기에 침전을 촉진하는 방법. 이 방법에는 약품 주입 설비, 응집지(凝集池), 약품 침전지가 필요하다.
케미컬 프리스트레스 chemical prestress 팽창 시멘트를 이용하여 수화 작용과 동시에 콘크리트 내부에 응력이 생기게 함으로써 콘크리트에 서서히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것. - expanding cement
케미컬 프리스트레싱 chemical prestressing 정착구를 부착한 긴장재를 팽창성 콘크리트 내에 넣고, 콘크리트의 팽창을 구속함으로써 긴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화학 처리 (化學處理) chemical purification 화학 약품을 첨가하든가 전기 화학적인 조작을 가하는 등 화학적인 방법을 써서 배수 등을 처리하는 것. 중화, pH조정, 산화, 환원, 응집(침전), 흡착, 이온 교환 등이 있다. = chemical treatment
내약품성 (耐藥品性) chemical resistance 약품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
화학적 퇴적암 (化學的堆積岩) chemical sedimentary 용액 속에서 직접 화학적으로 침전이 되어 형성된 퇴적암으로, 석회암, 차트, 암염(岩鹽), 석고, 적철광. 황철광 등이 있다. - igneous rock
화학적 안정 처리 (化學的安定處理) chemical soil stabilization 일반적으로는 석회나 시멘트 등의 화학적 안정재를 첨가, 혼합하여 흙을 처리하는 것. 약액 주입이나 전기 화학적 처리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약품 용해조 [상수도의] (藥品溶解槽) chemical solution tank 습식으로 약품을 주입할 경우 미리 약품을 물로 용해하여 저장하기 위한 탱크. 탱크의 용량은 예상되는 최고속도에 대한 주입량의 1 ~ 2시간분으로 한다.
정적 파쇄제 (靜的破碎劑) chemical splitting agent 생석회와 같이 수화(水和)에 의해 서서히 팽창하여 힘을 발생하는 파쇄제. 다이나마이트와 같은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나 암석의 파쇄에 이용된다.
약품 처리 (藥品處理), 화학 처리 (化學處理) chemical treatment 오탁 물질을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응집제를 사용한 응집 침전, 오존 산화 처리, 염소 처리법 등. 주로 생물 처리가 어려운 유기, 무기성 물질, 미량 중금 속의 제거에 사용한다.
화학적 풍화 작용 (化學的風化作用) chemicl weathering 산화 작용. 수화 작용. 탄산화 작용 등에 의해 지표 및 지표 부근에 있는 암석의 성분이나 구조에 변화가 생기는 것.
체리 피커 Cherry Picker 터널 공사에서 버력 운반차를 매달아 올려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장치.
수암 (燧岩) chert 주로 잠정질(潛晶質) 석영의 치밀한 집합체로, 95% 이상이 SiO2로 이루어지며 매우 단단하다. 층 모양을 이루는 것과 덩어리 모양을 이루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어린이 공원 (-公園), 아동 공원 (兒童公園) children's park 어린이를 위해 시설된 공원.
어린이 공원 (-公園), 아동 공원 (兒童公園) children's play park = children's park
자토 (磁土), 고령토 (高嶺土) china clay 장석류가 분해되어 알칼리 성분을 상실한 가장 순수한 점토로, 규산 반토를 90%이상 포함한 것. 흰색 또는 회색을 띠지만 대부분은 다공질이며, 철 때문에 적. 황색의 작은 덩어리를 이루고 있다. 도자기 제조용의 원료 점토이다.
활꼴 드릴 chinese drillstock = bow drill
따내기, 깎기 chipping (1) 용접부의 보강성을 제거하는 것. 중요 부재는 치핑한 후 그라인더 다듬질을 한다. 치핑에는 치퍼아크 에어법, 기계 가공 등이 이용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표면을 치핑하는 것이 있다. (2) 콘크리트나 돌 표면의 볼록한 부분이나 불필요한 부분을 정이나 끌을 써서 깍아내는 것.
칩 스프레더 chip spreader 실 코드 또는 머캐덤 공법에서 칩을 노면에 살포하기 위한 기계.
치즐 chisel 철이나 비철 금 속의 홈파기 가공, 절단 가공 등에 사용하는 기계 공구를 말하며, 일종의 끌이다. 평치즐, 케이프 치즐, 치스 치즐 등이 있다.
정다듬 chiseled work = boasted work
정다듬 chisel finish = boasted finish
염화물 함유량 [콘크리트 속의] (鹽化物含有量) chloride content 콘크리트를 비빌 때 콘크리트 속의 염화물 함유량은 현장 배합을 기초로 계산한 경우에 이들 각 재료에서 콘크리트 속에 들어 있다고 생각되는 염화물의 총량을 말한다. 굳은 콘크리트 속에 허용되는 염화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값을 기준으로 한다. [1] 일반 철근 콘크리트 및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속의 전염소 이온 중량을 0.60kg/m3이하. [2] 특히 내구성이 요구되는 철근 콘크리트나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염해(鹽害)나 전식(電蝕)의 염려가 있는 경우 및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경우는 염소 이온 중량을 0.30kg/m3 이하로 한다. 레디믹스트 (ready-mixed) 콘크리트에도 염화물의 양이 규정되어 있다.
염해 (鹽害) chloride-induced corrosion [1] 대기 중의 염화물 이온(Ci-)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중의 철근의 부식. [2] 소금물의 침입이나 바닷바람의 염분 등에 의한 시설이나 농작물 등의 피해. 건축물에서는 강재의 부식이나 송전선의 단락 등이 있다. = salt polution, salt damage
염소 이온 (鹽素-) chloride ion 수중에 용존(溶存)하고 있는 염화물 중의 염소분을 말한다. 생활 배수의 염소 이온의 대부분은 배설물 중의 염화 나트륨에 유래하므로 염소 이온 농도는 오염의 지표로 한다든지, 배수 조성의 추정에 도움이 된다.
염소 소독법 (鹽素消毒法), 염소 처리 (鹽素處理) chlorination 소규모 시설이나 가정에서 샘물을 사용하는 경우 표백분을 물에 녹여 그 포화 용액을 사용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염소 가스를 사용한다. 주입 방법은 염소 가스를 물에 직접 주입하는 건식과 염소 가스를 소량의 물에 녹인 염소수를 주입하는 습식이 있는데 습식이 많이 이용된다. 염소를 물에 가하면 Cl2 + H2O - HClO + HCl 2HClO - O2 + 2HCl 로 되는데, O2는 발생기 산소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며, 이것이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것이다.
염소 요구량 (鹽素要求量) chlorine demand 처리수 등에 주입한 염소가 반응 소요 시간 후에 잔류 염소를 검출하게 되기까지에 필요로 하는 염소량을 말한다. 살균과 유기물 등이 산화에 필요한 염소량과의 합이 된다.
염소 살균 (鹽素殺菌) chlorine sterilization 염소에 의한 상수 또는 하수의 살균을 말한다. 하수에서는 방류 전에 한다. 상수도에서는 염소량은 약 100만분의 2정도이며, 염소의 주입에는 진공식 및 습식이 있다. 소량의 음료수 등의 살균에 표백분을 사용하는 것도 염소 살균이다.
염소 처리 (鹽素處理) chlorine treatment = chlorination
현의 길이 (弦-) chord length 원주상의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
현재 (弦材) chord member 트러스의 상측 및 하측을 형성하는 부재. 상측을 상현재, 하측을 하현재라 한다.
C층 (-層) C-horizon - soil profile
크로마강 (-鋼) chroma steel 약 1%의 크롬과 약 0.8%의 망간의 합금강.
크롬 chrome 광택이 있는 은백색의 단단한 금속. 부식. 마모. 고열에 강하다. 도금이나 철 등의 합금에 이용된다.
크롬 벽돌 (-壁-) chrome brick 산화크롬 산화철계를 주체로 하는 내화 벽돌을 말한다.
크롬 몰리브덴강 (-鋼) chrome molybdenum steel 특수한 합금강으로, 크롬강에 소량의 몰리브덴을 가한 것.
크롬 도금 (-鍍金) chrome plating(gilding) 녹의 방지나 장식을 위해 크롬산의 액에 담가서 쇠의 표면에 크롬산화 피막을 만드는 것.
크롬강 (-鋼) chrome steel 약 1%의 크롬과 약 0.8%의 망간과의 합금강.
슈트 chute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흘려보재기 위한 홈통 모양 또는 관 모양의 용구.
슈트형 홍수토 (-形洪水吐) chute type spillway 댐 부근의 지산 위에 만들어지는 미끄럼대 모양의 홍수토로, 필댐을 건설하는 경우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최상류단에 유입부가 있고 그후 지산의 표면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를 깐 수로 부분이 이어지며, 최하류단에는 감세 장치가 만들어져 있다. 감세 장치를 통한 홍수는 그대로 자연 하천으로 유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퍼릿 아이덴티티 CI = corporate identity
컴퓨터 통합 제조 (-統合製造)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약어. 제조업에 있어서의 전략 정보 시스템으로, 수주, 기술, 생산, 판매 등의 여러 기능을 경영 전력하에 통합하는 정보 시스템.
탄각 (炭殼) cinder 석탄이 타고 남은 것. 경량 콘크리트의 골재로서 쓰이기도 하며, 유황분을 함유하는 것은 철근을 녹슬게 할 우려가 있다.
석탄회 시멘트 (石炭灰-) cinder cement 석탄회를 섞은 혼합 시멘트로, 강도는 바랄 수 없다. = coal ash cement
탄각 콘크리트 (炭殼-) cinder concrete 공업 부산물로서의 석탄각을 골재로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 단위 중량은 1.8t/m3 정도이며 건축물에 사용된다.
윤중제 (輪中堤) circle levee 하천의 넓은 윤중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주위에 만든 제방. 하천의 합류점 부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영향원 (影響圓) circle of influence 우물로부터 물을 퍼올릴 때 주위의 지하 수위가 저하하지만 우물을 중심으로 지하 수위가 변화하지 않는 범위를 반경 R로 그린 원. 영향권의 반경을 정확하게 알기는 곤란하며, 대략 우물 반경(r0)의 3,000 ~ 5,000배 또는 500 ~ 1,000m 정도이다.
파괴원 (破壞圓) circle of rupture 파괴시의 응력 상태 또는 변형 상태를 나타낸 모어(Mohr)의 원.
회유식 정원 (回遊式庭園) circuit style garden 못을 중심으로 그 주위를 산책길에 따라 거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정원.
도통 시험 (導通試驗) circuit test 발파기와 전기 뇌관을 잇는 발파 회로의 저항을 측정하여 발파 모선이나 보조 모선의 단선, 단락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는 통전 시험.
원호법 (圓弧法) circular arc analysis 지반의 미끄럼면이 원호상으로 된다고 상정하고, 사면의 미끄럼 파괴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는 방법. - slope stability
원호 아치 (圓弧-) circular arch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분류한 아치의 하나. 원호상을 한 아치. - segmental arch
원곡선 (圓曲線) circular curve 철도, 도로 등에서 노선의 방향이나 경사가 변화하는 것에 이용되는 곡선의 하나로, 원호에 의한 곡선을 말한다. 수평 곡선에서는 대개 이 원곡선이 이용되고 있다. 원곡선 각부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A=원곡선 시점(BCC), B=원곡선 종점(ECC), C= 곡선 중점(SP), D= 만난점(IP), I= 교각(I), AD, BD= 접선 길이(TL), R= 곡선 반경(R), ACB= 곡선 길이(CL), AB= 현 길이, CM= 중앙 종거(M), DC= 외선 길이 또는 외할(E).
원진동수 (圓振動數) circular frequency 물체의 진동하는 현상이 시간 2파이(sec) 사이에 반복되는 횟수. 각속도라고도 한다.
원형 수준기 (圓形水準器) circular level 원형 유리의 상부 내면을 구면으로 연마하는 것으로, 기포는 원형이다. 경사의 방향을 알아볼 수 있다. - level tube
원형 오리피스 (圓形-) circular orifice - orifice
서큘러 프리스트레싱 circular prestressing 포스트 텐션 공법의 하나. 원통형 구조물의 외주에 강선을 긴장하면서 감아, 콘크리트에 원주 방향의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둥근톱 circular saw 톱의 몸체가 원형이고, 톱니의 열은 원주상에 있는 톱. 제재용으로 사용된다.
둥근 기계톱 (-機械-) circular sawing machine 둥근톱을 가진 목공 기계. 가동 테이블, 조정자, 안전 장치를 갖는 것 까지 있다.
원호 슬립 (圓弧-) circular slip 경사면의 안정 해석시 경사면의 붕괴 형상(슬립)을 원호로 가정한 경우의 슬립을 말한다. 경사면의 붕괴형은 복잡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 해석이 곤란하다. 따라서 [1] 실제의 관측 결과로부터 귀결된다. [2] 복잡한 형을 도입한 결과와 별로 차이가 없다. [3] 해석이 간편하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경사면의 붕괴 형상을 주로 원호로 가정한다. 원호에 의한 해석법은 원호(원형) 슬립(면)법이라 부르며, 일명 수웨덴법이라고도 한다. 원호 슬립을 가정하면 여러 가지 원호 슬립을 그릴 수 있으며, 최소 안전율에 대응하는 것을 임계원이라 한다. 지층이 복잡해도 시행에 의해 안전율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원호 슬립은 어디까지나 가정이며 상황에 따라 다른 슬립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원진동 (圓振動) circular vibration 원궤적을 그리는 진동. - rectilinear vibration, elliptical vibration
도시 (都市) city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활동의 중심이 되는 장소로, 상시 수천 혹은 수만의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가옥이 밀집하며 교통로가 집중하고 있다.
도시 자동화 (都市自動化) city automation 고도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각종 도시 시설의 효율적 관리 운용을 도모하는 것.
도시미 (都市美) city beauty 거리나 공원, 가로수, 강변 등을 인공적으로 손질함으로써 만들어 내어지는 도시 공간의 아름다움.
도시 중심 (都市中心) city center 도심과 같다. 상징적, 지리적, 기타 여러 가지 의미에서의 도시의 중심으로도 사용된다.
도시 기후 (都市氣候) city climate 도시역에 볼 수 있는 독특한 국지 기후. 구축물에 의한 지표면의 개변(改變), 토양 수분의 감소, 인공 배열이나 오염 물질의 배출량 증가에 따라서 형성된다. - urban meteorology
도시 가스 (都市-) city gas 광역 지역 내의 주택. 사무실. 공장 등에 배관 시설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총칭.
표준형 도시 (標準形都市) city of standard urban structure 도시 기능에 의한 도시 분류 중 산업 구조가 전국 도시의 거의 평균을 차지하는 도시.
도시 공원 (都市公園) city park 도시 주민의 야외 레크리에이션의 장인 동시에 도시 환경의 정비, 개선, 재해시의 피난 등을 위해 설치되는 도시 시설. = urban park - natural park
도시 계획 (都市計劃) city planning 도시의 현재에서 장래에 걸친 종합적인 토지 이용 계획. 이를 위하여 토지의 용도 및 용적적인 이용 계획을 근간으로 하여 모든 공공적 시설의 계획, 즉 가로(街路). 철궤도. 공원. 묘지. 상하수도. 소각장 등 제반 시설의 계획이 포함된다.
도시 계획 구역 (都市計劃區域) city planning area 어느 도시의 도시 계획을 세우는 경우 장래의 발전 상황을 보아 각종의 토지 이용이나 시설 계획을 정하는 일정한 구역. 법률적으로는 이 구역 내가 아니면 지역 지구제의 지정, 각종 도시 계획 사업을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행정 구역과 일치하는 것이 많으나, 도시의 세력권이나 발전에 따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도시 계획 제한 (都市計劃制限) city planning control 도시 계획의 결정, 도시 계획 사업의 인가 등 각 단계를 거친 후 그 원활한 실현을 위해 당해 토지에서의 건축 행위를 제한한다든지, 금지한다든지 하는 것.
도시 계획 시설 (都市計劃施設) city planning facilities 도시 계획으로서 결정된 도시 시설. 도시 계획 구역에서는 도로, 공원, 하수도가 대표적 시설이다.
방재 도시 계획 (防災都市計劃) city planning for disaster prevention 이상 재해시에서의 사람들의 안전을 기본 이념으로 하여 종합적인 대책을 검토하는 종래의 것과는 다른 도시 계획.
도시 계획도 (都市計劃圖) city planning map 도시 계획의 입안에 필요한 조사 자료로서의 각종 현황도, 지역 지구나 가로 등의 계획 내용을 나타내는 계획도, 토지 구획 정리 사업 등의 설계도 등을 총칭한다. = town planning map
도시 계획 사업 (都市計劃事業) city planning project 도시 계획으로서 결정된, 도로 공원 등의 도시 시설 및 토지 구획 정리. 시가지 재개발 사업 등 시가지 개발 사업으로 시행의 인가를 받은 사업.
도시 계획 도로 (都市計劃道路) city planning road 국도, 지방 도로 등의 구별과는 별도로 도시 계획 구역 내의 주요 도로로서 결정되어 도시 계획 사업으로서 건설되는 도로.
도시 재개발 (都市再開發) city redevelopment 무계획으로 발전한 시가지를 정비 개발하는 것.
도시 하수로 (都市下水路) city sewer 시가지에서의 빗물을 배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칙으로서 개거(開渠)의 수로. = urban sewer conduit - drain
도시 국가 (都市國家) city state 정치적으로 독립한 도시에 의해 성립하는 국가를 말한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도시 국가가 대표적인데, 이탈리아에서는 후세에도 출현했다.
시가 측량 (市街測量) city surveying 시가지의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가실.상하수도. 도로. 경계선 등의 위치와 크기를 정하기 위한 측량.
시티 터미널 city terminal 공항 또는 버스의 발착장으로, 승차권이나 수하물의 수수 발착 정보 등의 기능을 갖는 것.
급수 인입관 (給水引入管) city water service pipe = branch feed pipe
도심 (都心), 공관 지구 (公館地區) civic center (1) 도시 활동의 중심 시설이 모여 있는 곳. (2) 관공서 등의 공공 건물이 모여 있는 지구.
시빅 디자인 civic design 자연을 포함한 토목 구조물, 토목 시설에 쾌적성이나 생태계를 생각한 질이 높은 공간 조성을 지향한 디자인.
토목 공학 (土木工學) civil engineering 도로. 철도. 교량. 하천. 발전 수력. 항만. 상하수도. 도시 계획 등에 관한 공공 시설의 계획 설계 또는 시공에 관한 학문. 측량학. 구조 역학. 수리학. 토질 역학.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공학. 토목 재료학 등은 그 기초 부문에 해당한다. 또 인접 과학은 지진학. 지질학. 기상학. 해양학. 천문학. 농업 공학 등이 있다.
토목 일식 공사 (土木一式工事) civil engineering work 토목 공작물의 일체를 종합적인 기획, 지도, 조정하에 건설하는 공사를 말한다.
토목 공사 (土木工事) civil engineering works 도로. 철도. 교량. 하천. 발전 수력. 항만. 상하수도 등에 관한 공공 시설이나 구조물을 건설 또는 보수하는 공사.
클래드강 (-鋼) clad steel 강판에 다른 금속판을 압착시킨 것. 예를 들면 강판과 스테인레스판을 압착시킨 스테인레스 클래드강 등.
꺾쇠 clamp 형틀용 강제(鋼製) 배터(batter) 또는 강관 발판의 조립 등에 사용하는 결합용 금속 부품. 직각 교차의 종횡재를 결합하는 고정 클램프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자재(自在) 클램프 등이 있다. 단순히 클램프 또는 긴결(緊結) 공구라고도 한다.
긴결 나사 (緊結螺絲) clamp screw 가동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복축형 트랜싯에는 상부 긴결 나사. 하부 긴결 나사. 연직 긴결 나사가 있다. 상부 긴결 나사는 복축형 연직축의 내축을 외축에 고정하여 수평 분도원의 눈금을 바꾸지 않고 전체를 외축 둘레에 회전시키기 위하여, 또 하부 긴결 나사는 외축을 고정하여 내축을 외축 속에서 회전시켜 수평 분도원의 눈금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연직 긴결 나사는 망원경을 수평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축형 트랜싯 및 레벨의 연직축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어는 것이나 하나의 긴결 나사가 필요하다. 긴결 나사에는 미동 나사가 부착되어 있어 축둘레로 시준선을 조금씩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긴결 나사를 조이지 않으면 그것에 부착된 미동 나사는 유효하게 작동되지 않는다. 고정 나사 라고도 한다.
클램셸 clamshell 양개식(兩開式) 버킷을 붐의 끝에 매달아 낙하, 인양하여 개폐시킴으로써 토사를 굴착하는 기계.
클램셸 버킷 clamshell bucket 붐의 끝에서 클램 셸 버킷을 와이어로 매달고 바로 밑으로 떨어뜨려 흙을 움켜쥐는 굴착기. 깊은 터파기 공사, 흙막이, 버팀목을 대고 있는 경우, 케이슨 내의 굴착 등 중 정도의 부드러운 지반이 굴착에 적합하며, 또 수중의 준설에 사용된다.
그래브 준설선 (-浚渫船) clamshell dredger = grab dredger
클라페이론의 정리 (-定理) Clapeyron's theorem 선형 탄성체에 대하여 외력이 하는 일은 모두 탄성 변형 에너지로서 축적되며, 재하(載荷) 경로와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하는 정리.
클라페이론의 3련 모멘트식 (-三連-式) Clapeyron's three moment equation 연속보나 강접합(剛接合)된 연쇄 부재의 응력 해법에 사용하는 방정식의 하나. 임의의 두 부재 재단(材端) 모멘트와 부재각을 미지수로 한다.
중복파 (重複波) clapotis 반사파와 입사해 오는 진행파가 겹쳐서 만드는 파.
지역 구분 (地域區分) classification area 국토, 지방, 도시 등의 공간 구조의 분석이나 토지 이용 계획의 책정을 위해 동질적. 일체적인 단위 지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 demarcation
도시 분류 (都市分類) classification of city 도시를 그 규모, 발생. 성립 요인, 산업, 기능 등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하는 것, 또 그 분류 결과.
설계 교통량의 구분 (設計交通量-區分) classification of design capacity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의 설계에 사용하는 하중 조건. 설계 기간(원칙으로서 10년)에 있어서의 1일 1방향당의 대형차의 평균 통행 대수에 따라 L(100대 미만), A((100 ~ 250대), B(250 ~ 1,000대), C(1,000 ~ 3,000대), D(3,000대 이상)로 구분.
지목 (地目) classification of land 토지를 1필지별로 주된 용도에 따라 구분한 명칭. 논, 밭, 택지, 목장, 수도 용지 등으로 구분한다.
도로 분류 (道路分類) classification of roads 도로망상의 기능에 의한 도로의 분류. 도시에서는 도시 고속 도로, 주요 간선 도로, 간선 도로, 보조 간선 도로, 구획 도로, 특수 도로 등으로 분류된다.
역별 분별선 (驛別分別線) classification track by destination - classification track by direction
방향별 분류선 (方向別分類線) classification track by direction 조차장(操車場) 등에서 각 방면으로부터 도착한 화차(貨車)를 그 행선에 따라서 예를 들면, A역 이원(以遠)행, B선행과 같이 방향별, 또는 선별로 크게 분류하는 선을 말한다. 이것을 다시 착역별로 세분해서 정리하기 위한 선을 역별 분류선이라 한다.
분급기 (分級機) classifier 입자의 대소나 비중의 대소에 따라 수중에 있어서의 모래의 침강 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이용하여 분급을 하는 기계. 기계적 분급기와 수력 분급기가 있다. 기계적 분급기에는 레이크 분급기, 스파이럴 분급기, 볼 분급기, 드래그 분급기 등이 있으며, 또 엄밀한 분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사이저가 이용된다.
선로 등급 (線路等級) calss of track 철도 선로는 수송량, 열차 속도, 차량 성능, 보수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채용해야 한다.
찰흙, 점토 (粘土) clay 점착성을 가지며 0.005mm 이하의 미세한 광물 입자의 집합체로서 암석 또는 광물이 분해하여 생긴 천연물. 이 광물을 점토 광물이라 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 카올리나이트 : 장석 등이 분해하여 생긴 점토 광물로 이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는 흡수성, 팽창성도 작고 안정한 점토이다. [2] 몬모릴로나이트 : 응회암 등이 풍화하여 생긴 백색의 점토 광물로서 이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는 물을 함유하면 불안정하게 되어 팽창하는 성질이 있다. 벤토나이트액으로서 기초 공사 등에 사용되고 있다. [3] 일라이트 : 몬모릴로나이트와 흡사하지만 몬모릴로나이트에 비해 팽창성이 낮고 마찰 저항은 크다. - soil fraction, bentonite
점토 함유량 (粘土含有量) clay content 흙에 포함되는 입경(粒徑) 5um 이하의 점토의 중량 백분율.
점토 굴착기 (粘土掘鑿機) clay digger 공기 해머에 삽모양의 날을 부착하여 그 가동력으로 점토. 토사 등을 굴착하는 기계를 말한다.
점토질흙 (粘土質-) clayey soil = cohesive soil
점토 그라우팅 (粘土-) clay grouting 물. 점토 혼합물에 의한 그라우팅. 점토로서는 벤토나이트나 물. 점토 시멘트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때 점토(벤토나이트)는 시멘트 입자를 멀리까지 운반하기 위한 활제로서 첨가하는 경우와 혼합물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점토층 (粘土層) clay layer 찰흙에 의해 구성된 지층(地層)으로, 물이 포함되면 점성과 압축성을 나타내고, 유동하는 성질이 있다.
점토 롬 (粘土-) clay loam 흙의 3각 좌표 분류법에 의한 분류명의 하나. 점토질롬이라고도 한다.
점토 광물 (粘土鑛物) clay mineral 찰흙의 주성분을 이루는 광물.
토관 (土管) clay pipe 점토를 주성분 재료로서 소성한 관. 다공질이어서 강도가 작다. 주용도는 배수 또는 관개 수용관. 케이블 보호관. 화학 공업용관 등이다.
하수 토관 (下水土管) clay sewer pipe 하수도에서 택지 내의 배수설비 등 소구경의 경우에 사용되는 찰흙을 소성하여 만든 관.
점토 굴착기(粘土掘鑿機) clay spade = clay digger
점판암 (粘板岩) clay stone 퇴적암(수성암)의 일종. 이판암(泥板岩), 혈암(頁岩)이 더욱 변성된 암석을 말한다. 치밀하고, 단단하며 완전한 판 모양의 조직을 갖는다. 천연 슬레이트는 점판암을 판형으로 쪼갠 것.
점토층 (粘土層) clay stratum = clay layer
바탕 처리 (-處理), 표면 정리 (表面整理) cleaning 강상판 포장에서 접착층의 시공 전에 강상판상의 녹이나 유해물을 블래스트기, 디스크 샌더 등으로 제거 청소하는 작업. 녹이나 유해물이 존재하면 포설시 혹은 공용 후에 블래스터링 현상 등이 생겨 포장의 파괴 원인이 된다. - steel deck surfacing, blistering
클리어런스 clearance 여유 공간이란 뜻으로, 보통 교량의 거더 아래 공간 등을 가리킨다. 거더 아래에는 그 교량 밑을 횡단하는 도로나 철도의 건축 한계에 상당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도로의 경우 차도부에는 높이 4.5m, 보도부에는 높이 2.5m 의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철도의 경우 가공(架空) 전차선에서는 높이 5.05m, 일반의 경우에는 높이 4.9m의 가선(架線) 및 차량 통행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하천에 있어서는 계획 고수위에 계획 고수 유량에 따라 0.6 ~ 2.0m 를 더한 값에 의해 거더 아래에 클리어런스를 정하고 있다. 또한 지하도 등의 내부 공간 단면에 있어서 높이 방향의 값도 클리어런스라 한다.
철근의 유극 (鐵筋-遊隙) clearance of reinforced cement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철근의 조립에서 주근간의 안치수.
차량 접촉 한계표 (車輛接觸限界標) clearance post of tracks 도로의 교차 또는 분기 개소에서 각 선로상에 있는 차량이 다른 노선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계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표지.
클리어런스 시간 (-時間) clearance time 신호 제어에 있어서 차량을 교차점 내에서 일소(一掃)할 목적으로 만든 황색 신호 시간과 전체 적색 신호 시간의 합. 이 값은 차량의 접근 속도와 교차점의 넓이에 따라 다르다.
거더 아래 공간 (-下空間) clear headway under girder 교량 본체의 최하단으로부터 수면 또는 지반까지의 공간. 하천의 경우 계획 고수위 위의 거더 아래 여유 높이가 계획 고수 유량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또 항해 하천이나 해협 등에서는 각각 항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가교 위치에서의 거더 아래 공간을 정해두어야만 한다. 과선교(跨線橋)의 경우는 철도의 건축 한계, 가도교(架道橋)의 경우는 도로의 건축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체(橋體)의 어느 부분도 이 한계를 넘어서서는 안된다. - bridge length, clearance
벌개 제근 (伐開除根) clearing and gruffing 토공의 경우 미리 지표에 있는 나무 뿌리, 초목 등을 불도저나 레이크 도저로 이용하여 제한하는 것.
순경간(純徑間), 경간(徑間) clear span ① 인접하는 교대(橋臺)나 교각(橋脚)의 전면에서 전면까지의 거리. ② 구조물의 지점(支點)과 지점 사이의 부분. ③ 도리의 지점간의 거리. 유효경간, 지간(支間)이라고도 한다.
경간 파이프(徑間-) clear span pipe 산악 터널 등에서 인접하는 동바리공 사이에 넣는 강관으로, 이음 볼트가 인장에 저항하는데 대해 압축력을 받는 강관.
정수 (淨水) clear water 원수를 사용할 물의 수질 기준에 합격하는 수질로 정화하는 것. 일반적으로 양수장에서 침전. 여과. 소독의 3과정을 거쳐 정화시킨다.
클리어 웨어 clear way 항공기가 이륙하는 경우에 바퀴가 지면과 떨어지는 지점으로부터 항공기의 고도가 10.5m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의 중간점까지를 활주로로서 포장하는 것이 안전상 필요하다. 중간점으로부터 그 앞부분은 포장할 필요가 없는데, 이 부분을 클리어 웨이라 한다. 클리어 웨이의 폭은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75m 이상이 필요하다. - stop way
할열성 (割裂性) cleavability 목재가 섬유 방향을 따라 갈라지기 쉬운 성질.
클레비스아이 clevis-eye 인장재의 이음쇠의 하나. U자형 철물의 밑부분에 강봉을 비틀어넣고, 열린 부분에 접합하는 철물을 끼우고 볼트 등으로 죈다. - eye bar
클릭 보어 click bore 래칫 장치에서 송곳을 회전시키는 목공용 구멍뚫는 공구.
클라이언트 / 서버 컴퓨팅 client-server computing 분산 처리 형태의 하나. 계산, 데이터베이스, 프린트, 통신 등의 자원(리소스)을 각각의 서버를 공유하며 그룹 전체의 업무 목적을 분산 처리하는 형태.
기후 (氣候) climate 각각의 토지에 고유의, 정상적인 상탱 있어서의 대기 현상을 종합해서 말한다. 즉 기후는 1년을 통해서 매일의 일기 추이로 대기 현상(한난, 강우, 바람, 습도 기타)은 매년 같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을 통해서 보면 대체로 그 토지 고유의 게절의 추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오랜 세월에 걸쳐서 평균적으로 반복되는 그 토지의 대기 현상의 종합 상태를 말한다.
기후 도표 (氣候圖表) climatic chart 어느 토지의 기온, 강우, 습도 외에 풍속, 풍향 기타의 기후 요소를 표시한 그래프. 이 도표에서 그 토지의 기후나 체감도를 대체로 알 수 있다. 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외에 그리모그래프, hythergraph(월평균 기온과 강우량을 직교축상에 플롯하여 그린 다각형도), thermograh(원주상에 1년의 월일을 매기고,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평균 기온을 취한 극도형) 등이 있다.
기후 인자 (氣候因子) climatic factor 기후 요소의 지리적 분포를 지배하는 원인이 되는 것. 주요 인자는 위도, 해발, 수륙 분포, 해안 거리, 위치, 지형, 해류 등이 있다. 이들 기후 인자와 기후 요수가 여러 가지로 조합되어서 해양, 대륙, 산악, 고산 등의 대기후형이 이루어지고, 소기후에서는 약간의 기후 인자의 차가 문제가 된다.
기후구 (氣候區) climatic province 본질적으로 균질의 기후 특성을 갖는 기후.
기후구 (氣候區) climatic zone = climatic province
극상 (極相), 극성상 (極盛相) climax 어떤 입지에서 어떤 식물 군락이 장기간에 걸쳐 세대 교체를 도모하면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물 군락의 천이의 최종적인 모습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는 고목으로 이루어지는 삼림에서 기후에 의해서만 성립하고 있다고 하는 단극상설(單極相設), 기후 외에 토양이나 지형 조건에 의해서도 성립한다고 하는 다극상설이 있다.
등판 차선 (登坂車線) climbing lane 도로의 종단 물매가 급하고 길게 계속되어 있으면 트럭 등의 중량 차량의 속도가 떨어짐으로써 다른 자동차의 자유로운 통행을 방해하여 도로의 기능이 저하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선을 추가하여 속도가 저하한 차량을 주행하도록 하는데 이 차선을 말한다.
클리모그래프, 기후도 (氣候圖) climograph 어떤 지점의 습구 온도와 습구 또는 기온과 습도의 월별 평균값을 각각 직교축상에 플롯하여 이것을 월별순으로 이어서 얻어지는 12다각형의 기후도. 이 그림의 위치, 기울기 등에 의해 각지의 기후 상황이나 체감도의 대요를 짐작할 수 있다. 또 여기에 운량(雲量), 평균 풍력, 최다 풍향 등을 동시에 도시하는 경우가 있다.
클링커 clinker 시멘트 원료가 회전 가마속에서 소성(燒成)하여 자갈 크기의 덩어리로 되어 가마 아래쪽의 출구로 나오는 것을 말한다.
클링커 clinker brick 벽돌 표면이 고열에 의해 용해될 정도까지 고온으로 소성한 벽돌.
클리노미터 clinometer 수준기와 원주 눈금을 조합한 각도 측정기.
클리노미터 핸드 레벨 수준 측량. clinometer hand level 경사각 측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구. 기포관의 위치에 연직 눈금판과 버니어를 갖춘 핸드 레벨.
클리퍼 clipper 보통 볼트 클리퍼라고 부른다. 어닐링 철선 등의 절단 공구의 일종으로, 절단 전용의 대형 펜치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대형의 것은 전체 길이가 1m를 넘는 것도 있다. 또한 전단날의 교체에는 와이어 로프를 절단하기 쉽도록 날의 한쪽이 반원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것을 부착하는 기구도 있다.
클리핑 clipping CG의 출력시에 필요한 기능의 하나로, 모델링한 형상을 화면 표시하는 경우, 표시 화면에서 벗어난 부분과 벗어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누어서 후자만을 남기는 조작.
폐상 구조 (閉床構造) closed floor 도상(道床)식 구조라고도 한다. 철도교의 플레이트 거더에 있어서 메인 거더 또는 바닥계 위에 두께 7 ~ 8mm 정도의 버클 플레이트(오목판)를 깔고, 다시 그 위에 소정의 방수층, 도상을 놓아 레일을 부설한 구조. - buckle plate, open floor
블라인드 이음, 맞댄 줄눈 closed joint (1) 접합하는 모재의 마구리와 마구리 또는 마구리와 면을 미리 접촉시켜 두고 용접하는 이음. (2) 벽돌, 돌 등을 밀착시켰을 때의 줄눈. = blind joint
무절 링 다월 (無切-) closed-ring dowel 잘린 곳이 없는 바퀴 모양의 접합용 철물.
폐합 트래버스 (閉合-) closed traverse 다각형을 이루는 트래버스. 넓이를 갖는 토지의 골조(骨組) 측량에 3각 측량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나 확정 트래버스에 비해 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폐관 (閉管) closed tube 한 끝이 열리고, 다른 끝이 닫혀 있는 단면이 일정한 관.
밀폐형 실드 (密閉形-) closed type shield machine 커터 디스크 후방에 격벽을 두고, 막장면과 격벽간의 커터 체임버 내를 토사(진흙) 또는 흙탕물을 채우고, 진흙 또는 흙탕물에 필요한 유효 구속력을 가하여 막장의 안정을 도모하는 구조를 한 실드.
클로징 closing 터널의 콘크리트 아치 부분의 라이닝을 하는 경우 아치 꼭대기 방향으로 콘크리트를 채워 가는 것. 특히 아채 꼭대기부의 복공 콘크리트의 뒷면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기 어려운 공극이 남기 쉽기 때문에 공기로 콘크리트를 불어 올려 채워가는 공법이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물막디둑 closing dyke 하천의 지파천(支派川)을 물막이하거나 신천(新川)을 개조함에 따라 구천(舊川)을 물막이할 경우 등에서 구수로를 횡단하여 만드는 둑.
체절제 (締切堤) closing levee 수로의 교체, 지천의 닫음, 댐 축제(築堤)의 물막이 등의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축조하는 제방.
클로소이드 clothoid 곡선 길이에 비례하여 곡률이 증대(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성질을 가진 곡선의 일종. 고속도로의 완화 곡선의 선형으로서 이용된다. 곡선 길이를 L, 곡률 반경을 R라 할 때 RL=A2(일정)의 관계가 있다. A(파라미터)가 커지면 곡선 길이 L에 대해 곡선의 휨은 완만해진다. 나선 곡선의 일종이며, 직선과 원 사이의 완화 곡선만이 아니라 선형 설계의 요소로도 사용된다.
클로소이드 곡선 (-曲線) clothoid curve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반경과 곡선부 시점으로부터의 곡선 길이의 곱이 일정한 곡선. 고속 도로 등의 직선부와 원호부를 잇는 완화 곡선으로서 사용한다.
클로소이드 측설법 (-測設法) clothoid setting method 클로소이드를 노선의 중심선으로 정하는 방법. 주접선으로부터 오프셋에 의해 설치하는 경우 x, y의 값을 단위 클로소이드표의 값을 근거로 구한다. 말뚝 간격은 20m이다. 그 밖에 임의의 현으로부터 오프셋에 의한 설치법, 극각 동경법(極角動徑法), 편각 현장법(偏角弦長法) 등이 있다.
베 줄자 cloth tape 간단한 거리 측정용의 줄자. 마포제(麻布製)로서, 신축 방지를 위해 가는 동선이 들어 있다. 습지대에서의 측정이나, 기선 측정 등의 정밀 거리 측정에는 부적합하다.
클로버형 인터체인지 (-形-) clover-leaf interchange 우회전하기 위한 루프램프(loopramp)와 그 바깥측에 좌회전을 위한 램프를 좌회전 형태로 접속하는 4지(四枝) 교차의 인터체인지.
클러스터 cluster 꽃, 과일 등의 덩어리를 뜻하나, 주택지 계획에서는 일종의 계획 단위를 뜻한다. 그 규모에는 각종의 것이 있으나, 보통은 근린 주거 지구보다 소규모의 한 단지로, 이 주택군을 단위 그룹으로 하여 각종 공동 시설을 배치하고, 각 단위는 각각 간선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스터 분석 (-分析) cluster analysis 대상 혹은 변수를 유사성의 지표에 따라서 여러 개의 집합(클러스터)의 분류. 유형화하기 위한 통계 해석 수법.
클러치 clutch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접속. 차단을 조작하는 장치. 맞물림 클러치, 마찰 클러치, 전자(電磁) 클러치, 유체 클러치 등이 있다.
건설 관리 (建設管理), 공사 관리 (工事管理) CM = construction management
공사 매니저 (工事-) CMR = construction manager
응집제 (凝集劑) coagulant 상수도의 원수 속에 포함된 부유물 중에서 특히 미소한 것이나 비중이 작은 것은 보통의 침전으로는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약품을 첨가해 개개의 입자를 응집시켜 대형화함으로써 침전을 촉진시킨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약품을 응집제라 하며, 주로 황산 알루미늄[황산 반토(磐土)]이 사용된다. 그러나 동절기는 수온이 낮아 물 속의 부유물이 응집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집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활성 규산, 알긴산 소다 등을 첨가한다. 또 물 속의 알칼리 성분이 부족한 경우는 소다회 등으로 알칼리 성분을 보급한다. 이와 같은 약품을 응집 보조제라 한다.
응집 보조제 (凝集補助劑) coagulant aid - coagulant
응고 (凝固), 응집 (凝集) coagulation (1) = condensation (2) 배수 중의 부유물을 응집제 등을 써서 전기적으로 중화시켜 대형화하고, 침전하기 쉽게 하는 것. = coagulation and settlement process
응집 침전법 (凝集沈澱法) coagulation and settlement process 원수(原水)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솜 모양의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침전에 의해 콜로이드상 물질이나 미세한 현탁 물질을 제거하는 물처리 방법을 말한다. = chemical precipitation
약품 침전지 (藥品沈澱池) coagulation basin 정수장에 있어 악품 침전에 의해 형성된 플록을 침전시키는 못. 용량은 계획 정수량의 3 ~ 5시간분, 평균 유속은 40cm/min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못 속의 청소 횟수가 많으므로, 만수상태 그대로 침전물을 제거하는 슬러지 스크레이퍼(클래리파이어)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석탄회 시멘트 (石炭灰-) coal ash cement = cinder cement
이탄 중유(泥炭重油) coal oil mixture 미분세된 석탄을 중량비로 약 50%가 되도록 중유 속에 혼합한 것. 중유만을 사용하기보다 저렴하며, 주로 발전용으로 사용된다. = COM
콜 픽 coal pick 콘크리트를 해체 또는 파괴하기 위한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한 착암기.
콜 픽 해머 coal pick hammer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량 소형의 착암기. 단지 픽이라고도 한다.
콜타르 coal-tar 석탄으로부터 가스 또는 코크스를 제조할 때 고온 전류시 얻어지는 부산물. 비중 1.0 ~ 1.3. 흑색의 액체. 자갈. 부순돌층의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정제하여 포장용 타르를 얻는다.
시 더블류 엠 coal water mixtrue = CWM
굵은 골재 (-骨材) coarse aggregate 천연 자갈과 인공 쇄석으로 5mm의 체에 90%(토목에서는 85%) 이상 남는 콘크리트용 골재. 건축에서는 25mm 이하의 굵은 골재를 사용한다.
조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組粒度-) coarse-graded asphalt concrete 굵은 골재, 잔골재, 필러 및 아스팔트를 사용한 포장용 가열 혼합제로, 그 합성 입도에 있어서 2.5mm 체 통과분이 20 ~ 35%인 것을 조립도, 통과분이 35 ~ 50%인 것을 밀립도, 50 ~ 80%인 것을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라 한다. 일반적으로 조립되는 기층에, 밀립도와 세립도는 표층에 사용된다. - asphalt concrete
조립토 (組粒土) coarse grained soils 비교적 거친 흙입자를 많이 포함하는 흙. 흙의 통일 분류법에서는 200번(74#)체 통과량이 절반 이하의 것을 말하며, 이것을 다시 주로 입도에 따라 8종으로 세분한다.
굵은 모래, 조사 (粗砂), 왕모래 coarse sand 입도(粒度)가 거친 모래.
거친 스크린 coarse screen 일반적으로 유효 간격 25mm 이상의 스크린을 말한다.
거친 타르 coarse tar 석탄이나 목재를 건류(乾留)하여 만드는 흑색의 오일 모양의 액. 타르를 도포하면 방수 효과가 크다.
해안 (海岸) coast 육지와 바다가 서로 접하는 지대. 해안 공학에서는 해안 단면을 그림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후빈(後濱)은 전빈(前濱)으로부터 사구대(砂丘帶) 또는 절벽 등의 전면까지를 말하며, 폭풍시 큰 파도의 작용을 받는 부분이다. 전빈(前濱)은 평균 간조면 해안선보다 안쪽, 평균 만조위 부근에서 보통의 파도가 거슬러 올라오는 범위 정도까지를 말한다. 외빈은 평균 간조 정선에서 수심 10m 정도까지의 범위를 말하며 이 부분에 사퇴가 있고, 파도가 부서져 쇄파대가 생긴다. 이 부분에 사퇴(砂堆 : sandbank) 및 사지대(砂地帶)가 있다. 충빈(沖濱 : offshore) 은 수심 10m가 넘는 바다쪽을 말한다. 여기서는 쇄파(碎波)가 생기지 않는다. = beach - shore line
해안 단구 (海岸段丘) coastal terrace 해안선을 따라서 해성(海成)의 평탄면(단구면)이 계단 모양으로 분포하는 지형.
호안제 (護岸堤) coast levee 간척지와 같이 항상 해수면이 낮은 장소 또는 보통때와는 다른 높은 파도일 때 물에 잠기는 장소에서 해안을 따라 설계되는 제방.
침강 해안 (沈降海岸) coast of submergence 주로 지반 운동에 의하여 해수면을 기준으로 침강된 침수 해안(육지가 침강 또는 수면이 육지에 대하여 상승하기 때문에 생긴 해안 지형을 말한다. 지각 운동인 증거가 없는 한 지형상으로 구별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깊숙히 파고들어간 만의 맨 끝을 말하며 육지의 하곡은 그 하류부가 바다 가운데에 매몰되고 그 해저에는 익곡이 형성된다.
해안 사방 (海岸砂防) coast sand dune fixation 해변의 모래가 바람으로 인해 날아가 하천 바닥 내에 퇴적하여 하구를 막아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
피복 아크 용접봉 (被服-鎔接棒) coated electrode 수동 피복 아크 용접에 사용하는 용접봉으로, 금속 심선의 둘레에 피복재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보통 한쪽 끝이 홀더에 의해 전류가 흐르도록 25mm 정도 노출되어 있으며,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고장력강용 아크 용접봉 등이 있다.
피복 아크 용접봉 (被服-鎔接棒) coated welding rod 아크 용접에 사용하는 용접봉의 하나. 용접봉 심선 주위에 피복재를 칠한 금속봉. 피복재 모재의 재질 등에 따라 종류가 다르다. 이것은 아크의 안정, 실드, 화학 야금 반응의 촉진 등에 도움이 된다.
코팅 강관 (-鋼管) coating steel pipe 강관의 표면을 방식(防蝕)할 목적으로 수지나 도료로 피복한 것.
호박돌, 잡석 (雜石) cobble = cobble stone
호박돌 콘크리트, 잡석 콘크리트 (雜石-) cobble concrete 직경 15 ~ 7.5cm 의 호박돌을 혼입한 콘크리트.
호박돌, 잡석 (雜石) cobble stone 자갈보다 크고, 호박돌보다 작은 것으로, 10 ~ 15cm 정도의 것. 대량 콘크리트의 골재, 뒤채움재, 기초 밑의 펴고르기재로서 사용한다.
호박돌 쌓기 (玉石-) cobble stone masonry 호박돌(15 ~ 30cm의 구형 또는 원형의 돌)을 쌓아올린 것. 낮은 축벽 등에 이용되는 공법이다.
코볼 COBOL Common Business Oriented Language의 약어. FORTRAN이 기술 계산용 언어인데 대해 사무의 데이터 처리에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화학적 산소 요구량 (化學的酸素要求量) COD 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어. 오염 물질 특히, 유기 물질량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 산화제(과망간산 칼륨)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산화제 농도, 접촉 시간 및 온도)에서 환원성 물질을 분해시켜 소비한 산소량을 ppm으로 표시한 것으로, BOD가 보급되고 나서는 참고 정도로 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코드 캘리브레이션 code calibration 구조 설계 규준에서 설정되어 있는 안전성이나 사용성의 정도를 다른 규준간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
공사 청부 계약 약관 (工事請負契約約款) code of contract 청부 계약의 내용에 대해서 상세한 규정을 정한 서류.
공동 처리법 (共同處理法) co-disposal 액체의 산업 폐기물을 가정의 폐기물과 같은 매립지에서 처분하는 방법. 가정의 폐기물은 액체를 흡수하기 쉬운데서 생각해낸 처리법이지만 비판도 있다.
접근 계수 (接近係數) coefficient of accesibility 노선가(路線價)를 구성하는 계수의 하나. 지가(地價)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 시설과 부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산정된다.
주동 토압 계수 (주동토압계數) coefficient of active earth pressure 주동 토압의 연직 압력에 대한 비를 말한다. - Coulomb's eath pressure theory
지지력 계수 (支持力係數) coefficient of bearing capacity 말뚝. 케이슨 등의 극한의 지지력을 산출하기 위한 계수. 지반의 점착력, 흙의 단위 체적 중량, 내부 마찰력 등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압축 계수 (壓縮係數) coefficient of compressibility 압밀 시험에서 하중의 증가에 대한 간극비 감소의 비율. 단위는 cm2/g이다. 시료에 가해져 있던 압력이 P1에서 P2로 되었을 때 간극비도 e1에서 e2로 감소되었다고 하면 압축 계수 av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집중 계수 (集中係數) coefficient of concentration - live load
압밀 계수 (壓密係數)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압밀 진행의 속도를 나타내는 상수. 체적 압축 계수 mv 와 투수 계수 k 를 써서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Cv = k/ywmv
수축 계수 (收縮係數) coefficient of contraction 오리피스 등에서 유출하는 물의 가장 축소된 부분의 단면적 a0 와 유출구의 면적 a 와의 비 a0/a.
크리프 계수 (-係數) coefficient of creep - creep
곡률 계수 (曲率係數) coefficient of curvature 흙의 입도 시험에서 얻어지는 입경 가적 곡선(粒徑加積曲線)의 통과 질량 백분율이 10%, 30%, 60%의 입경을 각각 D10, D30, D60 으로 했을 때 U'c = (D30)2/D10. D60으로 나타내어지는 계수. 일반적으로 U'c = 1 ~ 3 인 경우는 입도 분포가 좋다.
유량 계수 (流量係數) coefficient of discharge 오리피스(orifice)나 둑으로부터 유출량을 구할 때 이론값에 대한 보정량을 말한다.
토압 계수 (土壓係數)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벽체의 배후에서 지표면으로부터의 어떤 깊이 z 의 저점에는 수직 압력 pv 와 수평 압력 ph 가 작용하고 있다. 이 압력의 비 ph/pv 를 토압 계수라 하고, K로 표시한다.
정지 토압 계수 (靜止土壓係數)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정지 토압과 흙덮이압(모두 유효 응력)과의 비. 흙이 움직인다든지 하지 않고 정지 상태에 있을 때의 토압 계수. - earth pressure at rest
신장률 (伸張率), 팽창률 (膨脹率) coefficient of extension (1) 재료의 인장 시험에서 표점간 거리의 신장을, 원래의 표점간 거리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2) 일정한 압력하에서 물체가 팽창할 때 원 체적 또는 원 길이에 대한 체적 또는 길이의 단위 온도당으로 팽창하는 비율. 일반적으로는 체적 팽창률을 말하며, 길이에 대한 경우는 선팽창률이라 한다.
유속 계수 (流速係數) coefficient of flow velocity 오리피스 등을 통하는 유체가 그 단면 형상 등의 특성에 의해서 받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평균 유량을 구하는 실험식, 실용식에 사용하는 비례 상수.
마찰 계수 (摩擦係數) coefficient of friction 하나의 물체가 다른 물체의 면에 따라 운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 또는 운동을 계속하고 있을 때 양 물체의 면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운동을 저해하려고 하는 힘(마찰력)의 대소를 보여주는 계수. 접촉면 면적의 대소에는 관계가 없고, 양면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물체와 면 사이의 마찰 계수를 u 라 하면 u > F/N 일 때 정지한다. [정마찰 계수] 물체가 정지 상태에서 미끄러지려고 할 때의 마찰 계수 u1, [동마찰 계수] 물체가 미끄러지고 있을 때의 마찰 계수 u2(<u1).
마찰 손실 계수 (摩擦損失係數) coefficient of frictional loss 물과 벽면의 마찰에 의해 잃게 되는 에너지를 수두(v2/2g) 의 비율로 나타낸 값. 기호 f. 관로의 경우 벽면이 거칠수록 커진다. 그 결과가 동수 구배의 크기로 되어 나타난다.
수평 지반 반력 계수 (水平地盤反力係數) coefficent of horizontal subgrade reaction 지반의 수평 방향력에 대한 지반 반력 계수. 말뚝의 수평 재하(載荷) 시험 또는 보링 구멍 내 수평 재하 시험 등으로 얻어진다.
침투 계수 (浸透係數) coefficient of infiltration 다르시의 법칙 v = k (# h/l)에 있어서 k를 말한다. 여기에서 v : 지하수의 유속, #h/l : 동수 경사. 침투 계수는 자갈 입자의 크기. 모양. 혼합 비율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수이며, 공극이 크고 침투가 용이하면 큰 값으로 된다.
영향 계수 (影響係數) coefficient of influence 지면에 작용하는 집중 하중에 의하여 생기는 땅 속의 수직 응력을 구할 때의 계수.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를 z, 수평 거리가 r 인 지점에서의 수직 응력을 *z 라 하면,
동점성 계수 (動粘性係數) coefficient of kinematic viscosity 점성 계수 u와 밀도 p의 비. v=u/p. 단위는 보통 cm2/s 를 사용하는데 이 단위를 스토크스라고도 한다. 물의 동점성 계수는 1기압 20도씨 에서 v=0.0101cm2/s 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동마찰 계수 (動摩擦係數)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한 물체가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하여 운동하고 있을 때 그 운동을 방해하려고 하는 힘(동마찰력)의 그 면에 수직인 반력(反力)에 대한 비.
측압 계수 (側壓係數) coefficient of lateral pressure 측압을 나타내는 계수. 토질과 지하 수위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등치 환산 계수 (等値換算係數) coefficient of layer equivalency 아스팔트 포장의 구조 설계시, 각 구성층의 두께가 표층용, 기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한 층의 몇 cm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선팽창 계수 (線膨脹係數)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온도가 1도씨 변화할 때 봉 길이의 신축량을 원래의 길이로 나눈 수치. 이것을 a 라 하면, a = #l/l. 1 / t2 - t1 철강에서는 보통 11.7 * 10-6 정도이다.
세로 미끄럼 마찰 계수 (-摩擦係數) coefficient of longitudinal sliding friction 타이어와 노면 진행 방향의 마찰 계수. 정지 시거(視距)를 산정할 때 필요하다.
수동 토압 계수 (受動土壓係數) coefficient of passive earth pressure 수동 토압인 경우의 계수. 흙덮이압과의 곱이 수동 토압이 된다. - Coulomb's earth pressure theory
투수 계수 (透水係數) coefficient of permeability 단위 동수 구배(i = 1)에서 단위 시간에 흙의 단위 단면적을 흐르는 수량. 단위 cm/s. 흙 속을 흐르는 물의 통과 용이성을 보여주는 수치로서 모래의 투수 계수는 점토와 비교하여 크다.
압력 손실 계수 (壓力損失係數) coefficient of pressure loss 관 속을 흐르는 유체에 벽면 또는 저항체에 의해서 압력 손실이 생길 때의 압력 손실 #P는 #P = &/pv2 /2 로 나타내어지며, 계수 &를 압력 손실 계수라 한다. 여기서 v : 관 속 등의 평균 유속, p : 밀도 (kg /m3).
저항 계수 (抵抗係數) coefficient of resistance 안지름 d 인 관내에서 길이 l 사이의 손실 수두 h1 은 h1 = f* l /d * v/2g (v : 평균 유속, g : 중력 가속도) 로 나타내며, f 는 레이놀즈수와 관계된다. 이 f 는 관의 마찰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이며, 저항 계수라 한다. 저항 계수는 레이놀즈수가 작은 층류의 범위에서는 레이놀즈수에 반비례하고, 레이놀즈수가 클 때에는 관의 거칠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일정값이 된다.
강도 (剛度) coefficient of rigidity = relative stiffness, stiffness factor
하상 계수 (河狀系數) coefficient of river regime 하천의 최대 유량과 최소 유량의 비. 이 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평균적으로 유량이 일정함을 의미하며 양호한 하천이라 할 수 있다.
조도 계수 (粗度係數) coefficient of roughness 매닝의 평균 유속 공식에서는 평균유속 vm은 vm = (1 /n) R2/3I1/2 [R : 경심(徑沈), I : 동수 구배 또는 수면 구배] 로 표시된다. n은 수로를 구성하고 있는 벽면의 성질에 의해 결정되며 조도 계수라 한다. 콘크리트 터널의 경우 양호한 콘크리트이면 n = 0.011 ~ 0.014(m-1/3 * s에서 여러 가지 관의 상태에 대해 경험적으로 n값이 구해지고 있다. 메닝의 조도 계수, 쿠터의 조도 계수라고도 한다. - Manning's formula
미끄럼 계수 (-係數) coefficient of slip 고력(高力) 볼트 마찰 접합에서 접합재의 접촉면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하중을 볼트에 도입한 장력으로 나눈, 겉보기의 마찰 계수.
지반 반력 계수 (地盤反力係數) coefficien of subgrade reaction 지반의 단위 면적당 스프링 상수를 나타내는 양(kg /cm3). 지반의 스프링 상수에 대응한 계수.
저류계수(貯溜係數) coefficient of storage 대수층의 단위 표면적당, 단위 수두당의 저류수의 용량. 혹은 지하 수위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자유 수면 부근의 흙의 저류수의 변화량 = storage coefficient, storativity
열전도율(熱傳導率) coefficient of thermal conductivity 열을 얼마나 전하기 쉬운가를 나타내는 수치로, 단위 온도 물매당 이동하는 열량의 크기. = heat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변동 계수 (變動係數) coefficient of variation 변동의 표준 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양.
유속 계수 (流速係數) coefficient of velocity 이론적인 유속과 실제 유속과의 비를 말한다. 이 계수는 각종 손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점성 계수 (粘性係數) coefficient of viscosity 유체의 점성의 대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점도라고도 한다. 동일 유체에서는 온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체적 압축 계수 (體積壓縮係數) coefficient of volume compressibility 단위 두께에 토층의 단위 응력 증가에 의한 압축성을 나타내는 계수.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수축하는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v : 체적 압축 계수, V : 흙 시료의 체적(cm3), #V : 흙 시료의 체적 변화 (cm3), #p : 압밀 하중의 변화 (kgf /cm3), av : 압축 계수, e1 : 간극비. - e-log p curve
흡수율 (吸水率) coefficient of water absorption 단위 중량당의 흡수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W를 시료의 건조 중량, W' 를 시료를 수중에 담가서 충분히 흡수 시켰을 때의 시료의 중량, A를 흡수율 (%)로 하면 W = W'-W / W * 100
코퍼 댐 cofferdam 하천 공사에서 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막는 것.
탄산 가스 아크 용접 (炭酸-鎔接) CO2-gas arc welding 탄산 가스를 이용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그 속에서 아크 용접을 하는 방법. 이 탄산 가스 아크 용접법은 자동 용접 또는 반자동 용접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 arc welding
코제너레이션 cogeneration 발전에 의해 생기는 배열을 그 지역의 급탕이나 냉난방에 이용하는 등 전기와 열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턱 cogging 목재 접합용 맞춤의 일종 (겹걸침턱).
점착력 (粘着力) cohesion 흙의 전단 강도 s 를 나타내는 쿨롱의 방정식 s = c + p tan @에 있어서 c로 나타내는 부분. 여기서 p는 수직 하중, @는 내부 마찰각을 나타낸다. - Coulomb's formula
점착력고 (粘着力高) cohesion height 내부 마찰각이 0인 점토가 수직 경사면을 이루고 있을 때의 임계 높이.
응집 파괴 (凝集破壞) cohesive failure 주로 접착제 또는 실링재에 의한 접합부에서 접착제 또는 실링재 내부가 파괴되는 현상.
점성토 (粘性土) cohesive soil 공기를 건조할 때 어느 정도의 강도가 있고 물에 적실 때도 상당한 점착력을 나타내는 흙.
코일 타이 coil tie 거푸집에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의 일종으로, 여러 줄의 철선으로 코일 모양의 나사에 용접한 것.
안부 (鞍部) col 2개의 산꼭대기 사이에 끼인 산등성이 선상의 낮은 부분.
콜크리트 colcrete 고속 회전(20,000rpm 이상)하는 믹서에 의해 충분히 유동성이 있는 콜로이드상의 모르타르를 만들고, 이것을 먼저 넣은 자갈 사이에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 주입 콘크리트의 일종. 영국의 J.S. 모건의 발명.
상온 공법 (常溫工法) cold application 주로 방수층의 시공에서 열을 사용하지 않는 공법의 총칭. 좁은 뜻으로는 아스팔트 방수에서 열을 사용하지 않는 공법에 한정되기도 한다.
상온용 포장 타르 (常溫用鋪裝-) cold-applied road tar 상온 또는 100도씨 이하로 가열하여 사용되는 포장 타르. 가열용에 비해 휘발성 분량이 많고 점도(앵글러도)는 낮다. KS에 규정되어 있다.
저온 취성 (低溫脆性) cold brittleness 온도 저하와 더불어 강재(鋼材) 및 용접부의 새김눈(notch) 인성이 저하하여 취성 파괴를 일으키기 쉽게 되는 성질. = lowtemperature brittleness
콜드 체인 cold chain 약 200도씨 이하에서 용접 금속이나 열영향부에 발생하는 균열을 말한다. 루트 균열, 비드 밑 균열, 토크랙(toe crack), 라멜라 티어(lamellar tear) 등이 있다.
냉간 인발 강선 (冷間引拔鋼線) cold drawn wire - cold rolled wire
보냉재(保冷材) cold insulator 저온 저장 탱크에서 저장물의 온도의 일산(逸散)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 1중각 구조의 탱크인 경우는 바깥 주위에 경질 우레탄을 사용하지만 2중각 구조인 경우는 입상(粒狀) 펄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 cold reserving material
콜드 조인트 cold joint 댐의 콘크리트는 각 블록마다 1 리프트씩 타입되어 간다. 이 경우 버킷으로 운반된 콘크리트는 인접한 콘크리트가 아직 굳기 전에 인접한 콘크리트와 함께 진동기로 다지는 것이 보통이다. 인접한 콘크리트가 이미 굳기 시작한 경우는 새로 운반된 콘크리트와 인접한 콘크리트의 접촉면을 콜드 조인트라고 한다. 콜드 조인트의 발생은 피해야 한다.
상온 포설식 혼합 (常溫鋪設式混合) cold-laid plant mix 상온에서 깔아 다짐까지를 실시하는 혼합물의 플랜트 혼합. 이것에 이용되는 역청 재료는 아스팔트 유제, 컷백 아스팔트 등이다.
상온 혼합식 공법 (常溫混合式工法) cold mix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역청재가 상온 또는 상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액상이므로 그것을 골재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공법.
상온 침투식 머캐덤 공법 (常溫浸透式-工法) cold penetration macadom 액체 아스팔트를 상온 또는 그것에 가까운 온도로 살포 침투시키는 아스팔트 머캐덤 공법을 말한다.
냉간 압접 (冷間壓接) cold pressure welding 알루미늄과 같은 금 속의 접합 표면을 완전히 깨끗하게 하여 맞추고 특수한 장치 속에서 압력을 가하여 상온에서 하는 용접.
전조 나사 (轉造- ) [PC강봉의] cold-rolled screw PC강봉은 일반적으로 그 단부에 나사부를 새기고, 긴장 후에 그 나사와 너트에 의해 정착시킨다. 나사를 절삭하면 응력 계산에 사용되는 강봉의 단면적은 모재의 지름보다 작은 골( ) 지름에 의해 결정되어 비경제적으로 되기 때문에 냉간에서 롤링하여 나사를 낸 전조 나사를 사용하여 유효 지름을 PC강봉의 실제 지름으로 하고 있다.
냉간 압연 강선 (冷間壓延鋼線) cold rolled wir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강선의 제조법에 의한 명칭. 냉간 압연 강선은 냉간에서 롤을 사용하여 수회에 걸쳐 압연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가공한 것이며, 냉간 인발 강선은 냉간에서 수회에 걸쳐 다이스를 사용, 인발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만든 거스로, 어느 것이나 소재는 고탄 소강이다.
콜드 소 cold saw 강재를 절단하는 기계. 주로 강재 중 형강 등의 소물류를 절단하는 데 사용되는 톱 절단기. 콜드 소는 열 처리를 한 강재 원판에 날을 붙인 톱을 원주 속도 20m /min 정도의 느린 속도로 회전시켜 절삭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면은 아름답고 정밀도도 좋으나 절단 속도가 느려 능률이 나쁘다.
한랭지 (寒冷地) cold temperature area 일반적으로 여름이라도 기온이 낮은 고위도 지방이나 고산지를 말한다.
한중 콘크리트 (寒中-) cold weather concreting 일평균 기온이 4도씨 이하로 떨어질 것이 예상될 때는 한중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한중 콘크르트의 기본은 초기 동해(凍害)의 방지이며, 이를 위해 적절한 초기 양생의 충분한 계획과 검토가 중요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배합은 일반적으로 AE제 및 AE감수제를 사용한다. -early curing
냉간 가공 이형 봉강 (冷間加工異形棒鋼) cold worked deformed bar 열간 가공된 이형 봉강을 저온(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인장하거나 비틀어서(냉간 가공) 경도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 것.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이 줄어 깨지기 쉽게 된다.
냉간 가공 (冷間加工) cold working 강철을 720도씨(재결정 온도) 이하로 가공하는 방법. 이 가공법에서는 강철의 조직은 치밀하나, 가공도가 진행할수록 내부에 변형을 일으켜 점성을 감소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 200 ~ 300도씨 부근에서는 청열 취성(靑熱脆性)으로 되므로 가공을 피한다. 경량 형강 등은 이 방법에 의해서 성형된다. - hot working, light guage steel
대장균군 (大腸菌群) [수질 시험의] coliform group 수질 시험에서 세균학적 시험의 하나. 대장균은 장내에 있는 균이지만 대장균군은 대장균과 아주 흡사한 성질을 가진 세균의 총칭이다. 전염병 환자의 변속에는 병원균과 대장균군이 함께 있지만 대장균군이 있으면 항상 병원균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물 속의 병원균을 직접 검사하는 것은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검출이 용이한 대장균군을 조사하여 만약 대장균군이 있으면 병원균으로 오염되었다는 의심이 있는 것으로 본다.
붕괴 (崩壞) collapse [1] 외력의 증가없이 구조물의 변형이 갑자기 증가하는 상태. [2] 건물이 파괴하여 무너져 내리는 것.
붕괴 하중 (崩壞荷重) collapse load 소성 흐름이 생기는 데 충분한 수의 항복 힌지 혹은 항복선이 생겨서 불안정하게 된 상태를 붕괴라 하고, 그 시점에 작용하고 있는 하중을 붕괴 하중이라 한다. - ultimate load
붕괴 기구 (崩壞機構) collapse mechanism 항복 힌지 혹은 항복선이 발생하여 불안정 상태로 되어 있는 구조(뼈대나 평판)를 말한다.
붕괴 모드 (崩壞-) collapse mode 불안정 상태에 있는 붕괴 기구의 구조물이 운동을 일으킬 때의 모드.
도괴율 (倒壞率) collapse ratio 지진 등의 도시 재해에서 도괴한 구조물이 전 구조물수에 차지하는 비율.
칼라 collar 관과 관의 이음에 사용하는 강철로 만든 고리 모양의 것으로, 단면은 T자형. 지수용(止水用)의 고무 고리를 병용한다.
칼라 빔 collar beam 퀸 포스트 트러스의 상부에 있는 수평재.
칼라 브레이스 collar brace 구조물 높이의 기준이 되는 목재. [1] 막대형으로 나무 말뚝에 수평으로 댄 가로대. [2] 목교 교각 등의 병렬 기둥을 잇는 수평재.
칼라 이음 collared joint 접속환(칼라)을 사용하고 컴파운드라고 하는 된반죽의 모르타르를 채운다. 이것이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누수가 생기지 않는다.
칼라 이음 collar joint 석면 시멘트나 철근 콘크리트제 관 이음의 일종. 관과 관을 맞대어 바깥쪽에서 약간 큰 지름의 고리를 이음 부분에 씌운다.
배수 면적 (排水面積) collected area 하수도에서 하수량 산축의 기초가 되는 면적. 어느 배수 계통에서의 빗물 또는 오수가 흘러드는 구역의 면적을 말한다. = drainage area
집수거(集水渠) collecting channel 지하수를 모아 배수로로 흐르기 쉽게 한 구조의 암거. 집수부는 섶, 다공질 콘크리트관 등으로 이루어지며, 밑 부분은 누수 방지를 하고, 집수부 주위는 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쇄석이나 섶을 둔다.
집수 암거 (集水暗渠) collecting conduit 지하수공의 일종. 지하수가 풍부한 하천부지 부근 또는 선상지 등의 지하에 유공 파이프 또는 집수에 적합한 단면의 암거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모으는 시설.
집합 우물 (集合-) collecting well 여러 개의 취수관으로부터의 물을 한 곳에 모아 상류로 보내기 위한 접합 우물.
흙 시료의 채취 (-試料-採取) collection of soil sample 지반의 전단 강도나 압축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흙을 채취하는 것.
시준 측량 (視準測量) collimation 구조물의 휨. 변위를 한 눈에 볼수 있는 선을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 3각 측량에 비하여 간단하게 결과를 구할 수 있다. 예컨대, 댐의 휨은 그 거동을 가장 측정하기 쉬운 형태이며,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므로 보수 관리나 시공 관리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망원경을 부동점에 항상 조준해 두고, 접동 표적을 변위하는 구조물 위에 올려놓고 항상 조준 위에 오르도록 조절 측량한다.
시준축 (視準軸) collimation axis 트랜싯의 망원경에 있어서 대물 렌즈의 광심을 통해 수평축에 수직인 선.
콜리메이터 collimator 대물 렌즈의 초점에 빛을 넣는 슬릿(slit)을 놓고 이곳을 통과하는 빛을 평행 광선속(光線束)으로 하는 기계를 말한다. 무한원(無限遠) 광원 장치로서 광학 기계의 제작, 조정에 이용되고 있다.
충돌 하중 (衝突荷重) collision load 입체 교차 등에서 도로상에 있는 교각에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생기는 하중. 교각에 충분한 방호 시설이 있는 경우는 충돌하중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콜로이드 colloid 입경 1m 이하의 흙입자. 주로 흙의 점착성과 흙입자의 결합력에 관계하고 있다. 화학 분야에서는 0.1m 이하의 입자를 가리킨다. - soil fraction
붕적토 (崩積土) colluvial deposit 사면상의 암석 풍화물이 굴러내려 사면 아래쪽에 퇴적한 흙.
침니법 (沈泥法) colmatage 홍수시에 유수와 함께 이토를 경지로 객입하는 토지 개량의 방법.
컬러 시멘트 color cement 백색 시멘트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무기질의 안료를 가하여 여러 가지 색을 붙인 시멘트.
컬러 체크 color check 강재 등의 미세한 균열 특히, 용접 부분의 균열을 조사하는 비파괴 검사법의 하나. 착색된 액을 손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부분에 뿌린 후, 미세한 균열(크랙)에 침투한 액을 스며나오게 하여 손상의 유무를 알아낸다.
컬러 콘 color cone 세이프티 콘과 마찬가지로 교통 규제나 위험 장소의 표시에 사용되는 원뿔형의 보안 용구. 염화 비닐제로 내부에 전등이 들어가는 형식의 것이나, 반사 시트를 감아서 야간의 반사 효과를 크게 한 것이 있다.
착색 시멘트 (着色-) colored cement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에 일광이나 알칼리에 대하여 안정한 안료를 배합하여 착색한 것. 안료에는 산화철계(적 또는 황), 산화 크롬(녹), 울트라마린(청) 등이 있다.
컬러 포장 (-鋪裝) colored pavement 미관상 또는 교통 안전 대책으로 도로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 착색한 포장으로, 착색 포장이라 하기도 한다. 착색에는 유색 골재를 이용한 것과 결합재를 안료로 착색한 것이 있다. 에폭시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며, 유기 안료를 이용하여 착색하는 경우가 많다.
착색 포틀랜드 시멘트 (着色-) colored portland cement - portland cement
비색계 (比色計) colorimeter 주어진 빛의 색 또는 물체의 색을 지정하는 수량을 정하는 기계. 측색계(測色計)라고도 한다.
컬러 시뮬레이션 color simulation 경관중의 특정한 요소에 대하여 색채나 재질을 변화시켜 경관 전체의 조하를 검토하는 수법. 컬러 시뮬레이터를 써서 사진 내에 찍혀진 요소를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것 등.
착색 포장 (着色鋪裝) coloured pavement 거리의 경관을 좋게 하고, 도로의 교차점부, 곡선부 등에서의 차량의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착색한 포장.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안료 혹은 착색 골재를 사용하는 공법 등이 있다.
기둥 column 연직 또는 연직에 가까운 압축재로, 길이가 최소 가로 치수의 3배 이상인 것. 좌굴을 생각하는 장주와 생각하지 않는 단주로 구별한다.
기둥 배치 (-配置) column arrangement 평면 계획 또는 구조 계획에 있어서 기둥의 간격, 배치 등을 정하는 것.
주상 단면 (柱狀斷面) columnar section 지질 단면을 그림으로 나타낼 때에 사용하는 도법으로, 지층의 층서(層序), 포함되는 제반 물질의 상태, 층두께 등을 축척별로 표시한 것. = soil boring log
주각 (柱脚) column base 기둥의 최하부로, 기둥이 받는 힘을 기초로 전하는 부분. 주각의 구조 형식으로는 고정식과 핀식이 있다. 그림은 철골 구조의 주각을 나타낸 것이다.
기둥머리 column capital 기둥의 머리 부분으로, 상부의 하중을 균등하게 기둥에 전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
칼럼 커브 column curve 압축력을 받는 기둥의 좌굴 강도와 세장비(細長比)의 관계를 주는 곡선. 기둥의 단면형, 제조 방법의 차이에 따라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종란법 (縱欄法) column method 오프셋 야장(野帳) 기입의 한 방법. 1측선마다 세로로 기입하는 방법. 오프셋 북의 중앙폭 약 2cm의 2개의 평행선을 측선으로 생각하여 2선 사이에 진행 방향으로 본선 거리를 아래로부터 위로 향해 기입하고, 그 좌우에 오프셋을 기입한다. - offset
주상 시공 방법 (柱狀施工方法) column method esecution 댐 콘크리트 시공법의 하나로, 가로, 세로의 이음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세로 이음의 틈새에 그라우팅 하는 방법.
주열대 (柱列帶) column strip 플랫 슬래브에서 설계 계산에 있어 기둥 수직상에 유한폭의 스트립을 가상하고, 기둥을 포함하지 않는 주간대(柱間帶) 부분과 구별하여 응력 계산을 하는 부분.
교각식 잔교 (橋脚式棧橋) column supported pier 교량의 교각과 똑같은 압기 케이슨.
띠철근 기둥 (-鐵筋-) column with lateral ties 축방향 철근과 띠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유효 길이 he와 최소 가로 치수 d의 비가 3 이상 15 이하인 것을 짧은 기둥, 15 이상 40 이하인 것을 긴 기둥이라 한다.
나선 철근 기둥 (螺線鐵筋 -) column with spirals 나선 철근을 사용한 기둥. 띠 철근 기둥에 비해 시공이 어려우나, 허용 축방향 하중이 크고 내진성이 있다.
이탄 중유(泥炭重油) COM [1] coal iol mixture의 약어. 미분말의 석탄과 중유 및 첨가제를 혼합한 액상의 연료. [2] computer output microfilming의 약어로, 표시 장치에 표시된 도형음 마이크로필름에 감광시키는 장치.
강 콘크리트 기둥 (鋼-) combination column 강재와 콘크리트가 일체로서 작용 할 수 있도록 합성한 기둥.
조합식 압축, 인장미터(組合式壓縮引張-) combination compressometer-extensometer 콘크리트 원기둥 공시체에 부착하여 그 압축 변형과 가로 방향 변형을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
병용교 (倂用橋) combined bridge 교량을 분류할 때의 명칭으로, 철도와 도로, 수로와 도로 등이 동시에 통과하는 다리.
결합 염소 (結合鹽素) combined chlorine 암모니아와 염소가 결합한 화합물. 클로라민을 말한다. 염소 처리의 과정에서 수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와 염소가 반응하여 클로라민이 생성한다. 살균력은 있지만 유리 염소보다 낮다. - chlorination
조합 댐 (組合-) combined dam 댐 지점의 홍수량, 지형 또는 지질의 상황에 따라 다른 형식의 댐을 조합하여 하나의 댐을 만드는 것이 안정하고 유리하며 경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수토(洪水吐)를 설치하는 부분은 필 댐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을 말한다.
연결 푸팅 (連結-), 복합 푸팅 기초 (複合-基礎) combined footing 하나의 푸팅에 2개 이상의 기둥 또는 받침대가 있는 것. 또는 독립한 푸팅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가 된 것을 말한다. 지반의 지지력이 작은 곳 및 기둥 간격이 좁은 곳에 사용된다.
합성 물매 (合成-) combined gradient 도로의 종단 물매와 편물매(또는 횡단 물매)를 합성한 물매를 말하며, 도로의 최급(最急) 물매를 의미한다. 편물매(또는 횡단 물매)를 I(%), 종단 물매를 j(%)라 하면 합성 구배 S(%)는 로 표시된다.
병용 이음 (倂用-) combined joint 용접과 고력(高力) 볼트 혹은 고력 볼트와 리벳 등 이종의 접합 방법을 조합시킨 이음.
조합 하중 (組合荷重) combined load 구조물에 동시에 작용하는 여러 종류의 하중을 조합시킨 것. 일반적으로 자중 외에 재하(載荷) 하중, 지진 하중, 바람 하중, 눈 하중 등을 조합시킨다.
결합 잔류 염소 (結合殘留鹽素) combined residual chlorine 멸균 소독용으로서 투입된 염소 중 물 속의 암모니아성 질소등과 반응하여 클로라민 등의 염소 화합물이 되어 잔류하는 염소. 소독 효과는 유리(遊離) 잔류 염소보다 떨어지나 냄새가 없기 때문에 원수의 수질이 놓아 염소 소독 후, 사용할 때까지의 시간이 긴 수도 등에서는 급수전의 냄새를 적게 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 residual chlorine
합류 관거 (合流管渠) combined sewer 오수와 빗물을 함께 모아 이송하는 관.
합류식 하수도 (合流式下水道) combined sewer system 오수와 빗물을 동일한 관거로 배제하는 방식. - storm-water tank, storm overflow chamber, pipe storage, intercepting sewer
조합 응력 (組合應力) combined stress [1] 굽힘과 압축, 굽힘과 인장 등과 같이 각종 응력이 조합된 것. 탄성 영역에서는 각각의 응력은 서로 중첩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으로 하여 조합 응력을 구한다. [2] 2축 응력과 3축 응력의 총칭.
합병 처리 (合倂處理) combined treatment 정화조에서 시뇨만이 아니고 주방이나 욕탕에서 배출되는 잡배수도 함께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결합수 (結合水), 화합수 (化合水) combined water [1] 유리수(遊離水)에 대하여 물질의 분자에 결합하고 있는 물. 시멘트 콘크리트에서는 시멘트의 성분 분자와 결합하고 있는 물을 말한다. [2] 목재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 중 세포관벽에 함유하는 수분.
가연성 폐기물 (可燃性廢棄物) combustible waste 폐기물 분류 방법의 하나. 소각로 등에서 연소할 수 있는 폐기물. 가연 쓰레기라고도 하며, 분별 수집의 대상이 된다.
연소 배기 가스 (燃燒排氣-) combustion exhaust gas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 CO, CO2, NOx, SOx, 수증기 등을 포함한다.
연소[생성] 가스 (燃燒[生成]-) combustion gas 가연물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가스. 일반적으로는 탄산 가스(CO2), 수증기(H2O), 일산화 탄소(CO) 이나, 여기에 질소(N2), 산소(O2)를 수반하고 있다.
커맨드, 명령 (命令) command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명령.
착공 (着工) commencement of work 공사 시공자가 공사에 착수하는 것을 말하며, 토목이나 건축에서는 일반적으로 터파기 공사에 착수하는 것을 말한다.
상업지 (商業地) commercial area 도시에서 사무실, 점포, 위락 시설이 집중하고 있는 지대. 일반적으로 도심, 부도심, 지구 중심 등을 형성한다. 성격에 따라서 업무 지구, 위락 지구, 일반 상업 지구, 점포 지구 등으로 나뉜다. 입지 조건은 교통의 편리를 제일로 한다. = commercial zone
상업 지역 (商業地域) commercial district 도시 계획 구역 내의 용도 지역의 하나로, 상업 기타 업무의 편리를 도모하는 지역.
노선 상점가 (路線商店街) commercial strip 상점이나 각종 서비스업이 가로를 따라 집적하여 형성된 선형상의 상점가. 도시나 지역에서의 축상(軸狀)의 중심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 shopping street
상용차율 (常用車率) commercial vehicles ratio 도로의 전교통량에 대한 상용차(대형 트럭, 버스) 교통량의 점유 비율. 일반적으로 시가지에서는 비율이 낮고 지방은 높다. 또 고속 도로쪽이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
상업지 (商業地) commercial zone = commercial area
중개 수수료 (仲介手數料) commission 매매, 대차, 고용, 혼인, 조정, 화해 등 모든 계약 행위의 쌍방간에 서서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을 중개라 하며, 그 때 보수를 수반하면 이것을 중개 수수료라 한다. = intermediary fee
공유지 (共有地) common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토지.
공용지 (共用地) common area 복수이 개인 또는 법인이 공동 사용하는 토지.
보통 벽돌 (普通-) common brick 토목 건축용으로서 전부터 사용되어 온 빨간 벽돌을 말한다. 소성과 품질에 따라 상소 벽돌(1등. 2등), 보통 벽돌 (1등. 2등), 등외(等外) 벽돌이 있다.
코볼 Common Business Oriented Language = COBOL
공통 감보 (共通減步) common decrease 토지 구획 정리 사업에서 정리 후의 택지 가격의 총액은 정리 전의 가격의 총액에 비해 많아지므로 그 차액에 상당하는 택지를 줄이는 것. 이를 공통 감보라 한다.
상용 콘크리트 (常用-) common grade concrete 보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콘크리트 구조의 골격, 블록 구조의 기초, 슬래브, 모서리 기둥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한 콘크리트. - high grade concrete, low grade concrete
인부 (人夫) common labor 특정한 기술을 갖지 않고 단순한 힘이 드는 일에 종사하는 노동자.
공용 공지 (共用空地) common open space 타운 하우스나 독립 주택지 내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계획적으로 두어진 정원 등의 공지. - common use space
공설 하수 (公設下水) common sewer 공공 단체가 배수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하수거(관)로, 택지 내의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사설 하수거라 한다. = public sewer
공통 시방서 (共通示方書) common specification 어느 공사에도 해당되는 공통적인 시방서.
보통강 (普通鋼) common steel = carbon steel
공통 가설비 (共通假說費) common temporary cost 2종목 이상의 공사에 공통하여 필요하며, 종목별로 구분하기 어려운 가설비.
공통비 (共通費) communal cost = indirect cost
통신 제어 장치 (通信制御裝置) communication control unit 컴퓨터의 입출력 기기의 하나로, 각종 통신 회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통신 소프트웨어 (通信-) communication software 전화 회선 등에 의해 대형 컴퓨터와 단말, 개인용 컴퓨터 상호를 접속하여 정보 제공,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community 공동 생활체, 지방적, 근린적 친근감과 같은 공통 요소로 이어진 사회 집단. 공동 사회, 기초 사회, 지역 사회 등이라고도 한다. 커뮤니티는 그 자체 특정한 목적을 갖지는 않지만 많은 목적을 미분화한 모양으로 내포하고 있다. 도시 계획에서 좁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는 근린 주거구 혹은 그 집단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도시 혹은 지방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커뮤니티 개발 (-開發) community development 지역 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조건을 개선하여 보다 쾌적한 거주 공간으로 한다든지 커뮤니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
커뮤니티 도로 (-道路) community road 상점가 등에서 보차도의 구별을 없애고 전체를 타일 등으로 포장하여 차와 혼재 시킨 도로. = mall
지구 중심 상점가 (地區中心商店街) community shopping center district 중심 상점가 중 지구 레벨의 상업권(상권)을 갖는 상점가. - regional shopping center district
커뮤니티 도로 (-道路) community street 주택지에서의 커뮤니티의 이용을 중심으로 하여 설계된 도로. 보행자의 공간이나 소공원 등을 병설하고, 자동차는 속도를 줄여 보행자와 공존이 도모된다.
통근권 (通勤圈) commutable area 어떤 업무 지구, 또는 어느 사업소를 중심으로 한 통근자가 거주하는 범위를 말한다.
정류 (整流) commutation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는 것.
커뮤터 commuter [1] 정기권, 회수권을 사용하는 통근자. [2] 지방 도시나 낙도 등을 잇는 단거리의 항공 수송 서비스.
커뮤터 항공 (-航空) commuter airline 핵도시와 그 지역 내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항공 수송 서비스. 10수인부터 수10인승의 소형기나 헬리콥터를 사용한 지역 항공편의 총칭.
커뮤터 공항 (-空港) commuter airport 소형 항공기(60인승 이하)나 헬리콥터에 의한 정기 항공 수송 서비스를 하기 위해 설치되는 공항. - heli port
시 디 롬, 콤팩트 디스크 롬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 CD-ROM
다지기 compaction 일반적으로 흙 등의 토목 재료를 롤러 등으로 다지는 것. 포장의 경우 노상, 노반의 지지력의 증대, 포장 완성 후의 침하의 방지 등을 위해 머캐덤 롤러, 소일 콤팩터, 타이어 롤러, 진동 롤러 등에 의해 다진다. 또한 표층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도 그 혼합물의 최대 밀도가 얻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질하기 위해서 다진다. 필 댐의 차수 존에서는 말아 낸 토질 재료를 타이어 롤러 등에 의해 다져 필요한 수밀성 및 강도가 얻어지도록 한다. RCD공법에도 이용한다. - roller compacted dam
다짐 곡선(-曲線) compaction curve 흙의 함수비를 바꾸어 일정한 방법으로 다짐했을 때의 함수비와 건조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다짐 기계 (-機械) compaction machine 흙의 다짐이란 밀도를 높이는 것인데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인위적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 에너지를 얻기 위한 각종 기계류를 말한다. 콘크리트의 다짐에는 바이브레이터가 이용된다. 다짐 기계의 선택은 현장의 토질, 함수량, 작업 조건, 토공량, 공정, 전압 효과 등으로부터 그것에 적합한 것을 결정한다.
다짐 말뚝 compaction pile 지반이 말뚝과 한 몸이 되어 하중을 받치는 것, 혹은 액상화(液狀化) 저항의 증대를 노려 말뚝을 접근시켜 타설하여 지반을 다지는 것.
다짐 시험 (-試驗) compaction test 여러 가지 습윤 상태의 습윤 밀도를 구해 최적 함수비를 찾는 시험. 흙 다짐의 관리에 이용된다. 또 시공법의 결정에도 이용된다.
콤팩터 compactor 일반적으로는 다짐 기계를 일컫는다. 특히 탠덤 롤러를 차륜(車輪)에서 직4각형의 작은 판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한 것의 명칭. 다짐기라고도 한다.
콤퍼레이터 (방법) (-方法) comparator (method) 일정 구간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계적 변형계의 일종으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경화시에 건조되는 길이의 변화를 콤퍼레이트를 사용하여 시험하는데 이 방법을 콤퍼레이터 방법이라 한다.
부근 유비법 (附近類比法) comparison method 부동산 감정에서의 평가법의 하나. 부근의 매매 사례나 임대 사례를 조사하여 이것과 유비(類比)하여 평가하는 방법.
임대 사례 비교법 (賃貸事例比較法) comparison method with rented example 부동산의 임대료 평가 방식의 하나. 인근의 유사 부동산 임대료를 참고로 하여 평가하는 방식.
컴퍼스, 나침반 (羅針盤) compass 자침이 남북을 가리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선 방향을 정하는 기구.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산지, 농지, 광산 측량 등에 이용된다. NSEW방향으로 90도씩 눈금한 눈금반 중심에 자유로이 회전하는 자침을 두고 이점과 NS의 방향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시준판의 중선이 고정되어 있어서 시준선의 자방위각은 그 때의 눈금을 읽으면 바로 얻을 수 있도록 S, N을 0도로 하며 E, W를 90도로 하고, 또한 E, W 를 보통 방향과 반대로 하고 있다. 포켓 컴퍼스. 프리즘 컴퍼스. 측량 컴퍼스. 행임 컴퍼스 등이 있다.
컴퍼스 compasses 원을 그린다든지, 선분을 분할한다든지 하는 용구.
컴퍼스 법칙 (-法則) compass rule 트래버스 측량에 있어서 측각(測角)과 측거(測距)의 정밀도가 거의 같다면 측각값 조정후의 폐합 오차를 각 측선의 길이로 비례 배분해도 좋다고 하는 법칙. - transit surveying, error of closure
컴퍼스 측량 (-測量) compass surveying 컴퍼스를 사용하여 측선(測線)의 자방위각(磁方位角)을 측정하는 트래버스 측량. 작업은 신속하지만, 기기 부근의 철분류. 전선 등으로 인해 자북이 변화하여 정밀도는 나쁘다.
적합 조건 (適合條件) compatibility condition 넓은 뜻의 변형의 연속 조건식으로, 예를 들면 일그러짐 성분 사이에 존재하는 미분 관계식, 구조물의 지점, 절점(節點)에 대한 경계 조건, 부재의 임의점에서의 회전각, 변형의 경계 조건 등.
적합법 (適合法) compatibility method = force method
호환성 (互換性) compatible 하나의 데이터가 2대의 컴퓨터 사이에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 호환에는 소프트웨어 호환, 하드웨어 호환이 있다.
상쇄 오차 (相殺誤差), 상차 (償差) compensating error = accidental error
보정 경사 (補正傾斜) compensating grade 곡선 저항을 선로 경사로 환산하여 실계의 선로 경사에 가산 보정한 경사.
보상 (補償) compensation 손해를 입은 자에 대하여 손해를 준 자가 그 책임에 따라서 금전적으로 변상하는 것. = indemnification
보상비 (補償費) compensation expenses 공사 시공에 따르는 도로, 하천, 인근 건물의 보수비나 사고 등의 보수비 등을 총칭하는 것.
손해 배상 (損害賠償) compensation for damages 다른 사람에게 준 손해에 대하여 그것을 보상하여 손해가 없는 상태로 하는 것.
보상 기준 (補償基準) compensation standard 공공 공사의 시공이나 공공 용지의 취득에 있어서 발생하는 보상액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유족 보상 (遺族補償) compensation to the bereaved family 노동자가 업무상의 이유로 사망한 경우 유족이 사용자로부터 받는 보상.
경쟁 입찰 (競爭入札) competitive bidding 공사의 발주나 물건의 매각시에 복수의 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수 가격 등을 문서로 제출시켜 발주자의 예정 가격 내에서 가장 유리한 낙찰자를 계약 상대로 하는 결정법. = competitive tendering
경쟁 입찰 제도 (競爭入札制度) competitive bidding system = bidding system, competitive tendering system
경쟁 입찰 (競爭入札) competitive tendering = competitive bidding system
편집도 (編輯圖) compilated map - map compliation
컴파일러 compiler FORTRAN, COBOS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기성고 (旣成高) completed amount 시공 계획에 의한 예정량에 대한 공사의 마감량을 말한다.
복소 감쇠 (複素減衰) complex damping 복소 강성의 허수부에 대응하는 감쇠. 이력 감쇠와 같다.
복소 스프링 (複素-) complex spring = complex stiffness
복소 강성 (複素剛性) complex stiffness 복소수로 나타내어지는 강성. 스프링 효과와 감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낸다. = complex spring
성분 분석 (成分分析) component analysis 다수의 변수를 갖는 변동이 소수의 변수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살피는 분석 수법.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분력 (分力) component of force 하나의 함을 이것과 똑같은 효과를 갖는 2개 이상의 방향이 다른 함으로 분해했을 때 분해된 힘. 분력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해서법과 도식 해법[힘의 평행 4사변형, 연력도(連力圖)의 이용 등]이 있다. 합력을 구하는 방법과 반대이다.
유출 성분 (流出成分) component of runoff 유역의 강우 일부가 근처의 강으로 유출하는 방식에는 하도(河道) 강우, 표면 유출, 중간 유출, 지하수 유출의 4종류가 있다. 하도 강우는 빗물이 강의 유수면으로 직접 흘러들어가 강의 유량으로 되는 유출 방식을 말한다. 표면 유출은 빗물이 지표 아래로 침투하지 않고(과잉 강우), 지표류가 되어 지표면을 흘러 강으로 유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중간 유출은 지표 아래로 침투한 빗물이 지표면 아래 부분을 지표와 평행하게 흘러(중간류) 강으로 유출하든가, 또는 그에 앞서 지표로 올라와 표면류가 되어 강으로 유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하수 유출은 빗물이 지표면 아래로 침투하고 다시 지하 깊은 곳으로 침투해 가서 그곳에 대수층(帶水層)을 형성하면서 지하 수류로 되어 강으로 유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난류 성분 (亂流成分) component of turbulence 유체의 흐름에서 평균값에 대하여 평균으로부터의 변동 성분.
풍속 성분 (風速成分) component of wind velocity 풍속 벡터를 소요의 방향으로 향해서 다루는 경우의 호칭. 바람 방향 1성분, 바람 직각 방향 2성분(수평, 연직)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응력 성분 (應力成分), 분응력 (分應力) component stress 응력의 어느 방향에의 분력(分力), 어떤 단면에 작용하는 수직 응력 또는 전단 응력은 그 면에 작용하는 응력의 그면에 수직 및 평행한 방향의 응력성분이다.
합성 보 (合成-) composite beam 철골보와 그에 밀착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일부가 한 몸으로 되어서 작용하도록 된 보. - composite slab
합성 거더 (合成-) composite beam girder 교량의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강철 및 콘크리트교로 되고, 메인 거더의 구성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플레이트 거더, 박스 거더의 일종으로 된다. 강철 거더와 콘크리트 상판이 일체가 되도록 적당한 엇갈림 고정으로 양자를 결합하여 콘크리트 상판을 강철 거더의 압축 플랜지로서 움직이게 한 구조를 합성 거더라 하고, 이것을 메인 거더로 사용한 것을 합성 거더교라 한다. 강철 중량의 감소 및 가장 효과적인 구조로 대부분 60m 정도까지의 지간의 단순 거더로 이용되며 연속 합성 거더나 폐상식(閉床式) 철도교에까지 이용되고 있다. 강철 거더 부분에는 용접 I형 단면의 강철 거더가 가장 많으며 박스 거더를 사용하는 것도 많다. 또한 위의 연속 거더를 사용하는 경우 외에 상로(上路) 트러스의 상현재와 상판을 합성시킨 합성 트러스도 나와 있다. 합성 거더에는 활하중(活荷重) 합성 거더와 사하중(死荷重) 합성 거더가 있다. 활하중 합성 거더는 강철 거더를 양단 받침만으로 지지한 상태로 상판 타설을 하는 방법으로, 주로 활하중이 합성 거더 단면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의 합성 거더는 이것을 가리킨다. 사하중 합성 거더는 강철 거더를 양단의 받침뿐만 아니라 중간의 가지점(假支點)으로도 지지하면서 상판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사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와 활하중에 대해 합성 거더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중간부 비계에서의 지점 침하 등의 영향을 받기 쉽고 시공도 복잡하여 별로 이용되지 않으며, 특히 철도교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외에 시공 중 또는 완성시에 상판 또는 강철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프리스트레스 합성 거더도 있다.
혼성 방파제 (混成防波堤) composite breakwater 하부를 사석(捨石)으로 하고 상부에 직립 방파제를 얹은 방파제. 직립부의 구조에는 케이슨. 콘크리트 블록. 셀룰러 블록. 콘크리트 단괴. 돌쌓기 등이 이용된다. 연약 지반에 적합하며 공사비 절약이 가능하다. 결점은 직립부의 기초부가 세굴되기 쉽다는 것이다.
합성 기둥 (合成-) composite colunm H형강. I형강. 강관 등과 철근 콘크리트를 합성한 기둥.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각각의 허용 하중을 합계한 것이 합성 기둥의 허용 하중이 된다.
합성 구조 (合成構造) composite construction 강재(鋼材)와 콘크리트 등 다른 재료가 한 몸으로 되어서 작용하도록 고려된 구조.
에너지 종합 개발 (-綜合開發) composite development of energy 에너지의 수급 계획, 발전소. 수송 시설 등의 입지.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에너지원을 어떻게 개발. 정비해 갈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
복합 필터 (複合-) composite filter 둘 이상의 특승이 다른 필터로 구성된 필터 시스템.
합성 골조 (合成骨組) composite frame 트러스 구조와 라멘 구조를 혼합한 골조. 일반적으로 한 건물을 이조 구조로 구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실례는 많다. - trussed structure, rigid fram
합성 거더교 (合成-橋) composite girder bridge 강거더와 철근 콘크리트 상판을 스터드나 지벨 등으로 고정 결합하여 외력에 대해 협력적으로 저항하도록 한 교량. 시공법에 따라 활하중 합성 거더교와 사하중 합성 거더교로 나뉜다.
복합 재료 (複合材料) composite material 2종 이상의 재료를 혼합, 적층, 배치 등에 의해 조합시켜서 각각의 단일 재료로는 기대할 수 없는 성질을 갖게 한 재료.
복합 포장 (複合鋪裝) composite pavement 표층 또는 표층. 기층(基層)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그 바로 밑에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연속 철근 콘크리트 포장, 전압(轉壓) 콘크리트 포장 등의 시멘트계의 판을 쓰고, 그 아래층이 노반으로 구성된 포장. 콘크리트 포장의 내구성과 아스팔트 포장의 주행성과 유지 수선의 용이성을 아울러 갖는다. - white base
합성 말뚝 (合成-) composite pile 상이한 종류의 말뚝을 이은 말뚝.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과 기성 콘크리트 말뚝 등을 이어서 사용한다.
종합 하천 계획 (綜合河川計劃) composite planning of river 종합적이며 또한 수계에 관한 일관된 치수, 이수의 계획을 말하고 치수, 이수의 각 계획 기준을 수립하는 것. 다음의 각 항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관점하에서 책정된다. [1] 수계를 일관된 계획으로 한다. [2] 치수와 이수의 종합적인 계획으로 한다. [3] 영안 토지의 개발을 고려한다. [4] 하도 내의 토사. 자갈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한다. [5] 치수 계획의 규모는 전국적인 시야에서 하천의 중요도에 따라서 안전도에 관해 전국적으로 균형되고 경제적인 것으로 한다.
콤퍼지트 샘플러 composite sampler - sampler
복합 셸 (複合-) composite shell 상이한 형식의 셸이 한 몸으로 되어서 형성되는 셸의 총칭. 원통 셸, 구형(求刑) 셸이 쓰이는 일이 많다.
합성 상판 (合成床版) composite slab 교량의 상판 콘크리트의 타설에 있어서 강철제의 거푸집을 사용하고 그 거푸집에 스터드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공동 작용을 기대한 상판 구조. 콘크리트 경화 후 탈형(脫型)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필요한 철근량이 적어도 되면 동시에 상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일반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합성 응력 (合成應力) composite stress 기둥에 편심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응력은 그림과 같이 기둥에 축방향력 P와 편심에 의한 휨 모멘트 Pe 가 작용한 것으로 생각하여, 각각의 응력을 합성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구한다.
복합 미끄럼면 (複合-面) composite surface of sliding 원호(圓弧)나 직선 등을 조합시킨 것과 같은 미끄럼면.
혼성 타르 (混成-) composite tar 조(粗) 타르나 잔류 타르에 20% 이하의 석유 아스팔트를 혼합한 것.
콤퍼지션 composition 자동 용접 또는 반자동 용접을 할 때에 사용하는 미분 형태의 플럭스. 저수소계의 광물성 물질로서 한 번 융용 또는 소성한 후 분쇄한 것이다. - flux
힘의 합성 (-合成) composition of forces 둘 이상의 힘을 이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하나의 힘으로 고치는 것을 힘의 합성이라 하고, 합성된 이 힘을 합력이라 한다. 도해적으로는 여러 힘이 한 곳에 만났을 때는 시력도(示力圖)에 의해, 한 점에 모이지 않았을 때는 시력도와 연력도(連力圖)를 써서 구한다.
콤포스트, 퇴비 (堆肥) compost 오니(汚泥)의 유효 이용의 일환으로서 퇴비화를 하여 비료 또는 토양 개량제로서 농지 환원한다. 퇴비화는 탈수 오니의 호기성(好氣性) 발효에 의해서 한다.
퇴비화 (堆肥化) composting 유기화 폐기물을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하여 비료로서 사용 가능한 위생적이고 무해한 부패토를 만드는 것.
콤파운드 compound 연마재나 충전재로서 쓰이는 가소성 또는 반유동성의 배합품. 본래는 화합물, 합성물의 의미이다.
복합 곡선 (複合曲線) compound curve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반경이 다른 원곡선을 직접 접속하여 그 점에서 공통 접선을 갖도록 조합한 곡선. 클로소이드 곡선이 적용되기 이전에는 도로의 평면 선형의 곡선으로서 종종 이용되었다.
첨충물 (添充物) compound filler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골재(쇄석, 모래)의 틈을 충전하는 재료. 쇄석의 가루, 석회, 찰흙, 시멘트 등을 쓴다. = filler
다기 교차 (多技交叉) compound intersection 교차점에 접속하는 도로 또는 가로(가지 또는 다리라고 한다)가 5개 이상인 교차점.
복식 갑문 (複式閘門) compound lock 각각의 게이트실에 방향이 반대인 두 쌍의 마이터 게이트를 갖춘 갑문.
복합 단가 (複合單價) compound unit price of specialist work 재료, 공사를 합친 하청 계약에서 인건비, 자재비, 하청 업자의 제경비를 포함한 단위당의 금액.
강화목 (强化木) compreg = compressed laminated wood
종합 치수 (綜合治水) comprehensive flood damage mitigation 홍수의 처리를 하도(河道), 제방, 유수지(遊水池)나 댐 등의 하천 공작물에만 의존하지 않고, 유역이 가진 보수(保水) 기능을 적극적으로 증진. 활용하여 홍수를 경감시키는 치수 대책.
컴프레솔 파일 compresol pile 땅속에 무거운 추를 낙하시켜 세로 구멍을 파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방법의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강화목 (强化木) compressed laminated wood 단판(單板)을 수지류의 용액에 담가 겹쳐 쌓고, 가압. 가열한 것. 너도밤나무나 자작나무 등을 쓰며, 수지류에는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한다. 강도는 금속과 목재의 중간이며, 흡습성이 적고, 내약성(耐藥性)도 크다. = compreg
압축성 (壓縮性), 압축률 (壓縮率) compressibility (1) 물체가 외력에 의하여 체적. 밀도를 변화시키는 성질. 이 난이를 나타나는 데는 일반적으로 압축률 또는 체적 탄성 계수를 사용한다. (2) 물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때 압력이 p로부터 p + dp로 증가했기 때문에 처음의 체적 v가 d만큼 감소했다고 하면 C = (dv /v) / dp를 물체의 압축률이라 한다. 압축률의 역수를 체적 강성률이라 한다.
압축 (壓縮) compression 외력을 가하여 물체의 용적을 축소하는 것.
압축 철근 (壓縮鐵筋) compression bar of reinforced concrete 철근 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압축측에 배치한 주근.
압축 균열(壓縮龜裂) compression crash 사태 혹은 붕괴시에 압축력이 생겨서 발생하는 균열. 주로 활동한 지반의 말단부에 발생하며, 지반의 미끄럼 방향과 평행 혹은 사교(斜交)하고 있다.
압축 지수 (壓縮指數) compression index 압밀 시험에서 얻어지는 e-log p 곡선의 압밀 항복 응력 이상의 영역에 나타나는 직선 부분의 기울기. 즉, Cc = #e / #(log p) - e-log p curve
압축재 (壓縮材) compression member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 부재. 기둥은 압축재의 대표적인 것이다. 부재가 길어지면 좌굴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압축비 (壓縮比) compression ratio 포화한 점성토의 압밀에서 단위 압력의 증가에 의해 생기는 체적 변형. (압축 지수) / (1 + 간극비)로 나타내어진다.
압축 철근 (壓縮鐵筋) compression reinforcement = compression bar of reinforced concrete
컴프레션 링 compression ring 압축력이 생기는 링. 장력 구조의 외주 링이나 돔의 개구 보강 링 등이 이에 해당한다.
압축 변형 (壓縮變形) compression set = compressive strain
압축 시험 (壓縮試驗) compression test 재료의 압축 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정해진 형의 시험관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시험. 이 시험의 대상은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등의 압축을 맏는 재료에 대해 실시한다.
압축 변형 (壓縮變形) compressive deformation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물체에 생기는 수축량(길이).
압축력 (壓縮力) compressive force 축방향으로 작용하여 물체를 압축시키는 힘.
압축 하중 (壓縮荷重) compressive load 부재의 재축(材軸) 방향으로 작용하여 부재내에 압축 응력을 일으키게 하는 하중. - compressive stress
압축 철근 (壓縮鐵筋) compressive reinforcement 철근 콘크리트 보의 압축측에 배치하여 압축 응력의 일부를 담당하도록 한 주철근. 압축 철근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경제적이지만, 보의 높이에 제한을 받는 경우 또는 연속보처럼 (+), (-)의 휨 모멘트를 받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압축측 단면 계수 (壓縮側斷面係數) compressive section modulus 단면 2차 모멘트를 중심축에서 압축 응력이 방생하고 있는 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을 말한다.
압축 변형 (壓軸變形) compressive strain 압축력에 의해서 생기는 변형. 압축 변형을 #l, 재료의 원 길이를 l, 압축력을 P, 단면적을 A, 영 계수를 E로 하면 다음의 관계가 있다. #l = Pl /AE 또한 #l // = P /A * E 즉 재료의 단위 길이당의 변형을 압축 변형도라 한다. = compression set
압축 강도 (壓軸强度) [콘크리트의] compressive strength 큰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주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성질의 하나이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구조 부재의 콘크리트를 만듬과 동시에 채취한 원기둥 공시체를 이용하며, 28일간 표준 양생(20도씨 전후의 수중 또는 습도 100%에 가까운 공기 속)한 후의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전단면 압축 강도 (全斷面壓軸强度) compressive strength for gross section 콘크리트 블록 등에서 충전 콘크리트를 포함한 전단면적에 대해서 평가한 압축 강도. - compressive strength for net section
정미 단면 압축 강도 (正味斷面壓軸强度) compressive strength for net section 콘크리트 블록 등에서 속의 충전 콘크리트 혹은 모르타르 부분을 무시하고, 페이스셸과 웨브의 면적에 대해서 평가한 압축 강도.
압축 응력 (壓縮應力) compressivie stress [1]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부재 내부에 생기는 힘. 즉 압축에 의한 응력. [2] 압축 응력도를 줄여서 압축 응력이라고도 한다. 압축 하중 P의 작용하는 부재(단면적 A)의 압축 응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압축형 급수전 (壓縮型給水栓) compressive tap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급수전으로, 나사에 의해 패킹이 상하로 통수구를 개폐한다. 고압에 대해서도 완전하게 작동하며 누수, 고장이 적다. 수리는 패킹만 교체하면 간단히 처리된다.
부재 압축부 (部材壓縮部) [콘크리트의] compressive zone 크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가 없는 경우에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에 의해 압축 응력이 일어나는 부분을 부재 압축부, 인장 응력이 일어나는 부분을 부재 인장부라 한다.
컴프레서, 압축기 (壓縮機) compressor 공기 기타의 기체를 압축하여 그 압력을 높이는 기계. 건축 시공에서는 스프레이 건에 의한 도장(塗裝) 등에 사용한다. 또 냉동기에 압축기를 사용한 것을 압축 냉동기라 하고, 공기 조화시에서는 왕복식 압축기, 터보 압축기가 쓰이며, 이들 압축기는 냉매를 포화 증기, 과열 증기 또는 습증기로서 콘덴서로 고압으로 하여 내보낸다. - refrigerator, turbo refrigerator
컴프레솔 파일 compresol pile 땅속에 무거운 추를 낙하시켜 세로 구멍을 파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방법의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절충식 환지 계산법 (折衷式煥地計算法) compromised replotting calculation method 토지 구획 정리의 환지 설계에서의 환지 계산법의 하나. 평가식 환지 계산법과 지적식(地積式) 환지 계산법을 절충시킨 방식.
강제 반죽 믹서 (强制-) compulsion mixer = turbomixer
강제 수용 (强制收用) compulsory acquisition 공공의 목적을 위해 공적 기관이 개인의 토지, 가옥 등의 재산권을 일정한 보상을 하여 징수하는 것. 공용 수용이라고도 한다. = expropriation
컴퓨터 computer 전자 회로를 써서 수치계산이나 기억. 정리를 하는 장치의 총칭. 정보를 모두 수치로 바꾸어 처리한다.
캐드, 컴퓨터 지원 설계 (-支援設計) computer aided design = CAD
캐드 / 캠, 컴퓨터 지원 설계 / 컴퓨터 지원 제조 (-支援設計 / -支援製造) 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 / CAM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支援) computer aided engineering = CAE
컴퓨터 지원 제조 (-支援製造)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CAM
컴퓨터 지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支援)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 CASE
컴퓨터 호환 테이프 (-互換-) computer compatible tape 컴퓨터의 표준 입력 장치인 자기 테이프 장치에 적합 가능한 자기 테이프를 가리키는데, 랜드새트의 화상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를 매체로 하여 배포되고부터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리모트 센싱 데이터를 가리키게 되었다. = CCT
컴퓨터 제어 (-制御) computer control 디지털 컴퓨터에 의해 온라인으로 각종 설비 혹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 복잡한 시스템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컴퓨터를 사용한 도형이나 화상의 처리, 정지화나 동화 뿐만 아니라 해석 결과를 가시화한 그림이나 지도를 포함하여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CG
컴퓨터 통합 제조 (-統合製造)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 CIM
컴퓨터화 (-化) computerization 정보의 집중, 처리를 컴퓨터로 함으로써 합리화를 도모하는 것.
컴퓨터 활용 능력 (-活用能力) computer literacy 컴퓨터를 다루는 능력. 단지 호스트 단말이나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에게 자기의 의사를 잘 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포함한다.
컴퓨터 매핑 computer mapping 측점의 수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지적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등을 그리는 제도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모자이크 computer mosic = montage
컴퓨터 보안 (-保安) computer security 컴퓨터 사용 업무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대응한다든지, 재해로부터 지키는 설비로 대응한다든지, 운용 관리의 체제로 대응한다든지 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computer simulation 컴퓨터를 이용하여 물리적 현상을 분석. 해석하는 것. 물리, 수학, 화학, 의학 등의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건축에서는 건축물의 시각적 표현이나 구조, 풍동 실험 등 다양한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오목 필릿 용접 (-鎔接) concave fillet welding 표면이 오목 모양으로 되어 있는 필릿 용접.
오목 용접 (-鎔接) concave welding 용착 금 속의 표면 형상에 따른 분류를 한 경우의 하나. 응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약간 보강 용접되어 있는 부분을 다듬질하여 약간 오목면으로 만든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 거더의 커버 플레이트 단부 등은 오목 용접이다. 오목 용접의 필릿 용접에 대해서는 가장 오목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 그은 접선과의 만난점까지를 각장(脚長)이라 한다.
은폐 공사 (隱蔽工事) concealed work 평상시에는 가려져 있으나 후에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장소의 배선 혹은 배관 공사.
집중 하중 (集中荷重) oncentrated load 하중의 재하 면적이 좁고 한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하중. 양(量)기호는 일반적으로 P.
질점 (質點), 집중 질량 (集中質量) concentrated mass 물체가 갖는 질량을 1점에 집중시키고 그 물체를 치환한 점. = mass
집중 호우 (集中豪雨) concentrated torrential rainfall 1일당 100mm 이상의 강우가 100km2 이하의 좁은 범위에서 단시간에 내리는 강우. 주로 대류성의 구름이 발달하여 발생한다.
농도 (濃度) concentration 기체 또는 액체 중의 물질을 단위 체적 또는 단위 질량,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수나 질량으로 나타낸 지표.
집중 계수 (集中係數) [토질의] conentration factor 흙 속의 수직 응력 분포를 생각할 경우에 탄성체에 대한 부세네스크의 공식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로미터.
동심원 (지대) 이론 (同心圓(地帶)理論) concentric zone theory 도시 공간은 도심부를 중심으로 토지 이용이 동심원상으로 분할되고, 그 외주 방향으로의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하는 이론.
콘셉트 concept 무엇을 만들 것인지 그 개요를 미리 정하고 전체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개념.
컨셉션 conception 계획의 전체상(콘셉트)을 정리한 계획안. - concept
개념 설계 (槪念設計) conceptual design 구체적으로 상세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기본적인 사항만을 고려하여 설계의 개념을 나타낸 설계.
확정 측량 (確定測量) conclusion survey 토지 구획 정리의 환지에 있어서 가환지 후에 환지를 확정하는 측량.
콘코던트 긴장재 (-緊張材) concordant cabl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부정정 가구(不整定架構)에서 각 절점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따르는 부정정 2차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치한 긴장재.
콘코던트 프리스트레스 concordant prestres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연속보 등의 부정정(不靜定)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2차 모멘트가 생기지 않도록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
콘코스 concourse 건축 내지 도시 계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각 방면에서 오는 인구의 흐름이 합류하는 광장, 홀 등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철도의 역, 터미널 빌딩(버스, 비행기 등), 여객선의 승. 하선착장 등 건물속에 만들어진 여객용 홀을 말한다. 대개 개찰구 밖에 있으며 사람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또는 옥외의 광장(공원 등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콘크리트 concrete 시멘트와 자갈과 모래 또는 부순돌과 물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고 섞어서 반죽하여 굳힌 일종의 인조석이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혼합재 또는 혼합제를 가한다. 토목, 건축 등의 건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만을 사용한 무근 콘크리트, 보강재로서 철근을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미리 압축 응력을 부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등의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혼합제 (-混合劑) concrete admixture AE제, 분산제, 유동화제(流動化劑) 등과 같이 콘크리트 속에 소량 혼입하여 워커빌리티나 초기 강도의 증대 등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의 총칭.
콘크리트 도상 (-道床) concrete bed 자갈 또는 부순돌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로 만든 도상. 터널 속, 건널목 부분, 배수가 나쁜 구간, 차량 세정선 등에 이용된다. 보수비가 경감되고, 궤도 이상이 적으며 배수는 양호하다.
콘크리트 빈 concrete bin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사용하는 배처 플랜트(batcher plant) 장치로, 각 재료를 넣는 빈.
콘크리트 블록, 이형 콘크리트 블록 (異形-) concrete block (1) 보차도(步車道)의 경계를 만들기 위한 콘크리트 경계 블록과 하천 호안이나 굴착 비탈면의 방호 등에 쓰이는 콘크리트 적재 블록이 있다. (2) 파력(波力)을 받는 경사 구조물의 표비탈면(表法面)을 피복하여 소파(消波) 역할을 하는 것으로 테트라포드(tetra pod), 아크몬, 할로스퀘어, 중공 3각 블록, 6각 블록 등이 있다. 특히, 테트라포드는 소파 효과가 양호하며 이것만으로 건설되는 테트라포드 방파제도 있다.
콘크리트 방파제 (-防波堤) concrete-block breadwater 콘크리트 블록을 쌓아 올려 직립부를 만든 방파제. 블록의 무게는 보통 10 ~ 15톤이다.
콘크리트 블록 수제 (-水制) concrete block groin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 수제. 다양한 형상. 치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불투과성과 투과성의 양면을 가지며 전도(轉倒). 유실을 막기 위해 밑다짐에 주의하고 효과적인 배치를 한다.
콘크리트 단상 (-床) concrete block matteress 수제 공법에서 침상의 일종. 콘크리트 블록에 2개의 구멍을 뚫고 철선을 넣어 발과 같이 짠 것. 이것으로 경사면을 피복함과 아울러 그 끝을 상당한 수심까지 연장하여 밑다짐에 겸용시킨다.
콘크리트 블록 포장 (-鋪裝) concrete block pavement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포장에 이용하는 것은 대개 보도용 평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특별한 경우로서 교량 부착부의 포장을 흙쌓기가 안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콘크리트 블록 포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블록 옹벽 (-擁壁)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블록을 겹쳐 쌓은 비교적 간이한 옹벽.
콘크리트 블록 구조 (-構造) concrete block structure 주로 공동 콘크리트 블록과 거푸집 콘크리트 블록을 써서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
콘크리트 블록 공사 (-工事) concrete block works 각종 콘크리트 블록을 쌓거나 또는 부착하여 구축하는 공사.
콘크리트 파쇄기 (-破碎機) concrete breaker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포장을 부술 때 사용되는 기계로, 압착 공기를 이용 혹은 엔진 직결의 소형 착암기(jack hammer)나 선회 이동 기중기에 강구(鋼球)를 매달아 그 충돌 충격력을 이용한 드롭볼식(drop ball type)이 있다.
콘크리트 단괴식 방파제 (-單傀式防波堤) concrete breakwater 직립제(直立堤) 또는 혼성제의 벽체에 콘크리트 단괴를 사용한 구조로서 규모가 작은 경우 이외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단괴에 프리팩트(prepacked) 콘크리트를 사용한 것이 있으며 이 경우는 규모가 큰 방파제에도 이용될 수가 있다.
콘크리트 교량 (-橋梁) concrete bridge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는 교량.
콘크리트 버킷 concrete bucket 믹서에서 나온 콘크리트를 소정의 현장에 운반하여 기중기 등으로 매달아 타입 장소로 배출하는 용기. 전도형(轉倒形)과 저면 개폐형이 있다. 개폐에는 수동 또는 압축 공기를 사용한다.
콘크리트 카트 concrete cart 현장에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운반에 사용하는, 손으로 미는 2륜차 또는 1륜차를 말한다. = buggy
강관 콘크리트 말뚝 (鋼管-) concrete composite steel pile PC말뚝 등 콘크리트 말뚝의 외측을 강관으로 피복한 말뚝 기성 제품. 복합 말뚝이라고도 한다. 콘크리트 말뚝은 축방향의 압축력에 대해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지만, 수평력에 의한 굽힘 인장에 대해서는 약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장력에 강한 강관과 조합한 말뚝으로 개발된 것이다. 지진시의 수평력에 의해 말뚝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는 지표에 가까운 곳에서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강관 콘크리트 말뚝은 상말뚝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말뚝이 고지(高止)하지 않는다는 것을 충분히 조사하여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콘크리트 커버링 concrete covering 비탈면 보호를 위해 비탈면 전체를 콘크리트로 덮는 공법. - bank protection
콘크리트 수송관 (-輸送管) concrete-conveying pipe 콘크리트 펌프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서에 쓰이는 수송용의 관.
콘크리트 코어 concrete core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잘라낸 시험체.
콘크리트 크라이시스 concrete crisis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나 알칼리 골재 반응을 주원인으로 한 조기 열화 현상이 현재화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성 현상. 이것을 계기로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가 진전되어 콘크리트 기술이 향상되었다.
콘크리트 커버링 concrete covering 비탈면 보호를 위해 비탈면 전체를 콘크리트로 덮는 공법 - bank protection
콘크리트 절단기 (-切斷機) concrete cutter 콘크리트를 절단하는 기계. 시험체를 발취하는 작업 등에 사용되는 것은 철근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콘크리트 포장의 민줄눈 시공이나 보수용으로 사용하는 종류도 있다.
콘크리트 댐 concrete dam 콘크리트를 댐 본체 재료로 하는 댐의 총칭. 설계 이론에 의하여 중력 댐. 중공 중력 댐. 아치 댐. 부벽 댐 등으로 분류된다. 콘크리트 댐 외에 토석을 댐 본체 재료로 하는 필 타입 댐이 있지만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 또는 시공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콘크리트 댐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치기 concrete depositing = concrete placing
콘크리트 피니셔 concrete finisher 콘크리트 포장(鋪裝)에서 콘크리트를 깔아 고른 후, 진동을 주어 다지면서 표면 다듬질을 하는 기계.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 (放射線遮蔽用-) concrete for radioactive rays shielding 방사선(a선, b선, r선, X선 및 중성자선)을 인체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콘크리트. 일반적으로는 보통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지만, 특히 두께를 얇게 하고 싶은 경우는 중량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 heavy weight concrete
콘크리트 헤드 concrete head 측압이 최대가 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
콘크리트 제품 (-製品) concrete manufacture 콘크리트를 원료로 한 성형품으로, 콘크리트 블록, 콘크리트 말뚝 등.
콘크리트 믹서 concrete mixer 모래, 자갈, 시멘트, 물 그 밖의 재료를 섞어 비벼서 생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기계. 섞어 비비는 방법에 따라 중력식, 강제 혼련(混練) 방식이 있다. 중력식은 수평축 또는 약간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드럼을 회전하여 그 속에서 비빈다. 다 비빈 제품을 꺼내기 위해 드럼을 약간 기울이는 것을 경동식(傾胴式), 그 위치에서 그대로 슈트를 통하여 꺼내는 것을 불경식(不傾式 :드럼 믹서)이라 한다. - turbomixer
콘크리트 혼합 플랜트 (-混合-) concrete mixing plant = concrete plant
콘크리트 비빔판 (-板) concrete mixing vessel 콘크리트를 비빌 때 사용하는 강판을 말한다.
콘크리트 비파괴 시험 (-非破壞試驗) concrete non-destructive test 콘크리트의 강도나 결함. 균열 등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는 방법. 시미트 해머, 초음파 등을 사용한다.
콘크리트 패널 concrete panel 콘크리트제의 판상(板狀) 부재의 총칭. 벽식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벽이나 바닥 부재, 또는 PC 커튼 월 부재 등을 말한다.
콘크리트 포장 (-鋪裝) concrete pavement 강성(剛性) 포장의 일종으로, 차량의 하중을 주로 하여 콘크리트판으로 지지하는 포장. 노반과 콘크리트판으로 만들어 진다. = rigid pavement
콘크리트 말뚝 concrete pile 콘크리트로 성형된 말뚝으로, 지하 수위가 낮은 곳이나 건습차가 큰 곳에 쓰인다. 내구성이 크고, 임의의 길이와 임의의 단면적으로 만들 수 있다.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이 있으며, 나무 말뚝과 이어서 합성 말뚝으로 하기도 한다.
콘크리트관 (-管) concrete pipe 콘크리트제의 관을 총칭한다. 철근이 들어 있는 것이 많다.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철근 콘크리트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관, 석면 시멘트관, PS관 등이 있다.
콘크리트 플레이서 concrete placer 콘크리트를 압축 공기에 의해 수송관 속을 압송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펌프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된다. 수송거리는 100m(수평) * 50m(수직) ~ 250m(수평) * 20m(수직) 정도이다. - concrete pump
콘크리트 치기 concrete placing 콘크리트 공사에서 혼합한 콘크리트를 소정의 장소에 충전하는 것.
콘크리트 치기 설비 (-設備) concrete placing equipments 댐의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믹싱 플랜트에서 비빈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버킷으로 받아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는 버킷 운반차로 운반하거나 또는 믹싱 플랜트로부터 이동차로 받아 운반하여 콘크리트 버킷에 싣고 케이블 크레인 또는 지브 크레인에 의해 이 버킷을 댐의 블록 위로 운반한 후, 버킷의 밑을 뒤집어 콘크리트를 타입한다. 버킷 운반차, 크레인 등 콘크리트의 타입에 이용되는 이들 설비를 콘크리트 치기 설비라 한다. 또 RCD 공법의 경우는 믹싱 플랜트로부터 덤프 트럭에 콘크리트를 받아 댐 위로 운반하여 댐 위에 콘크리트를 덤프하기 때문에 덤프 트럭과 운반 도로가 콘크리트 치기 설비가 된다. = roller compacted dam
콘크리트 혼합 플랜트 (-混合-) concrete plant 콘크리트를 다량으로 제조하는 플랜트. - batcher plant
콘크리트 제품 (-製品) concrete product 콘크리트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공장 제품의 총칭. 예를 들면, 콘크리트 포장석, 말뚝, 폴 등. - cement products
콘크리트 펌프 concrete pump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원거리에 수송하기 위한 펌프. 펌프에는 피스톤식. 스퀴즈식 등이 있으며, 압송 능력은 수평 거리로 약 250m, 수직 거리로 약 40m, 압송량은 10 ~ 30m3 /시이다. 그림은 피스톤식의 예이다.
콘크리트 침목 (-枕木) concrete sleeper 콘크리트로 만든 침목. PC침목이나 RC침목이 있으며, 나무 침목에 비해 내구성이 있고, 또 무게가 있으므로 궤도부의 안정성이 있다. 최근에는 일반 궤도부의 대부분에 이것이 쓰이고 있다.
콘크리트 스프레이 머신 concrete spraying machine 시멘트, 골재, 급결재, 물 등의 스프레이 재료를 고압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을 통해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보내고, 선단의 노즐로부터 나오는 고압 분사 에너지에 의해 격돌. 부착시키는 기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비탈면 보호, 터널 공사 등에 이용된다.
콘크리트 스프레더 concrete spreader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에서 거푸집 위치에 운반된 콘크리트를 거푸집 속에 박아 넣으면서 포설하는 기계. 콘크리트 피니셔의 준비 작업을 한다.
밑창 콘크리트, 밑창 콘크리트 다지기 concrete sub slab 지반위에 밑면을 평탄하게 할 목적으로 다진 콘크리트. 먹매김이나 거푸집의 기반으로서 이용한다.
콘크리트 시험 해머 (-試驗-) concrete test hammer 굳어진 콘크리트의 강도를 시험편(試驗片)의 채취나 구조물의 파괴를 수반하지 않고 측정하는 비파괴 시험기계. 내포된 추의 스프링 반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한다. = Schmidt concrete test hammer
콘크리트 타워 concrete tower 콘크리트를 버킷에 옮겨 담고 엘리베이터로 높은 곳으로 올린 다음 호퍼(hopper)를 거쳐 운반차 등에 싣는 장치. 넓은 범위를 박는데 적합하지만 경사 슈트(chute) 를 조합 시키기 때문에 재료 분리가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콘크리트 수송 기계 (-輸送機械) concrete transporter 1륜차, 2륜차, 콘크리트 타워, 콘크리트 펌프, 트랜싯 믹서(transit mixer) 또는 트럭 믹서, 애지테이터 트럭(교반 트럭) 등을 가리킨다. 또한 트랜싯 믹서나 애지테이터 트럭은 배처 플랜트로 합계량, 비빈 콘크리트를 트럭으로 운반하면서 비비는 것.
콘크리트 진동기 (-振動機) concrete vibrator 생 콘크리트로 공극을 충전할 때나 잉여 수분을 진동에 의해 제거하는 기계. 봉상(棒狀) 진동기, 표면 진동기가 있고, 원동기로는 전동기, 공랭 가솔린 엔진, 에어모터 등이 사용된다. 봉상 진동기는 댐 공사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구조물에, 그리고 표면 진동기는 두께가 얇은 경우에 효과가 크다.
콘크리트 방수제 (-防水劑) concrete waterproofing agent - waterproof agent for cement mixture
쇄석 콘크리트 (碎石-) concrete with crushed stone 골재로서 쇄석을 사용한 콘크리트. 일반적으로 같은 조합(調合)의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워커빌리티는 나쁘지만 강도는 상당히 커진다. - workability of concrete
콘크리트 공사 (-工事) concrete work 콘크리트에 관한 작업을 말한다. 즉 재료의 계량, 조합, 반족, 운반, 타입, 양생 등을 포함한다.
COW공법 (-工法) concrete wrecking 철근 콘크리트(RC) 구조나 철골 철근 콘크리트(SRC) 구조의 건축물을 유압 잭으로 해체하는 공법. 무소음. 무진동의 해체 공법이므로 조용하고 힘센 COW(암소)를 비유하여 명명했다.
현장치기 (現場-) concreting in site 콘크리트를 공사 현장에서 소정의 거푸집 내에 타입하는 것.
응결열 (凝結熱) condensate heat 응결할 때 발생하는 열량. - heat of condensation
콘덴서, 집광기 (集光器) condenser (1) 정전 용량을 이용할 목적으로 만든 장치. 종이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 전해 콘덴서. 바리콘 등이 있다. (2) 광선을 임의의 방향으로 굽히는 목적만을 갖는 렌즈 또는 반사경. 망원경의 대물 렌즈의 초점 부근에 놓으면 광속(光速)을 축소하여 다음 렌즈의 구경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밖에 현미경,영사기 등에도 이용된다.
조건부 확률 (條件附確率) conditional probability 어떤 조건하에서 사상(事象)이 발생하는 확률. 모든 조건에서 사상이 발생하는 확률에 그 조건이 되는 확률을 곱해서 구할 수 있다.
적합 조건 (適合條件) condition of compatibility 균형 상태에 있는 탄성체에서는 응력도가 균형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의 적합성도 유지해야 하는데 이 후자의 조건을 말한다.
연속 조건 (連續條件) condition of continuity {연속보의 인접한 스팬에서 하중을 받았을 때, 지지점에 있어서의 처짐각은 같다}고 하는 조건.
평형 조건 (平衡條件) condition of equilibrium 임의의 평행이 아닌 3방향의 함의 합, 또는 3축 둘레의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인 것. 도식 해법에서는 시력도(示力圖)와 연력도(連力圖)가 모두 폐합(閉合)하는 것.
소성 조건 (塑性條件) condition of plasticity 구조물의 소성 해석에서 모든 부위에서 응력이 항복 응력을 넘지 않는 조건.
공사 청부 계약 약관 (工事請負契約約款) conditions of construction contract = conditions of contract
콘도미니엄 condominium 토지를 공유하는 뜻. 분양 맨션과 같은 뜻이다.
구분 지상권 (區分地上權) condominium leasehold 공작물을 소유하기 위해 토지의 지하 또는 상공의 어느 일정 범위에 대해서 인정된 지상권.
관암거 (管暗渠) conduit 땅 속에 매설된 용. 배수를 위한 파이프. 재료는 토관. 철관. 콘크리트관. 합성 수지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수로식 발전소 (水路式發電所) conduit type power plant = conduit type power station
수로식 발전소 (水路式發電所) conduit type power station 하천수를 완만한 경사의 수로로 유도하여 발전 지점에서 높은 낙차를 얻는 방식의 수력 발전소. 구조물의 배열 순서는 취수댐-취수구-침사지-수로-수조-수압관-발전소의 수차-방수로-방수구.
콘 지지력 (-支持力) cone bearing capacity 선단이 원뿔 모양인 로드를 지반 속에 정적으로 밀어 넣었을 때의 콘(원뿔상 선단부) 저면적당의 관입 저항값을 말한다. 점성토의 1축 압축 강도나 전단 강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콘 관입 시험에 의해 구해진다. = cone index
콘 클러치, 원뿔 클러치 (圓-) cone clutch 원추형의 외통과 내통을 압착하여 원추 접동면의 마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부하 상태에서도 착탈되고 소음도 없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콘 크러셔 cone crusher 우산형 축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암석을 부수는 기계. 충격적으로 볼라이너에 두들겨 암석을 파쇄한다.
콘 지수 (-指數) cone index 사운딩에 의해 얻어지는 점성토 지반의 강도를 나타내는 계수. 10 이상이면 노상(路上)으로서 안전, 3미만이면 노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cone bearing capacity
원추 관입 시험 (圓錐貫入試驗) cone penetration test 로드에 붙인 원뿔을 흙속에 동적으로 관입, 혹은 정적으로 압입하여 흙의 강도나 변형 특성을 구하는 시험.
원추 관입 시험기 (圓錐貫入試驗器) cone penetrometer 그림과 같이 단관식의 정적 관입(靜的貫入) 시험기로, 소형이며 간단한 휴대용 시험기를 말한다. 연약 지반의 조사에 적합하다. 사람의 힘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입할 수 있고 관입 저항은 프로핑(proping) 링에 의해 판독된다. 이 값을 콘의 바닥 면적으로 나눈 값을 콘 지지력이라고 한다. - static penetration test
원추 곡선 (圓錐曲線) cone sections 원추를 평면(꼭지점을 지나는 경우는 제외)으로 절단했을 때 만들어지는 곡선의 총칭.
콘상 파괴 (-破壞) cone-type failure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정착판이 인장되는 경우 등에 정착판 주변에서 약 45도의 면을 따라 생기는 콘크리트의 파괴 현상.
담합 (談合) conference 입찰에 있어서 복수의 응찰자가 입찰 가격이나 낙찰 가격을 미리 대화에 의해 결정하는 것. = negotiation
협의 이전 (協議移轉) conference building removal 사업의 시행자와 그 사업에 지장을 주는 물건의 소유자가 협의하여 보상 금액을 정하고 물건을 이전하는 것.
담합 (談合) conference on the bidding 청부 공사의 입찰에 있어서 미리 청부 관계자간에서 입찰 금액을 상담하는 것.
컨파인드 콘크리트 confined concrete 큰축력 또는 휨 압축력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 단면이 압축력과 직교 방향으로 부풀어 나오는 것을 구속하는 수평 보강근을 갖는 콘크리트.
피압 지하수 (被壓地下水) confined ground-water 피압 상태에 있는 지하수. 자분(自噴) 지하수라고도 한다. 피압상태란 지반속에 있는 체수층(滯水層) 내의 지하수의 수두가 상위 토층 내의 그것보다 높은 상태를 말한다.
제한 분류 (制限噴流) confined jet 용기나 관 속과 같이 고체벽, 혹은 다른 기류에 의해 자유 분류의 성질이 달라지는 분류를 말한다.
휨 구속근 (-拘束筋) condinement steel for bending stress 큰 휨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 단면이 재축(材軸)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부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하는 보강근.
구속 압력 (拘束壓力), 구속압 (拘束壓) confining pressure 지반 속의 흙의 응력 상태를 재현하는 등의 목적으로 3축 압축 시험 등을 할 때 공시체(供試體)에 측면에서 가하는 압력.
합류 (合流) confluent 배수 관로 등에서 둘 이상의 흐름이 합쳐지는 것. 또 하수도나 배수 설비에서 오수와 빗물, 오수와 잡배수를 같은 관로로 배수하는 것을 말한다. = combined flow
등각 사상(等角寫像) conformal representation 두 곡면간에 1대 1의 연속적인 대응이 존재하고, 양 곡면상에서 대응하는 임의의 각도가 같을 때 그 대응을 말한다.
정합 (整合) conformity 적체(積滯)가 시대에 따라 순서 정연하게 이루어져 온 지층. 정합은 지각 변동이 없었던 것이고, 부정합은 과거에 지각 변동이 있었던 것이다.
역암 (轢岩) conglomerate 입경 2mm 이하의 입자를 포함하는 퇴적암. - aquesous clastic rock
원뿔형 혼합기 (圓-形混合機) conical mixer 2개의 원뿔형 동체(胴體)를 원통부에서 잇고 재료는 한쪽에서 투입, 회전시켜 동체 중앙부에 모이게 하고, 이를 섞어 비벼서 혼합된 콘크리트 동체를 경사시켜 투입과는 반대 구멍에서 배출하는 믹서.
원추 셸 (圓錐-), 원뿔 셸 (圓-), 추형 셰 (錐形-) conical shell 회전체 셸의 일종. 회전축에 평행 또는 수직 이외의 직선을 회전축 주위에 회전하여 생기는 곡면 형상의 셸.
공역 수심 (共役水深) conjugate depth 도수(跳水)의 전후 수심을 공역 수심이라 한다. 수평상(床) 위에 단위 폭당의 유량과 수심 H1이 주어지면 상하류에서 유량과 역적(力積)이 같기 때문에 동일한 유량과 역적을 가지는 또 다른 한쪽의 수심 H2가 결정되는데 이것들이 공역 수심이다. 공역 수심 중 작은 쪽이 사류(射流) 수심, 큰 쪽이 상류(常流) 수심이다. H1=H2일 때 이 수심을 한계 수심이라 한다.
접합 (接合) connecting 둘 이상의 부품. 부재를 못, 철물, 접착제 혹은 이음 등에 의해 맞붙이는 것. = joining, jointing
연결 볼트 (連結-) connecting bolt 터널의 강 아치 동바리공에서 인접하는 동바리공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터널 축 방향에 끼우는 볼트.
연락갱 (連絡坑) connecting gallery 터널의 갱도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갱도.
연결 산형강 (連結山形鋼) connection angle 가로 거더를 메인 거더에, 세로 거더를 가로 거더에 설치할 경우 부재 또는 목편 연결에 사용하는 산형강.
컨포저 공법 (-工法) conpozer method 사질 지반 개량 공사의 하나로, 케이싱을 장입하고 속의 흙을 꺼낸 다음, 모래를 집어 넣어 다져진 모래 기둥을 만드는 공법.
녹지 보전 (綠地保全) conservation of landscape 공원, 묘지, 생산 녹지, 차단 녹지, 풍치 지구 등의 녹지를 도시 계획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공지로 하고, 건축물 등을 만들지 않는 것. = green space conservation
표토 보전 (表土保全)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교란되지 않은 토양 단면은 위로부터 퇴적층(낙엽층이라고도 한다), 표층, 하층, 기층으로 대별되는데, 퇴적층과 표층을 포함하여 표토라 한다. 표토는 부식질을 많이 포함하여 식물에게 있어서는 양분을 흡수하는 중요한 장이며, 토양 동물의 생식 장소이기도 하다. 조성에 앞서 표토를 일정한 장소에 집적하고, 조성 종료 후 식재(植栽) 장소로 다시 까는 것은 환경 보전상으로도 중요한 행위이며, 이와 같이 표토를 자원으로서 유효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 crumb structure
반죽질기, 연도 (軟度) consistency 흙이나 콘크리트에 있어서 수분의 다소에 의한 연도(軟度). 토질 재료에서는 일반적으로 함수량에 의해 액성 한계 wL. 소성 한계 wP. 수축 한계 wS 등을 정하여 연도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에서는 슬럼프값에 의하여 그 연도를 표시하고 있다.
컨시스턴시 지수 (-指數) consistency index 고체와 액체의 중간에 있는 흙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 액성 한계와 저연 함수비의 차를 소성 지수로 나눈 값. Ic = (LL-w) / PI. Ic=<0 인 경우는 흙을 흩어지게 하면 액상(液狀)으로 되어서 심하게 강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컨시스턴시 한계 (-限界) consistency limit 함수비(含水比)의 변화에 의한 흙의 상태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총칭. 액성 한계, 소성 한계, 수축 한계 등이 있다. 주로 점성토가 대상이 된다.
흙의 컨시스턴시 consistency of soil 흙은 그 속에 포함되는 물의 비율에 따라 고체처럼 단단해지기도 하고 액체처럼 부드러워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물의 다소에 의한 부드러움의 정도를 말한다. 함수량의 다소에 따라 체적이 변화된다.
컨시스턴시 시험 (-試驗) consistency test 컨시스턴시 한계, 즉 액성 한계, 소성 한계, 수축 한계 등을 구하는 시험.
압밀 배수 전단 시험 (壓密排水剪斷試驗) consolidated drained shear test 지반 중에서의 응력 상태를 재현할 목적 등으로 압밀시킨 후 흙 속의 물이 배출되는 데 충분한 시간을 두는 완속(緩速)의 전단 시험. - consolidated undrained shear test
입밀 배수 시험 (壓密排水試驗) consolidated drained test 압밀 시험의 최초의 가압시부터 간극수의 배출을 허용하여 과잉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진단하는 시험. 사질토에 대해서는 표준 시험으로서 반드시 행하여지지만, 투수성이 낮은 점성토에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별로 행하여지지 않는다.
압밀 비배수 전단 시험 (壓密非排水剪斷試驗) consolidated undrained shear test 지반 중에서의 응력 상태를 재현할 목적등으로 압밀시킨 다음 흙 속의 물의 배출을 시키지 않는 조건으로 하는 전단 시험. - consolidated drained shear test
CU시험 (-試驗), 압밀 비배수 시험 (壓密非排水試驗) consolidated-undrained test 어떤 압력으로 압밀한 다음 배수를 허용하지 않고 전단하는 시험. 지반을 압밀 혹은 팽창시켰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비배수 전단 강도를 견적하기 위해 주로 점성토를 대상으로 하여 행하여진다.
압밀 (壓密) consolidation 투수성이 작은 포화한 점토질 토층에 하중에 의한 응력이 작용했을 경우 하중의 대부분이 간극수로 부담되고, 이 간극수에 주위의 간극수보다 높은 수압을 일으킨다. 이에 의해 서서히 간극수가 유동하여 점토층의 흙입자로 하중이 부담되기까지 점토층이 수축하는 현상.
바닥다짐 댐 consolidation dam 일반적으로 높이 3m 이하의 낮은 댐. 하상 선굴을 막고 하도의 경사를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압밀 그라우팅 (壓密-) consolidation grouting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댐의 기초에 대해 사용되는 기초 처리 공법의 하나. 콘크리트 댐의 기초에는 상당히 큰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초 암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댐의 기초면이 되는 범위의 암반 표면 부근에 그라우팅을 한다. 암반의 표면으로부터 3 ~ 10m 정도의 깊이까지 지를 40mm 정도의 구멍을 3m 간격 정도의 격자상으로 뚫고, 3 ~ 7kgf /cm2 정도의 압력으로 이 구멍을 통해 암반 내부의 균열 등의 공극 내부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한다. 천공 기계로서는 보링 머신, 크롤러(crawler) 드릴 등이 이용되며, 밀크 주입에는 믹싱 플랜트, 애지테이터, 그라우트 펌프 등이 사용된다. - curtain grouting, grout pump
고결 공법 (固結工法) consolidation process 지반 개량 공법의 하나. 시멘트나 약액의 주입 또는 동결에 의해서 지반의 불투수화 혹은 강도 증가를 도모한다.
압밀 침하 (壓密沈下) consolidation settlement 구조물의 중량에 의해 생기는 지반의 침하.
압밀 응력 (壓密應力) consolidation stress 흙의 압밀에 있어서 흙입자에 가한 유효 응력.
압밀 시험 (壓密試驗) consolidation test 압밀에 의한 지반의 침하량과 침하 속도를 구하기 위한 시험. 흙의 공시체(시료)를 원통 내에 넣어서 측면을 구속하고, 축 방향에는 포러스톤을 통하여 배수를 허용하면서 압축한다.
압밀 이론 (壓密理論) consolidation theory 흙으로 된 기초 위에 구축된 구조물에 일어나는 침하량 및 그 시간적 비율을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이론. 대표적인 것에 테르자기의 압밀 이론이 있다.
바닥다짐 공사 (-工事) consolidation work 하상 침하가 심한 경우, 하상이나 고수부(高水敷)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여 만드는 공작물.
압밀 항복 응력 (壓密降伏應力) consolidation yield stress 일반적으로 점성토의 압밀 시험을 하면 실선 def와 같은 곡선이 된다. 도중에 하중을 제거하면 흙은 팽창하여 fg와 같은 경로를 따르며, 다시 하중을 가하면 gh와 같은 경로를 따른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과거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점선으로 그려진 점 b에 대한 압밀 응력 Pc를 압밀 항복 응력이라 한다. 이것은 이 토양이 과거에 받은 최대의 압밀 응력 즉, 선행 압밀 응력과 일치한다고 말할수 있다.
평균 가속도법 (平均加速度法) constant acceleration method 운동 방정식의 수치 적분법의 하나. 미소 구간에서의 가속도가 양단에서의 가속도의 평균값과 같고, 또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정오차 (定誤差) constant error 원인이 분명하며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항상 부호도 크기도 일정한 오차. 그 성질로부터 계통 오차, 누적 오차, 누차, 정차(定差)라고도 한다. 조건을 알면 보정 가능하다.
척상수 (尺常數) constant of scale - charactericstic value for correction
정반경 아치댐 (定半徑-) constant radius arch dam 형상에 따라 아치 댐을 분류한 것으로, 각 표고의 아치 요소의 반경이 거의 일정값을 갖는 것.
일정률 저류 (一定率貯流) constant rate storage 홍수 조절 방식의 일종. 홍수 유입량 중 무해 유량 이상에 관하여 피크 유량까지는 유입량에 일정률로 저류를 하고 피크 이하는 일정량을 방류할 것. 그 시각에 유입량만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일정 단위 수량의 법칙 (一定單位水量-法則) constant water content law {잔 골재. 굵은 골재 및 그 비율이 일정한 콘크리트 1m3에 사용하는 수량이 같다면 그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시멘트의 사용량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 이것을 일정 단위 수량의 법칙이라 한다. 콘크리트의 배합을 수정할 때 이용한다.
공사 명세서 (工事明細書) constract specifications 공사 내용. 방법. 주의 사항 등 공사 시행에 필요한 사항이 표시된 서류를 말한다.
건설 (建設) construction 구조물을 새로 만들어 설치하는 것. 철도, 도로, 댐, 교량 등의 공공 시설에 대한 토목 공사와 건축물에 대한 건축 공사로 나누어지며, 모두 건설 업자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건설 폐재 (建設廢材)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재. 산업 폐기물이 된다.
공사 청부 계약 (工事請負契約), 공사 청부 계약서 (工事請負契約書), 시공 계약 (施工契約) construction contract (1) 공사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 청부자는 공사의 완성을, 발주자는 보수의 지불을 약속한다. (2) 공사의 발주자와 수주자 사이에서 공사 청부 계약시에 교환하는 계약 문서. 공사 장소, 공기, 인도 시기, 청부 대금 등을 기재하고, 청부 계약 약관과 설계 도서를 첨부한다. (3) 건축물 등의 구체적인 건설 공사, 즉 시공을 실시하기 위한 계약. 보통은 청부 계약이 되지만 위임 계약에 의해서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공사 가격 (工事價格) construction contract price 순공사비와 현장 경비로 이루어지는 공사 원가에 일반 관리비 등 부담액을 더한 총공사 금액. - construction cost, direct construction cost
공사비 (工事費) construction cost 건설 공사에 필요한 비용으로, 좁은 뜻으로는 직접 공사비를 뜻하나, 넓은 뜻으로는 일반 관리비나 설계료 등을 포함하는 모든 비용을 말한다.
건설 순환 (建設循環) construction cycle = building cycle
건설 기계 (建設機械) construction equipment 건설 공사에 사용하는 기계. 건설 장비라고도 한다.
건설 수출 (建設輸出) construction export 해외 공사의 수주와 시공을 국민 경제의 관점에서 수출 활동의 일부로 간주하여 건설 수출이라 부른다.
건축 한계 (建築限界) construction gauge 차량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궤도 또는 도로상에 일정한 공간을 만들고 그 한계 내에는 구조물이 들어설 수 없도록 한 제한.
건설 산업 (建設産業) construction industry 토목 건축을 포함하여 건설 생산에 관한 산업의 총칭.
건설 투자 (建設投資) construction investment 좁은 뜻으로는 토목 투자와 건축 투자의 총칭. 넓은 뜻으로는 이 밖에 모든 시설, 설비, 장치를 포함한 이른바 건설 전체에 대한 자본 투하.
시공 이음 [콘크리트의] (施工-), 시공 줄눈 (施工-) construction joint (1) 단단히 굳은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쳐서 잇기 위해 만든 이음매. 시공 이음에는 그 방향에 따라 수평 시공 이음과 연직 시공 이음이 있다. (2) 콘크리트 시공상의 형편에 따라 만드는 줄눈.
시공 관리 (施工管理) construction management 토목 공사를 함에 있어서 면밀한 조사. 계획을 실시하여 가능한 한 빠르게. 좋게. 쉽게 그리고 안전하게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는 종합적인 계획. 안전 관리. 원가 관리. 품질 관리. 공정 관리의 4대 관리의 총칭이다.
공사 매니저 (工事-) construction manager 발주자의 입장에서 전문 공사 업자와 계약 조건을 교섭하는 등 종합적인 건설 관리를 하는 자. = CMR
시공법 (施工法) construction method 공사의 실시 기술을 총괄한 호칭.
공기 (工期) construction period 공사의 착수부터 완성까지의 기간. = term of work, time for completion - stage of execution works, process of works
건설 사업비 디플레이터 (建設事業費-) construction project cost deflator 공공 공사 등의 예산액 실질량을 산출하는 디플레이터를 말한다. 용지 관계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완성 공사고 (完成工事高) construction revenue 건설업 회계에서 공사 완성을 기준으로 한 매상고. 그 회계 기간에 완성한 공사의 공사 가격 합계액. = amount of completed works
공사용 도로 (工事用道路) construction road 공사를 위하여 설치한 도로. 재료 및 기계 등을 현장에 운반하기 위하여 건설 된다.
일간 construction shed 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가설 작업장. 주로 목공, 철근공, 미장공, 도장공 등이 필요로 한다.
공사 현장 (工事現場) construction site = field, building site, job site
현장 직원 (現場職員) construction site staff 건축 현장에서의 청부 업자측 직원을 말한다.
건설업 (建設業) construction trade = contractor (2)
건설 공사 (建設工事) construction work 토목 건축에 관한 공사 전반의 총칭.
건설 디플레이터 (建設-) construction work deflator 건설 투자액의 실질 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디플레이터.
시공자 (施工者) constructor = builder
컨설턴트 consultant 고객의 의뢰에 의해 고객을 대신해서 토목 사업의 기획, 조사, 설계, 시공 관리 등을 하는 기업.
기술사 (技術士) consultant engineer 국가 기술 자격법에 의해 공인된 자격 소지자로, 전문적인 기술면에 대해서 자문. 지도하는 전문 기사, 기술 고문.
컨설테이션 consultation 도시 설계를 추진해 가는 방법의 하나로, 시민과 공적 기관과의 밀접한 정보 교환과 신뢰 관계로 추진되는 도시 설계가의 설계 계몽.
컨설팅 엔지니어 consulting engineer 과학. 기술의 응용에 관하여 회사 등에 적절한 지도를 하는 자유직의 기술자.
소모노즐식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消耗-式-鎔接) consumable electroslag welding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의 일종. 자동적으로 송급되는 용접용 와이어와 함께 노즐(강철제의 가이드 튜브)도 용융시키는 용접법.
콘택트 시멘트 contact cement 지압 정도의 작은 압력으로 접착하는 접착제.
접촉 부식 (接觸腐蝕) contact corrosion [1] = electric corrosion. [2] 어떤 금속이 동일 금속 혹은 비금속과 접촉하여 생기는 틈의 내외에서 용존하는 산소량의 농담에 의해 일어나는 부식.
접촉 그라우팅 (接觸-) contact grouting 콘크리트 댐과 기초 암반의 접촉면에 실시되는 그라우팅. 미리 만들어 놓은 그라우트 주입관과 그라우트 아우트렛(그라우트 밀크의 출구가 되는 장치. 압력으로 고무막을 밀어 열면 그라우트 밀크가 나온다)을 통해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와 콘크리트 리프트 표면으로부터 암반까지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그라우팅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그라우팅에 의해 댐 본체와 기초를 일체로 만든다.
접지압 (接地壓) contact pressure [1] 차바퀴 등이 지면에 접할 때의 압력. 단위 kg /cm2. [2] 기초의 밑면과 이것이 접하는 지반 사이에 서로 작용하고 있는 압력을 말한다. 직접 흙에 접하는 기초에서는 접지 압력이 허용 지내력도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다.
접지 압력 분포 (接地壓力分布)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기초 바닥면과 지반과의 접촉면에 생기는 압력. 지반 압력이라고도 한다. 기초 슬래브의 구조와 지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콘택트 스태빌리제이션법 (-法) contact stabilization process = biosorption method
콘택트 스트레인 게이지 contact strain gauge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나 건조 수축, 크리프 등을 계측하는 장치. 탄성 계수를 측정하는 경우는 시험체 측면에 세로 방향의 두 점에 강구(鋼球)를 박아 넣어서 2점간의 길이 변화를 읽는다.
접촉 응력 (接觸應力) contact stress 구슬 또는 원통과 평면 또는 곡률이 다른 구슬 또는 원통이 접하는 경우, 그 접촉점 또는 선상에 생기는 응력. 강체(剛體)인 경우 점 또는 선으로 되어 응력 무한대로 되지만 탄성체인 경우는 면접촉으로 된다.
컨테이너 container 화물 수송용의 금속제 대형 용기. 간단히 짐을 꾸리거나 짐을 옮겨실을 수 있고, 화물 수송의 신속화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염 물질 (汚染物質) contaminant 공기중이나 수중에 입자상 또는 가스상 물질로서 존재하여 인체를 비롯해서 생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 물질.
컨태미네이션 contamination 가루먼지, 오염 물질, 방사능 등에 의한 오염.
오염원 (汚染源) contamination source 인체에 대해서 생리적 악영향을 미치거나, 기물에 손상을 주는 원인이 되는 원천.
등고선 (等高線) contere line 지도상에서 같은 높이의 점을 이은 선.
연속보 (連續보) continuous beam 2스팬(경간) 이상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보. 받침의 상태에 따라 고차(高次)의 부정정으로 된다. 그림은 1차 부정정을 나타낸 것이다.
연속교 (連續橋) continuous bridge 메인 거더의 구조가 2스팬(경간) 이상에 걸쳐 연속된 교량.
기둥 관통 형식 (-貫通形式), 연속 기둥 형식 (連續-形式) continuous column type 기둥을 절단하지 않고, 보를 절단하여 조립하는 기둥 보의 접합 형식.
연속 합성 거더 (連續合成-) continuous composite beam (girder) 합성 거더의 강거더가 연속 거더인 경우를 연속 합성 거더라 한다. 중간 지지점 부근의 (-)휨 모멘트에 의해 상판에 생기는 인장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그 부분에 PC매입하여 인장한다. 또는 강 거더를 중간 지지점에서 상승시켜 상판을 타설(打設)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소정의 위치까지 내리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상판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연속 합성 거더를 부분 합성 거더라 하는 경우가 있다. - composite beam girder
연속 원통셸 (連續圓筒-) continuous cylindrical shell 모선 방향으로 지지점을 넘어서 연속하고 있는 원통 셸. - multiple cylindrical shells
연속 용접 (連續鎔接), 연속 필릿 용접 (連續-) continuous fillet weld 단속 용접에 대하여 용접부가 연속한 필릿 용접을 말한다.
상류식 침전지 (常流式沈澱池) continuous flow settling basin 침전지의 일종. 상수도에서는 여과 작업에 앞서 원수 속의 부유물을 침전시키며, 하수도에서는 하수처리 이전에 2회의 침전 작업을 한다. 상류식은 간헐식에 비해 침전 후 물을 인출할 때 침전지 내부가 교란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 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수평류식과 수직류(방사류)식이 있으며, 후자는 원형 침전지에 많다. 그 형상은 직4각형에서는 길이와 폭의 비를 3 : 1 ~ 8 : 1, 원형에서는 지름과 깊이의 비를 6 : 1 ~ 12 : 1로 한다. 유효 수심 3 ~ 4m, 바닥의 오니를 취출하기 위하여 클래리파이어 등의 배니(排泥) 장치를 설치한다.
줄기초 (-基礎), 연속 기초 (連續基礎) continuous footing [1] 길게 연속된 기초를 말한다. 재료는 철근 콘크리트, 무근 콘크리트, 마름돌, 콘크리트 블록 등. [2]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속한 기초를 말한다.
연속 기초 (連續基礎) continuous foundation 띠 모양으로 연속해 있는 기초로, 띠 기초( 基礎)라고도 한다.
연속보 (連續-) continuous girder = continuous beam
연속 거더교 (連續-橋) continuous girder bridge 연속보를 주구조로 사용한 교량. - continuous beam
연속 격자 거더 (連續格子-) continuous grid structure 수평 거더군(群)에 의해 격자 구조로 만든 연속 거더.
연속제 (連續堤) continuous levee 물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축조된 제방.
연속 철근 콘크리트 포장 (連續鐵筋-鋪裝), CRC포장 (-鋪裝)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활주로 등에 콘크리트 포장을 채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무근 콘크리트 포장이 선정되지만 대형기를 대상으로 하는 공항에서는 줄눈의 감소, 콘크리트판 두께의 절감 등으로 인해 내구성이 큰 포장이라 일컬어지는 CRC(연속 철근 콘크리트) 포장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CRC포장의 경우 콘크리트판 두께는 무근 콘크리트 포장의 85%로 하며, 세로 방향으로는 콘크리트판 단면적의 0.6 ~ 0.7%의 철근을 넣고, 2m 간격 정도의 미세한 크랙의 발생을 처음부터 허용하기 때문에 가로 방향 수축 줄눈은 일체 불필요해진다. 세로 방향 시공 줄눈은 무근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5 ~ 7.5m의 간격으로 한다.
연속식 믹서 (連續式-) continuous mixer 믹서의 한쪽 방향에서 콘크리트 재료 등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다른 쪽에서 인출하는 것. 배치 믹서보다 정밀도는 높다. 주로 안정 처리용의 혼합물이나 역청 혼합물의 제조에 이용된다.
상시 수력 (常時水力) continuous power = firm power
연속 라멘교 (連續-橋)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그림과 같은 교량 형식을 말한다. 내진 구조로서 채용되는 수가 있으나 온도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기 쉽다. - rigid-frame bridge
연속판 (連續板) continuous slab 2경간 이상에 연속해 있는 슬래브를 말한다. 연속판의 휨 모멘트의 계산은 하중의 분포나 판의 연속성을 고려해야만 하는데, 도로교에서는 시방서에 간단한 근사 계산식이 나와 있다.
연속 트러스 (連續-) continuous truss 3개 이상의 받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트러스.
연속 트러스(교) (連續-(橋)) continuous truss (bridge) 세 곳 이상의 지지점으로 지지된 트러스(교). - truss (bridge)
연속 용접 (連續鎔接) continuous weld 용접 이음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어 있는 용접 또는 그 용접법. 이것은 용접이 완료된 상태에서 용접이 끊어진 곳 없이 이어져 있는 것을 말하며, 그 용접 순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연속체 역학(連續體力學) continuum mechanics 실재의 물체는 미시적으로 보면 여러 가지 성질이 불연속의 원자의 모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을 근사적으로 연속체로서 모델화한 다음 물체의 거동을 다루는 분야를 말한다. 상세하게는 고체역학, 유체역학 등이 있다.
등고선 간격 (等高線間隔) contour interval 인접한 등고선이 나타내는 표고의 차.
등고선 (等高線) contour line 어떤 지형을 일정한 간격의 다수의 수평면으로 자른 경우, 이들 수평면과 지표면이 교차하는 선을 기준면상에 투영하여 만들어지는 선. 등고선의 중요한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동일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동일 높이를 갖는다. [2] 등고선이 도면 내에서 폐합(閉合)하는 경우 그 내부는 산정(山頂) 아니면 오목( )지이다. [3] 경사가 일정한 곳에서는 등고선 상호간의 거리가 같다. [4] 급경사에서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상호간의 거리가 짧다.
등고선법 (等高線法) contour line system 등고선을 사용하여 지형을 표시하는 도법. 특징등고선의 모양과 도상(圖上)의 간격에 의해 지형의 특성을 정확히 수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청부 계약 (請負契約) contract 공사의 발주자와 청부업자 사이에 체결하는 계약. 계약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공사의 내용 ( 설계도. 시방서 등) [2] 청부 대금의 액수, 지불 방법, 시기 [3] 공사 착수의 시기, 완성 시기 [4] 설계 변경, 공기 변경등 [5] 계약에 관한 분쟁의 해결 방법 [6] 기타
청부 계약(請負契約) contract agreement = contracting
청부금(請負金) contract amount 청부금액의 줄인 말로, 청부 계약에 의해 정해진 공사 완성의 보수금, 청부 대금, 공사 대금이라고도 한다.
청부업 (請負業) contract business 청부 계약에 의해서 영업을 하는 기업 종별의 하나. 건설업은 그 대표적인 것.
지명 경쟁 계약 (指名競爭契約) contract by tender of specified (nominated) contractors 지명 경쟁 입찰에 의한 계약.
계약 보증금 (契約保證金) contract deposit 청부 계약의 경우 청부 업자가 계약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계약 체결시에 주문주에 납부하는 금액.
계약서 (契約書) contract document 도급 공사에 있어서 공사 발주자와 도급인 사이에 공사 집행에 관하여 교환한 약정의 서류.
4각 둑 (四角-) contracted rectangular weir 긱4각형의 단면을 가진 유량 측정용의 둑 중 월류부의 폭 B가 수로의 폭 b보다 좁은 것. B/b 가 비교적 작을 때에 적용되는 이다야. 데지마 공식과 B/b 가 비교적 클 때 적용되는 오키 공식이 있다. 어떤 것이나 유량은 둑 상류측의 수심 h(월류 수심)의 2/3승에 대략 비례한다.
청부 (請負) contracting 민법이 규정하는 계약의 일종. 당사자의 한쪽이 어느 일의 완성을 약속하고, 상대방이 그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주는 것을 약속하는 것. 토목. 건축 공사에 일반적으로 쓰인다.
청부 조건 (請負條件) contracting condition 청부 계약에서의 발주자, 청부자간의 계약 조건.
청부 공사 (請負工事) contracting job = contract work
계약 방식 (契約方式) contracting system 계약 상대의 선택부터 계약 체결에 이르기까지의 방식. 입찰에 의한 계약 외에 수의 계약, 특명 계약 등이 있고, 또 계약 내용에 관해서는 총가 정액 청부, 단가 청부, 실비 보수 가산식 등이 있다.
수축 균열 (收縮龜裂) contraction crack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응결이나 경화에 따라 수축할 때 생기는 균열을 말한다. = shrinkage crack
수축 이음 (收縮-) contraction joint 콘크리트 포장판이 수축될 때 판에 불규칙적인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만드는 이음. 구조는 일반적으로 숨은 줄눈 형식이지만 맞대기 이음 형식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수축 손실 (收縮損失) contraction loss 수로 단면이 축소되어 있는 곳을 물이 흐를 때에 축소부에 국부적둁으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데 이 소용돌이에 의하여 생기는 손실 수두의 총칭이다. 또한 수로 단면이 확대되어 있는 경우에 같은 모양으로 생기는 손실 수두를 일반적으로 확대 손실이라 한다.
단면 수축률 (斷面收縮率) contraction percentage of area 인장 시험에서 시험편의 처음 단면적을 A0, 파단 후의 최소 단면적을 A1로 할 때 다음의 값을 단면 수축률 q라 한다. q= A0-A1 /A0 * 100(%)
수축 응력 (收縮應力) contraction stress 부재가 온도 변화나 건조 등에 의해 수축할 때에 발생하는 응력. 균열. 변형 등의 발생을 완화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대책을 세운다.
설계 감리 계약 (設計監理契約) contract of design and supervision 건축물의 설계를 하고, 그 건물의 시공시에 감리를 하는 위임 계약. - supervising contract
청부자 (請負者), 건설 업자 (建設業者) contractor (1) 청부 계약을 맺은 당사자 중 일을 완성할 것을 약속한 자. (2) 종합, 직별, 원청, 하청 기타에 의해 건설 공사의 완성을 청부하는 자. 건설업법에서는 동법에 의한 등록을 받은 자.
견적서 (見積書) contractor's estimate 입찰이나 매매 거래에 있어서 수주측이 작성하는 수주 희망 금액을 나타내는 서류. - bills of quantities
청부 가격 (請負價格), 계약 가격 (契約價格) contract price (1) 청부 계약에 있어서 청부 공사의 대가로서 당사자가 합의한 가격. = contract sum (2) 청부 계약이나 위임 계약에 있어서의 업무의 대가. 건축 공사에서의 청부 계약에서는 청부 공사비라고도 한다. = contract value
계약 갱신 (契約更新) contract renewal 구계약을 해제하고 새로운 계약을 하는 것을 말한다.
청부 가격 (請負價格), 공사 가격 (工事價格) contract sum (1) = contract price (2) = construction contract price
계약 가격 (契約價格) contract value = condtract price
연불 계약 (延拂契約) contract with deferred payment clause 공사 청부 계약 등에서 공사 완성 인도 후에 어느 정도의 기간을 두고 대금을 지불하는 계약.
청부 공사 (請負工事) contract work 기업이 청부 업자에게 일정한 계약에 근거하여 공사를 대리 시공시키는 것. 기업에 적당한 감독자가 없는 경우나 물가가 안정되어 있을 때 이루어진다.
규제 (規制), 제어 (制御) control (1) 일정한 도시 계획상의 의도하에 혹은 공공의 안전, 복지 등을 위해 건축 행위, 개발 행위 등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것. = regulation (2) 기계나 설비가 목적에 걸맞는 동작을 하도록 조절하는 것.
컨트롤 사이클 control cycle PERT/cost 수법에 있어서 실행 계획, 스케줄, 비용의 종합 조정으로부터 시작하여 프로젝트 진척 상황을 평가, 계획 스케줄 개정까지의 각 단계.
컨트롤 에어 controlled air AE제를 써서 조정된 콘크리트 중의 공기 거품.
엄밀 집성 사진 (嚴密集成寫眞) controlled mosaic 카메라의 기울기에 따른 상의 어굿남이나 촬영 고도의 변동 때문에 생긴 각 사진간의 축척의 차이를 수정한 사진을 그 사진들의 주점(主點)이나 표정점의 관계 위치가 정확하게 되도록 붙여 맞춘 사진도. = photographic map
관리 한계선 (管理限界線) control limit line 품질 관리를 하기 위한 관리도에 있어서 평균값에서 소정의 위치에 어떤 통계량에 기초하여 결정한 한계선. 공정의 양부를 판정하는 선이다.
기준점법 (基準點法) controling point system 지형 측량에서 지세선(地勢線)상의 주요점의 위치와 표고를 실측도에 나타내고, 이것에 기초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 측량 지역이 넓고, 소축척의 지형도를 작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출입 제한 (出入制限) control of access 도로 인접지와 도로를 구조물이나 고저차로 절연하고 특정의 출입로를 통해서만 자동차를 출입시키는 것. 그 제한을 실시한 도로를 출입 제한 도로라 한다.
기준점 (標定點) control point 공중 사진으로 찍기 곤란한 사진의 표정 기준이 되는 측점(測點). 이것을 결정하는 측량을 기준점 측량이라 한다. 위치 또는 표고의 표정점이 있으며, 공중 사진의 촬영에 앞서 지상에 점을 선택하고 기준점 측량에 의해 위치나 표고를 측정해 둘 필요가 있다. 촬영시에는 대공(對空) 표지가 필요하다.
기준점 측량 (基準點測量) control point surveying = control survey
지배 단면 (支配斷面) control section 개수로의 흐름 상태를 지배하는 단면. 예를 들면, 흐름이 상류(常流)로부터 사류(射流)로 변화하는 경우 한계 수심의 단면 등이 지배 단면이다. 이 지배 단면은 수면 계산의 기점(起點)이 된다.
기준점 측량 (標定點測量) control survey 기준점의 위치나 표고를 측정하거나 대공(對空) 표지를 만드는 지상 측량. 3각 측량. 트래버스 측량. 수준 측량 등이 있으나, 기설 기준점을 이용하면 그것들을 생략할 수 있다.
억제공(抑制工) control works 사태 발생의 유인(지표수, 지하수)을 제거하든가 사태 사면의 밸런스를 회복하여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 그 밖에 사태력에 대항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억지공이 있다.
연접 도시 (連接都市) conurbation 몇 개의 도시가 서로 붙어 일체화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 연합 도시라고도 한다.
표준 활성 오니법 (標準活性汚泥法)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하수 처리에서 오래 전부터 쓰이고 있던 활성 오니법. 일반적으로 폭기(曝氣) 시간 6 ~ 8 시간, BOD 용적 부하 0.6 ~ 0.8kg /m3. 일로 설계된다. 배설물 정화조에서는 처리 대상 인원 5001인 이상에 적용된다.
컨벤션 센터 convention center 대규모의 회의, 견본시, 이벤트용의 시설. 주류가 되는 것은 기업이 모여 실시하는 견본시와 집회의 조합이다.
농지 전용 (農地轉用) conversion of farn:land into non-farming uses 농지를 택지 등 농업 생산 이외의 용도로 전용하는 것.
마름질, 제재 (製材) conversion of timber 저장 목재를 제재소에서 필요한 크기의 각재 등으로 자르는 것.
전이 교통 (轉移交通) converted traffic 그때까지 이용하고 있던 교통 기관으로부터 다른 교통 기관으로 옮겨간 교통. 예를 들면,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버스 이용자가 그 지하철을 승차하게 되었을 때 전이 교통량이라 한다. - diverted traffic
전로강 (轉爐鋼) converter steel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술병 모양의 노(전로)에 용광로에서 용해한 선철을 넣고, 노의 바닥부로부터 열풍을 불어 C, Si 등의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여 제강한 강철.
콘벡스 convex 강철제의 권척(卷尺: 줄자)으로, 테이프가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콘벡스룰 convexrule 휴대형 소형 권척(卷尺). 만곡면이 있는 띠강이기 때문에 신직성(伸直性)이 있으며, 소형. 경량이다. 2 ~ 5m의 것이 많으며, 종래의 접자를 대신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압송관 (壓送管) conveying pipe 일반적으로는 펌프 등으로 가압하여 물건을 반송하기 위한 관. 특히 콘크리트 펌프로 타입할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 수송관.
펌프 공법 (-工法) conveying system of concrete by pump and pipe 비빈 콘크리트를 현장 내에서 운반하는 방법의 하나. 콘크리트를 펌프에서 압송관을 통해 타설 장소로 연속해서 운반하는 방법. = pump application
컨베이어 conveyor 가루, 덩어리 물체의 운반을 주로 하는 연속식 운반 기계. 짐의 종류나 각도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버킷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종류가 있다.
컨베이어 로더 conveyor loader 경사진 벨트 컨베이어의 하단에서 재료를 공급하고 상단에서 재료를 낙하시켜 적재하는 형식의 적재기.
콘웨이 로커 셔블 Conway rocker shovel 주로 수도 공사의 암석 적재에 사용하는 기계로, 미국의 굿맨 콘웨이사의 제품이다. 동력은 전동기식이며 갱내 사용의 경우는 고압 케이블이 부수하는 변전차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버킷은 반전식이며, 용량은 0.76m3, 후부에 컨베이어가 있으며 버킷, 컨베이어는 선회하여 그 작업 범위가 넓다는 점, 그리고 기구 위 권상 주행 클러치에 플래니터리식을 채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음 면 그림 참조).
쿠킹 스토브 cooking stove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현장에서 스무저(smoothing iron) 나 탬퍼의 포설(鋪設)에 사용하는 도구를 가스나 석유를 연료로 하여 가열할 목적으로 쓰이는 가반식의 기구.
콘크리트 냉각 (-冷却) cooling of concrete 댐의 매스 콘크리트는 경화시에 열을 발생하고 경화 후 식으면 수축한다. 이 수축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미리 콘크리트 재료를 냉각하거나, 콘크리트를 비빌 때 얼음을 섞거나, 콘크리트 속에 파이프를 매설하고 통수(通水)함으로써 경화열 발생시에 파이프 냉각을 하여 경화시 콘크리트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것을 1차 냉각이라 한다. 또한 이음매 그라우트를 하는 경우 파이프 냉각에 의해 콘크리트를 냉각 수축시켜 그라우트가 들어가기 쉬워지도록 이음매를 넓힌다. 이것을 2차 냉각이라 하며, 이들 조작을 콘크리트의 인공 냉각이라 한다. 1차 냉각에 있어서나 2차 냉각에 있어서 파이프 냉각의 통수 온도와 콘크리트 온도와의 차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쿨링 플랜트 cooling plant 냉각 장치. 댐 제체(堤體)처럼 큰 덩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되면 타설(打設) 후 경화열이 축적되어 냉각에 장시간이 요구되며 균열의 원인이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 쿨링이나 파이프 쿨링법을 이용한다. 또한 함수비가 특히 높은 연약지에서의 터널 공사 등에서 흙막이를 실시하지 않고 토사를 동결시켜 소굴(素堀) 공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냉동 장치가 있다. 원리적으로는 냉장고나 냉동기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으며, 냉매에는 암모니아를 이용한 것, 프레온계 가스를 이용한 것이 있다. 압축기의 형식에는 리시프로(recipro)형이나 터보형 등이 있다.
냉각수(冷却水) cooling water 원자력 발전소나 화력 발전소에서 터빈을 돌린 다음의 증기를 물로 되돌리기 위해 복수기를 냉각하는 용수
냉각용 수로 (冷却用水路) cool water channel 화력 발전소 또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전기 터빈을 돌린 후의 증기를 복수기를 통해 다시 원래의 물로 되돌릴 때 요구되는 냉각수로 주로 해수를 사용한다. 이 냉각 용수를 취수 또는 방수하기 위한 수로를 냉각용 수로라 한다. 냉각 용수의 통수 방식은 일반적으로 자연 유하식, 또는 펌프 압송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자연 유하 방식은 철근 콘크리트제의 개거(開渠) 및 암거(暗渠)가 일반적이며, 펌프 압송 방법은 강관 등으로 만든 관로가 사용된다.
쿠퍼 하중 (-荷重) Cooper's loading 미국의 쿠퍼가 제안한 것으로, 철도교에 대한 활하중. 이것에는 기관차와 탄수차(炭水車)와의 2중 연결 하중과 그것에 이어지는 등분포 하중으로 구성되는 하중례와 2축만의 단독 하중이 있으며, 이것들은 각 선로 등급에 대해 축거는 일정하지만 축하중을 변화시킨 것이다.
좌표도 (座標圖) coordinate chart 직각 좌표로 표시된 도면. 주로 측량에 있어서의 기준점의 전개에 이용되며 트래버스의 골조도 등은 그것의 하나이다.
계통 제어 방식 (系統制御方式) coordinated control system 도로 신호기를 제어할 때 일련의 신호기 표시를 서로 관련시키는 신호계 방식으로, 동시 방식, 교대 방식, 진행 계통 방식으로 나뉜다.
좌표 점고법 (座標點高法) coordinate-point system 등고선(等高線)을 간접적으로 그리는 방법의 하나. 측량 구역을 다수의 정4각형 또는 직4각형으로 나누어 각 만난점의 표고를 구하고, 그 값을 근거로 비례 계산 또는 그래프에 의해 등고선을 그린다.
코핑 coping [1] 목교(木橋)의 난간 부분 정부(頂部)에 있는 횡목(橫木). 또는 새집이나 문 등의 위에 걸치는 횡목. [2] 콘크리트 옹벽 등의 정부(頂部)의 단면을 일부 크게 하여 이것을 덮도록 만든 부분으로 형틀의 부정(不整) 등에 의한 콘크리트 전면이 다소 고르지 못함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경관면에서 구조물의 화장용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강널말뚝 호안 등에 있어서는 이외에 널말뚝 상단부를 붙잡아 줌으로써 이음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도 기댈할 수 있다.
동 (銅), 구리 copper 주로 황동광에서 제련하여 얻는다. 상온의 건조 공기 중에서는 변화하지 않으나 가열하면 표면이 산화하여 암적색으로 된다. 또 습기가 있으면 광택을 잃고, 또 녹청을 발생하나 내부로의 침식은 적다. 따라서 박판으로 하여 지붕을 이고, 철사, 못 등으로서 건축용재로 널리 쓰인다. 단, 알칼리에 약하므로 시멘트 콘크리트에 접하는 곳에서는 부식이 빠르다. 기타 전기 전도율이 좋고 전연성(展延性)이 풍부하므로 전선, 일용품 여러 기구 등에 이용이 넓고, 또 여러 가지 합금의 성분, 동합금의 원료로 사용한다.
동합금 (銅合金) copper alloy 동과 다른 금속과의 합금. 황동은 동에 아연을 가한 합금, 청동은 동에 주석을 가한 합금이다.
코프로세서 co-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에서 CPU칩과 병행하여 독립으로 동작하는 LSI(대규모 집적 회로). 수치 연산이나 입출력을 실행한다.
복사법 (複寫法) copy 원도면을 바탕으로, 원도면이나 청사진 혹은 백사진을 작성하는 방법.
복사도 (複寫圖) copy drawing 원도를 복사기에 의해 복사한 그림 또는 도면. 청사진. 백사진 등이 있다.
저작권 (著作權) copyright 소설이나 음악 등의 저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지만 컴퓨터 프로그램도 저작권에 의한 보호의 대상으로 되어 있다.
코돈 조사 (-調査) cordon count 교통량 조사의 한 수법으로, 어떤 지역을 완전히 폐색시킨 선을 지도상에 가정하고(코돈라인), 그 선을 통과하여 그 지역으로 출입하는 교통량을 도로상에서 조사한다. 이 때 그 지역을 코돈 내 지역이라 하며, 그 속에서 발생하여 코돈 라인을 통과하지 않고, 도착하는 교통을 코돈 내 트립이라 한다.
코든 인터뷰 조사 (-調査) cordon interview survey 대상 지역을 둘러싸는 선(코든 라인)을 통과하는 모든 자동차를 정지시키고, 발착, 교통 목적, 승차 인원, 화물 적재 상황 등을 인터뷰에 의해 청취하여 교통량을 조사하는 방법.
핵 (核), 코어 core (1)지구 내부의 구조중 맨틀에서 지구 중심까지를 말한다. (2) 다음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1] 어스 댐, 필 댐 등에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댐의 거의 중간에 만든 투수성이 낮은 부분. 코어재로는 물을 흡수해도 팽윤에 의한 균열이 생기지 않는 점토나 실트가 사용된다. [2] 코어 보링에 의해 지반으로부터 채취한 흙이 암석의 원기둥형 시료, 또는 코어 채취기에 의해 채취한 콘크리트의 원기둥형 시료. [3] 단면의 핵. 핵이란 작용하는 축방향 압축력의 작용점이 그 내측에 있어 그 단면의 어느 부분에도 인장 응력이 생기지 않는 범위를 말한다.
코어 보링 core boring 코어를 채취하면서 삭공(削孔)하는 로터리식의 보링을 코어 보링이라 하며, 지질 조사용이나 커튼 그라우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코어 보링에 사용되는 구멍 직경은 보통 46 ~ 86mm 가 가장 많으며, 깊은 경우에는 큰 구멍 직경부터 점차 직경을 줄여 간다. 코어 튜브의 선단에는 굴착용의 다이아몬드 비트나 메탈 비트가 장착되며, 굴착된 코어는 코어 배럴 속에 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들어 가면서 로드 속을 통해 코어를 당겨 올리는 와이어 라인 공법은 심부(深部)의 코어 보링에 사용된다. 채취한 코어는 조사의 목적에 따라 강도 시험, 영률 측정, 현미경 판정 등에 사용된다.
코어 커터 core cutter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의 임상면으로부터 원기둥형의 공시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
코어 드릴 core drill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서 강도 시험용의 시험체를 발취하기 위한 드릴. 모터나 엔진, 유압 등에 의해서 다이아몬드 피트를 회전시켜 채취한다. 코어 피트의 치수는 #50 ~ 150 mm. 기계는 소형의 휴대용부터 차에 장치하는 것까지 있다.
코어재(-材) core materials 침투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 댐이나 제방 중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시트 파일 혹은 전압(轉壓)된 찰흙의 벽
중앙 도갱식 굴착 (中央導坑式掘鑿) core method of tunnel construction 단면 중앙의 도갱에서 방사상으로 구멍을 파서 한 번에 폭파 굴착하는 일종의 전단면식의 것과, 중앙 도갱으로부터 정설(頂設). 원형. 중배(中背)로 굴착하는 것이 있다.
단면의 핵 (斷面-核) core of cross section 단주(短柱)에 편심 압축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단면 내에 인장 응력도가 생기지 않는 하중의 작용점 범위. 단면 형상에 따라 그 범위가 정해진다. - eccentric load
핵점 (核點) core point 단면 계수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의 위치. 핵점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핵이라 하며, 이 부분에 하중이 작용하도록 기둥 등의 구조물을 설계하면 압축 응력만 존재하며 인장 응력은 생기지 않는다. Kc, Kt : x - x 축에 관한 핵점 Wc, Wt : X -X 축에 관한 단면 계수 직4각형의 핵점은 중앙 1 / 3 로 되며 댐에 작용하는 합력을 이 범위에 두는 것도 이원리이다.
코어 샘플 core sample 코어 보링에 의해서 채취한 시료.
코어 시험 (-試驗) core test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경화된 콘크리트의 코어를 잘라 내어 행하는 강도 시험.
코어 튜브 core tube 지반의 보링이나 암반의 코어링에 사용하는 것으로, 보링의 로드 끝에 부착한 굴착 용구. 그 끝에는 다이아몬드나 메탈의 비트가 부착된다.
심선 (心線) core wire 피복 아크 용접봉의 속 부분. 용착 금속을 만들기 위한 것.
코너 컷 corner cut 교차점에서 굴절하는 차량의 원활한 통행 및 자전거,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모서리 부분을 깎아 내는 것.
모따기 corner cut-off 정방형이나 장방형의 모를 따내는 것. 도로의 교차점에서 가로의 모를 끊어내는 것.
모서리 이음 corner joint 용접하고자 하는 2개의 모재를 직각 L자형으로 유지하여 모서리를 접합하는 이음.
모서리 대지 (-垈地) corner lot 거리의 모서리를 차지하는 대지를 말한다. 양측이 도로에 면하기 때문에 상점 경영상 특히 유리하다.
코너 파일 corner pile 시트 파일의 일종. 모서리 부분에 사용하는 T자형, C자형 등의 단면 형상을 한 것.
코퍼릿 아이덴티티 corporate identity 기업이 심벌 마크나 코퍼릿 컬러 등을 써서 기업 이미지나 경영 이념을 내외에 어필하도록 하는 광고 전략. = CI
CE 법 (-法) corps of engineers method 미국 공병대가 개발한 공항 포장의 설계법으로, 신축성 포장의 설계법과 강성(剛性) 포장의 설계법이 있다. [1] 신축성 포장의 설계법: 항공기의 각부(脚部) 하중, 노상토(路床土)의 CBR로부터 포장 두께를 구하는 방법이다. 현재 미국 각주, 유럽 등에서 가장 많이 채용하는 방법이다. 구조 설계는 노상의 설계 CBR, 항공기 하중에 따른 접지압 및 타이어 접지 면적의 함수인 기준 포장 두께 설계 기본식에 근거하게 되며 이것을 표. 기층, 상.하층 노반으로 분류한다. [2] 강성 포장의 설계법 : 이 설계법은 웨스터가드(Westerguard)의 재하 공식에 근거하여 줄눈의 하중 전달 능력, 반복 하중, 온도 응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작성한 설계 도표에 따라 설계하는 것이다. - design CBR
처짐의 보정 (-補正) correction for catenary 강철 줄자 등으로 거리를 측정할 때 줄자는 자체 무게에 의해 처짐으로써 정확한 판독이 불가능하다. 이 처짐에 대한 보정을 말한다. 보정량 Cs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Cs = -1 /24 L (wl/P)2 = -1 /24 n * w2l3 / P2 여기서, L : 1구간의 측정 길이(=nl), l : 지지 말뚝의 간격, n : 1구간의 지지 말뚝의 간격, m : 줄자 단위 길이의 중량, P : 측정시의 장력 지지 말뚝의 간격이 간지 않을 때는
장력 보정 (張力補正) correction for pull 측점간을 표준 장력(지정 장력)으로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 강철 줄자의 표준 장력은 일반적으로 5 ~ 10kg 정도이다.
온도 보정 (溫度補正) correction for temperature 강철 테이프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 신축하여 정확한 값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검정시의 온도와 측정시의 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하는 보정. 줄자를 이용한 경우의 온도 보정량은
정정 (整正) correction of track 선로 보선 작업(線路保線作業)의 일종으로, 이음 유간 작업, 궤도간 정정, 궤도면 정정 등이 있다.
부식 (腐蝕) corrosion 물건이 썩거나 녹이 슬어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목재는 균류(菌類)의 번식이 원인으로 부식하고, 금속은 산화에 의한 녹, 금속간의 이온화 경향의 차에 의한 전식(電蝕)등으로 부식한다.
녹 방지 (-防止), 방식 (防蝕) corrosion prevention = corrosion proofing
녹 방지 (-防止), 방식 (防蝕) corrosion proofing 목재의 부식이나, 금속 재료의 녹을 방지하는 것. 목재의 방부 처리로서는 표면 탄화법, 내수 도료, 방충제의 침투. 도포 등이 있고, 금속에서는 도금법, 인공 산화 피막의 형성, 도장, 기타 방식성이 있는 다른 재료로 피복한다. = decal
녹 방지 도료 (-防止塗料), 방식 도료 (防蝕塗料) corrosion proof paint = corrosion proof paint
부식 속도 (腐蝕速度) corrosion rate 금속이 부식하는 반응 속도. 단위 시간당의 부식 감량으로 나타낸다.
내식성 (耐蝕性) corrosion resistance 물질이 대기, 옥외 폭로, 물, 화학 약품 등의 작용으로 부식, 침식을 일으키지 않는 성질.
파형 철판 (波形鐵板) corrugated iron sheet 파형으로 성형한 철판.
골철판 (-鐵板), 파형판 (波形板) corrugated sheet 단면이 파도 모양인 철판을 의미하는 현장 용어.
파형 강관 (波形鋼管) corrugated steel pipe 파형 주름이 잡힌 얇은 강판 파이프로, 경량이면서도 분할하여 운반. 조립할 수 있어 시공이 간단하고 암거(暗渠)나 가설 수로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함석판처럼 그 형상에 따라 외력에 저항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이프 전면에 토압이 균일하게 걸리도록 기초나 백 필링(backfilling)의 시공에는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파형관 (波形管) corrugate pipe 파형 철판으로 만든 판. 가설 배수로 등에 쓰인다.
파상 마모 (波狀磨耗), 코르게이션 corrugation (1) - corrugation of rail (2) 역청 포장의 표층이 포장 온도가 높을 때에 유동하고 노면이 파상으로 되는 현상. 노면의 파상이라고도 한다.
파상 마모 (波狀磨耗) [레일의] corrugation of rail 레일의 두부 윗면에 어떤 파장을 가진 파형의 고저 마모가 생기는 것. 파장은 2 ~ 3cm 에서 50 ~ 60cm 정도인 것까지 여러 가지이다.
원가 (原價) cost [1] 어느 기업 활동에서 받은 재화 또는 용역의 화폐적 평가액. [2] 원가 계산의 목적 및 방식에 따라 정한 소비 가치액. [3] 경영 계획의 목적 또는 방식에 따라 정한 특수한 비용 개념. 예 : 기회원가, 부가 원가.
원가 계산 (原價計算) cost accounting 원가를 계산하는 것. 원가 계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간접비를 대상물에 일정 기준하에 배분하여 직접비를 가산해서 대상물의 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을 전부 원가 계산 (full costing) 이라 하며, 건설 기업에서는 보통 이 방법을 쓴다. 이에 대하여 직접비만 계산하고, 간접비 혹은 고정비를 대상물에 배분하지 않고 별도로 고려하는 방식을 직접 원가 계산 (direct costing) 이라 한다.
비용 할당 (費用割當) cost allocation = allocation
원가 분석 (原價分析), 비용 분석 (費用分析) cost analysis (1) 사전 원가와 사후 원가를 비교, 분석하는 것. 그 후의 경영 관리에 사용한다. - cost control (2)기획, 설계, 생산 관리, 비용 절감 등을 목적으로 하여 건축 공사 등의 비용과 그 내역을 분석하는 것.
완성 공사 원가 (完成工事原價) cost applicable to construction revenue 건설 공사업에서의 원가 중에서 매상으로 계상하는 완성 공사고에 대응하는 원가.
원가 방식 (原價方式) cost approach 부동산 감정에서 건물 등을 평가하는 수법의 하나. 재조달한 경우의 원가에 의해 평가액을 작성하는 방식. - cost method
원가 관리 (原價管理) cost control 공사의 견적서. 실행 예산서. 원가 계산서 등의 내용을 계통별로 간명.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예산액과 지출액을 체크하는 것. 시공 관리 (안전. 공정. 품질. 원가)의 주요한 기둥이 되는 관리이다. 콘크리트 도상 등 레일 받침부가 견고한 경우에 많다.
비용 대 효과 (費用對效果) cost effectiveness 투하 비용에 대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말하는 것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적서 (見積書) cost estimate 입찰이나 매매 거래를 할 때 수주측이 작성하는 수주 희망 금액을 나타내는 서류. - bills of quantities
비용 예측 (費用豫測) cost estimation 건축의 기획, 설계의 단계에서 계획 중인 건축 공사의 비용을 예측적으로 개산(槪算)하는 것.
공종별 적산 (工種別積算) cost estimation by specialist work classfication 전문 공사 종목별의 적산. 전통적으로 행하여진 방식이지만, 부분별 적산과 구별하여 명시적으로 쓰인다. 하청별 적산, 구매별 적산 등이라고도 한다.
원가 계산 (原價計算) costing = cost accounting
원가법 (原價法) cost method 부동산 감정 방식의 하나. 원가 방식에 의해 토지나 가옥의 가격을 평가흐는 것. 임대료에 대한 원가 방식은 적산법이라 한다.
청소비 (淸掃費) cost of cleaning up 청소에 요는 비용. 청소의 간격, 청소 개소, 청소의 정도 등으로 비용의 다과가 정해진다. = clean up cost
근린 대책비 (近隣對策費) cost of compensation of neighhourhood nuisance 건설 공사 등에서 근린 거주자에 대한 손해 보상 등에 드는 비용.
공사 원가 (工事原價) cost of construction work 총공사비에서 일반 관리비 등 부담액과 제세를 제한 금액. 직접 공사비와 공통 가설을 더한 순공사비에 현장 경비를 더한다.
전력 용수비 (電力用水費) cost of electricity and water 사업소나 건설 공사에서 사용하는 전력, 용수, 가스 등의 비용 및 그들을 운용하기 위한 시설. 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비용.
현지 조사비 (現地調査費) cost of site investigation 건설 프로젝트의 부지 조사에 드는 비용.
비용 대 효과비 (費用對效果比) cost performance 상품의 가격, 비용에 대한 생산성, 능률의 높이.
실비 정산 계약 (實費精算契約) cost-plus-fee 실제로 든 비용을 발주자가 지불하는 계약. 계약 체결시에 공사 명세나 공사 범위가 미확정적이고, 계약 총액을 고정하거나 단가를 정하는 것이 불합리할 때 쓰인다.
실비 정산 계약(實費精算契約) cost-reimbursement contract 실제로 든 비용을 발주자가 지불하는 계약. 계약 체결시 공사 사양이나 공사 범위가 미확정이고, 계약총액을 고정하거나 단가를 정하는 것이 불합리할 때 쓰인다.
C/V방식 (-方式) cost-value method 주로 수력 발전소의 경제성 평가에 이용되는 수법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수력 발전소의 경비를 C로 하고 효용이 겉은 대체 전원의 경비를 V로 하여 그것들의 대소에 따라 경제성의 우열을 비교하는 것이며, C쪽이 작으면 수력을 개발하고, 크면 대체 전원을 개발한다고 하는 수법. - standard alternative thermal power station
코더 철근 (-鐵筋) cotter reinforcement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철근. 철근의 직접 전단으로 전단력을 전한다. = dowel bar
쿨롬 coulomb 전기량의 단위. 전류 1암페어가 1초간에 보내는 전기량. 기호 C. 프랑스의 물리학자 C. A. de 쿨롬의 이름을 딴 것.
쿨롬 토압 (-土壓) Corlomb's earth pressure 벽, 직선 미끄럼선과 지표면으로 둘러싸인 쐐기 모양의 흙덩어리를 생각하고, 소성 평형 조건에서 유도되는 토압. 주동과 수동의 두 토압이 있다.
쿨롬의 토압론 (-土壓論) Coulomb's earth pressure theory 1773년 쿨롬이 강체(剛體)의 역학에 기초하여 제안한 이론으로, 주동 통압은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쿨롬의 공식 (-公式) Coulomb's formula 흙의 전단 강도는 흙 입자의 점착력과 마찰력으로 이루어지며, s = c + a tan #로 구한다. 여기서 s : 전단 강도(kgf /cn2), c : 점착력 (kgf /cm2), a : 파괴면의 수직 압축 응력 (kgf /cm2), ##전단 저항각(도).
쿨롬 마찰 (-摩擦) Coulomb's friction 평면상의 물체에 그 평면과 평행한 힘을 걸었을 때 마찰력 이하에서는 활동(滑動)하지 않고, 마찰력과 같은 힘을 가했을 때 활동을 발생하여 일정 반력이 되는 상태.
쿨롬의 공식 (-公式) Coulomb's standard formula 흙의 전단 강도를 점착력과 내부 마찰각에서 구하는 공식.
대재 (對材) counter 트러스의 경사재 등과 같이 교번 응력을 받는 경우에 인장력만을 받는 경우에 인장력만을 부담하도록 메인 트러스의 경사재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는 부재.
카운터 밸런스 counter balance 연약 지반 위에 흙쌓기를 할 때 기초 지반과 활동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쌓기 바탈면에 턱 모양의 흙쌓기를 시행하여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부 댐 (副-) counter dam 월류형 홍수토의 감세 연못 내에 있는 도수에 필요한 하류 수위를 주기 위하여 또는 자유 낙하식 홍수토의 물 쿠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댐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소형의 월류둑. 앞댐이라고도 한다.
부벽식 교대 (扶壁式橋臺) counterforted abutment = buttressed abutment
공벽 옹벽 (控壁擁壁), 지지벽 옹벽 (支持壁擁壁) counterforted retaining wall - buttres
뒤부벽식 옹벽 ( -扶壁式擁壁) counterforted type retaining wall = buttressed retaining wall
접시형 구멍내기 드릴 (-形-) counter sink 접시 나사, 평나사 등의 머리 부분을 공작물 표면에서 감추기 위해 머리 부분이 표면과 같아지도록 깎아내는 드릴.
접시 머리 리벳 countersunk rivet 리벳의 머리를 부재의 표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한 리벳. 리벳의 머리가 튀어 나와 있으면 구조상 곤란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된다.
카운터 톱 counter top 카운터(작업대)의 갑판.
카운터 웨이트, 균형추 (均衡錘) counter weight 밸런스 웨이트 또는 평형추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작용하는 외력과 평형시켜 전체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기중기의 안정상, 매달림 하중과 평형을 취하기 위해 뒷부분에 붙이는 추이다. 이와 같이 기계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카운터 웨이트 외에 예를 들면, 연약 지반 처리 대책의 하나로서 이용되는 카운터 밸러스 공법에 있어 카운터 밸런스에 해당하는 둑턱의 흙쌓기 부분을 카운터 웨이트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카운터웨이트 공법 counterweight fill 연약 지반 위의 흙쌓기의 안정을 위해 흙쌓기의 선단 기슭 외측에 만든 낮은 흙쌓기를 말한다. 부제(副堤)라고도 한다. 흙쌓기 본체의 중량에 의한 바닥부 파괴에 대해 반대 방향의 모멘트를 주어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연약층 두께 정도의 카운터웨이트폭을 잡아 두면 장차 주변 지반의 인입의 영향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하여 흙쌓기 등의 안정을 꾀하기 위한 연약 지반 처리 대책을 카운터웨이트 공법이라 한다.
우력 (偶力) couple 크가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평행한 두 힘. = couple of forces
우력 (偶力), 짝힘 couple of forces 일직선상이 아니고 크기가 같으며, 방향이 서로 평행으로 반대인 두 힘을 우력이라 한다. 우력은 두 힘의 작용하는 평면으로 수직인 축 둘레에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두 힘의 작용선 사이의 거리 a (우력의 팔의 길이)와 각 힘의 크기 F의 곱 aF를 우력의 모멘트라 한다. = couple
결합기 (結合機), 커플러 coupler PC강재를 접속하는 기구. 커플러 방식, 쐐기 방식 등이 있다.
커플러 이음 coupler joint 통 모양의 안쪽에 나사를 낸 강철제 커플러를 써서 2개의 강봉을 비틀어 넣어 접합하는 방법.
커플러 시스 coupler sheath 시스와 시스를 접속하기 위하여 쓰이는 짧은 시스.
커플링 coupling 어떤 축에서 다른 축으로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 클러치와는 다르며, 2축을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회전 중에 힘의 전달을 임의로 절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종류에는 2축을 반영구적으로 연결하는 고정식, 양축간에 다소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식, 2축이 어떤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자재식 등이 있다.
측선 (測線) course 측점과 측점을 잇는 선. 측선이 연속한 것을 트래버스라 한다. - station
켜쌓기 coursed masonry 수평 줄눈이 동일한 높이의 직선으로 되는 돌쌓기. 외관은 보기 좋기만 돌의 크기가 균일해야 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측선 (側線), 트래버스 선 [측량의] (-線) course of traverse 트래버스를 구성하는 각 변을 말한다.
돌나누기 courses in masonry work 돌벽이나 돌바닥 등에서 돌의 크기, 형상 등을 나누는 것.
건폐율 (建蔽率) coverage = buiding coverage
틈채움 골재 (-骨材) cover aggregate 머캐덤식 공법으로 쐐기 골재 위에 살포. 전압하여 표면을 평탄, 세밀하게 하는 골재를 말한다.
암거 (暗渠) covered conduit = culvert
피복 아크 용접봉 (被服-鎔接棒) covered electrode 표면에 피복층을 갖는 용접봉으로, 아크 용접의 전극으로서 사용한다. 용융 금속을 대기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피복재가 심선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칠해져 있다. = coated electrode
유개차 (有蓋車) covered wagon 지붕이 있는 차의 총칭.
덮개 covering [1] 땅 속에 시공하는 구조물의 천장에서 지표까지의 두께. [2] 터널의 천장에서 지상까지의 두께. [3]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철근 매입 깊이 즉, 피복 치수.
커버 플레이트 cover plate 리벳 접합 플레이트 거더의 메인 거더나 리벳 접합 강트러스교의 상현재 등에 사용되어 부재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강판.
커버 록 cover rock 선진 지수(先進止水)그라우트를 하는 경우, 전회의 지수 범위의 일부를 남기고, 다음의 지수 그라우트를 실시한다. 이 남긴 전회의 지수 존을 말한다.
주공정법(主工程法) CPM = critical path method
중앙 연산 처리 장치 (中央演算處理裝置) 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어. 컴퓨터 본체이며, 연산 장치, 제어 장치 및 주기억 장치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LSI화되어 개인용 컴퓨터의 심장부로서의 중요 부품이다.
균열 (龜裂), 크랙 crack 구조물이나 재료에 발생하는 균열 부분. 파괴는 균열이 발생 전파됨으로써 커지게 되어 나머지 면적으로는 하중에 견디지 못하여 발생한다.
크랙 브리징 crack bridging 바탕의 균열이나 바탕 접합부의 틈에 대하여 그 위의 마감재가 절단하는 일 없이 이어져 있는 상태.
균열 하중 (龜裂荷重) cracking load 구조물 등의 하중을 시험할 때 처음으로 균열이 인정되었을 때의 하중.
크랙 미터 crack meter = ultra-tail-defect detector
크랙 스케일 crack scale 콘크리트 제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상태나 균열 폭 등을 관측하는 게측 현미경. 소형이고 휴대에 편리하며, 배율은 20 ~ 100 정도.
균열 감수성 (龜裂感受性) crack sensitivity 용접 균열이 얼마나 일어나기 쉬운가의 정도를 말한다. 모재의 화학 성분, 용접 금 속의 확산성 수소량, 이음의 구속도가 관계한다.
크래프트 craft 각 액티비티(activity)를 필요로 하는 작업원, 기술자, 기계 설비 등을 말한다.
기능공 (技能工) craftman 주로 제조업 등에서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노동자. = skilled laborer
이형 꺾쇠 (異形-) cramp 꺾쇠의 구부린 부분이 반대 방향인 것.
크레인, 기중기 (起重機) crane 중량물을 동력으로 끌어올려서 수평 이동시키는 하역 기계. 창고. 공장. 항만. 공사 현장 등에 설치된다. 동력에는 전력. 증기 동력. 내연 기관 동력. 수동력이 있다. 종류에는 천장 크레인. 지브 크레인. 문형 크레인. 탑형 크레인. 부양식 크레인 등이 있다.
크레인 거더 crane girder 주행 크레인의 주행 레일을 받치는 거더.
기중기 하중 (起重機荷重) crane load 기중기의 작용하는 하중. 기중기의 이동에 따라서 충격을 수반하여 반복 작용하므로, 통상의 적재 하중과 구별한 평가가 필요하다.
기중기 차륜 하중 (起重機車輪荷重) crane wheel load 주행 기중기의 차바퀴에서 기중기 거더에 작용하는 거더 설계용의 하중.
이형 이음판 (異形-板) cranked fish plat 다른 종류의 레일을 접속할 때 쓰이는 특수한 이음판.
크래시 배리어 crash barrier 고속도의 항공기, 특히 제트 전투기의 이착륙에 있어서 감속용 보조 시설.
특급 비용 (特急費用) crash cost 특급 시간에 있어서의 작업에 사용하는 비용. - crash time
특급 시간 (特急時間) crash time 네트워크 공정 관리 수법에서 쓰이는 용어. 아무리 비용을 들여도 작업 시간은 어느 한도 이사은 단축할 수 없다. 이 한계의 작업 시간을 말한다. - crash cost
크레이터 crater 용접의 경우, 용착 부분의 종단에 형성된 움푹 패인 부분.
크롤러 crawler 트랙터 등의 주행 장치의 한 형식. 캐터필러. 무한 궤도라고도 한다. 강철제의 발판을 이어 맞춘 것을 무한 궤도라 하며, 상. 하부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유도륜. 기동륜의 회전에 의해 주행한다. 접지압이 작아 연약 지반, 급물매, 부정지(不整地), 눈 위의 주행이 가능하며 작업 속도가 느리고 무한 궤도의 마모 파손이 많다.
무한 궤도 기중기 (無限軌道起重機) crawler crane 캐터필러가 달린 주행 기중기. 무한 궤도형은 접지압이 작아 연약한 지반이나 급경사에서의 작업을 할 수 있고, 회전도 그 자리에서 할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시가지에서는 주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크롤러 드릴 crawler drill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한 궤도식의 가대에 강력한 대형 드리프터를 부착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구멍을 팔 수 있는 구멍 뚫는 기계를 말한다.
크롤러 셔블 crawler shovel 캐터필러로 주행하는 셔블.
크로리스 펌프 crawless pump 청소용 등 특수 용도로 쓰이는 펌프의 하나. 고형물이 다량 혼입되어 있는 농후한 오염수를 배출할 때 사용하며, 폐색 등의 장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특수한 형상의 날개차를 부착하고 있다.
차주 (借主) creditor 대차 계약에서 빌리는 측의 사람을 말한다. 임대차인 경우에는 임차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그 물건에 따라 차가인(借家人), 차지인(借地人)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 ;essee, remter, tenant
크리프, 크리프 현상 (-現象), 크리프 파괴 (-破壞) creep (1) 일정한 크기의 지속 하중에 의해서 변형이 시간과 더불어 증대하는 현상. (2) 과대하지 않은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형이 증대하여 결국에는 파괴하는 현상.
크리프 계수 (-係數) creep coefficient 크리프 변형이 거의 일정한 값으로 수속(收束)했을 때의 크리프 변형과 탄성 변형의 비율.
크리퍼 데릭 creeper derick (crane) 현수교나 사장교(斜長橋) 등의 장대교(長大橋) 주탑의 가설에 이용되는 데릭 크레인. 연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스티브레그(stiff-leg) 데릭 크레인이 주탑의 측면을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여 주탑 가설 진행 상태에 따라 이동시킨다.
크리프 한도 (-限度) creep limit 크리프 현상에 의해 변형이 일시적으로 증가해도, 일정 한계의 응력 이하에서는 변형이 그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응력의 최대값. 연강에 여러 가지의 인장 응력을 생기게 하고, 변형과 시간 경고의 관계를 크리프 곡선으로 나타낸 그림. 크리프 한도는 #3로 된다.
크리프 힘 creep power 크리프 현상을 발생시키는 혹은 발생시키고 있는 힘(외력).
크리프비 [댐의](-比) creep ratio 투수성 지반상에 만들어지는 플로팅 댐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기준값.
크리프 파괴 (-破壞) creep rupture 크리프 한도를 초과하는 응력을 가하면 크리프 현상에 의해 부재가 파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크리프 변형 (-變形) creep strain 지속 하중에 의해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대하는 변형.
크리프 시험 (-試驗) creep test 물체에 외력을 부하했을 때 순간적인 변형 후에 시간과 더불어 완만하게 진행하는 크리프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시험.
크레모나법 (-法) Cremona's method 정정(靜定) 트러스의 부재 응력을 시력도(示力圖)에 의해서 구하는 방법. - force diagram
크레모나의 응력도 (-應力圖) Cremona's stress diagram 격점(格点)에서 하중, 지점(支点) 반력, 부재 응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이 힘들의 힘의 다각형이 폐합(閉合)해야 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트러스의 부재력을 도해한 것으로, 그 방법으로 트러스의 미지 부재력을 구하는 경우 미지 부재력은 둘 이내이어야 한다.
크레스트 crest 볼록형 종단 곡선 또는 그 꼭대기.
방틀 댐 (-堤) crib dam 돌방틀을 연결하여 둑을 만든 것. 사방 댐 둑 또는 바닥다짐공으로 사용된다.
비탈 멈추기 방틀공 (-工) crib type foot protection work 비탈 멈추기 공법 중 틀 종류의 일종. 연속틀의 변형이며 한쪽에 경사를 만든 것을 외쪽 경사 방틀, 양쪽에 만든 것을 양쪽 경사 방틀, 양쪽과 한쪽 끝에 만든 것을 삼방 경사 방틀이라 한다.
돌방틀공 (-工) cribwork 제방 등의 비탈면을 보강하기 위해 비탈면을 콘크리트 등으로 틀을 짜는 공법. 틀 속에 돌을 채우는 경우도 있다.
크림프 crimp 리벳 접합 플레이트 거더에 있어서 산형강 등의 보강재(補剛材)를 플랜지 산형강이나 웨브에 밀착하도록 구부리는 것.
크림프 와이어 crimped wire - prestressed concrete steel
크림프망 (-網) crimp mesh 펜스 등에 사용되는 철선을 짠 쇠그물. 종횡으로 짠 것과 마름모꼴의 두 종류가 있다.
임계 밀도 (臨界密度) critical density 흙에 전단 변형을 줄 때 흙이 제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때의 흙의 밀도.
한계 수심 (限界水深) critical depth 일정한 유량이 최소의 비(比) 에너지로 흐를 때의 수심. 댐을 넘는 흐름에서는 정상 부근에서 이 수심으로 되어 있다. - Froude number
한계 유속통 (限界流速桶) critical flow flume 한계 유속통에는 바닥이 수평이고 폭이 좁아지는 수렴(收斂) 단면, 폭이 일정하고 바닥이 급경사인 인후(咽喉) 단면, 폭이 넓어지고 바닥이 역(逆)구배인 발산(發散) 단면이 있으며, 인후 단면에서 반드시 한계 수심이 발생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예연언(銳緣堰)과 같은 수로의 유량 측정에 이용된다. 벤투리 플룸(venturi flume) 또는 파샬 플룸(partial flume) 은 한계 유속통의 일종이다.
임계 유속 (臨界流速) critical flow velocity 그 점을 경계로 물리적 성질이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의 유속. - critical speed
한계 물매 (限界-) critical gradient 등류(等流)가 보여지는 것은 폭파 바닥 물매가 일정한 긴 수로에 있어서이다. 이 등류가 상류(常流)인가 사류(射流)인가 하는 것은 유량과 수로의 마찰적 성질이 같다면 물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것이 한계 물매이며 수로 물매가 한계 물매보다 크면 등류는 사류로 된다. 일정한 단면을 가진 긴 수로가 일정한 물매를 가지고 있을 때, 수면을 손으로 교란시켜보아 그 교란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다면 그 물매는 한계 물매를 초과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임계 동수 물매 (臨界動水-) critical hydraulic gradient 피압 지하수 속에 있는 모래층 등에 있어서 입자간 압력이 감소하여 0으로 되는 동수 물매. 퀵샌드가 생기는 최소의 동수 물매도 이것의 예이다.
임계 높이(臨界-), 자립 높이 (自立-) critical length (1) 사면이 안정하게 유지 되는 한계의 높이. (2) 받침기둥 없이 지반이 연직을 유지하는 높이.
위험 하중 (危險荷重) critical load 기둥에 좌굴을 일으키는 최소의 하중.
주공정 (主工程) critical path PERT 수법에서 각 작업의 순서나 소요 시간의 관계중에서 가장 애로(arrow)로 되어 있는 경로를 말한다. PERT 의 원리는 이 주공정을 찾아냄으로써 계획 전체의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주공정법 (主工程法) critical path method 네트워크 수법의 하나로, 애로(arrow)형으로 나타낸다. 소요 시간과 비용의 관계에서 최적 공기(工基)를 구하는 것으로, 건물의 보수, 설비 기기의 교환등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에 적용된다. = CRM
임계 레이놀즈수 (臨界-數) critical Reynolds number 층류로부터 난류로 변하기 시작할 때의 한계점에 있어서의 레이놀즈수. 한계 레이놀즈수라고도 한다. 이 한계점에는 폭이 있으며, 하한의 레이놀즈수를 저임계 레이놀즈수 또는 단순히 임계 레이놀즈수라 하고, 그 값은 2320이다. 상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한계 단면 (限界斷面) critical section [1] 항복, 파괴 등의 한계 상태에 이르고 있는 부재 단면. [2] 허용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부재 단면. 즉 허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면.
한계 경사 (限界傾斜) critical slope - specific energy
임계 속도 (臨界速度) critical speed 어느 점을 경계로 물리적 성질이나 상태가 변화할 때의 속도. 유체에서는 층류에서 난류로 옮길 때의 속도 등. = critical velocity - critical flow velocity
위험 응력 (危險應力) critical stress = critical speed
한계 간극비 (限界間隙比) critical void ratio 충분히 다져진 흙은 변형할 경우 체적이 증가하며 반대로 느슨한 흙은 변형할 경우 체적이 감소한다. 변형에 의해 체적이 증가도 감소도 하지 않는 흙의 간격비를 말한다.
이음부 굽힘 (-部-) crooked joint 레일의 선형(線形)상태가 이음부에서 L자형으로 굽은 것을 말한다. 차량의 좌우 동요를 유발한다.
가로보 cross beam 메인 거더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만들어진 보. 교량의 바닥계에 있어서는 바닥보와 같은 작용을 하며,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는 가로 방향의 안정을 증가시키기 위해 만들기도 한다. - gridwork bridge, sway bracing
사층리 (斜層理) cross-bedding 지층의 주된 층리면(面)과 경사져 교차하는 여러 가지 각도로 침적된 엷은 층의 누적. 모래언덕, 하구, 연안류가 대단한 해안에 침적된 모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크로스 커넥션, 교차 연결 (交叉連結) cross connection [1] 상하가 오수(汚水)의 혼입에 의해 오염되는 것. 예를 들면 지중 매설관의 누설로 오수가 섞인 지하수의 수압이 배관계보다 높은 경우라든가, 호스 끝이 세탁수 중에 담겨져 있는 경우 등에 상하의 오염이 생기는 일이 있다. [2] 관 이음의 하나. 단주철제의 십자형으로, 나사 형성의 이음을 말한다.
상호 상관 (相互相關) cross-correlation 두 변동량에 대한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
가로톱 cross-cut saw 목재를 나뭇결에 직각으로 자르기 위한 톱.
횡단 배수 (橫斷排水) cross-drain 철도나 도로 등의 시공 기면(基面) 아래에 만들어지는 통수 또는 배수용의 작은 지름의 관(지름 1m 미만). 토관이나 흄관 등이 사용된다.
횡단 배수 마크 (橫斷排水-) cross-drain mark 철도나 도로 표지의 하나로서 횡단 배수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선로 옆에 세운 것.
횡제 (橫堤) cross-dyke 유수 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설치된 수제.
횡단 물매 (橫斷-) crossfall 도로의 노선 직각 방향의 물매. 대개 차도는 빗물의 배수를 위해 1.5 ~ 20.%의 물매가 중앙에서 가장자리쪽으로 되어 있다.
널결 cross grain 나이테의 접선 방향으로 제재한 목재 단면에 나타나는 나이테에 의한 나뭇결. = slat grain
크로싱 crossing 분기기(分岐器)의 일부로, 바퀴가 레일을 횡단하는 부분을 말한다. 크로싱은 구조, 재질에 따라 고정 크로싱, 가동 크로싱, K자 크로싱, 가동 K자 크로싱, 망간 크로싱 등으로 부분된다. - turnout
크로싱각 (-角) crossing angle 크로싱 중에서 교차하는 2개의 궤간선이 이루는 교각(交角). 일반적으로 그 크기를 나타내는데 크로싱 번수(番數)를 이용한다. 이 각이 클수록 크로싱 번수는 작아진다. - crossing number
건널목 차단기 (-遮斷機) crossing gate 열차 또는 차량이 건널목을 통과하기 직전에 통행자의 운행을 차단하는 장치. 주로 완목식. 여닫이식. 승강식의 3종류가 사용된다.
크로싱 번수 (-番數) crossing number 크로싱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림처럼 노즈 레일 길이와 벌어짐과의 비로 표시한다. 크로싱 번수와 크로싱각의 관계는 표와 같다. - crossing angle
가로둑, 횡제 (橫堤) cross-levee 본제로부터 하천의 중앙부로 향해 돌출한 본제보다 낮은 제방. 하천 폭이 넓은 하천에서 제외지의 경지를 홍수시의 격심한 수류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수제의 역할도 하여 저수로를 유지한다.
횡단 측량 (橫斷測量) cross-leveling 노선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지형이 변화하는 점까지의 거리와 높낮이차를 측정하여 횡단면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 = cross-sectional leveling - profile leveling
수준 이상 (水準異常) cross level irregularity 좌우 양 레일 꼭지면의 고저차. 곡선부에 캔트가 붙어 있는 경우는 정규 캔트량을 빼고 표시한다. 직선부에 있어서는 좌측(선로의 기점쪽에서 보아) 레일, 곡선부는 내측 레일을 기준으로 하고, 반대쪽 레일이 높을 때는 (+), 낮을 때는 (-)로 표기한다. 또한 정비 작업을 조급히 실시할 필요가 있는 목적으로서의 정비 기준값에 대해서는 평균성 이상에 관한 수치에 따르고 있다.
크로스법 (-法) Cross's method = moment distribution method
크로스 오버 crossover 평행 또는 이와 비슷한 인접 선로간에 연결하는 선로. 2조의 분기기와 이것을 접속하는 선로로 구성된다.
십자 교차 (十字交叉) cross roads 4개의 도로가 모인 교착점. 각각 2개의 도로의 연장이 있고 이들 두 직선의 교각이 15도 ~ 105도 의 범위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횡단면 (橫斷面) cross section [1] 물체를 장축 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 [2] 도로를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하는 단면을 말한다.
하적 (河積) cross-sectional area of river = cross-sectional area of stream
유적 (流積), 하적 (河積) cross-sectional area of stream 수로의 횡단면에서 실제로 물이 흐르고 있는 부분의 면적.
횡단 측량 (橫斷測量) cross-sectional leveling 철도, 도로, 수로 등의 측량에서는 그 노선상에 중심 말뚝(일반적으로 20m 간격)을 박고 노선에 직각으로 횡단면의 형을 측정하는데 이것을 횡단 측량이라 한다. - profile leveling
횡단 측량 (橫斷測量) cross-sectional surveying = cross-leveling sectional
횡단면도 (橫斷面圖) cross sectional view 가늘고 긴 구조물, 예를 들면 도로 등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 직각 방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기점으로부터 종점 방향을 본 단면으로 표시한다.
단면법 (斷面法) cross section method 가늘고 긴 토지의 토량(土量)을 산정할 때에 이용되는 방법. 양끝 단면 평균법. 중앙 단면적법, 시뮬레이션 공식에 의한 방법이 있다. 각 단면에 있어서의 흙끊기. 흙쌓기의 단면적과 수직 방향 거리의 곱으로부터 토량을 산정한다. 각 방법에 따라 구적(求積) 공식이 다르다.
가배 (加背) cross-section of heading 터널 단면의 크기 또는 터널 굴착에 있어서 도갱 단면의 치수.
목 단면 (-斷面) cross-section of throat 용접의 유효 단면.
횡단점법 (橫斷點法) cross section-point system 도로. 철도 등 노선 측량의 중심선과 직각 방향으로 일정 거리 또는 지형이 변화하는 위치의 표고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등고선을 그리기 위한 자료를 구하는 방법의 일종.
횡침목(橫沈木) cross sleeper 일반 궤도용 침목. 레일을 받혀 그 하중을 도상(道床)으로 분포시키는 재료로, 목제와 콘크리트제가 있다. = cross-tie
지레 crowbar 물건을 움직이는 데 사용하는 막대. 목제와 철제가 있다.
길마루 (路頂), 크라운 crown (1) 노면 배수를 위해 양측의 길끝을 향하여 횡단(橫斷) 구배가 되어 있을 때 그 차도 중앙의 가장 높은 곳을 말한다. (2)[1] 아치 댐에서 아치 스팬의 중앙부. 응력이나 변형의 극치를 발생치 않는다. [2] 보링의 구멍 밑에서 흙의 시료(試料), 슬라임(slime)을 꺼낼 때 사용하는 코어 튜브 끝에 부착하는 것으로, 회전에 의해서 토층을 도려내는 날이 붙어 있다. 비트의 하나.
음극선관 (陰極線管) CRT cathode ray tube의 약어. 텔레비전의 브라운관에 해당하며, 컴퓨터의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는 장치.
십자 이음 (十字-) cruciform joint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이음. 그림의 왼쪽은 필릿 용접, 오른쪽은 완전 용입 용접에 의한 경우이다.
크루저 cruiser 선내에 거주 시설이나 오락 시설을 가진 요트로 생활할 수 있는 배. 배의 길이에 따라 디크루저(20피트까지), 소형 외양정(26피트까지), 중형 외양정(33피트까지), 대형 크루저(33피트이상)로 분류된다.
크럼 crumb 크럼 셀 버킷을 말하며, 흙공사용 굴착기의 일종. 붐을 매단 버킷을 입이 열린 상태에는 낙하시키고, 그것을 닫아 토사를 담는다. 작업 면적이 좁아도 되므로 버팀대가 있는 굴착 공사 등에 쓰인다.
단립 구조(團粒構造) crumb structure 표층토(지중 수 10m 가량)에 발달하는 토양 구조의 상태의 하나로, 지렁이, 개미, 진드기 등의 토양 동물이 낙업, 낙지(落枝)나 고사한 뿌리 등을 먹고 분해하고, 그 배설물이 토양 입자를 경단 모양(수mm)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성도 좋으며, 식물의 생육에 바람직한 토양.
부순 자갈 crushed gravel 옥석을 잘게 부순 것. 부순돌에 대신하는 골재로서 널리 이용된다.
부순모래 crushed sand 부순돌을 파쇄기로 잘게 부수고 그 미분을 물로 분세(分細)한 모래. 부순모래는 하천 모래에 비해 조립률(粗粒率)이 약간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위 수량이 증가하여 워커빌리티가 약간 떨어진다. 그러나 AE감수제를 이용하는 등 적정한 배합을 하여 충분한 다짐 성형을 하면 하천 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강도는 오히려 커지는 경향이 있다. = manufactured sand
부순돌, 쇄석 (碎石) crushed stone 현무암. 안산암. 경질 사암 등의 원석을 파쇄하여 이것을 체로 걸러 입도별로 구분한 제품. 콘크리트용은 모가 나 있기 때문에 자연석보다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는 열등하나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모르타르와의 부착성이 좋아 강도가 커진다.
쇄석 콘크리트 (碎石-) crushed stone concrete 굵은 골재에 쇄석을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 강자갈 콘크리트에 비해 단위 수량이 약간 커지지만, 동일 물 시멘트 비에서는 강도도 커진다.
두쇄석 (豆碎石) crushed stone for shovel packing 작은 입경(粒徑)의 부순돌로 레일면의 요철을 수정할 경우에 침목과 도상(道床) 사이에 깔아 사용한다. = chips
쇄석기 (碎石機) crusher 원석을 파쇄하여 부순돌 등의 골재를 제조하는 기계. 그 형식에 따라 조 크러셔, 콘 그러셔, 자이러토리(gyratory) 크러셔, 임펠러 브레이커 등이 있다.
막부순돌 crusher run 주로 포장의 하층 노반이나 틈막이용 등에 사용되는 부순돌을 말한다.
부순돌 플랜트 crushing plant 쇄석기. 체. 제사기 등을 장비하여 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지각 (地殼) crust 암석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구 표층부로서 지표로부터 모호로비치 불연속면까지의 부분. 지각의 깊이는 대륙부에서 평균 35km 정도이고 해양부에서는 5km 이다.
결정 편암 (結晶片岩) crystalline schist 광역의 변성 작용으로 생긴 변성암으로, 변성 광물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얇게 벗겨지는 성질이나,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에 강한 이방성을 갖는다. 원암(源岩)의 종류에 따라 이질(泥質) 편암, 석영 편암, 녹색 편암 등으로 분류된다.
열차 집중 제어 장치 (列車集中制御裝置) CTC centralized traffic control의 약어. 1지점에서 광범위한 구간의 다수의 신호 설비를 원격 집중 제어하고, 또 전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언제나 감시하여 안전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하는 장치.
CTS 균열 시험 (-龜裂試驗) CTS-cracking test controlled thermal severity 의 약어. 판재의 절단 단면과 판재의 표면을 절단하고 맞대기 용접과 필릿 용접에서 균열의 발생도를 알아내는 시험.
CT 형강 (-形鋼) CT sections 압연 형강의 일종. H 형강의 복부판 부분을 절단하여 만든 T 자형의 단면을 가진 것. 종래의 T 형강에 비해 단면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 두께가 균일하다는 점 등의 이점이 있으며 수평 트러스, 대경구(對傾構), 트레슬(trestle)등 소규모 트러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꼴 믹서 cube mixer 몸체가 입방체인 가경식(可傾式) 콘크리트 믹서를 말한다. 몸체의 대각선을 수평 회전축으로 한다. 일정 시간에 뽑아내는 콘크리트의 체적은 같은 용량의 몸체를 갖는 드럼 믹서에 비해 많다.
입방 공시체 (立方供試體) cube specimen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공시체로, 그 형상이 입방체인 것. 입방 공시체로 측정한 콘크리트 강도를 입방 공시체 강도라 한다. 원기둥 공시체의 강도를 1이라 할 때, 입방 공시체의 강도는 이보다 큰 값이 되기 때문에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보정 계수는 대략 0.8 전후이지만 엄밀하게 하려면 사전에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
입방체 강도 (立方體强度) cube stregth 콘크리트 또는 목재의 압축 시험체를 입방체로 골랐을 때의 압축 강도.
입체감 (立體感) cubic effect 안길이, 깊이 등의 느낌이 나타남으로써 얻어지는 물체의 입체적인 느낌.
큐비클 cubicle 강판제의 상자에 수납한 배전반의 총칭. 변압기, 수전반, 기타 등이 세트가 된다.
큐비클 수위치기어 cubicle switchgear 큐비클식 고압 수전 설비로, 폐쇄 배전판의 일종. 수용가가 전기 사업자로부터 수전할 때에 사용하며, 고압의 수전. 변전 설비 및 이에 수반되는 기기류를 견고한 금속함에 수용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금속함은 수전함과 배전함으로 구분되며, 전면에는 개폐문, 측면, 뒷면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판 또는 문이 달려 있다. 개폐 장치의 조작, 기기의 보수 점검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막다른길 cul-de-sac 통과 교통을 피하고, 주택지의 안녕을 유지할 목적으로 주로 저밀도의 주택지에 쓰인다. 통상 종단부에 회차 광장과 피난 통로를 갖는다.
컬먼법 (-法) Culmann's method 트러스를 적당한 단면에서 가상적으로 절단하고, 어느 한쪽에 작용하는 전체 외력과 절단된 단면에 있어서의 부재 응력이 평형 상태에 있다고 생각하여 평형의 3조건으로부터 미지의 부재 응력을 구하는 방법.
암거 (暗渠) culvert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되었을 때를 암거라 한다. 도관(陶管)이나 철근 콘크리트관의 관거(管渠)와 박스 암거나 아치 암거와 같은 석조나 철근 콘크리트가 있다. 박스 암거는 단면이 직4각형의 것이고, 아치 암거는 상부에 아치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하구의 매설(埋設)이 일어나는 소하천에서는 하구주(河口洲)속에 해안선까지 관거를 매설하여 하수는 이것을 통해 바다로 빠지는데, 이것을 하구의 암거라 한다.
누적 분포 함수 (累積分布函數)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비초과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 확률 밀도 함수를 정의역(定義域)의 하한에서 적분한 값에 해당한다. 확률 분포 함수라고도 한다.
누적 소성률 (累積塑性率) cumulative ductility 누적 소성 변형을 항복 변형으로 나눈 값. - ductility factor
누적 오차 (累積誤差) cumulative error 관측 횟수에 비례하여 오차가 일방적으로 누적하는 오차. 누적 또는 정오차라고도 한다.
누적 소성 변형 (累積塑性變形) cumulative plastic deformation 반복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하중. 변형 관계에서 각 하중 사이클에서 생기는 소성 변형의 절대값의 총합. - cumulative ductility
컵형 지지구 (-形支持口) cup bearing 터널에서 목제 동바리공의 접합부 공법의 일종. 가로 방향의 통나무재(보 등)를 지지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의 통나무재(기둥 등)의 끝을 오목한 모양으로 잘라서 끼워넣는 것을 말한다.
풍렬 (風裂) cup shake 목제의 결점의 일종으로, 나이테에 따라 원형 또는 호상(弧狀)으로 나타나며 건조에 의하여 가라진 것을 말한다.
연석 (緣石) curb 도로의 보도 가장자리를 따라 차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돌. 콘크리트제의 것도 연석이라 한다.
커빙, 커브스톤, 버퍼 스톱 curbing [1] 항만 : 계선안(繫船岸)에는 에이프런상의 하역 작업 등에 있어서 하역 기계나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커빙을 설치해야 한다. [2] 철도 : 선로의 종단(終端)에 있어서 차량의 과속 주행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설비. 그 구조는 사용 장소에 따라 제 1종, 제 2종, 제 3종으로 분류되는데, 제 1종은 자갈을 쌓아올린 것으로, 안전 측선의 종점에 사용되며, 제 2종, 제 3종은 대개 레일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 많고 측선의 종점에 사용되고 있다.
노상 주차 (路上駐車) curb parking 도로상에 주차하는 것을 말한다. 도로 외에 주차하는 경우는 노외 주차라 한다. = onstreet parking
노상 주차장 (路上駐車場) curb parking area 노상에 주차를 위해 구획된 구역. 주차 미터나 티켓 주차장 등 원칙적으로 단시간 주차에 대응한다. - off-street parking area
갓돌, 연석 (緣石), 커브스톤 curbstone (1) 차도와 보도 또는 보도와 식수대(植樹帶)에서와 같이 경계에 부설되는 돌 또는 콘크리트의 부재. (2) - curbing
지수전 (止水栓) curb stop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급수전(수도 꼭지), 양수기 등으로의 통수를 막거나 부분 통수하는 장치로, 청동 또는 황동제이다. - water supplying pipe
양생 (養生) cure 타입된 콘크리트 등이 예상한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조건을 주는 것. 혹은 저해하는 요인에서 보호하는 것.
양생 (養生), 경화 (硬化) curing (1) [1] 공사 중에 임 마무리된 부분을 손상, 오염 등에서 보호하는 것. [2] 모르타르를 칠한 다음, 콘크리트 타입 후 등에 균열 방지나 강도의 증진을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수분을 잃지 않도록 보호한다든지,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는 것. (2) 유동성 재료가 화학 반응이나 수분, 용제의 휘발에 의해 고형화하는 현상.
후양생 (後養生) curing after accelerated hardening 콘크리트 제품의 촉진 양생에서 탈형(脫型)하고부터 공장 출하까지의 양생을 말한다. 습윤 양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경화제 (硬化劑) curing agent 2성분형의 재료에서 주제(主劑)에 혼입하여 경화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 = hardener
습공 양생 (濕空養生) curing in moist air 급격한 건조를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습도가 80% 이상인 습기 상자 속 등에 일정 기간 보존하는 것. - moist curing, wet vuring
콘크리트 양생 (-養生) curing of concrete 콘크리트 타설 후 그 경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작업. 즉, 일광. 풍우 등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노출면을 보호하는 것, 충격이나 과대한 하중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충분한 습도나 온도를 주는 것 등이다. 습윤 양생, 막양생, 증기 양생, 전열 양생 등이 있다.
양생실 (養生室) curing room 양생을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넣어두는 방.
양생조 (養生槽) curing tank 콘크리트를 수중에서 양생하기 위한 탱크.
양생 온도 (養生溫度) curing temperature 일반적으로 양생 온도는 15 ~ 25도가 바람직하다. 일정 압력에서 촉진 양생의 경우는 60도 내외가 보통이다.
유속계 (流速計) current meter 유체 흐름의 속도를 측정하는 계기. 날개차.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유속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회전식, 유체의 동압(動壓)에서 유속을 구하는 비토관식, 유속에 의한 전열선의 온도 변화를 전기 저항의 변화로 바꾸어 계측하는 전기 저항식이 있다. 그림은 회전식의 컵형 유속계이다.
큐레트 curette 폭약 정전 구멍 속을 청소하기 위한 귀이개 모양의 기구.
커서 cursor 개인용 컴퓨터나 단말의 스크린 상에서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1문자분의 장방형 마크나 언더라인을 점멸시키는 경우가 많다.
커튼 블록 curtain block 호안 공법 중 밑다짐공(根固工)이며 침상공(沈床工)으로 사용되는 것. 2 * 3개 정도의 콘크리트 매트를 한 묶음르로 하여 종횡을 철근으로 묶어 하상(河床)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도록 하고 끝부분에 앵커 블록을 설치한다.
커튼 그라우팅 curtain grouting 댐의 기초에 대한 처리 공법의 일종. 댐의 기초에는 저수지의 고수압을 가진 물이 침투함으로써 댐의 기초 또는 기초 지반 내부에 간극압이 작용하여 댐이 불안정하게 된다거나 또는 이 침투수에 의해 기초의 내부에 점토, 실트(silt) 등의 미립자가 밀려 씻겨가 댐이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기초 내부의 필요한 범위에 그라우팅을 하여 침투수의 양 또는 간극압을 감소시키는 공법이 취해지는데 이 공법을 말한다.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이 기초의 지지력 향상을 목적으로 함에 비해 커튼 그라우팅은 기초의 수밀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커튼 그라우팅은 구멍 길이가 길고, 장막 모양의 수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 grouting
커튼 방파제 (-防波堤) curtain wall type breakwater 커튼 방파제는 방파 효과의 허용 범위 내에서 방파제 하부 부근의 물의 유통을 허락하는 것으로, 차폐벽이 되는 커튼과 그 지지 구조물루 이루어진 방파제이다. 파고가 낮은 내해, 후미, 항내(港內) 등의 소방파제로서 적합하고, 또한 구조가 경량이기 때문에 연약 지반에 적합하다.
곡률 (曲率) curvature 곡선상에 2점 A (s), A' (s + #s)를 취하고, A, A'에 있어서의 접선간의 각을 #s, 곡선을 따라서 정점(定點)에서 잰 길이를 s로 하면 1/p = lim* #w /#s = dw /ds 를 점 A에 있어서의 곡선의 곡률, p를 곡률경이라 한다.
곡률 보정 (曲率補正) curvature correction 곡선부의 토공량 산정에서 단면의 도심과 노선 중심선의 어긋남에 의해 요구되는 보정.
곡선(曲線) curve 선의 방향이 변화하는 경우를 곡선이라 하다. 곡선에는 단곡선 (curve of single curvature)과 복곡선 (curve of double curvature)의 두 종류가 있다.
평면 곡률도 (平面曲率圖) curve band 평면 곡선의 커브 상황을 보여 주는 선도. 일반적으로 도로의 종단면도 속의 종단 요소 기입란에 써 넣는다.
곡률도 (曲率圖) curve band diagram 곡률의 크기에 따른 척도로 기입되는 도면. 종점을 향해 좌회전은 처럼, 우회전은 처럼 그린다.
곡선교 (曲線橋) curved bridge 평면형에 따라 교량을 분류하면 직교(直橋)와 사교(斜橋), 직선교와 곡선교로 나누어진다. 곡선교에는 교량 거더는 직선이지만 노면이 곡선인 경우와 교량 거더와 노면 모두가 곡선인 경우가 있지만 전자는 문제가 거의 없다. 주의해야 할 문제점은 후자 쪽에 많으며 후자만을 곡선교라 부르는 때가 많다 [이 중에는 다각형 절선(折線) 거더도 포함된다]. 곡선교는 항상 큰 비틀림 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메인 거더가 I형인 경우는 튼튼한 수평 거더가 들어간 격자 구조로 한다거나, 비틀림 강성이 큰 박스 거더를 이용하며 또는 강상판(鋼床版)을 고려하여 전교(全橋) 단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로 해야 한다. 또한 받침(bearing)도 탄성 변형의 방향과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지간(支間 : span) 이 클 때는 온도 응력의 검산도 필요하다.
곡현 트러스 (曲弦-) curved chord truss 현재(弦材)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트러스. 지간 60m 이상의 것은 이 방식으로하면 부재 응력이 작아지게 되지만 최근에는 공법이 간단한 평행현(平行弦) 트러스를 이용한다.
아치형 중력 댐 (-形重力-) curved gravity dam 중력 댐의 일종. 수평 단면을 취하면 원호 등의 곡선형을 나타내고, 이것에 작은 아치 작용을 일으켜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는 여분의 안정성을 갖게 하고 있다.
곡관 (曲管) curved pipe = bent pipe, bent tube
곡선식 공정표 (曲線式工程表) curved progress schedule 곡선식에는 그래프식 공정표. 생산고 누계 곡선 공정표. 바나나 곡선 등이 있으며, 공정의 생산고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한다.
곡선 분기기 (曲線分岐器) curved turnout 선로가 곡선 구간 내에서 분기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분기기로, 분기하는 선로가 곡선로의 내측으로 분기하는 것을 내측 분기기, 외측으로 분기하는 것을 외측 분기기라고 한다.
곡선 길이 (曲線-) curve length 곡선 시점과 곡선 종점간의 곡선 길이. CL로 표기한다. - circular curve
커브 레일 curve rail 차도와 보도 사이에 두어지는 철제의 방호 울타리.
곡선자 (曲線-) curve rule = curve ruler
곡선자 (曲線-) curve ruler 컴퍼스로 그릴 수 없는 곡선을 그리기 위한 자. 운형자, 스플라인, 자재 곡선자, 프로이드자 등이 있다.
곡선자법 (曲線-法) curve ruler method 곡선자는 세로축에 압밀도 U, 가로축에 시간 계수 Tv의 상용 대수를 잡고, 압밀도의 스케일을 바꾸어 그린 압밀 이론 곡선군으로서 측정 결과와 합치하는 곡선자를 선택한다. 이 곡선의 t50 선에 대응하는 시간이 압밀도 U = 50%에 대한 시간 t50이다. 이것으로부터 압밀 계수 Cv 를 다음 식으로 구한다.
곡선 설치 (曲線設置) curve setting 노선 중심선의 곡선상의 점을 지상에 설정하는 것. 도로 . 철도 등에서 그 중심선의 방향이나 물매가 변화할 때, 이것을 곡선으로 연결하여 그 변화를 원활하게 한다. 곡선 설치 방법에는 편각 측설법(偏角測說法), 중앙 종거법(中央縱距法), 현편거법(弦偏距法) 등이 있다.
곡선 설치법(曲線設置法) curve setting method 예정 건설물의 위치를 현지에 명시하는 것을 설치법이라 하고, 이 중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를 곡선 설치법이라 하고, 이 중 도로의 커브 등의 곡선부를 곡선 설치법이라 한다. 또 방향이 다른 두 도로를 이을 때에는 단곡선 또는 클로소이드 곡선이 쓰인다. 전자는 반경이 일정한 원호, 후자는 운전자가 일정한 각속도로 핸들을 돌렸을 때 얻어지는 궤적을 말한다.
커브미터 curvimeter 곡선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구. 선단의 작은 차륜(車輪)의 회전에 따라 중앙부 지시반의 지침이 회전하며, 경과된 호(弧)의 길이가 표시된다.
cushion 쿠션 완추을 위해 사용하는 것. 또는 설비. 예를 들면 서양식 방석, 공기 스프링, 말뚝모자 등.
커스프 cusp 자연 해안, 특히 결궤성(決潰性) 해안에 있어서는 해안선이 호상(弧狀)의 출입을 하는 수가 많다. 이와 같은 호상 해안선을 커스프라 한다. 커스프는 대개의 경우 그 바다에 있는 호상의 모래톱과 서로 대응하고 있다. 형상은 30 ~ 50m 간격의 호상 해안선이 연속해 있고 더욱 300 ~ 500m 의 큰 간격의 출입을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생성 원인에는 두가지 설이 있으며, 하나는 이안류(離岸流)가 생기는 위치에서 좌우 양측의 흐름이 집중하기 때문에 해안선이 전진한다고 하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호상의 오목부에 양측으로부터 인파(引波)가 집중하여 그곳에 결궤가 일어난다고 하는 견해이다.
쿠션 cushion 완충을 위해 사용하는 것. 또는 설비, 예를 들면 서양식 방석, 공기 스프링, 말뚝모자 등.
터깎기 cut 평지를 만들기 위해 흙을 깎아 내는 것.
컷백 아스팔트 cutback asphalt 석유 아스팔트를 용제(플럭스)에 녹여 작업에 적합한 점도를 갖게 한 액상의 아스팔트를 말한다. 주로 혼합 포장. 표면 처리. 프라임 코트(prime coat). 방진 처리 등에 이용한다. 속경성 (RC) - 아스팔트 + 가솔린, 중경성 (MC) - 아스팔트 + 등유, 완경성 (SC) - 아스팔트 + 중유
컷백 아스팔트 공법 (-工法)cutback asphalt construction method 컷백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공법에는 포장 표면 처리를 하기 이전의 프라이밍, 카펫트 및 실코트(seal coat), 골재와 혼합한 상온 공법, 구멍 메우기 등이 있다.
컷백 타르 cut-back tar 거친 타르를 증류하여 오일 성분과 피치 성분으로 나누고 얻어진 피치에 유출(留出) 오일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묽게 한 타르. 주로 포장 타르로서 사용된다. 피치 + 안트라센유. 타르 중유 - 포장 타르
심빼기 구멍 (心-) cut-hole 심빼기를 하기 위하여 천공된 폭발용의 구멍.
평못 (平-) cut nail 강판을 절단해서 만든 쐐기형 못. 절단된 그대로 네모진 모양을 남기고 있으며, 끝이 평평하게 되어 있다. //// 건 - 181 (3) ////
첩수로 (捷水路), 컷오프 cut-off (1) 하천유로의 굴곡이 심한 부분을 단락하여 홍수의 소통을 좋게 하기 위해 파낸 수로. (2) 말뚝 머리부를 소정의 높이로 잘라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말뚝 기성 제품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높이로 정확히 때려 박을 수는 없으며, 최종적으로 컷오프해야 한다. 컷오프는 강철 말뚝에서는 가스 절단기로, PC말뚝 등의 콘크리트 말뚝에서는 피크 또는 유압 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 말뚝에서는 컷오프 높이에 의해 아래의 말뚝에 균열 등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지수판 (止水板), 차수판 (遮水板) cut-off plate 수밀을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의 이음 부분에 쓰이는 판. 동판. 스테인리스판. 인조 고무판 등 수밀성. 내구성이 큰 재료로 만들어지고 신축에 대응할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지수 트렌치 (止水-) cut-off trench 침투수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트렌치 모양의 배수구.
지수벽 (止水壁) cut off wall 땅속 또는 지표의 물을 차단하거나 투수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기 위해 만드는 벽. 그 예로서, 투수성이 큰 지반상에 축조되는 콘크리트 댐이나 어스 댐에 있어서 본체의 바닥면 또는 에이프런의 아래로 돌출한 콘크리트 또는 강 널말뚝 등의 벽이 있다. 또 그 밖에 케이슨의 머리부를 수면 아래로 침설(沈設)하는 경우 시공 중인 케이슨 내에 물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슨 상부에 설치한 가설용 벽도 이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땅 속에 설치한 지수벽의 시공법으로 지하 연속벽 공법이 많이 사용되며, 충전재로서는 콘크리트 외에 점성토나 역청재 등을 사용한다.
방수관 (防水管) cutlet conduit 홍수 조절이나 하류의 이수(利水)를 위하여 방류용으로서 높은 댐을 관통하여 매설되는 관로(管路). 방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고압 게이트 또는 밸브를 비치한다.
커터 cutter [1] 종이. 천 기타 얇은 재료를 자르는 작은 칼. [2] 철근을 절단하는 기계. [3] 선 등을 절단하는 볼트 클리퍼. [4] 포장을 절단하는 기계. [5] 펌프 준설선의 흡사관(吸砂管)의 선단에 토사를 깎아 내어 취하기 위한 회전식 토절기(土切機)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토절기를 커터라 한다. 이것은 강철제이며, 형식은 칼 끝이 열려 있는 개방식과 닫혀 있는 폐쇄식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점토질에 적합하고, 후자는 모래 또는 경토질에 적합하다.
커터 비트 cutter bit 실드 머신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장치로, 토사의 절삭을 주목적으로 하여 절삭을 하는 것의 1축 압축 강도에 따라서 비트의 재질을 바꾸어 장비하는 것.
커터 토크 cutter torque 실드 머신 면판에 장비한 비트로 지반을 절삭하기 위해 필요한 전달력.
터깎기 cutting 도로나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 언덕이나 경사면을 붕괴하여 파는 것을 말한다.
터깎기와 흙쌓기 cutting and banking 택지 조성. 도로. 철도 공사 등에서 계획 높이보다 높은 지반을 깎고, 인접하는 낮은 지반에 흙쌓기를 하는 것을 말한다. 토공사에서 터깎기, 흙쌓기의 평형을 잡는 것은 공기(工期), 공비(工費)에 대하여 매우 중요하다.
노반 낮춤 (路盤-) cutting-down of bed 노반의 높이를 낮추는 것. 예컨대 교량 하부 공간의 확보를 위해 시공 기면을 낮추든가 터깎기. 터널 굴착 때에 이미 시공된 노반을 뒤에서 적절한 시공 기면까지 파는 것을 말한다.
절단선 (切斷線) cutting line 단면도를 그리는 경우에 그 절단 위치를 보여주는 선. 반선(半線 : 0.3 ~ 0.6mm)의 1점 쇄선을 사용한다.
커팅 플라이어 cutting pliers 손잡이와 직각 방향의 날이 있는 니퍼 겸용의 공구. 선단부는 펜치, 가운데는 파이프 렌치, 뿌리부는 니퍼에 해당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지점 위치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어, 개구부의 벌림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철사나 전선을 구부리거나 절단하는데, 봉재. 관재. 볼트. 너트류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시 더블류 엠 CWM coal water mixtrue 의 약어. 미분쇄한 석탄에 물과 첨가제를 가한 것. 유체 연료이므로 핸들링이 용이하고, 분진(粉塵)의 발생이 없으며, 저탄. 송탄 시설이 콤팩트하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침식 윤회 (浸食輪廻) cycle of erosion 단순한 평면이었던 지면이 진 세월 동안 침식을 받아, 마지막으로 준평원성의 지형으로 변할 때까지의 과정.
사이클 타임 cycle time 건설 기계가 작업 할 때 반복 작업으로 시공할 경우, 1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말하며, 다음 식으로 구한다. Cm = l /v1 + l /v2 + t 여기서, Cm : 사이클 타임(분), l : 작업 거리, v1 : 전진 속도(m/분), v2 : 후진 속도(m/분), t : 변화 시간(분)
반복 하중 (反復荷重) cyclic load 구조물이나 부재에 한 방향 또는 정부(正負) 양방향으로 반복하여 작용하는 변동 하중을 말한다. = repoated load
반복 전단 시험 (反復剪斷試驗) cyclic shear test 흙의 동적 성질을 측정하는 실내 시험의 일종으로, 배수 조건에서 일정한 압력(원위치에서 받은 응력 이력 재현을 위해)으로 시료를 압밀하여 배수시킨 다음, 비배수 조건에서 반복 전단력을 가하는 시험. 일반적으로 흙의 동적 성질을 하나의 장치에서 시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전단 변형이 10-3 ~ 10-2의 오더에서는 흙이 비선형성을 강하게 보이기 때문에 선형 이론에 대응하는 전단 변형이 좁은 범위의 진동 시험과는 구별하여, 진동수 5Hz 이하에서 0.5 ~ 3초의 주기로 하는 시험을 반복 시험이라 한다. 반복 시험의 목적은 흙의 비선형 특성, 액상화를 포함하는 흙의 강도 특성, 모래의 다짐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며, 현 위치에서의 모래의 거동을 추정할 수 있다. 반복 3축 전단 시험, 반복 단순 전단 시험, 반복 비틀림 전단 시험의 3종이 있다.
자전차도 (自轉車道), 자전차 도로 (自轉車道路) cycling road 자전차만이 통행할 수 있는 자전차 전용 도로. 그 밖에 보행자와 공존을 꾀하는 자전차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다.
사이클론 cyclone 목적의 가스에 선회 기류(旋回氣流)를 일으켜 원심력을 발생함으로써 불순 물질 중에서 큰 입자를 중력 침강시키는 것.
거석 콘크리트 (巨石-) cyclopean concrete 큰 옥석을 매입한 콘크리트. 대형 구조물에 사용된다.
실린더 cylinder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 있어서 피스톤이 기밀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정밀 연마한 원통.
실린더형 아치댐 (-型-) cylinder type arch dam 아치 댐 중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것. 상하 흐름면과 연직이며, 댐 전체에 걸쳐 동일한 곡률면이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지만 역학적으로는 다른 형상의 아치 댐에 비해 불합리하다. 높이 10 ~ 30m 정도의 작은 아치 댐에 이용된다. - arch 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