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와 청설모(靑鼠)


다람쥐의 형태 : 소형 종으로, 네 발과 귀는 비교적 짧고 꼬리는 편평하다. 입안에 큰 뺨주머니가 있어, 한 번에 도토리 등의 씨앗을 가득 저장하여 운반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등에는 5개의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검은색 줄 사이에는 크림색 줄이 있다. 배는 흰색이다. 머리는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다. 몸 길이 15cm. 꼬리 길이 10cm. 몸무게 80~100g.
다람쥐의 굴은 쓰러진 나무 사이, 돌 밑, 썩은 나무 그루터기 밑에 굴을 파는데 굴에서 파낸 흙은 뺨주머니에 넣어 멀리 내다 버려 자기가 사는 곳을 남에게 들키지 않도록 한다. 다람쥐는 굴 안에 여러 개 공간을 만들어, 잠을 자는 곳과 먹이를 저장하는 곳, 대소변을 누는 곳을 각각 정해 놓고 사용한다.
굴의 길이는 40~227㎝, 굴의 길이는 15~82㎝, 여름철의 굴보다 겨울철의 굴이 더 깊다. 굴의 경사는 약 15~35도 이며, 대개 동북쪽으로 향해 있다.

▲ 청설모 여름털 ▲ 청설모 겨울털

▲ 청설모의 둥지
청설모의 털 : 입 아래와 가슴, 배의 털은 일년 내내 순백색이다. 여름털은 등이 붉은 갈색, 겨울털은 잿빛 갈색으로 계절에 따른 털갈이에 의해 털색도 변화한다. 여름털에 비해 겨울털은 2배 정도 길고 빽빽하게 난다. 특히 겨울에는 귀에 길이 4cm가량의 길고 총총한 털이 자라나 여름털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네 발은 비교적 길고, 발가락도 길다. 앞발의 가장 긴 발가락(발톱 포함)은 발바닥의 너비보다 길다. 몸 길이 25cm. 꼬리 길이 21cm. 몸무게 230~350g.
청설모의 꼬리털은 족제비의 털인 황모(黃毛) 다음 가는 붓의 재료로 꼽혔다. 조선시대 때 중국으로 보내던 공물 목록 중에 ‘청서(靑鼠)’가 있던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한반도에 살던 종으로 보인다.
청설모의 집 : 평야나 산의 숲에서 살며, 상록침엽수가 있는 숲을 좋아한다. 낮에 주로 나무 위에서 활동하며, 땅 위에서 활동하는 시간은 매우 짧다. 나뭇가지나 나무껍질을 사용하여 둥근 모양의 집을 나무 위에 짓거나, 나무 구멍을 집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둥지를 드나드는 구멍은 둥지의 아래쪽에 만들며, 남쪽 또는 동남쪽, 동쪽으로 향하도록 만든다. 출입구는 2개를 만드는데, 하나는 일상의 출입구이고 또 하나는 천적의 습격을 받았을 때 도망치는 용도로 쓰인다.

▲ (上):도토리. 잣. (下):호도. 밤

▲ 다람쥐; 뺨주머니에 먹이를 넣어 나른다. ▲ 청설모;앞발로 먹이를 따서 입에 물고 나른다.
다람쥐의 먹이; 도토리,밤,땅콩을 잘 먹는데, 잣나무,참피나무,붉가시나무,개암나무들의 종자와 옥수수,호박,오이,수박의 종자도 잘 먹는다. 또 농작물의 어린 싹을 잘라먹기 때문에 산림 부근의 채소재배지나 땅콩경작지에서는 큰 피해를 받고 있다. 늦은 가을에는 식물저장창고에 열매를 저장하여 월동준비를 하는데, 뺨주머니를 이용하여 한 번에 5∼8g씩 운반한다
청설모의 먹이 : 다람쥐와 같이 잣,호두,도토리,밤,땅콩,솔방울 등의 씨앗을 먹이로 하며, 풀을 먹기도 하지만 섬유질을 잘 소화 못한다. 청설모는 요즘 잣이나 호두 농가에 피해를 주는 일이 빈번하여 유해 동물로 지정되어 한 해에 수천 마리가 잡혀 죽어가고 있다.
청설모는 겨울을 나기 위한 먹이를 나무 밑이나 그루터기, 돌 틈, 낙엽 속 등 여러 곳에 감추는데, 감춘 곳을 기억하지 못하여 70% 이상을 찾지 못한다고 한다. 땅속에 있던 열매들은 발아하여 점점 자라 나무가 된다.

다람쥐; 겨울잠을 잔다. 겨울잠에 들어가기 전에 굴의 입구 쪽은 흙으로 막고, 굴의 중간은 마른 나뭇잎으로 꽉 채워 바람을 막는다. 마른 나뭇잎으로 푹신하게 꾸며 놓은 가장 안쪽에 있는 방에서 이듬해 봄까지 겨울잠을 잔다.
9월 하순경 평균기온이 8∼10℃가 되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완전한 겨울잠은 아니고, 바깥의 기온이 높아지면 깨어나, 저장하였던 먹이를 먹고 다시 잠을 자는 반수면상태의 겨울잠이다.
3월 중순경 겨울잠에서 깨어난 다람쥐는 곧 교미하기 시작한다. 1년에 2회에 걸쳐 번식하며, 임신기간은 24, 25일이고, 1회에 낳는 새끼는 4∼6마리이다.
청설모;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가을이 되면 추운 겨울을 나기위해 겨울털로 털갈이를 하고. 겨울을 나기 위한 먹이를 나무 밑이나 그루터기, 돌 틈, 낙엽 속 등 여러 곳에 감추었다가, 겨울이면 숲을 돌아다니며 가을에 떨어진 나무 열매나 숨겨 놓은 먹이를 찾아 먹는다.
교미 시기는 1월 상순에 시작된다. 수컷은 암컷을 3∼4일간 열정적으로 따라다닌 후 나무 위나 땅 위에서 교미한다. 임신 기간은 35일이며, 1회에 새끼 3~5마리를 낳는다. 분만 횟수는 1년에 2회이다.

▲ 수리부엉이 ▲ 참매

▲족제비
다람쥐와 청설모의 천적(天敵)
다람쥐와 청설모는 여우, 족제비, 담비, 삵, 오소리, 너구리 등의 젖먹이 동물과
말똥가리, 황조롱이, 매, 부엉이, 올빼미 등의 육식성 새들과, 구렁이 등 뱀 종류가 천적이다.
첫댓글 다람쥐와 청설모의 차이를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두 동물의 차이를 분명하게 보여주시느라 편집에 수고 많이하셨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사진 편집하는데 시간이 걸리네요.
글보다 사진으로 비교하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아서......
댓글 주셔서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