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중요하게 여긴 북어를 중요시해서 차례상에 꼭
‘통북어구이’를 올렸다고 합니다. 또 녹두를 갈아 배추를 고명으로 넣고 만드는
녹두전을 부침전으로 올리기도 해요. 다른 지역에 비해 생선은 적게 올리지만, 생선 가운데 으뜸인
굴비를 비롯하여 참조기, 가자미 등을 올리기도 합니다.
・경상도 : 대구 지역은
적으로 참상어살을 구워서 올리는데, 대구 사투리로 ‘돔배기’라고 합니다. 바다를 끼고 있어 조기뿐만 아니라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
여러 종류의 생선과 어패류, 그리고 북어포, 대구포, 가우리, 피문어 등의
생선포 등도 함께 올린답니다. 참, 안동에서 유명한
안동식혜는 그 지역의 차례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제물이라죠.
・충청도 : 3도가 인접한 충청도는
다양한 제물을 올리기로 유명한데요. 경북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건어물인 대구포, 상어포, 오징어, 가오리포, 피문어 등을, 호남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 병어, 가자미, 낙지, 서대묵 등을 올린다고 합니다. 바다가 인접하지 않은 내륙지역에서는 배추전, 무전 등 전과 부침류를 올립니다.
・전라도 : 전라도 차례상에는
홍어를 올리는 것이 특징이죠. 먹을거리가 풍성하고 음식 문화도 발달한 지역이어서 차례상에도 다양한 음식이 오르는데요. 병어나 낙지, 꼬막 같은
어패류도 많이 올린다고 해요.
・강원도 : 산간지역으로
나물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이 많고, 특히 메밀꽃으로 유명한 평창은 차례상에 반드시 밀전을 올린다고 합니다. 버섯류도 부침이나 전의 단골 재료인데요. 송이와 같은 귀한 버섯은 소적으로 구워내고, 어물이 많이 나는 동해와 강릉 지역에서는 명태포와 생선전은 필수랍니다.
・제주도 :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산물을 차례상에 올리는 경우가 많아요. 제주도에서만 잡히는 옥돔 등의 생선이나 전복과 함께 제주도에서 재배하는 다양한 과일들도 차례상에 많이 올린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