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업무 | 경관설계 및 환경디자인 . 보고서 작성 | |
업 직 종 | 디자인·CAD, 제품·산업디자인, 광고·시각디자인, | |
키 워 드
![]() |
| |
고용형태 | 인턴 후 정규직 전환 검토 인턴근무기간 1개월~3개월 미만 |
복리후생 |
연금·보험
|
--------------------------------------------------------------------------------
12월 중 면접을 봤습니다.
회사가 규모도 있고 배울점도 많을것 같고 흥미로웠습니다.
그런데 야근을 밥먹듯이 해야 하고 바쁜달은 집에도 못간다면서
그만큼 노력을 해야 한다 라고 말씀하시던 소장님...
인턴 3개월 기간중 힘들다고 나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시던...(이건 쫌 아니다 싶었습니다.열심히 일하겠다고 자신감에 가득찬 신입들이 3개월을 못 버티고 나왔다는건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노력으로 인한 야근은 나의 발전을 위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이건 노동력 착취입니다.
인금은 연봉 1800이고 야근 근무에 대한 아무런 수당금도 없이
직원에게만 희생을 요구하는 회사들....
찾아보면 야근을 당연시 말하는 회사가 있는데
안그런 회사들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그렇게 야근과 철야등등을 당연하게 해야 한다고 말하는 회사는
안가야 합니다.
그래야 디자이너들에게도 좋은 일자리가 앞으로 늘어날것 아니겠습니까?
디자이너들이 고개 숙이고 낮은 임금에도 들어가 일하니
항상 그런 것이 당연시 되고 당당하게 말하는 회사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첫댓글 제생각에는 요즘에는 거의 모든 중소기업이 시간외 에도 근무를 합니다. 특히나 연구개발직은 말할것도 없구요(대기업도) 중소기업은 여러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있어야지 이윤이 창출되기 때문에, 시간외 근무를 매일 하는 것 같습니다.
시간외 근무를 해도 강제적인 것과 자율적인 것에는 차이가 있겠죠?
대기업도 시간외 수당 다 받아가지 않습니다. 제 친구는 모자동차 디자이너인데 팀장이 그랬다네요. 야근안하려고 하는 사유를 적어내면 퇴근시켜주겠다고... 이친구는 평균퇴근시간이 10시입니다... 특근수당도 안나올때 많구요. 시간외근무를 자율적으로 조절할수 있는 회사는 극히 드물고 그럴러면 업무시간에 맡은 업무를 깔끔하게 끝내야죠. 근데 좋은 디자인이란게 항상 정해진 시간에 뚝딱하고 나오지 않으니 힘든 직업입니다. 하물며 중소기업은 말할것도 없죠.
진짜 일 다 끝내고 할일 없는데 상사 눈치보냐고 야근하는건 잘못된거고 회사가 한참 바쁠때 개인약속(사소한...) 있다고 혼자 퇴근하는건 개념없는겁니다...상황에 따라 눈치껏 잘 행동해야겠죠.
대기업은 대기업이라는 이름이라도 있고 그에 따른 교육을 많이 시켜주시고 복리후생이 좋으니까.. 야근수당이 없어도 났죠.. 일없는데 야근하고 일있는데 퇴근하는 개념없는 인간은 진짜 개념이 없는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