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시장규모 전년 대비 7.6% 성장, 2018년 8.4% 성장 전망 -
- 고급사료 수요 증가 기대 -
□ 시장규모
ㅇ 시장규모 꾸준히 확대 중
- 리서치 전문 기업인 Euromonitor에 따르면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시장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
- 2017년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시장은 인구증가, 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습관 변화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7.6% 성장했음.
- 멕시코 내 반려견 레스토랑, 고양이 카페, 미용센터, 동물병원 등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 부대시설 또한 증가하는 중
- 이는 최근 멕시코 젊은 층은 아이를 가지기보다는 반려동물을 구매하거나 입양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도 시장이 확대되는 이유로 분석됨.
연도별 반려동물용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 멕시코 페소, 백만 달러, %)
구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시장규모 | 27,886 (1,424) | 30,947 (1,581) | 33,462 (1,709) | 36,269 (1,852) | 39,025 (1,993) |
증감률(%) | 14.9 | 11.0 | 8.1 | 8.4 | 7.6 |
주: 1) ( )은 백만 달러, 2) 1달러당 19.57 멕시코 페소
자료원: Euromonitor
ㅇ 품목별 시장규모
- Euromonitor에 따르면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시장은 사료 제품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2017년 기준 개 사료가 전체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며 그 뒤를 고양이 사료, 기타 반려견용품 등이 뒤따름.
- 동물사료는 크게 건식과 습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상품은 건식 상품으로 보관이 편리하고 저렴한 것이 장점이며 습식의 반려동물의 치과 위생 및 건강에 도움이 큰 것으로 조사됨.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품목별 시장동향
(단위: 백만 멕시코 페소, 백만 달러)
구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사료 | 26,856(1,372) | 29,875(1,526) | 32,332(1,652) | 35,064(1,791) | 37,735(1,928) |
- 고양이 사료 | 4,280(218) | 4,957(253) | 5,544(283) | 6,045(308) | 6,647(339) |
- 개사료 | 22,110(1,129) | 24,387(1,246) | 26,226(1,340) | 28,445(1,453) | 30,493(1,558) |
- 기타 사료 | 466(23) | 530(27) | 562(28) | 573(29) | 594(30) |
- 기타반려견용품 | 1,029(52) | 1,071(54) | 1,129(57) | 1,205(61) | 1,290(65) |
주: 1) ( )은 백만 달러, 2) 1달러당 19.57 멕시코 페소
자료원: Euromonitor
□ 시장동향
ㅇ 반려동물 사료 특성
- 반려동물용품 판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료의 경우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에 따라 크게 고급제품, 중간가격 사료,일반사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음.
· 사료별 주요 브랜드는 고급사료 브랜드의 경우 Royal Canin, Hill’s, Nupec, 중간가격 사료 브랜드는 Dog Chow, Pedigree, Ganador, 일반사료 브랜드는 Campeón, Top Choice, Can Pro 등임
-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이 반려동물용품 전문 판매업체 P사 관계자와 인터뷰한 결과(2018년 5월 28일) 최근 개나 고양이 사료를 중심으로 고급사료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함. 특히 곡물에 알레르기나 위장장애가 있는 개나 강아지가 증가함에 따라 '그레인 프리(grain free, 곡물을 사용하지 않은 사료를 뜻함)' 사료나 개나 고양이의 건강을 위해 '글루틴 프리(gluten free, 불용성 단백질을 사용하지 않은 사료를 뜻함)' 사료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고 함.
· 특히 고양이의 경우 육식동물이기 때문에 그레인 프리 사료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함.
ㅇ 유통방식별 판매 현황
- Euromonitor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는 오프라인 판매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으로 2017년 기준 전체 판매량의1.7%만이 온라인에서 판매됐으며 Walmart, Superama 등 대형유통 매장, 소형반려견매장, 편의점, 동물병원 등 오프라인 판매가 전체 판매의 98% 이상을 차지함.
- 대형유통 매장의 경우 반려동물용품 판매 코너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집, 사료, 목줄, 샴푸 등 다양한 용품을 판매 중
- 특히 사료의 경우 유명브랜드 사료뿐만 아니라 브랜드가 없는 사료를 소비자가 사료를 선택해 판매하는 경우도 있음.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코너

자료원: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체 촬영
- 일부 대형 반려견용품 전문판매점의 경우 동물병원, 미용센터, 유기견이나 유기고양이 입양 등 단순 판매만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함.
- 전문판매점의 경우 개나 고양이용품뿐만 아니라 거북이, 이구아나, 햄스터, 조류, 거미 등 다양 종류의 반려동물용품을 판매 중
멕시코 내 반려견용품 전문판매점

자료원: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체 촬영
ㅇ Effem México사, 시장 주도 중
- 멕시코 내에는 수많은 반려동물용품 업체들이 활동하며 시장에서 활발하게 경쟁하고 있지만 Effem México사는 2017년 기준 전체 시장점유율 31.4%를 차지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Effem México사는 Whiskas(고양이 사료), Pedigree(개 사료) 등의 브랜드들을 보유하고 있음.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해 자사 상품을 광고,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노력 중임.
- 해당 기업은 반려동물 사료분야에서 높은 갱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 개사료 부문에서 약 34%, 고양이 사료 부문에서 약49%의 점유율을 기록 시장을 선도 중
멕시코 반려동물용품 업체별 시장점유율
(단위:%)
업체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Effem México SA de CV | 35.6 | 35.2 | 35.3 | 34.1 | 31.4 |
Nestlé México SA de CV | 19.6 | 20.6 | 20.5 | 20.8 | 21.0 |
MaltaCleyton SA de CV | 5.5 | 6.3 | 6.7 | 7.0 | 7.7 |
Royal Canin México SA de CV | 4.1 | 3.9 | 3.9 | 4.0 | 4.0 |
Nueva Tecnología en Alimentación SA de CV | 1.9 | 2.2 | 2.8 | 3.4 | 3.7 |
Hill's Pet Nutrition de México SA de CV | 1.9 | 2.0 | 2.0 | 2.1 | 2.2 |
Proveedora La Perla SA de CV | 2.2 | 2.1 | 1.3 | 0.8 | 1.1 |
Cargill de México SA de CV | 1.1 | 1.1 | 0.8 | 0.6 | 0.5 |
기타 | 28.1 | 26.6 | 26.7 | 27.2 | 28.4 |
자료원: Euromonitor
□ 전망 및 시사점
ㅇ 반려동물용품 시장규모 확대될 것
- Euromonitor는 2018년에도 반려동물용품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 특히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삼는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양이 사료의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1.1%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2018년 품목별 시장규모 전망치
(단위: 백만 멕시코 페소, 백만 달러, %)
품목 | 판매량 | 증감률 전망치 |
개 사료 | 32,889(1,680) | 7.9 |
고양이 사료 | 7,381(377) | 11.1 |
조류 사료 | 247(12) | 4.0 |
물고기 사료 | 326(16) | 2.8 |
기타 반려동물 사료 | 41(2) | 5.0 |
고양이 배설물 처리 용품 | 190(9) | 5.5 |
반려동물 건강관리 용품 | 127(6) | 9.4 |
반려동물 보조제 | 80(4) | 6.4 |
기타 반려동물용품 | 990(50) | 7.9 |
주: ( )은 백만 달러
자료원: Euromonitor
ㅇ 고급사료 수요 증가 기대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젊은 층은 혼인과 출산 대신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멕시코 일부 주에서는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공식 등록하는 것을 허가했다고 함.
- 단순한 반려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해져 반려동물의 건강을 신경 쓰는 주인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로 향후 글루텐, 그레인 프리 사료나 유기농 사료 등 고급사료의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음.
- 이외에도 고급사료뿐만 아니라 개를 집이나 아파트에서 기르는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벼룩, 진드기 제거 샴푸 등 반려견 건강관리 용품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자료원: Euromonitor, 멕시코 사료제조업체연합(CONAFAB :El Consejo Nacional de Fabricantes de Alimentos Balanceados y de la Nutrición Animal, A.C.) 경제일간지 El Financiero, El Economista,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