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春大吉 (입춘대길)
2024년 입춘대길
4일 오전 서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린 '입춘첩 붙이기 시연행사'에서 시연자로 선정된 2024년 갑진년
환갑을 맞은 64년생 할머니, 할아버지와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손자녀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2.4
오늘 2월 4일이 입춘입니다
기나긴 동지의 어둠을 뚫고
대지가 서서히 따뜻한 양기로 돌아선다는 입춘입니다.
입춘 전후의 날씨는 24절기 중 소한, 대한 다음으로 춥습니다.
'보리 연자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은
입춘이 지나도 추위가 물러가지 않았다는 뜻이랍니다.
‘입춘에 김칫독(장독) 깨진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대한이 지난 입춘 무렵에도 큰 추위가 있을 것이란 말이지요.
입춘 무렵엔 반드시 추위가 있다는 뜻의
‘입춘 추위는 꿔다해도 한다'라는 속담도 비슷한 뜻입니다.
다행이 올해는 입춘추위가 없다고 하네요
51년 만에 가장 포근한 입춘이라고 합니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행해집니다.
그 중 하나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입니다.
이것을 춘축(春祝), 입춘축(立春祝)이라고도 하며,
각 가정에서 대문기둥이나 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立春'이란 절기가 처음으로 문헌에 나타난 시기는
중국 북위 때라고 하는데,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우리 조상님들은 봄을 간절하게 기다리며,
대문이나 기둥에 立春大吉(입춘대길),
建陽多慶(건양다경)이란 춘첩자를 붙였었지요.
입춘축에 주로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立春(입춘)의 '立'은 '서다'가 아니고 '곧'이라는 뜻.
입춘의 뜻은 "곧 봄이다"란 뜻이니,
"곧 다가올 봄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을 것"이란 뜻입니다.'
건양다경은 따스한 볕이 드는 계절을 맞아
경사로운 일이 많았으면 좋겠다 라는 뜻입니다.
그런가 하면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합니다.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고 하며,
입춘에는 꼭 하는 세시풍속이었습니다.
옛 사람들은
입춘날(2월4일)부터 약 15일간을 입춘절이라고 했고,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초후 (初候)에는 동풍이 불어서 언땅을 녹이고
중후 (中候)에는 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말후 (末候)에는 물고기가 얼음밑을 돌아다닌다고 하였습니다.
겨울이 절정이면 봄은 멀지 않듯이,
추운 겨울이 길면 길수록, 봄 생각이 더욱 간절합니다.
흔히 입춘을 '봄의 시작'이라고 부르면서
대문에 입춘첩을 붙여놓고 한 해의 복을 기원합니다.
반면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
'입춘에 오줌독 깨진다'는 옛말도 있어
입춘에 과연 봄이 시작되는지 헛갈립니다.
어느 쪽이 맞을까요?
우선 봄의 정의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상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계절 구분으로는
3∼5월이 봄이어서 3월1일을 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4절기를 따르면 입춘(2월4일 또는 5일)에,
천문학적으로는 춘분(3월20일 또는 21일)에 봄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기상학에서는 하루 평균기온을 따져 계절을 구분합니다.
하루 평균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봄이 왔다'고 하는 견해가 유력합니다.
평년 기후 값으로 쓰이는 1981∼2010년 입춘의 평균기온은 -1.5도 입니다.
봄은커녕 연중 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날인 1월25일(-2.8도)과
10∼11일 밖에 차이가 안 나 오히려 완연한 겨울에 가깝습니다.
서울의 평균기온이 5도를 넘어서는 날은 3월12일(5.2도)입니다.
입춘부터 봄이 오기까지 36∼37일이나 걸리는 셈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