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정치시민넷, 민선 7기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 변화 분석
- 민선 7기 전북인구 57,784명 감소, 연평균 16,510명 감소. 감소율 3.13%로 전국 광역 도중 1위 - 민선 7기 익산시 인구 18,259명 감소, 연평균 5,217명 감소. 감소율 6.2%로 전국 12개 시 중 인구 감소 1위 - 2021년 익산시 인구 4,163명 감소. 인구 탈출로 2,645명 감소, 자연 감소로 1,292명 감소 - 익산시 30대 이하 인구 비율이 매년 줄고 있어, 감소 추세 계속될 것으로 예측 - |
좋은정치시민넷은 통계청과 익산시 자료를 활용하여 민선 7기 전라북도, 익산시 인구 변화를 분석하였다.
□ 민선 7기 전라북도 인구 변화
○ 민선 7기 3년 반 기간, 전라북도 인구는 57,784명이 감소하였다. 전국 광역 도에서 경상북도 이어 2위를 차지하였다. 인구 감소율은 3.13%로 전국 광역 도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표1. 민선 7기 전국 광역도 인구 변화
행정구역별 | 2018. 06 | 2021. 12 | 증감현황 | 증감비율 |
계 (명) | 계 (명) | 계(명) | % |
경기도 | 12,975,176 | 13,565,450 | 590,274 | 4.55 |
강원도 | 1,544,843 | 1,538,492 | -6,351 | -0.41 |
충청북도 | 1,595,772 | 1,597,427 | 1,655 | 0.10 |
충청남도 | 2,122,220 | 2,119,257 | -2,963 | -0.14 |
전라북도 | 1,844,639 | 1,786,855 | -57,784 | -3.13 |
전라남도 | 1,887,991 | 1,832,803 | -55,188 | -2.92 |
경상북도 | 2,681,090 | 2,626,609 | -54,481 | -2.03 |
경상남도 | 3,377,483 | 3,314,183 | -63,300 | -1.87 |
제주특별자치도 | 663,526 | 676,759 | 13,233 | 1.99 |
□ 민선 7기 전북 도내 시 지역 인구 변화
○ 전라북도 시 지역 민선 7기 3년 반 기간,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주시만 유일하게 증가(5,647명)하였다. 인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익산시로 18,259명이 감소하였다. 다음으로는 군산시가 -8,396명, 정읍시 -6,628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2. 민선 7기 전북 도내 시 지역 인구 변화
행정구역별 | 2018. 06 | 2021. 12 | 증감현황 | 증감비율 |
계 (명) | 계 (명) | 계 (명) | % |
전주시 | 651,622 | 657,269 | 5,647 | 0.9 |
군산시 | 273,700 | 265,304 | -8,396 | -3.1 |
익산시 | 296,372 | 278,113 | -18,259 | -6.2 |
정읍시 | 113,115 | 106,487 | -6,628 | -5.9 |
남원시 | 82,856 | 79,431 | -3,425 | -4.1 |
김제시 | 86,235 | 80,913 | -5,322 | -6.2 |
□ 민선 7기 익산시 인구 변화 분석(전국 지방 도시와 비교 분석
○ 민선 7기 3년 반 기간, 전국 12개 지방 도시(인구 25만~35만 명)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익산시 인구가 -6.2%, 18,259명 감소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거제시 –4.1%, 군산시 –3.1% 순이다.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도시는 원주시로 4.6%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아산시 4.0%, 경산시 3.5% 순이다. 호남에서는 유일하여 순천시가 0.5% 증가하였다.
표3. 민선 7기 전국 12개 지방 도시 인구 변화
행정구역별 | 2018. 06 | 2021. 12 | 증감현황 | 증감비율 |
계 (명) | 계 (명) | 계(명) | % |
춘천시 | 280,541 | 284,594 | 4,053 | 1.4 |
원주시 | 342,138 | 357,757 | 15,619 | 4.6 |
아산시 | 312,008 | 324,580 | 12,572 | 4.0 |
군산시 | 273,700 | 265,304 | -8,396 | -3.1 |
익산시 | 296,372 | 278,113 | -18,259 | -6.2 |
여수시 | 285,158 | 276,762 | -8,396 | -2.9 |
순천시 | 279,977 | 281,436 | 1,459 | 0.5 |
경주시 | 257,137 | 251,889 | -5,248 | -2.0 |
경산시 | 259,219 | 268,369 | 9,150 | 3.5 |
진주시 | 345,989 | 347,097 | 1,108 | 0.3 |
거제시 | 251,577 | 241,216 | -10,361 | -4.1 |
양산시 | 345,055 | 354,726 | 9,671 | 2.8 |
□ 2021년 익산시 인구 변화 분석
○ 2021년 말 익산시 인구는 278,113명으로 전년(282,276명) 대비 -1.48%인 4,163명 감소하였다. 인구 탈출(순 이동, 전입-전출)로 2,645명, 자연 감소(출생자-사망자)로 1,292명, 기타 원인으로 226명이 감소하였다. 분석결과 월 평균 347명이 감소하였다.
표4. 2021년 익산시 인구 변화
인구 변동(명) | 인구순이동(명) | 자연감소(명) | 기타(명) |
2020. 12 | 282,276 | 전입 | 15,131 | 출생자 | 1,083 | |
2021. 12 | 278,113 | 전출 | 17,776 | 사망자 | 2,375 |
증감 | -4,163 | 증감 | -2,645 | 증감 | -1,292 | -226 |
○ 2021년 인구 순이동에 따른 변화를 보면 타 시도 간 탈출로 1,817명이 감소하였으며, 도내 시군 간 탈출로 828명이 감소하였다. 익산시 인구가 가장 많이 탈출한 시도는 경기도로 –672명이며, 2위는 서울로 –477명, 3위는 대전광역시로 –250명, 4위는 충청남도로 –199명이다.
표5. 타 시도 인구 탈출 현황(명)
시도 | 직업 | 가족 | 주택 | 교육 | 주거 환경 | 자연 환경 | 기타 | 합계 | 탈출순위 |
서울특별시 | -535 | 119 | 29 | -105 | -22 | 57 | -20 | -477 | 2 |
인천광역시 | -39 | -15 | -32 | 16 | 6 | 8 | 2 | -54 | 7 |
광주광역시 | -49 | -38 | -11 | 57 | 5 | 4 | -18 | -50 | 8 |
대구광역시 | 14 | -20 | -1 | 20 | 0 | 0 | -1 | 12 | 13 |
대전광역시 | -145 | -28 | -23 | -31 | -13 | 11 | -21 | -250 | 3 |
부산광역시 | -22 | 4 | 6 | 4 | -2 | 3 | -5 | -12 | 11 |
세종특별자치시 | -32 | -22 | -32 | -7 | 6 | -1 | 4 | -84 | 6 |
울산광역시 | -14 | -7 | 1 | 2 | -1 | 1 | -5 | -23 | 10 |
강원도 | -17 | 1 | -21 | 7 | -1 | -8 | 3 | -36 | 9 |
경기도 | -621 | -64 | -39 | 59 | -18 | 49 | -38 | -672 | 1 |
경상남도 | 25 | 2 | 10 | 4 | 0 | 2 | 9 | 52 | 15 |
경상북도 | -25 | -2 | 12 | 18 | -1 | -3 | -7 | -8 | 12 |
전라남도 | 30 | -96 | 17 | 128 | 20 | -8 | -22 | 69 | 16 |
충청남도 | -273 | -5 | -20 | 95 | -6 | 0 | 10 | -199 | 4 |
충청북도 | -124 | 14 | -1 | 7 | 1 | 0 | 4 | -99 | 5 |
제주특별자치도 | -9 | 14 | 11 | 7 | -6 | -6 | 3 | 14 | 14 |
합계 | -1,836 | -143 | -94 | 281 | -32 | 109 | -102 | -1,817 | |
○ 도내 시군 간 탈출 현황을 보면 전주시가 –68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군산시 –152명, 완주군 –99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6. 도내 시군 간 인구 이동 현황(명)
시군 | 직업 | 가족 | 주택 | 교육 | 주거 환경 | 자연 환경 | 기타 | 합계 | 탈출 순위 |
전주시 | -204 | -185 | -283 | 103 | -79 | 38 | -79 | -689 | 1 |
군산시 | -58 | -45 | -13 | 26 | 14 | -19 | -57 | -152 | 2 |
정읍시 | 5 | -9 | -19 | 28 | 3 | -4 | -15 | -11 | 4 |
남원시 | -8 | -15 | 10 | 7 | -2 | -2 | 2 | -8 | 5 |
김제시 | 25 | 21 | 8 | 20 | 9 | -39 | -6 | 38 | 12 |
완주군 | -41 | -29 | -65 | 23 | 9 | -4 | 8 | -99 | 3 |
고창군 | -3 | 24 | 3 | -6 | 2 | -3 | 0 | 17 | 11 |
무주군 | -5 | 10 | 0 | -1 | 0 | -6 | 2 | 0 | 7 |
부안군 | 13 | 18 | 8 | 11 | 4 | 0 | -3 | 51 | 13 |
순창군 | -1 | 1 | 6 | 7 | -2 | 1 | -2 | 10 | 9 |
임실군 | 1 | -2 | 0 | 5 | 0 | 2 | -7 | -1 | 6 |
장수군 | -9 | 2 | 2 | 5 | 4 | -2 | 2 | 4 | 8 |
진안군 | 18 | 12 | -6 | 4 | 1 | -5 | -12 | 12 | 10 |
합계 | -267 | -197 | -349 | 232 | -37 | -43 | -167 | -828 | |
○ 타 시도 인구 탈출 원인을 사유별로 분석한 결과 직업이 1위로 –1,836명이며, 다음으로 가족 –143명, 기타 –102명, 주택 –94명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인구가 증가한 사유는 교육이 282명을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자연환경 109명으로 조사되었다.
○ 도내 시군 탈출 사유는 주택이 1위로 –349명이며, 다음으로 직업이 –267명, 가족이 –197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인구가 증가한 원인은 교육이 232명으로 가장이 높았다.
○ 2021년 익산시 인구 탈출 사유를 분석한 결과 시도 간에서는 직업이 1위, 도내 시군 간에서는 주택이 1위로 조사되었다. 반면 인구가 늘어난 원인은 교육이 1위이며, 이는 관내 대학 학생들의 주소 이전 운동이 원인으로 볼 수 있다.
○ 2021년 익산시 인구는 자연 감소로 1,292명이 감소하였다. 자연 감소는 인구 탈출에 이어 두 번째 감소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2016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면서 자연 감소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익산시 인구 자연 감소는 출산율 저하의 원인도 있지만, 출산 연령대 감소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표7. 익산시 인구 자연 감소 현황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출생아수(명) | 2,010 | 1,874 | 1,597 | 1,341 | 1,199 | 1,083 |
사망자수(명) | 2,046 | 2,106 | 2,053 | 2,169 | 2,071 | 2,375 |
증감(명) | -36 | -232 | -456 | -828 | -872 | -1,292 |
○ 2021년 익산시 연령대별 인구 변동현황을 보면 50대 이하는 감소하였고, 60대 이상은 증가하였다.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연령대는 0~9세대로 전년 대비 1,652명 감소하였으며, 다음으로는 40대가 전년 대비 1,625명 감소, 20대 1,205명 감소, 30대가 1,077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0~9세 인구 감소의 원인은 출생아 수 감소, 부모와 동반 전출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20~30대 인구 감소는 일자리, 진학 등이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40대 인구 감소는 30대 인구 감소로 인한 연령 상승 기반 약화, 일자리, 주택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60대로 1,871명이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80대가 524명 증가하였다.
익산시 인구 변동현황 분석 결과 전체인구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줄고 있어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감소 추세가 계속될 것이 예측된다.
표8. 2021년 연령대별 인구 변화
구분 | 2020년 | 2021년 | 인구증감(명) |
계{명} | 분포도(%) | 계(명) | 분포도(%) |
0~9세 | 19,166 | 6.8 | 17,514 | 6.3 | -1,652 |
10~19세 | 27,908 | 9.9 | 27,014 | 9.7 | -894 |
20~29세 | 36,202 | 12,8 | 34,997 | 12.6 | -1,205 |
30~39세 | 28,467 | 10.1 | 27,390 | 9.8 | -1,077 |
40~49세 | 41,935 | 14.9 | 40,310 | 14.5 | -1,625 |
50~59세 | 48,996 | 17.4 | 48,537 | 17.5 | -459 |
60~69세 | 40,484 | 14.3 | 42,355 | 15.2 | 1,871 |
70~79세 | 24,521 | 8.7 | 24,794 | 8.9 | 273 |
80~89세 | 12,506 | 4.4 | 13,030 | 4.7 | 524 |
90~99세 | 1,985 | 0.7 | 2,131 | 0.8 | 146 |
100세+ | 106 | 0 | 41 | 0 | -65 |
합계 | 282,276 | 100 | 278,113 | 100 | -4,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