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복음에 대한 신학자들의 견해(막 1:14~15)
421. 기독교라는 단어 자체가, 오해의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실재에 있어서, 기독교인은 오직 예수님 한 분 뿐이다. 그런데 예수님은, 십자가 위에서 죽었다(Friedrich Nietzsche).
422. 십자가에서 죄를 속죄하신, 예수님의 죽음을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완벽한 칭의의 지위를 얻었다. 칭의는 우리를 죄가 들어오기 전의, 에덴으로 되돌려 놓는다. 하나님은 우리를 보시고, 마치 우리가 죄를 지은 것이 없는 것처럼 대하신다(A. C. Dixon).
423. 실재는 신조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신조는 중요하다. 실재는 체험되어야 하고, 십자가에서 예수님의 완성된 사역을 통해서, 하나님과의 회복된 관계를 기반으로 체험해야 한다(Francis Schaeffer).
424. 우리는 어떤 목자와, 설교와 책과 친구도, 하나님의 말씀보다, 더 높이지 않도록 삼가 조심해야 한다(J. C. Ryle)
425. 우리의 가장 큰 위험은, 내면에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지를 말아야 한다. 만일 우리가 깨어서 기도를 한다면, 세상과 악마가 결합한다고 해도, 결코 우리를 해칠 수 없다(J. C. Ryle).
426. 사람의 마음은, 이 세상의 것들로 결코 만족할 수 없다. 다만 예수님께로 나아갈 때까지, 항상 비어 있고, 배고프고, 목마르고, 불만족스럽다. 예수님의 음성을 듣고 따르고, 믿음으로 아멘을 할 때에 비로소 채워진다(J. C. Ryle).
427. 오직 자신에 대해서 불만을 품고, 자신의 비참함에 대해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법을 배운 사람들만이, 진정으로 기독교의 복음을 이해한 것이다(John Calvin).
428. 성경을 읽을 때에, 성경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찾는 목적으로 읽어야 한다. 이 목적에서 돌아선 사람은, 평생 성경을 배워도, 결코 진리의 지식에는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John Calvin).
429. 진정한 복음은, 혀에 대한 교리가 아니라, 일상의 삶에 대한 교리이다(John Calvin).
430.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유일한 선물를 얻게되는 것은, 태어남(육신적인 출생)을 통해서가 아니라, 거듭남(重生)을 통해서, 영적인 출생을 하는 것이다(I. Packer).
431.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영원한 삶이 죽을 때에 시작된다는, 잘못된 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영원한 삶은, 성경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영원한 삶은, 우리가 하나님의 왕국으로 거듭(重生)날 때에, 비로서 시작이 된다(David Jeremiah).
432. 거룩함(聖化)은, 거듭남(重生)의 결과이자, 분리할 수 없는 결과이다. 거듭나서 새로운 피조물이 된 사람은, 새로운 본성과, 새로운 삶을 사는 것이다(J. C. Ryle).
433. 부(富)는 사람에게, 축복이 되기도 하고, 저주가 되기도 한다. 그 부(富)를 잘 활용할 마음이 있느냐와 없느냐에 따라서, 축복과 저주가 결정이 된다(Matthew Henry).
434. 교만함에는 많은 저주들이 따라오고, 겸손함에는 많은 축복들이 따라온다(Ezra Taft Benson).
435. 우리가 십자가를 볼 때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내가 여기 있는 것은, 너희 때문이다. 내가 지고 있는 것은, 너희의 죄이다. 내가 겪고 있는 것은, 너희의 저주이다. 내가 갚고 있는 것은, 너희의 빚이다. 내가 죽고 있는 것은, 너희의 죽음이라고 말씀하신다. 역사나 우주에서, 십자가만큼 우리를 겸손하게 만드는 것은 없다(John Stott).
436. 만약 미친놈(히틀러)이 차를 몰고 가는 것을, 옆에서 지켜만 본다면, 부상자를 위로하고, 죽은 자를 매장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손에서, 핸들을 빼앗아야 한다(Dietrich Bonhoeffer).
437. 악(惡)의 면전에서 침묵을 하는 것은, 바로 악(惡) 그 자체이다(Dietrich Bonhoeffer).
438. 말하지 않는 것은 말하는 것이고, 행동하지 않는 것은 행동하는 것이다(Dietrich Bonhoeffer).
439. 목자는 두 가지 목소리를 가져야 한다. 첫째, 양(羊)들을 모으는 것이다. 둘째, 늑대와 도적(盜賊)을 물리치고 몰아내는 것이다. 성경(聖經)은 목자에게, 두 가지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John Calvin).
440. 예수님은 성도들을 구속(救贖, 救援)하신 것은, 쾌락과 사치를 즐기거나, 평안과 안락과 게으름에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온갖 악(惡)을 견딜 수 있는, 준비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John Calvin).
441. 하나님은 두 가지 방식으로, 선택하신 사람들 안에서 일하신다. 내적으로 성령님을 통해서 일하신다. 외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일하신다(John Calvin).
442. 인간의 의지(意志)는, 자유로 인해서 은혜를 얻는 것이 아니라, 은혜로 인해서, 자유 의지를 얻는 것이다(John Calvin).
443. 우리 자신의 지성(知性)에 대한 자신감(自信感)보다, 성령(聖靈)님을 차단하는, 더 나쁜 가리개는 없다(John Calvin).
444. 인간에게 가장 확실한 멸망의 근원은, 자기 자신에게 복종(순종)하는 것이다(John Calvin).
445. 하나님의 말씀이 순수하게 전파되는 곳이면, 비록 수많은 결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님의 교회(敎會)는 존재한다(John Calvin).
446. 만일 복음(福音)이 없다면, 모든 것은 쓸모가 없고, 헛된 것이다(John Calvin).
447. 우리의 확신과, 우리의 영광과, 우리 구원의 유일한 닻은, 예수님께서 우리의 것이 되시며, 우리도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들과, 천국의 상속자가 되었다. 이는 우리의 가치(價値)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恩惠)로 인해서, 영원한 천국의 소망으로 부름을 받았다(John Calvin).
448.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둘러쌓여 있다. 하나님의 은혜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끊임없이 감사를 표현하는 것이다(John Calvin).
449. 하나님의 영이 다스리지 않는 곳에는, 겸손이 없으며, 내면의 교만함으로 늘 부풀어 오른다(John Calvin).
450. 성령님께서 하나님의 은혜를 맛보게 하실 때까지는, 하나님의 은혜는, 인간에게 매력이 되지 않는다(John Calvin).
451. 주인이 공격을 받으면, 개가 짖는다. 하나님의 진리가, 공격을 받는 것을 보고도 침묵을 지킨다면, 엄청난 겁쟁이에 불과한 것이다(John Calvin).
452. 첫 번째 성탄절에 일어난 일에서, 기독교 계시의 가장 깊고, 헤아릴 수 없는 심오함이 있다. 하나님이 사람이 되었다. 성육신(예수님이 사람이 되심)의 진실만큼, 환상적인 것은 없다(J. I. Packer).
453. 우리는 영원에 대한 문제는, 시간 속에서 해결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Arthur W. Pink).
454. 오늘날 교회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계획이나, 더 나은 것이 아니다. 새로운 조직들이나, 새로운 방법들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사용하실 수 있는, 기도의 사람들이다. 성령님은 방법들을 통해시 흐르지 않고, 사람들을 통해서 흐른다. 성령님은 방법에 오지 않고, 사람들에게 오신다. 성령님은 방법에 기름을 붓지 않고, 기도하는 사람들에게 기름을 부으신다(Edward McKendree Bounds).
455. 정말로 특별한 것은 무엇인가? 이는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사랑이고, 고난을 겪고 순종하면서, 십자가로 나아가는 사랑이다(Dietrich Bonhoeffer).
456. 예수님은 정치적인 청사진의 초안자가 아니라, 고통을 통해서 악을 물리친 것이다. 악이 십자가에서 승리한 것처럼 보였지만, 그러나 예수님이 승리를 하신 것이다(Dietrich Bonhoeffer).
457. 복음을 향한 불신보다, 더 나쁜 죄는 결코 없다(Dietrich Bonhoeffer).
458. 지금 당신의 삶에서, 가장 파괴적인 죄는, 바로 당신의 가장 방어적인 죄이다(Timothy Keller).
459. 다른 모든 죄 중에서도, 가장 큰 죄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기쁨이 부족한 것이다(Timothy Keller).
460. 죄는 단순히 규칙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구세주와 주님과 심판자로서, 하나님의 자리에 두는 것이다. 당신 자신의 구세주이자, 주님이 되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모든 도덕법을 어기고, 자신의 길을 정하는 것이다. 둘째, 모든 도덕법을 지키고, 매우 선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Timothy Keller).
461. 당신의 죄를 한 번 바라볼 때마다, 예수님을 다섯 번씩 바라 보아라(Timothy Keller).
462. 죄란 무엇인가?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존중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거룩함이, 경외함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위대함이, 존경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능력이, 찬양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진리가, 추구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지혜가, 존중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아름다움이, 소중히 여겨지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함을, 맛보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신실함이, 신뢰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계명을, 순종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공의가, 존중받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진노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은혜를, 소중히 여겨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존재를, 소중히 여기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사람이,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죄이다(John Piper).
463. 죄는 당신의 마음이, 하나님으로 만족하지 못할 때에 생기는 것이다(John Piper).
464. 예수님은 우리가 결코 잃을 수 없는, 어떤 사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성탄절에 노숙자가 되는 체험을 했다(Timothy Keller).
465. 우리가 성탄절을 축하하는 것은, 아기 예수님의 탄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하나님 자신의 성육신을 하신 것이다(R. C. Sproul).
466. 성육신 자체는, 헤아릴 수 없는 신비이다. 성육신은 신약 성경에 들어 있는, 그 외 다른 모든 내용을, 의미가 통하도록 연결해 준다(J. I. Packer).
467. 혼자 있을 수 없는 사람은, 공동체를 조심하라.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은, 혼자 있는 것을 조심하라. 각자는 스스로, 깊은 위험과 함정을 가지고 있다. 고립이 없이 교제를 원하는 사람은, 말과 감정의 공허 속으로 빠지고, 교제가 없이 고립을 추구하는 사람은, 허영심과 자기애와 절망의 심연에서 멸망한다(Dietrich Bonhoeffer).
468. 공동체를 사랑하는 사람은, 공동체를 파괴하지만, 구성원을 사랑하는 사람은, 공동체를 건설한다(Dietrich Bonhoeffer).
469.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죄를 조심스럽게 피하는 것보다는, 용감하고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Dietrich Bonhoeffer).
470. 하나님은 자비로우사, 어려운 때를 헤쳐나가도록 인도해 주신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해 주셔야 한다(Dietrich Bonhoeffer).
471. 도덕적인 사회의 궁극적인 시험은, 그 사회가 자녀들에게, 어떤 세상을 물려줄 것인냐는 것이다(Dietrich Bonhoeffer).
472. 믿음은 순종이 있을 때에만 실제가 된다. 순종이 없는 믿음은, 결코 실제가 되지 않는다. 믿음은 순종의 행위 속에서만 믿음이 된다.
473. 하나님의 은혜는, 결코 무한하지 않다. 하나님은 무한하고, 하나님의 은혜로우시다. 무한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지만, 은혜는 결코 무한하지 않다. 하나님의 인내와 관용에, 한계를 정하고 있다. 하나님은 언젠가, 푸른 나무 둥지에도, 심판의 도끼가 떨어지고, 심판이 쏟아질 것이라고, 거듭 경고하고 있다(R. C. Sproul).
474. 예수님을 구세주로 부르기 전에, 구세주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나는 죄인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나는 죄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었다. 하나님의 심판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세주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지 않는 한, 구세주를 찾지 않는다. 그것은 사람이 믿음으로 응답하거나, 불신으로 거부하기 전에, 마음으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나 정보에 관련되어 있다(R. C. Sproul).
475. 복음의 능력은, 하나님의 말씀이다.심판이 없다면, 복음이 필요 없다. 심판의 하나님이 아니라면, 율법이 필요가 없다. 지옥이 없다면, 복음이 필요없다(R. C. Sproul).
476.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더 많이 노출될 수록, 우리의 믿음은 더욱 커진다(R. C. Sproul).
477. 어떤 신학자와 목자와 설교와 책과 친구도, 하나님의 말씀보다, 더 높이지 않도록 삼가 조심해야 한다(J. C. Ryle).
478. 노는 것을 멈추고, 기도를 시작하라. 잔치를 멈추고, 금식을 시작하라. 사람과 말을 적게 하고, 하나님과 말을 많이하라. 사람의 말을 조금만 듣고, 하나님의 말씀을 많이 들어라. 여행을 건너 뛰고, 기도의 산고를 시작하라(Leonard Ravenhill).
479. 자신의 믿음과, 자신의 감정과, 자신의 지식과, 자신의 근면함을 자랑하지 말라. 그리스도 외에는, 아무것도 자랑을 하지 말라(J. C. Ryle).
480. 성도들은 걸어 다니는 설교자이다. 성도들은 목자보다, 훨씬 더 많은 설교를 한다. 왜냐하면 성도들은, 일주일 내내 설교를 하기 때문이다(J. C. Ryle).
481. 아무도 생애의 마지막에, 나는 성경을 너무 많이 읽었고, 하나님에 대해서 너무 많이 생각했고, 너무 많이 기도했고, 내 영혼을 너무 조심스럽게 다루었다고 말한 적이 없다(J. C. Ryle).
482. 우리가 확인해야 할 것은, 예수님이 민주당원(더불어 민주당)도 아니고, 공화당원(국민의힘당)도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예수님을 정당과 결합시킬 때마다, 우리는 우상 숭배의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예수님을, 우리 정당의 이미지로 만들고 있다(Tony Campolo).
483. 가난하고 억압을 받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일에, 헌신을 해야 한다는 성경 구절이, 자그만치 2,000개나 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만큼, 성경에서 자주 강하게 다루는 주제는 없다(Tony Campolo).
484. 나는 아직, 예수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나 자신을,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어 가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구원을 받는다는 것은,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서 행하신 일을 믿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서 행하신 일에, 반응을 하는 것이다(Tony Campolo).
485. 하나님에 대한 인내는, 하나님의 주권(主權)에 대한 복종이다. 우리가 피하거나, 저항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시련을 견디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인내가 아니다. 그러나 시련을 가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에, 겸손하게 복종하고, 하나님의 주권이 명령하기 때문에 침묵하는 것은, 참된 경건의 인내이다(Stephen Charnock).
486.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사람은, 자신을 잃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과 권리들을, 근본적으로 거부하는 것이고, 자신의 지각의 정점으로, 뻔뻔스럽게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죄의 핵심인, 자기 자신에 대한, 우상숭배가 집중되기 때문이다(D. A. Carson).
487. 모든 인간의 왕권은,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Peter Hollingworth).
488.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생각과 태도와 행동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칠 만큼, 마음에 강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성경을 암기하는 것이다. 다윗은 "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도록,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감추었나이다" (시편 119:11)라고 고백했다(Jerry Bridges).
489. 하나님께서 우리가, 영원한 삶을 소유했다고, 확신시켜 주는 세 가지 수단들은, 말씀의 약속들과, 마음 속에 있는 성령님의 증거와, 삶 속에서 성령님의 변혁시키는 역사이다(Jerry Bridges).
490. 우리 삶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통치를 신뢰하지 않을 때에, 우리 마음에는 괴로움들이 생긴다(Jerry Bridges).
491. 예수님이 무덤에서, 우리의 모든 소망을 꺼내지 않았다면, 우리의 모든 구원은, 오늘날까지 예수님과 함께 죽었을 것이다. 그러나 예수님이 무덤에서 나오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 새로운 삶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예수님의 어깨 위에, 놓인 짐을 감당할 만큼 강했으며,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사람들을, 온전히 구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부활은, 예수님의 완성된 사역과, 완성된 구속사의 필수적인 증거이다(B. B. Warfield).
492. 예수님의 부활이 없다면, 예수님의 십자가는 의미가 없다(Billy Graham).
493. 예수님의 제자들의 근본적인 변화는, 부활에 대한 가장 큰 증거가 되었다(John Stott).
494. 우리에게 매일이 중요한 이유는, 매일 매일이, 하나님께서 정해 놓으신 날이기 때문이다(Jerry Bridges).
495. 불안(不安)에 대한 위대한 해독제는, 기도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불안에 대해서 기도해야 한다. 하나님이 다루기에, 너무나 큰 것이 없고, 하나님의 주의를 피하기에, 너무나 작은 것이 없다(Jerry Bridges).
496.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를 기분좋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것이 아니다.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것이다. 좋은 감정이 올 수도 있고, 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우리가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으로, 하나님을 공경하느냐? 공경하지 않느냐이다(Jerry Bridges).
497. 기독교는 그 본질에 있어서, 부활의 종교이다. 기독교는 부활의 개념이, 그 핵심에 놓여 있다. 만일 부활을 제거된다면, 기독교는 반드시 무너지게 된다(John Stott).
498. 그러므로 예수님 외에는, 다른 어떤 사람도, 하나님이 먼저 인간이 되시고(그의 탄생으로), 우리의 죄를 짊어지시고(그의 죽음으로), 죽음을 정복하시고(그의 부활로), 그의 백성(그의 영으로)에게로 들어오기 때문에, 예수님은 죄인을 구원할 수 있는, 유일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 누구도, 결코 예수님의 자격이 없다(John Stott).
499. 예수님의 제자들의 근본적인 변화는, 부활에 대한 모든 증거들 가운데서, 가장 크고 확실한 증거가 된다(John Stott).
500.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믿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살아서 역사하기 전까지는, 부활은 결코 사실이 되지 않는다(Peter Marshall).
501. 예수님의 부활의 능력은, 사탄의 포로의 힘을 깨뜨렸다. 예수님이 구약 성도들을, 낙원에서 천국으로 인도하셨을 때에, 포로를 포로로 인도했다(Leon Morris).
502. 하나님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서, 사탄을 물리치셨다. 이 압도적인 승리를 통해서, 하나님은 죄에 대한, 모든 유혹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다. 삶의 모든 문제에, 성경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을 제공하셨다. 하나님의 능력에 의지하고, 말씀에 순종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도 이기는 자가 될 수 있다(John C. Broger).
503. 구원의 계획은, 속죄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속죄의 희생은, 죄 없는 하나님의 아들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했다. 타락한 인간은, 자신의 죄를 속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속죄는 모든 사람을 영원토록 포괄할 만큼, 무한하고 영원해야 했다. 구세주는 고난과 죽음을 통해서, 모든 사람들의 죄를 속죄했다. 예수님의 속죄는, 겟세마네에서 시작되어, 십자가에서 계속되었고, 부활로 인해서 절정에 도달했다(C. Scott Grow).
504. 은혜는 전혀 받을 자격이 없는 인간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값없는 호의이다(B. B. Warfield).
505. 진정한 믿음은, 인간의 약함을, 하나님의 강한 힘에 기대는 것이다(Dwight L. Moody).
506. 진정한 믿음은, 언제나 소망과 연결되어 있다(John Calvin).
507. 예수님의 부활이, 삶의 모든 측면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는, 세계관의 초석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Josh McDowell).
508. 부활은 예수님의 신성한 정체성과, 예수님의 영감을 받은 가르침에 대한 최고의 입증이다. 부활은 죄와 죽음에 대한, 예수님의 승리의 증거이다. 부활은 예수님의 추종자들에 대한, 부활의 예고이다. 부활은 기독교적인 소망의 기초이다. 부활은 모든 기적 중의 기적이다(Lee Strobel).
509. 부활이 여전히, 사람들에게 핵심적인 질문이다. 그동안 진실의 본질과, 젠더 문제와, 낙태와, 안락사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와 같은, 수많은 다른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때때로 맴돌고 바꾸어 진다. 그러나 기독교가 진실인지 아닌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은, 궁극적으로 부활로 돌아간다(Lee Strobel).
510. 성도들의 삶이, 전적으로 은혜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신할 때에, 우리는 감사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다(Jerry Bridges).
511. 만약 우리 마음 속에,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거룩한 삶을 살고자 하는, 열망이 조금이라도 없다면, 우리는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믿음이 진실한지, 심각하게 의심해 보아야 한다(Jerry Bridges).
512. 우리의 첫 번째 문제는, 죄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하나님 중심보다는, 자기 중심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죄에 대한 자신의 승리에 대해서, 우리의 죄가 하나님의 마음을 슬프게 한다는 사실보다 더 염려한다. 우리는 죄와의 싸움에서, 실패를 용납할 수 없다. 주로 우리가 성공 지향적이기 때문이고, 하나님께 불쾌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 아니다(Jerry Bridges).
513. 부활절의 메시지는,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공개되었다. 이제 우리도, 새로운 세상에 속하도록 초대를 받았다(N. T. Wright).
514. 부활은 역사적인 기독교 신앙에 가장 중요한 것이다. 부활이 없다면, 기독교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부활은 기독교를, 다른 모든 종교보다, 더 높여 주는 유일한 교리이다(Adrian Rogers).
515. 가장 간단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몇 주 만에 제자들이, 예수님의 부활을 선포했다. 예수님이 육체적으로 죽음에서 부활하사, 제자들에게 나타나신 것은 사실이다(Josh McDowell).
516. 기독교는 합리주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믿음이다. 하나님의 계시에서 눈에 띄고,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수님의 몸의 부활이다(Edward McKendree Bounds).
517. 요점은 부활이 우리 죄를 위해서, 지불된 대가가 아니다. 요점은 부활이 예수님의 죽음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대가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만약 예수님이 죽음에서 부활하지 않았다면, 예수님의 죽음은 실패였고, 하나님은 예수님이 인류의 죄를 짊어진 업적을 입증하지 못하고,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죄 가운데 있는 것이다(John Piper).
518. 복음은 결코 지루하지 않고, 항상 만족을 준다. 예수님의 영원하고 증가하는 기쁨이, 죄를 용서하는 죽음과, 소망을 주는 부활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 영원히 우리의 것이 된다는 좋은 소식이다(John Piper).
519. 성경은 예수님이 피를 흘린 후에 부활한 것이 아니라, 피를 흘림으로써 부활했다고 말한다. 즉 예수님의 죽음이 이룬 것이, 너무나도 충만하고 완벽해서, 부활이 그리스도의 죽음에서의 성취에 대한, 보상이자 입증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John Piper).
520. 기도는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부활의 능력으로 우리 삶에, 자유롭게 개입하고, 어떤 상황이든지 그 권위를 사용하여, 상황을 바꾸이 주시는 것이다(Ole Hallesby).
521. 성경은 육신의 부활에 대한 믿음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셨다는 믿음에 있다는, 풍부하고도 지속적인 증거를 담고 있다(Edward McKendree Bounds).
522. 우리가 겪는, 모든 상실(喪失)들과 모든 고통(苦痛)들은, 부활(復活)을 통해서, 충분하게 보상(報償)을 받게 될 것이다(Bruce R. McConkie).
523. 우리는 부활이, 예수님의 모든 고난 위에, 영광스러운 면류관을 씌웠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Aiden Wilson Tozer).
524. 진짜 요점은, 부활이 우리 죄를 위해서, 지불된 대가가 아니다. 진짜 요점은, 부활이 예수님의 죽음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대가를 증명한다는 것이다. 만약 예수님이 부활하지 않았다면, 죽음은 실패했고, 하나님은 죄를 짊어진 업적을 입증하지 못하고, 우리는 여전히 죄 속에 있다(John Piper).
525. 불멸에 대한 기독교의 주장은, 실제로 무엇에 근거하는가? 이는 신학자가, 역사적인 기독교 전체를 근거로 삼는 받침대이다. 기독교는 예수님의 부활 위에 서 있다(William Henry Drummond).
526. 주님 안에서 늙어가는 것과, 주님 안에서 자라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하나는 자동적이며, 전혀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그저 나이를 먹을 뿐이다. 그러나 다른 하나는, 결코 자동적이거나 쉽지 않다. 그것은 개인적 훈련과, 끊임없는 결의와, 영적인 열망을 요구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가족 안에서, 아직도 여전히 안타깝게도, 단지 시간을 일지에 기록하는 졸린 성도들로 가득하다(Charles R. Swindoll).
527. 여러 세기에 걸쳐서, 성도들에게 길게 드리워진, 사망의 그림자 속에 서 있을 때,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은, 더욱 더 강화된다. 성도들은 언제나, "예수님은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라는, 반복적인 목소리로 대답해 왔다(Charles R. Swindoll).
528. 예수님을 죽음에서 다시 살리신 동일한 능력이, 성도들 안에서도 작동 중이다. 왜냐하면 부활은, 현재 진행 중인 일이기 때문이다(Leon Morris).
529. 만일 예수님이, 우리의 대속자가 아니라면, 여전히 정죄받은 죄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만약 우리의 죄와 죄책감이, 예수님께로 옮겨지지 않고, 예수님이 우리의 죄책감을 스스로 짊어지지 않았다면, 분명히 우리에게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 만약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처리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죄의 결과에 반드시 직면해야 한다. 만약 예수님이 우리의 형벌을 짊어지지 않았다면, 죄는 우리의 뇌리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Leon Morris).
530.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의 유일한 길이다. 사람들은 구원을 받을 자격이 전혀 없지만, 예수님의 죽음이 이룬 것을 근거로, 하나님으로부터 구원을, 값없이 주시는 선물로 받는 것이다(Leon Morris).
531. 예수님의 부활의 능력은, 사로잡는 힘을 깨뜨렸다. 예수님이 구약의 성도들을, 낙원에서 천국으로 인도했을 때에, 예수님은 사탄의 포로로 붙잡힌 자들을, 은혜의 포로들로 다시 사로잡아서 인도하신 것이다(Leon Morris).
532. 부활은 단순한 위로가 아니라 회복이다. 우리는 부활을 통해서, 모든 것을 되돌려 받는다. 진정한 사랑과, 사랑했던 사람들과, 재물들과, 삶의 아름다움들이다. 그러나 영광과 기쁨과, 새롭고 상상할 수 없는 것으로 되돌려 받는다(Timothy Keller).
533.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가 경험했던 모든 타락과, 우리가 알았던 모든 슬픔과, 우리가 가졌던 모든 낙담과, 우리가 마주했던 모든 두려움을 극복한, 승리의 선물을 기념한다. 죽음에서의 부활과, 죄에 대한 용서는 말할 것도 없다. 그 승리는 2천 년 전에, 예루살렘에서 정확히 주말에, 일어난 사건 덕분에, 우리에게 가능한 것이다(Jeffrey R. Holland).
534. 매일 죽는 것은, 가장 큰 축복을 받은 일이다. 예수님은 가난하고 멸시받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그들을 위해서 일하시고, 그들과 함께 고통을 겪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합당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예수님으로부터 큰 은총을 얻었고, 이것에 굳건히 서 있는 사람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응답하게 될, 부활의 영광에 참여할 것이다.
544. 부활은 성경의 결론이자, 모든 성도들이 신앙생활을 하는 목적이다. 오직 기독교만이 부활이 있다(bnk).
535. 역사적으로 천국에 대한 믿음과, 유토피아에 대한 믿음은, 우물 속의 도르레를 축으로 하는, 두 개의 양동이와 같다. 하나가 빠지면, 다른 하나가 올라 온다. 고전적인 종교가 쇠퇴했을 때에, 아테네에서 공산주의 선동이 일어났다(기원전 430년). 로마에서 혁명이 시작되었다(기원전 133년). 이러한 운동이 실패했을 때에, 부활의 신앙이 성공함으로써, 기독교는 절정에 달했다. 18세기에 기독교 신앙이 약화되었을 때에, 공산주의가 다시 나타났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종교의 미래는 안전하다(Will Durant).
536. 나는 마르크스주의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에, 동정녀 탄생과, 육체적인 부활과, 간질병 환자로부터, 악령을 쫓아내는 일과, 신화와 기적에 관심이 없었다(Lionel Blue).
537. 죽으신 예수님을 위해서, 나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 그리할 때에 비로소 살아 계신 예수님은, 나를 위해서 모든 것을 해주신다(Andrew Murray).
538. 제자들은 예수님의 부활을 증거하고 있었다. 이는 단지 믿음의 문제가 아니라, 사실의 문제였다. 제자들은 부활의 사건을 확신했다. 부활을 증거하기 위해서, 기꺼이 죽으려는 그들의 의지는, 단순한 믿음과 종교와 종교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기꺼이 죽으려는 의지보다, 훨씬 더 설득력이 있었다(Dave Hunt).
539. 예수님의 부활은, 세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부활은 세상의 주권에 기초한 선교를 의미한다(N. T. Wright).
540. 부활은 예수님의 신성한 정체성과, 영감을 받은 가르침에 대한, 최고의 입증이다. 부활은 죄와 죽음에 대한, 예수님의 승리의 증거이다. 부활은 예수님의 추종자들에 대한, 부활에 대한 예고이다. 부활은 기독교의 소망의 기초이다. 부활은 모든 기적 중에서, 최고의 기적이다(Lee Strobel).
541. 전도(傳道)는 몇몇 훈련된 사람을 위한 전문적인 일이 아니라, 예수님과 함께 하는, 모든 사람이 끊임없이 간당해아야 할 책임(責任)과 의무와 사명이다(D. Elton Trueblood).
542. 다른 사람들이 구원(救援)을 받기를, 당신은 바라지 않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당신 자신도 구원(救援)받지 못한 것이다. 이는 확실한 것이다(Charles Spurgeon).
543. 만약 당신이 예수님이 가지셨던 것과 같은, 가치(價値)와 우선순위(優先順位)에 따라서 산다면, 당신은 전도(傳道)가,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그것은 프로젝트가 아니라, 삶의 방식이 된다(Rebecca Pippert).
544. 예수님을 구세주로 부르기 전에, 구세주가 필요하다는 것과, 내가 죄인이라는 것과, 죄가 무엇인지에 대한 것과,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나는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었으며, 하나님의 심판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나는 구세주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지 않는 한, 구세주를 찾지 않는다. 그 모든 것이 전도이다. 전도는 믿음으로 응답하거나, 불신으로 거부하기 전에, 마음으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와 정보에 관련되어 있다(C. Sproul).
545. 교회는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이끌고, 작은 예수님으로 만드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예배당과, 성직자와, 선교와, 설교와, 심지어 성경 자체도, 시간 낭비일 뿐이다. 예수님은 바로 전도때문에 사람이 되셨다(C. S. Lewis).
546. 기도는 전도에 필수적이다. 오직 하나님만이, 반항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바꿀 수 있다. 우리의 주장이 아무리 논리적이고, 우리의 호소가 아무리 열렬해도, 하나님의 영이 길을 준비해 주지 않는 한, 우리의 전도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Billy Graham).
544. 하나님이 우리를 용서하기로 결정하실 때는,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시고, 성령님을 통해서, 우리를 순종하도록 만드신다(John Calvin).
545. 하나님 앞에서, 개인적인 공로를 주장하지 않고, 형제를 멸시하지 않고, 형제보다 우월하다고 여겨지 않고, 예수님의 지체 중의 한 사람으로 충분하고, 오직 예수님만 높히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진짜로 참으로 겸손한 사람이다(John Calvin).
546 우리가 기도하기 위해서, 하루 중에서 특정 시간을 정해 놓지 않으면, 기도는 우리의 기억에서 쉽게 사라져 버린다(John Calvin).
547. 의심이 가득한 기도는, 결코 기도가 아니다(John Calvin).
548. 성도의 부활이, 예수님 안에서 보장된 것은, 예수님이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었기 때문이다(Richard Sibbes).
549.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의 소망의 기초와, 모든 신자들에게 가장 강력한 위로가 된다(Matthew Henry).
550. 무덤에서 일어나신 예수님께서, 성도들을 영광으로 일으키실 것이다(John Bunyan).
551. 예수님의 부활은, 신자들의 영광과 명예의 작위(爵位)이다. 왜냐하면 예수님이 살아나셨다면, 우리도 예수님과 함께 살아날 것이기 때문이다(William Gurnall).
552. 결코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라. 예수님이 부활을 통해서, 죽음을 정복했기 때문이다(John Chrysostom)
553. 예수님은 부활의 약속을, 성경에만 기록하신 것이 아니라, 봄날의 모든 나뭇잎들에도 기록을 했다(Martin Luther).
554. 예수님의 부활은, 성도들의 신앙을, 가장 확실하게 증명하는 증거이고, 성도들의 소망을, 가장 견고하게 세우는 기초이다(John Calvin).
555. 예수님의 부활이 없다면, 우리는 결코, 새 생명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Augustine).
556. 예수님의 부활이 없다면, 우리의 신앙은 뿌리째 흔들릴 것이다. 그러나 부활을 통해서, 우리는 영원한 생명의 약속을 확신한다(John Calvin).
557. 예수님의 부활을 믿는 자는, 새 생명 가운데 행하며, 이전의 죄악된 삶을 떠난다(John Owen).
558. 우리는 예수님의 부활을 통해서 죽음을 이기고, 영원한 생명의 소망을 얻었다(Martin Luther).
559. 우리는 살고 죽는다. 그러나 예수님은 죽으셨다가 살아 나셨다(John Stott ).
560. 신성모독이라는 판결을 받으셨던 예수님은, 부활에 의해서 하나님의 아들로 불리워지게 되었다(John Stott ).
561. 우리의 옛 역사는, 십자가로 끝났다. 우리의 새 역사는, 부활로 시작된다(John Stott).
562. 우리는 예수님의 부활을 통해서, 죽음을 이기고, 영원한 생명의 소망을 얻었다(Martin Luther).
563. 하나님은 인간들이 없이 인간을 창조하셨지만, 인간이 없이는, 인간을 구원하지 않으신다(Augustine).
564. 나는 믿기 위해서, 이해하는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는다(Anselm).
565.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오직 은혜로 말미암아, 오직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의롭다 함을 얻는다(Martin Luther).
566. 믿음은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에게 적용이 되도록 인도하는 도구이다(John Calv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