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원, 수목원, 자연사박물관 등 각종 생태 교육 및 휴식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지만 정작 이 분야의 전문기업과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환경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산림청 등에 따르면 국내 최대규모의 전문 생태 연구·전시·교육기관을 표방한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99만8000㎡)이 27일 개원하는 것을 비롯해 정부세종청사 인근에는 2017년말까지 1374억원을 들여 국립중앙수목원(65만㎡)이 조성된다. 전국적으로 수목원은 경기도 포천의 국립수목원을 비롯해 공립 20개, 사립 16개 등 40여곳에 이른다.
국내 첫 국립자연사박물관 유치전에는 세종시와 화성시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세종시는 19만㎡ 부지에 6000억여원을 들여 국립자연사박물관을 포함한 5개 박물관을 건설, 시너지 효과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내놔 사실상 유치전에 한 발짝 다가섰다. 2009년부터 자연사박물관 건립를 추진해 온 화성시는 ‘공립’(지자체 60%, 재정 40%) 형태로 지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내에는 공립 자연사박물관 22개를 포함, 자연사 관련 박물관이 100여개나 있다.
1000만명이 넘게 사는 메트로폴리탄(초대형도시) 서울에는 수목원 건립 붐이 한창이다. 서울시는 마곡지구 재개발 지역에 1600여억원을 투입해 2016년까지 ‘보타닉 파크(Botanic Park·식물원과 결합한 공원)’ 형태의 서울화목원(50만3431㎡)을 짓기로 했다.
지난 6월 서울 구로구 항동 일대에 들어선 푸른수목원(10만3354㎡)은 서울광장의 8배 규모로, 1700여종의 다양한 수목과 초화류가 어우러진 서남권 대표 공원이다. 서울에는 60만㎡ 이상 녹지공원이 월드컵공원, 올림픽공원, 서울숲, 북서울꿈의숲 등 5개나 있다.
이처럼 생태 및 휴식공간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할 전문기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 3000억원이 투입된 국립생태원의 건립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고 한다.
최재천 국립생태원 원장(이대 석좌교수)는 본지와 인터뷰에서 “살아있는 생태 전시공간 에코리움의 경우 열대, 사막, 지중해, 온대, 극지 등 기후대별 생태계를 고스란히 재현해야 하는데 마땅한 전문인력이 없어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다”고 말했다.
이 사업의 건설사업관리(CM)을 총괄한 정하진 한미글로벌 상무 역시 “사업 수행기간인 4년간 엄청 공부했다. 독일, 스페인, 프랑스, 인도네시아 등 해외 현장을 많이 다녀왔다”면서 “사실상 현행 기술자 육성 구조로는 수준 높은 생태원이나 수목원 등의 사업을 이끌어나는 데 한계가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 회사는 국내외 생태 전문가를 계약직으로 고용하고 동물 분야 경험이 많은 에버랜드측 전문가를 채용해 부족한 전문성을 보강했다.
전문가들은 조경설계뿐만 아니라 시공전문가, 제품설계전문가, 생태전문가, 관리전문가를 체계적으로 배출하고 이를 고용해줄 전문기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조경업계 관계자는 “현행 조경 기술자 구조는 보완이 필요하다”며 “분야별로 좀 더 세분화해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해외시장의 문도 두드려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일감의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정 상무는 “새만금, 세종시 등 크고 작은 수목원과 생태숲 등 자연 교육 및 휴식 공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막상 생태분야 전문가를 채용해 전문기업으로 키우고 싶어도 일감이 불규칙해서 프로젝트별로 계약직을 쓸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김태형기자 k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