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도 빠듯한데, 혹시나 정권 바뀌면 상품 자체가 없어질까 오늘 개설했어요."
A씨(28)는 20일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한 뒤 깊은 한 숨을 내쉬었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청년들이 정권교체를 우려하며 ‘윤석열 적금’이라고 불리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서두르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적금 형태를 띠는 정책금융상품으로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 원 한도로 적금을 부으면, 정부가 매달 ‘기여금’을 더해 5년 뒤 최대 5천만 원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해당 상품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자산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완화, 결혼 자금 마련 등을 위해 만들어졌다.
당초 정부는 2023년 말까지 약 306만 명의 가입자를 목표치로 잡았으나, 지난해 5월까지만해도 가입자는 정부 목표치의 3분의 1수준(123만 명)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해 말 계엄 사태로 시작된 탄핵정국 여파와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예·적금 금리를 2%대로 인하하면서 청년들은 정권이 바뀌면 ‘연금리 최대 9%’인 해당 상품이 없어질까 가입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A씨는 "알바로 생계를 유지하는데, 소득이 일정치 않아 원래는 임기 말에 자금 상황을 점검한 뒤 해당 계좌를 가입하려고 했다"며 "하지만 현재는 탄핵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같아 조급한 마음에 오늘 가입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계좌에 가입한 B씨(30)도 "계엄도 하루아침에 이뤄졌는데 정책금융상품 따위야 하루아침에 없어질 수 있는 거 아니냐"며 "해당 상품은 특정 정치인 적금이라고도 불리니 정권이 바뀌면 (이 상품을) 가만히 놔두진 않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올해 들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폭증하고 있다. 금융권 등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접수기간인 지난 3일부터 14일까지 약 22만 4천 명이 신청했다. 하루 평균 2만 4천300명이 신청한 셈이다. 이는 지난해 12월 하루 평균 신청자인 4천400명보다 약 5배 급증한 수치다.
한편, 가입자들 사이에서는 정권이 바뀌면 남은 적금기간 동안 고정금리(4.5%)를 지켜주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직장인 C씨(32)는 "정권 바뀐다고 고정금리도 변동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만약 그러면 배신감에 다 들고 일어나지 않겠나"고 반문했다.
출처 :
"탄핵되기 전에 들자"… ‘윤석열 적금’ 가입 폭증 < 경제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