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금오도 비렁길 트레킹
1. 돌산도 (突山島)
동의어 : 돌산현(突山縣), 식산현, 여산현(廬山縣)
개설 :여수반도의 동남쪽에 있고, 동경 127°16′, 북위 34°17′에 위치한다. 북쪽에 천마산(天馬山, 271m), 남쪽에 금오산, 서쪽에 천왕산(385m)을 비롯하여 중앙에 봉황산(441m) 등이 있으며, 동쪽에는 소규모의 들이 있다.
명칭 유래 : 대미산(大美山, 359.1m)·봉황산·금오산(323m) 등의 8대 산이 있는데, 산(山)·팔(八)·대(大)를 합하여 돌산도라 칭하게 되었다. 또한 돌산현(突山縣)·식산현·여산현(廬山縣) 등의 이름도 갖고 있다. 돌산 땅이름 유래를 살펴보면 돌산 최초의 군지인 『여산지』에서 섬 가운데 이름난 팔대 명산(천왕산·두산·대미산·소미산·천마산·수죽산·봉황산·금오산)이 있어 그 산을 식산이라고 하였고, 방언에는 ‘섬 가운데 돌 많은 산이 많아서 돌산이라 칭한다.’고 하였다.
자연환경 : 암석은 주로 중성 화산암류, 불국사화강암이다.
연평균기온이 14.2℃, 1월 평균기온이 1.1℃, 8월 평균기온이 25.8℃, 연강수량은 1,181.4㎜이며, 동백나무·후박나무·곰솔·팽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형성 및 변천 : 백제 시대에 돌산현(突山縣)이라 하였으며 그 뒤 여수반도는 원촌현(猿村縣), 도서부는 돌산현이 되었다. 757년 통일신라 때에는 무진주(武珍州)에 속하여 여산현(廬山縣)이었다가 고려 시대에 돌산현이 되었다. 고려 때인 1018년에는 순천에 속하였고, 1488년에는 진(鎭)을 두었다가 폐지되었으며, 1896년(고종 32)에는 군을 두었다가 폐지되었다.
1914년 돌산군이 폐지되고 여수군에 병합되어 두남면(斗南面)이라 칭하였으며 1917년두남면은 또다시 돌산면으로 개칭되고 1980년 12월 1일돌산읍으로 승격되었다.
현황 : 2008년 말 현재 돌산도가 속해 있는 돌산읍의 전체 인구는 1만 4,873명(남 7,498명, 여 7,375명)이고 세대수는 5,664호이다. 2007년 말 돌산읍 전체 면적은 71.69㎢이고, 논 5.12㎢, 밭 10.36㎢, 임야 48.58㎢이다.
밭이 1,130ha이다. 주요산업은 농수산업과 관광산업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고구마·마늘·돌산갓·콩·팥·녹두 등이 재배된다. 연안에서는 삼치·멸치·갈치·문어·조기·쥐치 등이 잡히고, 해태·굴 양식도 활발하며 수산물가공업이 발달하여 있다.
교통은 여수항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수시로 운항되고 있지만, 1984년여수와 석두리 사이에 돌산대교가 건설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유적지로 군내리에 돌산향교가 있고, 은적암(隱寂庵)은 1172년(명종 2)지눌(知訥)이 창건한 사찰이다. 충무공대첩비가 있는 무술목은 굴전리와 평사리 사이에 있는 좁은 목으로 임진왜란 때 충무공이순신이 왜군을 섬멸, 전승을 올린 곳으로 유명하다.
무술목은 처음 왜적들의 많은 피로 물들었다 하여 ‘피내’라 불렀는데 세월이 감에 따라 ‘무서운 목’이 ‘무실목’으로 변했으며, 왜적의 섬멸 전투가 임진왜란 마지막 해인 1598년 무술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무술목’이라 부른다고 한다.
돌산읍에 소재하는 교육 기관으로는 초등학교 8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2. 여수 금오도 (金鰲島) : 거무섬
여수만 남서쪽에 있다. 주위에 있는 돌산도· 소리도· 월호도· 두리도· 개도 등과 함께 금오열도를 이룬다. 섬의 모양이 자라를 닮았다 하여 금오도라 했다.
최고봉은 서쪽에 솟아 있는 대부산(382m)이며, 그밖에도 동쪽의 옥녀봉(261m)을 비롯한 200m 내외의 산이 대부분이다. 해안은 소규모의 만과 갑이 발달해 비교적 드나듦이 심하며, 특히 서쪽은 반도처럼 바다로 돌출해 있다. 암석해안이 대부분이며, 서남쪽은 높은 절벽을 이룬다. 기후는 대체로 따뜻하며, 비가 많다. 사슴이 많고, 숲이 우거져 조선 고종대에는 사슴목장으로 지정하고 출입·벌채를 금하기도 했다. 또한 두모리의 직포 해송림은 선녀가 소나무로 변한 것이라고 전해지며, 그밖에도 비사리나무가 자생한다.
쌀·보리·콩·고추·마늘·고구마 등이 생산되며, 자급자족이 가능하다. 연안 일대에서는 멸치·삼치·장어 등이 잡히며, 미역·김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취락은 낮은 평지와 해안 일대에 산재해 있다. 해안과 능선을 따라 도로가 나 있고, 동서 방향의 도로는 포장되어 있다. 또한 여수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수시로 운항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면적 27㎢, 해안선 길이 64.5km,
* 여수 금오도 비렁길 트레킹 코스
1코스 : 5.0km (2시간) : 함구미 - 미역널빵 - 송광사절터 - 신선대 - 두포
2코스 : 3.5km (1시간): 두포 - 귤등전망대 - 촛대바위 - 직포
3코스 : 3.5km (1.5시간): 직포 - 갈바람통전망대 - 매봉전망대 - 학동
4코스 : 3.2km (1시간): 학동 - 사다리통전망대 - 온금동 - 심포
5코스 : 3.3km (1시간): 심포- 막개 - 장지
금오도 비렁길 : '비렁'은 낭떠러지를 뜻하는 '벼랑'의 여수사투리이다. 그러므로 '금오도 비렁길'이란 '금오도의 해안선을 따라 걷는 길'을 뜻하는데, 금오도의 비렁길을 걷다보면 숲과 해안절벽 등의 비경(秘境)과 함께 드넓게 펼쳐진 푸른 바다를 만나게 된다.
비렁길은 함구미 마을에서 장지마을까지 총 18.5km에 달하며, 모두 5개의 코스로 나뉘어져 있다. 거리는 다소 길어 보이지만, 길이 험하지 않고 편안하며 곳곳에 전망대가 있어서 여유롭게 금오도의 봄바람과 바다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비렁다리 : 비렁길 3코스의 명소이다. 가락지 형상을 하고 있어 "언약의 다리"로 불리 운다.
연인이 손을 잡고 비렁다리를 건너면 결혼에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3. 산행코스
돌산공원 아침 산책 - 조식 - 금오도 비렁길 1코스 - 2코스
당초 예정은 아침에 백야산 후 금오도 1~3코스 트레킹을 하기로 했으나, 예약된 금오도를 오가는 선박에 문제가 있어 일정이 바뀌어지게 되었다.
역시 다도해국립공원의 수려함은 가서 본 사림이 아니면 실감할 수 없는 느낌일 거다.
앞에 소개된 비렁길의 5코스 전부를 산행할 수 있다면 더 바랄나위가 없겠지만, 6시간 반이 소요되는 18km는 무리일 뿐만 아니라 시간상으로도 어려워 1~2코스에 만족해야 했다. 선두 그룹은 3코스의 전망대를 다녀왔지만, 결국 사단이 나고 말았다. 일부 회원이 무리하게 다녀오면서 30여분 늦게 서울로 출발하게 되었던 것이다.
남과 북의 철도 협력사업이 완성되어 유럽 사람들이 한반도를 찾게 되면, 백두. 금강. 설악산도 매우 선호하는 관광자원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다도해국립공원도 유럽인들이 매우 좋아하는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 한다. 사실 이탈리아를 관광하면서 우리 남해안에는 부지기수인 섬들 중 하나일 법한 시테섬 관광을 생각해 보면, 충분히 수긍이 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