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cafe.naver.com/godnjf12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Å日月眞人 明 선생님Ω
♧마지막 구세주(救世主) 황발(黃髮: 明 선생님)♧
【인천(仁川) 중앙동(中央洞) 자유공원 작은 정자 옆에 있는 큰 정자(大亭:석정루石汀樓)黃宮】
【 鄭道令 (明 선생님)은 1946년 병술년(丙戌年)(음력 12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 용산(龍山)에서)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 후손(後孫)으로 재림(再臨)하셨다 】
【Ω】후박곡기(後朴谷記)
余旣於仙槎 得朴谷 爲之說
여기어선사 득박곡 위지설
翌年壬寅夏 喪配於襄陽 其秋卜兆 於花山 臨河縣之水谷 水谷之東偏 又得一谷 名曰 朴
익년임인하 상배어양양 기추복조 어화산 임하현지수곡 수곡지동편 우득일곡 명왈 박
與水谷相連 地平而幽 山遠而秀 略與仙槎者 相甲乙 余謂豚允曰 此殆天所以 錫我者 不然 何前後所卜 一其名耶
여수곡상련 지평이유 산원이수 략여선사자 상갑을 여위돈윤왈 차태천소이 석아자 불연 하전후소복 일기명야
彼海此嶺 相望數百里 而沕然 若一谷 而來於余 此非天耶 余於是思之 夫朴者 我國之蔬名 一曰瓠之卽瓠也
피해차령 상망수백리 이물연 약일곡이래어여 차비천야 여어시사지 부박자 아국지소명 일왈호지즉호야
潔不及頻繁 快不及茄笟 美非芹 甘非蔗 盖蔬之賤者也
결불급빈번 쾌불급가고 미비근 감비자 개소지천자야
然其爲 用宜於羹 宜於菜 乾之則利涉大川 熟之則羣飽 其德在 人用之如何 詩咏燔炮 傳稱千金 良以此也
연기위 용의어갱 의어채 건지즉리섭대천 숙지즉군포 기덕재 인용지여하 시영번포 전칭천금 양이차야
“天之生物 未嘗 小 殊谷之初也”
천지생물 미상 소 수곡지초야
“叢草樹穴虎豹更千百載 鴻荒寂寞 而無一人顧之者 豈非賤且棄乎”
총초수혈호표 갱천백재 홍황적막 이무일인고지자 기비천차기호
其平可田 其幽可屋 其遠可賞 其秀可吟 可以樵 可以泉 可以盤旋 而從老
기평가전 기유가옥 기원가상 기수가음 가이초 가이천 가이반선 이종노
“忽焉一朝 合衆美 而爲我之樂土 此則 川乎 我德乎 我者也”
홀언일조 합중미 이위아지락토 차즉 천호 아덕호 아자야
“谷之隱顯 誠有數於朴之用舍 得名以朴 不亦宜乎″
곡지은현 성유수어박지용사 득명이박 불역의호
噫瓠於蔬爲朴 谷於山爲朴 余於人亦朴而陋者 自余再得乎朴 然後朴 而又朴猶 古人 玄玄 又 玄朴之道
희호어소위박 곡어산위박 여어인역박이루자 자여재득호박 연후박 이우박유 고인 현현 우 현박지도
其盡矣乎 遂爲之朴 朴曲以自娛 曰朴朴濁濁 朴其心 濁其迹 朴朴濁濁 朴可肴 濁可酌 歌朴朴 手拍拍
기진의호 수위지박 박곡이자오 왈박박탁탁 박기심 탁기적 박박탁탁 박가효 탁가작 가박박 수박박
人耶谷耶 同其朴.
인야곡야 동기박
나는 이미 선사(仙槎:울진)에서 박곡(朴谷)을 가지게 된 바를설명(說)하였다.
이듬해인 임인(壬寅:1602)년 여름에 양양(襄陽:지금의 예천)에서 상처(喪妻)를 하여, 그 해 가을 화산(花山)의 임하현(臨河縣) 수곡(水谷:지금의 안동군 임동면 수곡리)에 묘지를 썼다.
수곡(水谷)의 동쪽 한편에 한 골짜기(一谷)을 얻었는데(得), 이름 하기를 박(朴)이라 한다.
수곡(水谷)과 서로 이어져 있으며(相連), 땅이 평평하면서도(地平), 그윽하고(幽), 산(山)이 멀리 있는데 또한 빼어난 것이, 대략 울진의 박곡(朴谷)과 더불어 서로 우위를 다툴만한데(相甲乙),
내가 맏아들인 중윤(中允:豚允)에게 일러 말하기를 ‘이곳은 두려웁게도 하늘이 이른바 나에게 내려준 곳이다.
그렇지 않다면 지난해와 올 해에 점지해 준 것이, 하나같이 그 이름이 박(朴)이겠는가?
저 바다(울진 쪽)와 이 봉우리(안동 쪽)가 서로 바라보는 것이 수백리나 떨어져 아득한데(沕然), 마치 하나의 골짜기(一谷)처럼 나에게 왔으니,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준 것이 아니겠는가(此非天耶)?’ 라고 말했다.
내가 여기에서 그 박(朴)을 헤아려 보건데 대저 박(朴)이란 것은, 우리나라의 채소이름(蔬名) 중의 하나인 바가지(瓠)로, 그 박(瓠)이란 깔끔하기는 개구리밥과 다북쑥(頻繁)에도 미치지 못하고, 매끈(快)하기는 가지와 참외에도 미치지 못하고,아름답기는 미나리에 비할 수도 없고, 달기(甘)는 사탕수수(蔗)에도 비길 수 없는 대체로 채소 중에 천(賤)한 것이다.
그러나 그 박(瓠)이 쓰이는 곳은 국을 끓이는데 마땅하고, 반찬으로도 마땅하고, 말린 즉 큰 내를 건너는데 이롭게 쓰이고(利涉大川), 삶아서는 많은 사람을 배부르게 할 수 있으니, 그 덕(德)은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시경(詩經)에서 번포(燔炮:말리고 삶음)을 읊고, 전(傳)에서 천금(千金)이라 칭한 것은 진실(眞實)로 이 때문이다.
하늘이 만물(萬物)을 만드는데 어떤 것도 느낄 수 없을 때, 소(小:어린 아기)가 유달리 골짜기(谷)의 처음이다(始)
많은 풀과 나무가 우거진 굴(穴)에는 호랑이와 표범(虎豹)이 있으며, 또한 오랜 세월(千百載)이 지나면서 크게 황폐해지고(鴻荒) 적막(寂寞)해져 아무도 돌아보는 사람이 없으니, 어찌 쓸모없게 되고 버려지지 않겠는가?
그 들판은 밭을 갈 수 있고, 그윽한 곳은 집을 지을 수 있고, 그 원대함은 감상할 수 있고, 그 빼어남은 가히 읊조릴 수 있고, 땔나무도 할 수가 있고, 샘도 팔수가 있으며, 이리저리 거닐 수도 있으니(盤旋), 만년을 보낼만한(從老) 곳이다.
홀연히(忽)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아름다웁게 하며, 또한 우리를 위하여 즐거운 낙토(樂土)가 되게 하는데, 이는 천(川:인천)에 있는 내 임금의 덕이요(我德), 나의 후손이다(我者).
골짜기(안동의 박곡)가 세상에 숨겨졌다가 세상에 널리 알려진다는 것은(隱顯), 진실로 박(朴)이 버려지고 쓰여지는 것(用舍)이 이미 정해진 운명(有數)이 있다는 것인데, 박(朴)이란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는 것(得名)이 또한 마땅하지 않은가?
아! 채소로서 박(瓠)도 박(朴)이 되고, 산(山)의 골짜기(谷)도 박(朴)이 되고, 또한 사람에 대한 나머지도 박(朴)이 지만,(이러한 박(朴)이란 의미는)품격이 낮은 것이다.
나는 스스로 박(朴)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새롭게 깨달았는데, 그러한 후에 박(朴)이란, 오히려 고인(古人)의 심원한 도(玄玄)이며, 또한 심원한 하늘의 순박(朴)한 도(道)로, 아! 그 심원한 도(道)인 박(朴)이 뜻대로 이루어지는데, 마침내 이 박곡(朴:안동 박곡)에서 정치를 하게 되는 구나(遂爲之朴)
박(朴)의 노래(曲)를 만들어 스스로 즐거이 노래 부르니, 박박탁탁(朴朴濁濁). 그 마음(其心)은 순박(朴)하고, 그 행적(其迹)은 탁(濁)하구나,박박탁탁(朴朴濁濁). 박(朴)은 가히 술안주로 할 수 있고(可肴), 탁(濁)은 가히 잔질할 수 있다.(可酌).
노래도 박박(朴朴), 손뼉도 박박(拍拍), 사람(人)이나 골짜기(谷)나, 다 같은 박이로다(同其朴).
해월선생이 박(朴)이라고 하는 골짜기, 즉 박곡(朴谷) 또는 박골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하여 이 골짜기를 손에 넣게 되었는지 설명한 글이다.
이 글속에는 하늘이 숨겨 놓은 비밀(秘密)을 기록(記錄)하여 전(傳)하기는 전(傳)해서 밝혀야 하겠지만, 그 당시 사람들에게는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게 하고, 후세에 나타날 그의 후손(後孫)만이 그 비밀(秘密)을 어찌하면 알게 할 수 있을까 고심(苦心)하면서 쓴 글인 것이다.
지금까지도 비밀(秘密)이 유지되어 온 것을 보면, 그 당시 사람들은 깊은 내용이 담겨져 있는 것을 알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시(當時) 사람들은 한문(漢文)공부는 많이 하였지만, 글의 형식(形式)에만 너무 치우치고 또한 틀에 박힌 사고방식(思考方式)으로 해석(解釋)을 하다 보니, 해월(海月) 선생의 마음속 깊이 담아둔 그 뜻을 거의 알지 못하였던 것이다.
다만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의 서문(序文)을 쓴 성리학(性理學)자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선생은, 해월(海月)선생의 글속에는 알기 어려운 깊은 의미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더 이상의 심오(深奧)한 뜻은 알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해월(海月)선생은 그의 후손(後孫)중에서 정확한 의미를 밝혀 낼 것을확신하고 쓴 글인데, 해월선생의 글을 이해하려면 먼저 유불선(儒佛仙)의 모든 경서(經書)와 성경(聖經) 및 동서(東西)를 막라한 예언서(豫言書)의 깊이 숨겨진 내용(內容)까지도 파악(把握)해야만 제대로 알 수 있는 것이다.
단순히 유교경전(遺敎經典)인 사서삼경(四書三經)만을 공부하고서는 이해(理解)되어 질 수 있는 내용(內容)은 아닌 것이다.
글의 내용을 보면 해월(海月)선생은, 경상북도 울진군에 있는 박곡(朴谷)과 안동(安東)에 있는 박곡(朴谷)을 얻게 되었다.
먼저 선사(仙槎:지금의 울진)에 있는 박곡(朴谷)을 말한다면, 1601(辛丑:선조34년)년 선생의 나이 46세 때의 10월에 예천(醴泉)군수를 제수 받았는데, 이 때 부임하기 전 봄에 울진에서 박곡기(朴谷記)를 썼으며, 후박곡기(後朴谷記)는 예천군수로 부임한 후 1602(壬寅:선조35년)년 선생의 나이 47세 여름에 쓴 글이다.
박곡(朴谷)이란 단순히 박(朴)이란 이름의 골짜기 유래(由來)를 쓴 것이 아니라, 박(朴)이란 골짜기가 숨겨진 땅으로, 박(朴)의 성질을 가지는 어떠한 인물이, 후세(後世)에 나타나서 무엇을 하게 되는 지를 밝혀놓은 글이다.
먼저 울진의 박곡(朴谷)을 보도록 하자.
해월(海月)선생은 나는 물질(物質)에 관하여 아무런 욕심이 없다고 하였다.
욕심이 없는 것은 무능(無能)해서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1601(辛丑)년 봄에 신농행자(神農行者)가 나타나서, 선사(仙槎:울진)에는 박(朴)이라고 불리워지는 좀 한가하고 널찍한 골짜기가 있는데, 가히 경작할 만한 곳이니 한 번 둘러보지 않겠느냐고 한 것이다.
그래서 흔쾌히 따라 나섰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 곳에는 아주 오래된 집이 있었는데 그 집에는 주씨(朱氏) 성(姓)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고 하였다.
골짜기의 이름은 박(朴)인데, 살기는 주씨(朱氏)성 가진 사람이 사니 어떻게 된 것이냐고 물으니, 객(客:神農行者)이 이르기를 주(朱)씨 역시도 주인(主)이 아니고, 주(朱)씨 할아버지가 강릉(江陵) 부윤(府尹)으로 있을 때, 최씨(崔氏) 성(姓)을 가진 이주민(移住民)에게서 얻은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최(崔)씨가 살기전에, 박씨(朴氏) 성(姓)을 가진 사람이 처음 살았기에, 박(朴)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하였다.
상전벽해(桑田碧海)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철이 화로가 되고, 화로가 철로 번갈아 되듯이, 또한 최(崔)씨와 박(朴)씨처럼 지금의 주(朱)씨 또한, 이 곳을 능히 소유(所有)할 수가 없는데 어찌 그 주인(主)을 만나서 마주대할 수가 있겠는가?
생각해보니 기이하게도 하늘(天)이 그대가 이 곳을 차지하도록 점지해 놓은 것이군요. 라고 신농행자(神農行者)가 말하였던 것이다. 그러자 해월(海月)선생은 박(朴)이라는 말의 유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박(朴)이란 속칭 바가지(瓠)라고 하는데, 신라(新羅)인 중에 시조(始祖)가 박(瓠:바가지)에서 태어나서 성(姓)이 박(朴)이 되었고, 그 후 바가지(瓠)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사람을 포공(匏公)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박(朴)이라고 하는 진정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고 하였다.
천지(天地)가 열리지 않고, 음양(陰陽)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상태(渾渾沌沌)를 일컫는 말인데, 즉 만물(萬物)의 근원(根源) 근본(根本)이며 시(始)인 도(道)를 뜻하는 말로, 태박(太朴), 고박(古朴), 순박(醇朴), 검박(儉朴), 박루(朴陋), 박야(朴野)라 하여, 박(朴)이란 의미는 참으로 심오한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비로소 상상(想像)을 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안개와 노을(烟霞)이 진 나라가 되고(爲國), 녹시(鹿豕:북두칠성, 사슴 가문의 아들)가 굴 속에 숨겨져 있는데, 드러나지 않은 기상(氣像)이 있다는 것이다,
해월(海月)선생은 자신의 가문(家門)을 은연(隱然)중 그의 시(詩)속에다 녹문(鹿門)이라고 하였다.
녹시(鹿豕) 즉 사슴(鹿:북두칠성, 술그릇)인 아들, 바로 사슴가문의 아들이라고 은연중에 말하고 있는 것이다.
1590(庚寅:선조 23)년 10월에는 자식(子息)들을 경계(警戒)하기 위하여 스스로 백록동규범(白麓洞規范)을 지어, 큰 아들인 중윤(中允)으로 하여금 항상 암송(暗誦)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사슴은 하나님의 아들을 뜻하는 말 중의 하나이며, 또한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아들이 굴(窟)속에 숨어 있는데, 은연중에 태박(太朴) 즉 하나님이 아직 벗기지 않은 기상(氣像)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미래(未來)에는 그 기상(氣像)을 벗길 것이라는 말인 것이다.
글 속에 객(客)이 그대는 장차 무엇으로 즐기겠는가? 라고 하였다.
해월(海月)선생이 이르기를, 나는 골짜기의 박(朴)으로써 내 임금의 미진한 박(我之未盡朴)을 박(朴)하게 하는 것으로 낙(樂)을 삼겠다고 하였다.
즉 박(朴)의 의미를 정확(正確)히 알려주는 것으로도 즐겁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박곡(朴谷)에 사는 사람들의 순박한 생활과 이 골짜기(谷)의 도(道)는 참으로 그 의미가 잘 맞지만, 이 곳에 사는 사람들은 스스로 이와 같은 박(朴)의 도(道)를 어느 하나라도 세상에 전할 수가 없을 정도로 박야(朴野)하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지금 이후, 내가 나의 몸을 검박(儉朴)하게, 그 마음을 순박(醇朴)하게 하고, 그 모습을 고박(古朴)하게 하고, 그 도(道)를 태박(太朴)하게 하여서, 단(一)번에 성세(聖世)를 이루게 하고, 포박(抱朴) 즉 박(朴)을 손에 넣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는가? 라고하자, 객(客)이 웃으면서 갔다고 하였다.
한 마디로 박(朴)과 하나가 되면, 세상은 성세(聖世)가 되게 하고, 그 박(朴)을 가지게 된다(抱朴)고 하였다.
이미 이 말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과 격암유록(格菴遺錄)에서 설명한바 있다.
후박곡기(後朴谷記)를 보면은 1602(壬寅)년 여름에, 양양(襄陽:지금의 예천)에서 상처(喪妻)를 하였고, 그 해 가을 화산(花山) 임하현 수곡(水谷: 지금의 안동군 임동면 수곡리)에서 묘지를 썼는데, 또한 수곡(水谷)의 동쪽에 있는 한 골짜기(一谷)을 얻었다(得)고 하였다.
그런데 그 골짜기의 이름 또한 박(朴)이라고 하였다.
이 곳은 수곡(水谷)과 서로 이어져 있는데, 그의 장자(長子)인 중윤(中允)에게 [중윤(中允)은 1577(丁丑)년 5월 7일 생으로 자(字)가 동광(東光), 호(號)가 동명(東溟), 사망한 해가 1648(戊子: 인조 26)년이며, 1605(선조 38)년 3월에 생원 진사 양과를 합격하였으며, 1612(壬子: 광해 4)년에 별시(別試)에서 갑제(甲第)를 하였으며, 관직은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의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냈다 부인은 그의 스승인 대암(大菴) 박성(朴惺) 선생의 여식이다.]
이르기를 이 곳은 두려웁게도 이른바 하늘이 나에게 내려준 곳인데, 그렇지 않다면 어찌 지난해와 올해에 점지해 준 곳의 이름이 모두 박(朴)이겠는가?
바다 쪽 울진에 있는 박곡(朴谷)과 이 곳 안동에 있는 박곡(朴谷)은, 수백 리나 떨어져 아득한 데도 마치 하나의 골짜기같이 나에게 왔으니, 어찌 하늘이 나에게 준 곳이 아니겠는가! 했다.
그러면서 앞에서는 사람에 대한 박(朴)을 설명하였는데, 이번에는 채소인 박(朴)을 설명하면서, 박(朴)이란 우리나라의 채소 이름 중에 하나로 바가지(瓠)를 말하는데, 깔끔하지도 않고, 매끈하지도 않고, 아름답지도 않고, 달지도 않고, 대체로 채소(菜蔬)중에 천(賤)한 것이지만, 국을 끓이고, 반찬을 만드는데 마땅하고, 말려서는 큰 내(川)를 건너는데 이롭게 쓰이고(利涉大川), 삶아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배부르게 할 수 있으니, 그 덕(德)을사람들이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한 마디로 박(朴)이란 굶주린 사람을 배부르게 하는 곡식(穀食)이며, 또한 큰 내(大川)를 건너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미 여러 예언서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정도령이 곡식이 되고, 큰 내(大川)를 건너는데 이로운(利涉大川) 목(木)의 도(道)라고 하였는데 그 목(木)의 도(道)가, 한 마디로 계룡(鷄龍) 정도령(鄭道令)이 박(朴)이라는 말을, 이렇게 슬쩍 평범(平凡)한 이야기로 쉽게 밝혀서 전하는 것이다.
또한 한 마디로 천지(天地)가 만물(萬物)을 만드는데, 어느 것도 느낄 수가 없을 때(未嘗) 소(少) 즉 어린아이가 유달리 골짜기의 시(始) 즉 처음이라고 하였다.
그러니까 이 아이(少)가 만물(萬物) 처음(始)이라고 하였다.
한 마디로 최치원(崔致遠)선생이 밝히신, 만물의 선(萬物之先)이요,
천지의 원(天地之元)인 북두칠성(北斗七星)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말을 하는데 해월(海月)선생은 매우 망설였던 것 같지만, 한 마디로 이 아이(少)가 골짜기의 주인(主)이라는 말이다.
그리고는 이 골짜기의 숲속에는 호랑이와 표범(虎豹)의 굴(穴)이 있다고 하였다.
이미 울진의 박곡(朴谷)에서는 사슴과 돼지(鹿豕) 이야기를 하였고, 안동의 박곡(朴谷)에서는 호랑이와 표범(虎豹)을 이야기 한 것이다.
이미 해월(海月) 선생의 시(詩) 속에서 여러 번 밝혔듯이, 호랑이(虎)와 표범(豹)은 주역에서, 성인군자(聖人君子)로 비유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월 선생은 호랑이와 표범을, 자신의 후손(後孫)으로 말세(末世)에 태어날 현인(賢) 즉 진인(眞人) 정도령을 이르는 말이라고 밝힌 것이다.
즉 호랑이와 표범(虎豹)의 굴이란, 성인군자(聖人君子)인 정도령의 혈(穴),즉 정도령이 거(居)할 명당(明堂)을 뜻하는 말을, 이와 같이 해월 (海月)선생은 대수롭지 않은 듯이 가볍게 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박곡(朴谷)이 오랜 세월(千百載)이 지나면서, 아무도 돌보는 이가 없으니 쓸모없게 되고 황폐(荒廢)해 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곳이 갑자기 홀연히 하루아침에 모든 것이 아름답게 바뀌어 낙토(樂土)로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것은 천(川) 즉 인천(仁川)에 있는 나의 임금의 덕(我德)때문이라고 하였다.
바로 나의 후손(後孫)이 이와 같이 하루아침에 바꾼다는 것이다.
이 골짜기가 버려져서 쓸모없이 지나온 것과 앞으로 크게 드러나서 명성(名聲)을 얻는 것도, 이미 정해진 운명(有數)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박(朴)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알려지는 것이 더 마땅하지 않겠느냐고 하였다.
그러나 채소의 이름으로 박(朴)이라는 말과 산(山)의 골짜기의 이름이 박(朴)이라는 말과 사람의 성씨(姓氏)에 박(朴)이라는 말이, 모두 박(朴)이라는 의미는 있으나 품격이 낮은 의미이다.
그러나 진정한 박(朴)이라는 말의 의미를 거듭 다시 깨달아 알게 되었는데, 바로 그 박(朴)이라는 말이 고인(古人)의 심원(深遠)한 도(玄玄)라고 하였다.
즉 박(朴)이란 도(道) 자체를 의미하는 말이지, 채소 이름이나, 골짜기의 이름이나, 사람의 성(姓)을 뜻하는 박(朴)이라는 말은, 등급이 떨어지는 의미라고 하였다.
심원한 박(朴)의 도(道)가 뜻대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마침내 이 안동(安東)에 있는 박(朴)에서 세상을 다스리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박(朴)에 대한 노래를 짓고는 즐거워하며 박박탁탁(朴朴濁濁) 그 마음은 박(朴)하고, 그의 행적은 탁(濁)하구나.
박박탁탁(朴朴濁濁) 박(朴)은 가히 안주로 할 수 있고 , 탁(濁)은 가히 잔질할 수가 있구나.
박박(朴朴)이라 노래하고, 박박(拍拍)이라 손뼉을 치면서, 사람(人)이나 골짜기는(谷)는, 다 같은 박이로구나(同其朴) 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손뼉을 치며 노래를 불러야 할 대상이 박(朴)이라고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밝힌 시(詩) 중에, 아가(我歌:나의노래)즉 아가(아기장수)에 대한 노래가 불리워질 것이라고 하였는데, 그 나의 노래가 바로 술 노래라고 하였다.
즉 그 술 노래는 바로 박(朴)을 찬미(讚美)하는 노래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박(朴)이 하나님의 아들로, 만인(萬人)의 양식(糧食)이 되고, 사람들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술과 술그릇이 된다고 해월(海月) 선생은 기쁜 마음으로 노래를 지어서 우리에게 전(傳)해주는 것이다.
이 글속에는 이렇게 하나님이 해월(海月) 선생을 통(通)해서 우리 인간(人間)에게 큰 희망(希望)을 주는 숨은 뜻이 은밀(隱密)하게 담겨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아들인 박(朴)이, 이 안동(安東)의 박(朴)에서 통치(統治)하게 된다는것이다.
이렇게 이 골짜기(谷)인 박(朴)에서 통치하게 된다는 말을 아주 조심성 있게 드러내는 것이다.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한 사람이 질문하였다.
“신농행자(神農行者)가 와서 박곡(朴谷)을 가르쳐 주었다고 했는데, 신농행자(神農行者)란 누구를 말합니까?”
라고 묻자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신농씨(神農氏)는 중국(中國) 전설상의 제왕(帝王)이며,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성(姓)은 강(姜)씨, 형상(形象)은 인신우두(人身牛頭 : 사람 몸에 소의 머리), 화덕(火德)으로 염제(炎帝)라고도 하며, 농업(農業), 의료(醫療), 약사(藥師)의 신(神)이며, 또한 팔괘(八卦)를 겹쳐서 64괘를 만들어 역(易)의 신(神), 주조(鑄造)와 양조(釀造) 등의 신(神)이 되고, 교역(交易)법을 가르쳐 상업(商業)의 신(神)으로 되어 있다.
재위는 124년으로 전한다.
일반적으로 신농행자(神農行者)라 하면, 신농(神農)의 도(道)를 행(行)하는 사람이라는 말로, 곧 농부(農夫)란 의미이다.
우리 나라 말에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란 말이 있는데, 이 말은 통상적으로는 농촌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農夫)로 알고 있지만, 여기에는 보다 더 큰 뜻이 있는 것이다.
【※※※】
격암유록(格菴遺錄) 말운론(末運論) Ⓟ32에,
『 牛性農夫 石井崑 我邦之人 君知否』 ***
우성농부 석정곤 아방지인 군지부
우성(牛性) 즉 정도령이란, 농부(農夫)이고 또한 석정곤(石井崑)이라고도 하는데, 우리 나라 사람으로 우리의 임금이신데도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한다 한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초장(初章) Ⓟ24에,
『坤牛乾馬 牛性理 和氣東風 眞人出』 ***
곤우건마 우성리 화기동풍 진인출
곤우건마【坤牛乾馬】 즉 하늘(天)은 말(馬)이고 땅(地)은 소(牛)인데, 즉 천지【天地】의
아들인 우성【牛性】이란 진인(眞人)이, 화(和)한 기운(氣)인 봄바람(春風)을 몰고 나타난다는 말이다.
즉 이와 같이 농부(農夫)란, 진인(眞人) 정도령(鄭道令)으로 인생(人生)을 추수(秋收)하는 사명(使命)을 가지고 오신 천지음양(天地陰陽)되시는 진인(眞人) 정도령(鄭道令)을 말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농부(農夫)란, 진인(眞人) 정도령(鄭道令)으로 인생(人生)을 추수(秋收)하는 사명(使命)을 가지고 오신 천지음양(天地陰陽)되시는 진인(眞人) 정도령(鄭道令) 을 말하는 것이다.“
라고 하자 한 사람이 말하였다.
“해월(海月) 선생께서는 신농행자(神農行者)라고 한 말은, 한문학(漢文學)을 공부한 사람에게는 신농씨(神農氏)의 도(道)를 행(行)하는 사람으로 농부(農夫)로 해석되게 하였지만, 실제는 신인(神人)을 만나서 직접 이야기한 것이군요.
또한 유학(儒學)을 하는 선비로서 신인(神人)을 만나서 썼다고 할 수는 없으니, 비밀(秘密)을 감추기 위해 신농행자(神農行者)라고 써 놓은 것으로써, 결국에는 해월(海月)선생의 후손(後孫)으로 태어나서 이 사실을 알고 밝힐 수 있다고 확신하기에 그렇게 표현하신 것이 틀림없군요.“ 라고 말하자 곁에 있던 또 한 사람이 말하였다.
“이 박곡기(朴谷記)에는 박(朴)이라는 말과 골짜기(谷)라는 말이 매우 깊은 연관이 있다고 했는데, 좀더 풀어 자세히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하자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은 다시금 설명을 시작하셨다.
“중화《도교대사전(中華道敎大事典)》에 박(朴)이란 말을 정의하기를, 본성(本性), 본질(本質), 즉 도(道)라고 하였다.
이 말의 어원(語源)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였다.
《위원(魏源)의 노자본의(老子本義)》에서, 박(朴)이란 천지의 시작이며(天地之始), 만물의 어머니요, 일체(一切) 구체(具體)적인 사물(事物)이 모두가 다 박(朴)에서 나온다. ―【※】
『一切具體賜物 出於朴』 ―【※】
일체구체사물 출어박
『器卽 有名之萬物』 ―【※】
기즉 유명지만물
박(朴)이 나누어져 된 것을 그릇(器)이라 하고, 그릇(器)이란 만물의 이름이다.
『內心淸虛 思慮欲望 盡除 返朴歸眞 卽見素抱朴也 卽與道合一』 ―【※】
내심청허 사려욕망 진제 반박귀진 즉견소포박야 즉여도합일
마음 속이 청허(淸虛)하고, 사려욕망(思慮欲望)이 다 제거(盡除)되면, 박(朴)으로 복귀(返朴)하고, 진으로 돌아(歸眞)가는 것을 견소포박(見素抱朴)이라고 하였다.
즉 이 말은 도(道)와 하나가 된다는 말이라고 하였다.
『朴卽道 在天地初闢, 萬物未生之時, 世界就是, 混沌爲朴 的』 ―【※※】
박즉도 재천지초벽 만물미생지시 세계취시 혼돈위박 적
또한 《회남자(淮南子)》에 박(朴)이란 즉 도(道)인데, 천지(天地)가 처음으로 열릴 때, 만물(萬物)이 아직 생기지 아니하였을 때, 이와 같은 혼돈(混沌)된 상태를 박(朴)이라고 한다.
포박(抱朴)이란 말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제19장 환순장(還淳章)에 나오는 말로,
『見素抱朴 少私寡欲 持守勿失 曰抱朴 素敦厚 曰朴』 ―【※※※】
견소포박 소사과욕 지수물시 왈포박 소돈후 왈박
포(抱)란 손에 넣어서 잃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박(朴)이란 소박(朴素)하고 돈후(敦厚)한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즉 포박(抱朴)이란, 도(道)인 박(朴)을 손에 넣은 것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32장 성덕장(聖德章)을 보면,
『道常無名 朴雖小天下不敢臣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賓 天地相合 以降甘露 民莫之令而自均 始制有名 名亦旣有
도상무명 박수소천하불감신 후왕약능수지 만물장자빈 천지상합 이강감로 민막지령이자균 시제유명 명역기유
天亦將知之 知之所以不殆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與江海』 ―【※※※】
천역장지지 지지소이불태 비도지재천하 유천곡지여강해
참으로 도(道)란 이름이 없는 것이다.
박(朴)이 비록 소(小: 작다, 어린아이)이나, 천하(天下)의 누구도 신하(臣)로 삼지 못한다.
후왕(侯王)이 만일 그 박(朴)을 손에 넣는다면, 천하만물(天下萬物)이 자연히 그 덕(德)에 복종할 것이다.
후왕(侯王)의 동작(動作)이 능히 하늘과 하나가 되니, 하늘은 또한 감로(甘露)를 내리니
백성들은 저절로 명령하지 않아도 잘 다스려진다.
시(始) 즉 도(道)가 유명(有名) 즉 만물(萬物)을 짓고 다스리니 이름이 있는 물(物)은 정욕(情欲)으로, 도(道)와 덕(德)에 이반(離叛)하지만, 사람이 능히 도(道)와 덕(德)을 거행(去行)하면, 하늘도 또한 그를 스스로 아는 것이다(河上公 註).
하늘이 그를 알고 있으면, 조금도 위태롭지 않은 것이다.
비유하건대 도(道)와 하나가 된 후왕(侯王)이, 천하(天下)의 사람과 하나가 되어 있다는 말은, 마치 모든 내(川)와 골짜기(谷)의 물이, 강(江)과 바다(海)로 흘러드는 것과 같은 것이다.
도(道)인 박(朴)이 비록 이름도 없고 어린 아이와 같지만, 천하(天下)의 그 어느 누구도 그 박(朴)을 신하(臣下)로 삼을 수 없다고 하였다.
후왕(侯王)이 박(朴)을 손에 넣은 즉, 천하만물(天下萬物)이 모두 그에게 복종하게 되며, 그가 하늘과 하나인즉, 상응(相應)하여 하늘은 상서러운 감로(甘露)를 내린다고 하였다.
도(道)와 하나가 된 후왕(侯王)이 천하(天下)에 있는 것을 비유하여, 모든 내(川)와 골짜기(谷)의 물이, 강(江)과 바다(海)로 흘러 들어가는 것과 같이, 천하만물(天下萬物)이 그에게 복귀한다고 하는 것이다
진실로 위대한 지배자인 후왕(侯王)은 도(道)와 하나가 된 성인(聖人)인데, 그 도(道)와 하나가 된 성인(聖人)의 지배하(支配下)에서만 진정한 평화(平和)가 실현(實現)된다는 말인 것이다.
그러면 이번에는 골짜기(谷)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곡(谷)이란, 곡식(穀食), 또는 욕(浴)이라 쓰기도 하고, 도(道), 또는 신(神)이란 의미로 쓰이는데, 도덕경(道德經) 제6장 성상장(成象章)에 곡신불사(谷神不死)라고 하였다.
즉 곡신(谷神)은 죽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곡(谷)이란 기른다(養)는 의미가 있는데, 도(道)는 만물(萬物)을 기르므로, 만물(萬物)을 기르는 신(神)을 의미(意味)하는 말에서 온 것이다.
【※※※】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제28장 반박장(反朴章)을 보면,
『知其雄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지기웅수기자 위천하계 위천하게 상덕불리 부귀어영아 지기백수기흑 위천하식 위천하식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榮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朴
상덕불특 복귀어무극 지기영수기욕 우천하곡 위천하곡 상덕내족 복귀어박
朴散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박산즉위기 성인용지 즉위관장 고대제불할
스스로 그 존귀(尊貴: 雄)함을 알고, 그 비천(卑賤: 雌)함을 지키는 것이 천하(天下)의 골짜기(谷)인 것이다.
겸하(謙下)하기를 마치 흘러 들어가는 깊은 골짜기와 같이 한다면, 참으로 그 덕(德)이 몸에서 떠나지 않으니, 무심한 어린아기(嬰兒)로 복귀(復歸)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백(白: 밝게 알다)을 알고, 그 흑(黑: 모르는 척 침묵하는 것)을 지키는 것이 천하의 모범(天下式)이 되는 것이니 천하의 모범이 되면, 진실로 덕(德)에서 어긋나지 않으니, 무극(無極: 不老長生)에 복귀(復歸)하는 것이다.
그 영화(榮)를 알고, 그 오욕(辱)을 지킨 즉, 천하(天下)의 골짜기(谷)가 되고 천하(天下)의 골짜기(谷)가 되면, 참으로 그 덕(德)이 머무르니 박(朴)에 복귀(復歸)하는 것이니라.
박(朴)이 나누어져서 그릇(器)이 되는데, 박(朴)이, 성인(聖人)이 그릇(器)을 들어 쓴 즉, 관장(官長)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들어 쓴다는 것은, 대도(大道)가 천하(天下)를 다스리는 것과 같이 아무런 상해(傷害)가 없는 것이다.“ 라고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께서 설명을 마치시자.
모두들 놀라워하였다.
그 때 지금까지 조용히 듣고만 있던 한 사람이 말하였다.
“그 골짜기(谷)를 박(朴)이라고 하고, 그 박(朴)을 성인(聖人)이라고 하였으니, 해월(海月) 선생의 글 속에 있는 신농행자(神農行者)인 정도령이, 해월(海月) 선생의 후손(後孫)으로 태어나지만, 해월(海月) 선생의 후손(後孫)이라기 보다는 하나님의 장자(長子)란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골짜기 이름(谷名)을 ‘황(黃)’이라 하지 않고, 우주만물(宇宙萬物)의 근본(根本)인 도(道)를 뜻하는 ‘박(朴)’이라 칭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겠느냐고 하였군요.
또한 격암유록(格菴遺錄) 갑을가(甲乙歌) Ⓟ114를 보면,
『세인부지 정변박(世人不知 鄭變朴)』 ―【※】
세상 사람들은 왜 정도령(鄭道令)이 박(朴)으로 바뀌는 지를 모른다고 하였으나, 이제는 해월(海月) 선생으로 말미암아 그 정(鄭)이 박(朴)으로 바뀌는 것을 분명(分明)하게 알겠습니다.
그래서 사람도 박(朴)이요, 골짜기(谷)도 다 같은 박(朴)이라고 했군요“ 라고 말했다.
그러자 다시 한 사람이 질문을 하였다.
“해월(海月) 선생께서 후박곡기(後朴谷記)에,
『朴猶古人 玄玄 又玄朴之道』 ―【※】
박유고인 현현 우현박지도
박(朴)이란 오히려 고인(古人)의 심원한 도(玄玄)이고, 또한 하늘의 심원하고 순수한 도(玄朴之道)를 박(朴)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고인(古人)이란 정확히 무슨 말입니까?“ 라고 하자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께서 다시 설명하셨다.
고인(古人)이란 격암(格菴) 선생의 마상록(馬上錄) Ⓟ398에,
『烈士貞 泥塗轉換 古人淸此』 ―【※】
열사정 이도전환 고인청차
열사(烈士)이고 정조(貞)가 있는 사람들이 진흙탕에 더럽혀져도, 돌이켜서(轉換), 고인(古人)이 이들을 깨끗하게 씻어준다고 하였다.
한 마디로 고인(古人)이란 바로 구세주(救世主)인 정도령(鄭道令)이란 말이다.
또한 격암유록(格菴遺錄)의 말운론(末運論) Ⓟ31에,
『古人 鄭氏 牛性』 ―【※】
고인 정씨 우성
고인(古人)이란, 우성(牛性)인 정도령(鄭道令)이라고 하였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의 제15장 현덕장(顯德章)을 보면,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強爲之容 與兮若冬涉川 猶兮若畏四鄰 儼兮其若客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여혜약동섭천 유혜약외사린 엄혜기약객
渙兮若氷之將釋 敦兮其若朴 曠兮其若谷 渾兮其若濁 孰能濁以靜之徐清 孰能安以久動之徐生 保此道者 不欲盈
환혜약빙지장석 돈혜기약박 광혜기약곡 혼혜기약탁 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구동지서생 보차도자 불욕영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
부유불영 고는폐불신성
진실로 옛날의 선비된 자(古之善爲士者: 득도한 사람)는 미묘(微妙)하여 하늘과 통하니, 그 속의 깊이를 알지 못한다.
억지로 이를 형용하여 말한다면, (거사할 때 매우 신중함이) 마치 겨울에 내(川)를 건너는 것과 같고, (그의 진퇴(進退)는) 마치 법(法)을 어기고, 그 이웃들이 이를 알까 봐 두려워하는 것과 같고, 마치 나그네(客)가, 주인의 엄숙한 모양을 두려워하는 것과 같고, 정욕이 제거되는 것이, 얼음이 장차 녹으려는 것과 같고, 돈후(敦厚)하기가 마치 박(朴)과 같고, 관대(曠)하기가 골짜기(谷)와 같고, 혼연(混)하여 마치 탁(濁)한 것과 같고(진(眞)을 가지고 있지만, 드러내지 않는다) 어느 누가 진실로 이 혼탁(濁)한 것을 진정(鎭靜)시켜서, 서서히 맑게(徐淸)할 것인가?
어느 누가 안정(安)시켜서 이를 움직여, 서서히 장생(徐生)을 시키겠는가?
이 도(道)를 보지(保持)하는 자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데, 대저 욕심이 없는 즉, 광영(盈)을 숨기며 부귀공명을 이루려 하지 않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하상공(河上公)은, 득도(得道)한 사람을 바로 옛 선비(古之善爲士者)라고 하였다.
즉 도(道)와 하나가 된 말세(末世)에 태어날 진인(眞人)이, 어떠한 사람인가를 드러내는 글이다.
고(古)자란 시작 즉 비롯하다(始) 라는 의미가 있으니, 고인(古人)이란 인간(人間)의 시조(始祖)라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즉 고인(古人)이란 바로 궁(弓)인 정도령(鄭道令)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제14장 찬현장(贊玄章)을 보면,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집고지도 이어금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성인(聖人)이 고도(古道)가 낳은 하나(一)을 손에 넣어서 만물을 다스리니, 지금(今)에 당하여 하나(一)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능히 고시(古始) 즉 상고시대(上古時代)에 만물(萬物)의 시원(始原)인 하나(一)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 하나(一)를 도기(道紀) 즉 도(道)의 근원(根源), 근본(根本), 본질(本質)이라고 한다.
※ (河上公註: 聖人執守古道生一以御物, 知今當有一也, 人能知上古本始有一是謂知道綱紀也)
하상공주 성인집수고도생일이어물 지금당유일야 인능지상고본시유일시위지도강기야
이만 하면 해월(海月) 선생이 말씀하신 그 고인(古人)이란 말이 무슨 의미인지 충분히 알겠는가?“
라고 하자 한 사람이 말하였다.
“결국 원시반본(原始返本)이란 이를 두고 하는 말이군요.” 라고 하자 여기저기서 소곤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그 때 한 사람의 커다란 목소리가 들렸다.
"『忽焉一朝 合衆美 而爲我之樂土 此則川乎 我德乎 我者也 谷之隱顯 誠有數於朴之用舍 得名以朴 不亦宜乎』
홀언일조 합중미 이위아지락토 차즉 천호 아덕호 아자야 곡지은현 성유수어박지용사 득명이박 불역의호
아무도 돌보지 않아 버려진 땅이 하루 아침에 모두가 다 아름답게 되고, 우리를 위하여 즐거운 낙토(樂土)로 되게 한 것은, 이는 천(川) 즉 인천(仁川)에 있는 나의 임금의 덕(德)이요, 나의 후손(後孫)이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아무도 돌보지 않아 버려져 있었지만, 앞으로 세상에 드러나 명성(名聲)을 얻게 되는 것도, 이미 정(定)해진 운명(運命)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 말은 지금까지 숨겨져 왔던 박곡(朴谷)이, 크게 이름이 날 것(得名)이라는 말로, 이 곳으로 수도(首都)가 옮겨진다는 말이 틀림이 없다고 생각되는데, 좀더 자세하게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하자
명산 선생님(明 선생님)께서 다시금 예의 차분한 음성으로 말씀하셨다.
“모든 예언서(豫言書)마다 말세(末世)에 생명(生命)을 보존하려면 궁(弓) 즉 궁궁(弓弓)이 이롭거나, 혈하궁신(穴下弓身) 즉 혈(穴) 아래 궁신(窮身), 곧 궁(弓)을 알면 살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 왜 혈하궁신(穴下弓身))이라 했는가 하니, 혈(穴이란 지기(地氣) 또는 지령(地靈)인 생기(生氣)가 한 지점에 뭉쳐 있는 곳으로, 음양(陰陽)이 배합(配合)하여 산수(山水)의 정기(精氣)가 모여 있는 결혈처(結穴處)를 이르는 말이다.
보통 우리들이 부르기를 명당(明堂)이라고 하는 것이다.
명당(明堂)이란 말은 주(周)나라 때부터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황제(皇帝)가 천신(天神)에게 제사지내는 곳을 말하였는데, 후에는 황제(皇帝)가 거처하는 궁궐(宮闕)을 명당(明堂)이라 했다.
다시 말하면 문무백관(文武百官)을 거느리고, 정사(政事)를 보는 궁궐(宮闕)을 말한다.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에서는 양택(陽宅)이나, 음택(陰宅)의 길지(吉地)를 통칭하여 명당(明堂)이라 한다.
또한 생기(生氣)가 집결(集結)한 진혈(眞穴) 자리를 태극(太極)이라 부르고, 결혈처(結穴處)의 요철을 양의(兩儀)라 하고, 와겸유돌(窩鉗乳突)을 사상(四像)이라 하며 구분(區分)하는 것이다.
혈처(穴處) 주위에는 왼쪽에 청룡(靑龍), 오른쪽에 백호(白虎), 앞쪽에 주작(朱雀), 뒤쪽에 현무(玄武)가 있어서, 태풍(颱風), 지진(地震), 해일(海溢) 같은 주위 환경의 각종 재해로부터 보호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명당(明堂)도 내외(內外), 대중소(大中小)로 나누어 구분하는 것이다.
사람이 사는 곳을 양택(陽宅)이라 하는데, 양택(陽宅)으로서 명당(明堂) 중의 대명당(大明堂)은 천자(天子)가 거처하는 궁궐(宮闕)이 있는 곳으로 나라의 수도(首都)가 되는 곳이다.
대개 나라의 수도(首都)가 되는 제도(帝都)는, 천자(天子)가 계시면 또한 만방(萬方)의 집결지(集結地)이며, 만법(萬法)이 이 곳에서 나와 국민을 다스리고, 정사(政事)를 보는 곳이기 때문에, 반드시 위로는 하늘의 천성원국(天星垣局)에 합치(合致)하고, 아래로는 정룡(正龍)인 산의 왕기(王氣)를 모은 연후라야 제도(帝都)가 건립(建立)되는 것이다.
대개 하늘에는 제좌성궁(帝座星宮)이 되고, 땅은 제좌도회(帝座都會)가 되는 것이니, 이와 같이 하늘의 상(天象)과 땅의 형(地形)이 일치(一致)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원(垣)에는 자미(紫微), 태미(太微), 천시(天市), 소미(少微)가 있다.
원(垣) 중에는 제좌(帝座)가 있는데, 소미원(小微垣)만은 사대부(士大夫)의 자리로서 제좌(帝座)가 없는 것이다.
자미원(紫微垣)이 사원(四垣) 가운데 중추(中樞)가 되는 곳이다.
그리하여 건도처(建都處)는 산천(山川)의 형세가 모름지기 이와 같이 천성원국(天星垣局)과 합(合)하여야 하는 것이다.
천문지(天文志)에 중천북극(中天北極)에 보이는 자미성원(紫微星垣)은 천황(天皇)의 진극(辰極)이니, 태을(太乙)이 상거(常居)하는 곳으로, 극성(極星)은 이동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북진(北辰)이 그 곳에 거하고, 뭇 별들이 이에 공(拱: 둘러싼다)한다고 한 것이다.
【해월유록p1009~1025말씀】
【上帝之子斗牛星 西洋結寃離去后 登高望遠察世間 二十世後今時當 東方出現結寃解】
【만사이황발(萬事已 黃髮 ) 잔생수백구(殘生隨 白鷗 )】
♧ 청림도사(靑林道士) 明(黃) 선생님 ♧
해월종택(海月軒):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明堂)
경북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433 (해월헌길70번지)
용산(龍山)
|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