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기념일인 탄신일,
출가일, 성도일, 열반일과, 매달 각 불보살님의 기념일을 정하여 십재일(十齋日)로 삼아
공양을 올리고, 기도 정진하는 날로 여기고 있습니다.
매달 십재일에는 계율(戒律)을 지키고
남에게 보시하면서 자신을 돌아보며
선업(善業)을 닦는 날입니다.
십재일에는 다른 날 보다 선업을 지어도 공덕이
크고 악업을 지으면 그 죄가 크다고 합니다.
먼저 석가모니 부처님과 관련된 기념일은
사대 기념일이라 하여,
날짜 순서대로 보면
출가재일(出家齋日) 2월 8일,
열반재일(涅槃齋日) 2월 15일,
탄신일(誕辰日) 4월 8일,
성도재일(成道齋日) 12월 8일입니다.
부처님은 재가불자들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출가자들의 삶에 정기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육재일(六齋日)을 도입했습니다.
재(齋)라는 것은 ‘삼가다, 부정 을 피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일정한 날에 계율을 지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육재일은 부처님은 한 달 동안 최소 6일은 꼭 계를 지키며 청정한 생활을 하도록 하여 재가불자들이 단순히 부처님을 믿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출가 수행자들의 수행을 체험할 수 있도록 권하였던 것입니다.
육재일은 매월 음력 3일, 14일, 15일, 23일, 29일, 30일 인데, 이 재일에는 하루 24시간 동안 재가불자들이 여덟 가지 계를 지키도록 권하는데 팔관재(八關齋)라 하며
오계에다 ‘높고 넓은 침상을 쓰지 않고, 노래하고
춤추지 않고, 향수 등을 바르지 않는 등’의 3계를 더한 것입니다.
육재일에 출가 수행자들의 생활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불자로서의 자기 점검과 출가 수행자들에 대한 존경심과 귀의하는 마음을 확고하게 다져 나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십재일은 육재일에다 1일, 18일, 24일, 28일을 더한 것으로 각 재일에 특정한 불보살을
정하여 의미를 부여했으며
1일은 정광불, 8일은 약사불, 14일은 보현보살, 15일은 아미타불, 18일은 지장보살, 23일은 대세지보살, 24일은 관세음보살, 28일은 비로자나불,
29일은 약왕보살, 30일은 석가모니불입니다.
이 열 가지 중에 많이 지켜지고 있는 재일은
18일 지장재일과 24일 관음재일이며
관음재일이나 지장재일의 의식은 <천수경>을 독송하고 각각 <관음예문>과 <지장예문>, 그리고 정근과 발원의 순으로 행해지며, 관음재일에는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구하는 예문과 정근을 하고
지장재일에는 돌아가신 분을 위한 발원과 정근을 하고
돌아가신 조상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첫댓글 와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좋으네요
이런 좋은 불교지식 나누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아미타불
덕분에 저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나모대원본존지장왕보살마하살()
저도 궁금했는데 넘 감사합니다
지장재일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항상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좋은글을 올려주셔서 잘읽고갑니다.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나모대원본존지장왕보살마하살 ()
선생님 감사합니다
계를 지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건강하시고 무량대복 받으세요
정말잘돼!!!
할수있어!!!
나모대원본존지장왕보살마하살()()()
십재일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선생님 감사합니다()
십재일과 지장재일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주셔서
큰 공부.배움 되었습니다.()
날마다 선업을 닦아가고
부정을 삼가고 계를 지키려하고
선망조상님들을 위해 기도하는
불자되겠습니다.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모명양구고대원본존지장왕보살마하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