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만수회장님의 카톡에서]
콩나물 알고 먹자
콩나물이 치매 예방의 특효...
치매는 혈액이 산성화 되고 몸속에 산성 독소가 쌓여서 생기는 병인데
콩나물은 약알칼리성 식품이므로 산성 독성 물질을
몸 밖으로 내보내어 치매를 치료한다
가벼운 치매는 콩나물국을 부지런히 먹어도 잘 낫는다.
콩나물은 아무리 많이 먹어도 독이 있거나 부작용이 없다
또한 여성들의 갱년기 장애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에도 콩나물국이 아주 효과가 좋다.
콩나물은 뿌리 부분에 해독제 성분이 제일
많이 들어 있다
그런데 콩나물국을 끓일 때 주부들이 콩나물 데가리와 뿌리를 떼어낸후 콩나물 반찬과 콩나물국을 끓인다.
해독제 성분이 가장 많은 부분을 없애는 것이다
콩나물은 장을 튼튼하게 하고 바르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늘 배가 살살 아프거나 배가 부글부글 끓고 방귀가 많이 나오며 변비와 설사가
반복될 때 아주 좋은 치료약이다.
장 무력증으로 늘 배가 사르르 아프고 하루에 4~5번씩 화장실에 가는 사람들이 콩나물을 부지런히 먹으면 장이 튼튼해진다.
흔히 콩나물을 살짝 아삭아삭 하게 삶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지만 그것은 잘못이다.
가볍게 삶으면 먹기는 좋겠지만 약효는 줄어든다.
콩나물은 30분 이상 푹 끓이는 것이 좋다.
콩나물 줄기가 면발보다 더 부드럽고 빨랫줄처럼 축 늘어지게 끓여서 먹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먹어야 위와 장이 튼튼해진다.
숙주나물 같은 것은 줄기에 섬유질이 많지 않고 힘이 없으므로
일시적으로 변비를 없애 주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숙주나물은 소화되면서 뱃속에서 녹아서 물처럼 되어 버린다.
숙주나물은 콩나물보다 해독 효과는 더 뛰어나지만 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는 조금 약하다.
겨울철이나 이른 봄철에는 바람이 많고 날씨가 건조해 상화(上火)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상화는 말 그대로 열이 머리로 올라가는 것이다.
열이 위로 올라가면 목이 마르고 아프거나 안구건조증, 두통, 안면홍조(顔面紅潮), 콧구멍이 건조하고 매운 증상 등이 나타난다.
불은 위로 타오르는 성질이 있다. 열은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반드시 아래로 끌어내려야 한다.
위로 올라간 열을 아래로 끌어내리는데 제일 좋은 음식이 콩나물이란다.
이렇게 좋을수가! 평생 치매 걸리지 않는 비법
너무 간단해요. 꼭 실천해보세요.
=========================
■ 5 cm의 기적
사람은 누구나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어 하고
''빨리 죽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하는 사람을 보면,
그 분은 오래 살고 싶어하는 사람 중에 한분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오래 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건강''이 절대적 조건입니다.
오래 살고 장수 (長壽)하고 싶은데 병으로 앓아눕거나 치매에 걸리는 것은 누구도 원(願)치 않습니다.
일본은 현재 치매환자 수가 놀랍게도 약 860 만명 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오래 살고는 싶지만 치매에는 절대 걸리고 싶지 않다고 말합니다.
치매에 걸리는 사람과 걸리지 않는 사람의 확실한 차이가 있으니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사람이 똑 바로 걸을 때 한쪽발과 다른발 사이, 한 걸음의 너비, ''보폭(步幅)''을 말하는데 "보폭(步幅)이 넓은 사람은 치매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반대로, "보폭이 좁은 사람은 치매에 걸리기 쉽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지금보다 보폭을 조금만 넓혀서 걸으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사실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러니깐, 보행속도 즉, 걷는 속도가 아니라, ''보폭의 너비''가 인간 수명(壽命)을 좌우한다고 합니다.
보폭(步幅)을 크게 더 길게하고 걸으면 자세(姿勢)가 반듯해 지고, 시선(視線)도 위(上)를 향하고, 팔도 제대로 많이 흔들게 됩니다.
발끝도 끌지 않고, 위를 향하라. 그렇게 하면 온몸의 근육(筋肉)에 자극(刺戟)을 주어 근육량(筋肉量)이 증가하고, 운동량도 크게 증가해서. 혈액(血液)의 흐름도 좋아진다고 합니다.
걸을 때 자세(姿勢)가 반듯해 지면 폐(肺)가 넓어져서 많은 양(量)의 산소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고 부수적으로 뇌(腦)도 아주 빠르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지요.
보폭(步幅)에 관한 세계적인 연구성과(硏究成果)에 대한 내용을 모아 놓은 것들을
보면,,,
종종걸음으로 걷는 사람은 뇌경색 환자일 확률이 높고
보폭이 좁은 사람은 대뇌 운동 영역이 위축되어 있고
보행이 느린 사람은 대뇌(大腦) 전두영역 (前頭領域)이 위축 (萎縮) 되고 당 대사(糖 代謝)의 저하(低下)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알츠하이머(Alzheimer)인 치매의 원인물질 (原因物質)인 베테아밀로이드가 뇌에 축적되어 있다고 하며
보폭을 5cm 넓혀서 걸으면 5년 젊어지고, 보폭을 10cm 넓혀서 걸으면 10년 젊어진다는 의학계의 수년간의 실험결과라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걸을 때는 절대 멍하니 걷지 마십시요. 큰 걸음으로 걷자는 생각이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걸을 때는 성큼성큼 걸어갑시다.
일본인의 기대수명은 여성 87세, 남성 81세 그러나 건강수명은 여성 75세, 남성 72세 (한국과 거의 같음)
건강수명이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이상없이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립 생활을 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합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72세까지는 건강하지만 그 후 81세, 사망에 이르기까지 9년간은 뜻대로 움직이지 못해서 누군가의 돌봄을 받으면서 생활한다는 것입니다.
이 건강하지 못한 기간이 남성은 약9년, 여성은 약 12년이나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선 지금부터 보폭을 5cm를 넓혀서 걸어봅시다.
그것이 가능해진 후에는 5cm 더 넓히도록 노력하고, 그러나 그것이 안되면 1~3cm라도 넓혀서 걸으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보폭을 넓게 해서 걷기만 해도 치매에 걸릴 확률이 적다고 하니 오늘부터 지금 당장 실천하여 건강한 영혼육을 유지하며 즐겁고 건강하게 삽시다.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적절한 운동과 활동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 마음의 건강도 잘 챙겨 평온한 일상으로 알차고 보람되게 보냅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