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에서 승패가 같을 때 순위 결정방법😊
아득한 옛날일 같네요. 리그전을 자주 다니던 때가..
오늘부터 국가대표 선발전을 한다죠?풀리그를 통해 1위만 선발된다고 하니 한 게임 한 게임이 얼마나 떨릴지..
리그결과표를 보고 순위를 정할때 동률팀이 매우 자주 나옵니다.
그때 동네리그전이라고 해도 국가대표선발전 순위를 정하듯 똑같이 올바른 순위계산법으로 순위를 정해야 하는데, 그냥 계산하기 편한대로 정하거나 주최측이 맘대로 정하는 것은 옳지않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주최측이라고 해도 우리구장리그에서는 이런방식으로 순위를 정한다고 당당하게 말하기보다는, 탁구규정에 나와있는 공식순위계산법에 따라 올바르게 예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리그주최자가 계산하기 편한대로 예선순위를 정하다 보면, 상위부로 갈 팀이 하위부로 가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생기게 되고, 본선대진표에서도 엉뚱한 팀과 붙게 되어 똑 떨어질 수도 있으니까요.
조금만 신경써서 배워두면 별로 어렵지 않은데, 숫자들이 여러개 막 엉키고 복잡해 보이니까 미리 포기하고 안 배우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예선순위결정법에 대한 리그요강들을 살펴보면,
'2팀 동률시 승자승, 3팀이상 동률시 세트득실순->높은부수순->가위바위보' 이런 내용을 볼 때가 있습니다.
여기서 잘못된 부분은 어디일까요?
바로 ''3팀 이상 동률시 세트득실순''
이 부분이 잘못되었습니다.
3팀 이상 동률이 나왔을 때에는 세트득실부터 보는것이 아니라 그 동.률.팀.끼.리.의 '승점'을 먼저 봐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승점'이란
승은 2점,패는1점,기권은0점.
즉, 승패를 뜻하는 것입니다. (부상 등의 이유로 게임을 다 못하고 가면 기권이겠죠)
그런데 많은 분들이 '승점'이라고 하면 예선기록표에 적힌 2,1,0 가로점수를 더한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예선리그에서 3팀,4팀,5팀,6팀이 동률이 나왔을 때에는 그 동률팀끼리의 승점(=승패)부터 따져보고, 동률팀끼리의 승점도 같을때에만 세트득실을 따져봐야 합니다.
(*게임득실이라고 해야 맞지만 편의상 세트득실이라고 쓰겠습니다)
세트득실까지도 똑같다면 원래는 점수득실을 봐야하지만 일반리그에서는 점수까지 기록하진 않으므로, 주최측이 정한대로 높은부수순이나 미모순이나ㅎ 가위바위보로 정하면 되겠지요~
물론,3팀,4팀정도가 동률일 때에는 세트득실부터 따져도 90%는 순위가 맞게 나오긴 합니다.왜냐하면 이기면 세트를 많이얻고 지면 세트를 많이 잃기 때문이죠. 하지만 10%정도는 순위가 잘못 바뀔때도 있고, 4팀,5팀,6팀이 동률일때 승점( =승패)부터 안 보고 세트득실부터 따지면 순위가 더많이 뒤바뀌게 된답니다.
말로 설명하려니 뭐가 엄청 길고 복잡해서 읽기 싫고 그럴것 같네요~
아래 사진은 11명이 리그전을 했는데 6명이 5승4패로 동률이어서 순위를 잘못 정했었던 실제 예선리그표 입니다.
'6명이 5승4패로 동률이니까 그 다음엔 세트득실을 따져야한다'고 잘못 알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6명이 5승4패로 동률이니까 그 6명.끼.리.의 승점(=승패)부터 먼저 따져야 한다'가 맞습니다~꼭 기억하세요~!^^
순위결정법을 공부하기에 아주 좋은 예여서 첨부합니다.
순위결정법 이해하신 분들만 점심 맛있게 드세요~~~ㅎㅎ
한 번 정답을 맞혀 보세요.
첫 정답자에게는 선물을...
리그전 출전하시면 러버1장 받으실 겁니다. 우승하시면요~ㅎㅎ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1.29 11:55
오우~정답입니다. 비밀댓글 센스 짱이십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1.29 12:11
게임 득실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게임득실"율"로 해야 합니다. 어떤 곳은 게임득실"차"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비율일 때와 달라지는 때도 발생하게 됩니다.
네~맞습니다.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감사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1.29 12:56
정답입니다~동호회때나 리그전 가시면 막무가내로 우기시는 분들께 친절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초록아줌마(김현주) 네~~수고하세요
득실차를 우선적으로 생각하게 된 배경을 생각해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생체 대회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3인 예선제를 실시합니다. 이 경우 순위 동률이 되는 방법은 3명 모두 1승1패 밖에 없기때문에 당연히 승점이 같게 되고 득실차를 계산하게 됩니다. 득실차 계산방식이 자연스레 정착된 것이지요.
정말 맞습니다. 리그에서 우기시는 분들이 딱 그러십니다. ''대회때 3명이 동률이면 세트득실 따지잖아~!'' 라고..
그 땐 3명이 예선을 해서 동률끼리의 승점을 따져도 1승1패로 똑같으니까 세트득실을 보는거고,
리그전은 10명이 넘으니 동률자만 쏙 뽑아와서 그들끼리의 승패를 먼저 봐야 하는 거라고 설명드리지만..
여전히 갸우뚱~ 받아들이지 않는 분이 많답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1.29 22:4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1.29 23:17
정답은 E C D F B A 입니다.
6명이 승점이 동률이라고 해서 바로 세트득실률을 따지면 안됩니다.
그 6명만 뽑아와서 그들끼리의 승점(승패)을 따져야 합니다.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6명만의 세트득실률 따지면
순서가 C(8/5=1.6.),D(6/5=1.2),E(7/6=1.1) 나오는데 제가 잘못계산했나 해서요^^
아니면 c.d.e3명만 다시 승점으로 계산해서
순위가 e.c.d가 되는건가요?
@veritas 6명중 3명은 3승2패이고 3명은2승3패입니다.
3승2패인 c,d,e 3명만 다시 그들끼리의 승점을 봐야합니다.
e는2승,c는1승1패,d는2패이므로 e-c-d순위가 됩니다~
(만약,ecd가 모두1승1패로 승점이 같았다면 그때 세트득실을 따지는 것입니다)
@초록아줌마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