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이종격투기 원문보기 글쓴이: 팩맨
축구 : 차범근
1953년 경기도 화성 출생
1971년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
1972년 최연소 국가대표로 선정 A매치 121경기에 출전해 55골을 기록
1978년 오쿠데라(일본)에 이어 아시아인으로는 두번째로 독일 분데스리가에 진출
10시즌 동안 308경기에서 98골을 터트려 갈색폭격기 라는 별명을 얻음
1979년 키커지 기자단 올해의 외국인 선수 1위 선정
1980년 프랑크푸르트 (UEFA)컵 우승
서독 빌트지 페어플레이어 선정
1983년 레버쿠젠 (UEFA)컵 우승
1986년 서독 아벤트포스트지 올해의 분데스리가 최고의 선수 선정
1994년 세계축구역사통계연맹 20세기 아시아 최고의 선수 선정
1999년 월드사커지 잊을수 없는 100대스타 선정
월드사커지 20세기 축구에 영향을 미친 100인 선정
2009년 하나은행 FA컵 최우수감독상
2010년 아시아축구연맹 황금공로상
배드민턴 : 박주봉
1964년 전북 임실 출생
1988년 서울올림픽 우승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우승
1996년 아틀란타 올림픽 혼합복식 2위
BWF 월드 챔피언십 총5회 우승 (남자 복식 2회, 혼합복식 3회)
역대 배드민턴 선수들중 가장 많은 월드 챔피언십 타이틀 보유
전영오픈 배드민턴 챔피언십 9회 우승
바둑 : 이창호
1984년 9살 때 조훈현의 제자로서 한국기원 연구생이 됨
1986년 11살 때 프로 입단
1988년 최고위전에서 타이틀 첫 도전. 스승인 조훈현에게 1승3패로 패함.
같은해 KBS 바둑왕전에서 김수장 7단을 2-1로 누르고 첫 타이틀 획득. 14세 한국 최연소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움(당시 3단)
1990년 최고위전에서 처음으로 조훈현을 3-2로 꺾고 타이틀 획득
1992년 동양증권배 우승. 역사상 최연소 바둑 세계챔피언
1993년 동양증권배 우승
1995년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
1996년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후지쓰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최강전 우승. 9단 승단
1997년 삼성화재배 세계오픈전, LG배 세계기왕전 우승
1998년 동양증권배, 삼성화재배, 후지쓰배 우승
1999년 LG배, 삼성화재배 우승
2002년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
2003년 도요타 덴소배 바둑 세계왕좌전, 춘란배 세계바둑 선수권대회 우승. 세계 대회 그랜드슬램 달성
2005년 춘란배 우승
2008년 제5기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우승
2009년 제27기 KBS 바둑왕전 우승
2010년 제1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우승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바둑 단체전 금메달
탁구 : 현정화
1986년 서울 아시아경기대회 탁구 단체전 우승
1987년 뉴델리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복식 우승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 탁구 여자복식 우승
1989년 도르트문트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혼합복식 우승
1990년 베이징 아시아경기대회 탁구 여자복식 우승
1991년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체우승(남, 북 단일팀)
1993년 예테보리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단식 우승
2008년 제20회 윤곡여성체육대상 지도자상
권투 : 유명우
1964년 서울 출생
1982년 프로 데뷔
1984년 동양 타이틀 획득
1985년 조이 올리보를 판정승으로 누르고 WBA 챔피언 타이틀 획득
이후 17차 방어성공
1991년 이오카에 판정패
WBA선정 올해의 복서
1992년 이오카에 판정승. 다시 챔피언 자리에 오름
권투선수 시절인 1988년 3억8000만원의 대전료를 받고 당시 국내 프로복서중 최고의 소득을 올렸다.
명예의 전당 입성. 한국 프로권투 사상 최고의 테크니션
만 6년이 넘는 기간동안 단 한번도 계체량에 실패한 적이 없음
통산 전적은 39전 38승 1패(14ko)
국내기록 제외 메이저 기구인 WBA 세계타이틀매치만 19승 1패이다(등급 세계 최고기록)
국내 프로권투 사상 최다연승인 36연승 기록
국내 프로권투 사상 만 6년 9일로 최장기간 타이틀 보유
국내 프로권투 사상 1라운드 2분 46초로 최단시간 ko기록 보유
국내 프로권투 사상 17차방어로 최장기간 타이틀방어 성공
국내 프로권투 사상 처음으로 리턴 매치에서 승리한 선수
야구 : 박찬호
1973년 충남 공주 출생
1993년 아시안게임 야구 국가대표 선발
1994년 메이저리그 LA다저스 입단
1996년 시카고컵스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첫승
1997년 선발 14승 (팀내 노모와 함께 최다승)
1998년 선발 15승 (팀내 최다승)
2000년 선발 18승 (팀내 최다승)
2001년 선발 15승 (팀내 최다승)
2002년 LA다저스를 떠나 텍사스 레인저스 로 이적
연봉은 5년간 6500만달러(옵션계약에 의해 실제는 7100만달러)
다저스 역대 탈삼진 9위 (1177개)
다저스 최장이닝 무실점 12위 (25이닝)
피겨스케이팅 : 김연아
1990년 경기도 부천 출생
2003년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발탁
2009년 세계선수권 우승 (대한민국 최초의 세계선수권 메달리스트)
4대륙 피겨스케이팅 우승
총점 207.71로 여자 싱글 세계최초로 200점 돌파
2010년 동계올림픽 우승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메달리스트)
총점 228.56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던 세계 최고기록 경신
레슬링 : 심권호
1972년 경기도 성남 출생
1985년 레슬링 입문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우승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우승
월드컵 그레코로만형 국제레슬링대회 1위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그레코로만형 우승 (대한민국 최초 레슬링 2연패 달성)
국내 레슬링 선수로는 최초로 그랜드슬램 (올림픽-세계선수권-아시안게임) 달성
태권도 : 김제경
1970년 울산 출생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우승
1997년 세계선수권 우승
1992년 ~ 1997년 태권도 헤비급 세계랭킹 6년간 1위 (헤비급이 아닌 김제경 체급이라는 말까지 나옴)
핸드볼 : 윤경신
1973년 서울 출생
1990년 북경 아시안게임 금메달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금메달, 득점왕
1995년 세계선수권대회 득점왕
1996년 분데스리가 진출, 그해 득점왕
1997년 분데스리가 득점왕, 세계선수권 득점왕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우승
1998년 ~ 2001년 분데스리가 득점왕
2001년 국제 핸드볼 연맹 올해의 선수상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우승
2003년 분데스리가 득점왕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득점왕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우승
유도 : 전기영
1973년 충북 청주 출생
1992년 유도 국가대표 발탁
1993년 세계선수권 대회 우승
1995년 세계선수권 대회 우승
성곡컵 대회 우승
아시아선수권 대회 우승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우승
1997년 세계선수권 대회 우승 (대한민국 최초 세계선수권 3연패)
1998년 미국 유도격월간지 유도저널
대한민국 유도사상 전무후무한 세계선수권 3연패 달성
골프 : 박세리
1977년 대전 출생
1992년 라일 앤 스코트여자오픈 우승
1998년 LPGA 투어 맥도널드챔피언십 우승
US여자오픈 우승
LPGA 신인상
체육훈장 맹호장
골프다이제스트우먼선정 올해의 선수상
1999년 LPGA 투어 제이미 파 크로거클래식 우승
페이지넷 챔피언십 우승
2001년 AFLAC 챔피언스 우승
브리시티 여자오픈
LPGA 투어 제이미 파 크로거클래식 우승
LPGA 투어 롱스드럭스챌린지 우승
2002년 LPGA 투어 오피스디포챔피언십 우승
LPGA 투어 맥도널드챔피언십 우승
2003년 LPGA 투어 배어 트로피
2004년 한국여자프로골프 대상, 공로상, 특별상
LPGA 투어 미켈럽울트라오픈 우승
2006년 LPGA 투어 맥도널드챔피언십 우승
2007년 LPGA 투어 제이미 파 오웬스 코닝클래식 우승
2010년 LPGA 투어 벨 마이크로 클래식 우승
제48회 대한민국체육상 청룡장
역도 : 장미란
1983년 강원도 원주 출생
2005년 동아시아경기대회 여자 역도 75kg 이상급 금메달
2006년 스포츠조선 코카콜라 체육대상 여자우수선수상
2007년 세계역도선수권대회 여자 역도 75kg 이상급 금메달
대한역도연맹 대상
2008년 대한체육회 체육대상
베이징올림픽 역도 여자 75kg 이상급 금메달
2009년 제14회 코카콜라 체육대상 특별상
제55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경기부문 여자 최우수상
체육훈장 청룡장
세계역도선수권대회 여자 75kg 이상급 합계 금메달
세계역도선수권대회 최우수선수상
제9회 자랑스런 한국인대상 스포츠발전 부문
2010년 국제역도연맹 올해의 여자선수상
광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역도 75kg 이상급 금메달
쇼트트랙 : 안현수
1985년 서울 출생
2003년 쇼트트랙 1차 월드컵 대회 500, 1000, 1500, 3000미터 1위
쇼트트랙 4차 월드컵대회 3000m 슈퍼파이널 1위
2004년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 종합우승
2005년 쇼트트랙 1차 월드컵대회 종합 1위
오스트리아 동계유니버시아드 1500m 1위
쇼트트랙 2차 월드컵대회 종합 2위
쇼트트랙 4차 월드컵대회 종합 1위
2006년 제11회 스포츠조선 코카콜라 체육대상 남자 우수선수
토리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금메달
토리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금메달
토리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금메달
ISU 세계팀선수권대회 남자부 종합 1위
2007년 ISU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1000m 1위
ISU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5000m 계주 1위
쇼트트랙 월드컵 1차 대회 남자 5000m 계주 1위
쇼트트랙 월드컵 1차 대회 남자 1000m 1위
쇼트트랙 월드컵 1차 대회 남자 1500m 2차레이스 1위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남자 5000m 계주 1위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남자 1000m 2차레이스 1위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남자 1500m 1위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남자 5000m 계주 1위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남자 1500m 2차레이스 1위
현느님이시여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아 나 이런거 보면 괜히 눈물남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연아 안보살 로즈란 짱
왜 브금 어이구야! 이렇게 들리는걸까? 나만 그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ㅠㅠ연느는걍 울나라의천재가아니라 전세계피겨계의천재.....
어뜨케 소름돋아진짜..안현수..ㅠㅠㅠㅠ....짅짜잘하는데
안현수는 진짜 신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