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불교 [通佛敎]
우리 나라 불교의 대표적인 사상.
우리 나라 불교 역사의 특수성을 표현한 용어이다. 불교가 발생한 인도의 불교를 원천불교, 각 분파가 생겨난 중국의 불교를 분파불교라고 할 때, 여러 불교 사상을 종합한 우리 나라의 불교를 일컫는다. 각 분파를 모았다고 해서 회통불교(會通佛敎)라고도 한다. 최남선(崔南善)은 《조선불교》에서 인도의 불교는 서론적 불교이고 중국의 불교는 각론적 불교, 우리 나라의 불교는 결론적 불교라고 표현했는데, 여기서 결론적 불교란 바로 원효(元曉)의 사상인 통불교를 말한다.
인도에서 출발한 불교 교리는 중국에 들어와 구사론과 성실론, 삼론종과 법상종, 율종, 천태종, 화엄종, 선종, 정토종, 진언종 등 10여 가지의 종이 분파되었다. 이러한 여러 교리와 종파를 우리 나라가 처음 받아들였을 때는 모순되는 점이 많아 비판과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원효에 이르러 이러한 모든 갈등이 정리되기 시작하였다. 원효는 ‘만법일심(萬法一心) 삼계유심(三界唯心)’이라고 해서 모든 교리가 마음의 근원으로 돌아오고, 삼계가 오직 마음에 있다고 주장하며 회통불교를 내세운 것이다. 곧 여러 교리는 부처가 중생의 근기(根機)와 때에 맞게 설한 것일 뿐 그 끝은 항상 같다는 것이다.
원효는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에서 ‘대소승의 삼승(三乘)이 마침내 일승(一乘)의 성불(成佛)로 돌아갈 뿐만 아니라, 모든 범부나 외도(外道)까지도 종국에는 하나의 길, 곧 성불의 길로 돌아온다’고 했고, 불교의 5천 경론(經論)이 다 부처가 되는 하나의 길을 가르친 것이라고 해서 통불교의 기초를 세웠다. 또 《십문화쟁론(十問和爭論)》에서는 불교 교리에서 서로 모순되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10가지 핵심문제를 뽑은 뒤 이들 논쟁도 겉으로만 모순될 뿐 속으로는 하나로 통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원효의 주장은 고려시대에 들어와 의천(義天)과 지눌(知訥)에 의하여 발전하였다. 의천은 교(敎)에 입각하여 선(禪)을 이해하려 했고, 지눌은 선에 입각해 교를 이해하려고 했다. 결국 이 두 고승의 주장은 각각 천태종과 조계종으로 이어졌다. 조선시대에도 통불교 운동은 계속되어 태종 때는 11종을 7종으로 모았으며, 세종은 다시 7종을 선교 양종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휴정(休靜)에 이르러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통합하여 단일 종파를 이루었다.
우리 나라의 불교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과 한국불교태고종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그밖에도 군소 종파가 많은 편이고 각자 독특한 종풍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참선과 교학을 겸하고 있으며, 율종이나 밀교·정토교의 내용도 포용하고 관음신앙과 약사신앙·미륵신앙 등도 함께 공부한다. 이렇게 서로 다를 수 있는 각종 교리를 모두 섭렵한 형태는 우리 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우리 나라만의 고유한 불교라 하여 통불교라 부르는 것이다.
현대불교의 과제-
한국 불교문화는 민족문화의 근간을 형성했다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 억불로 인해 산중에 은거하면서도 그 문화의 맥은 끊이지 않고 이어져 왔으며, 일제강점기 아래에서도 선교양종 또는 조계종의 정통성을 끝까지 지켜왔다. 8·15는 불교계에도 무한한 비약을 기약하는 자유를 누리게는 하였으나, 그에 따른 많은 과제와 문제성을 드러내게 되었다. 오늘의 한국불교는 그러한 과제와 문제성을 극복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모든 인류가 화합하여 참된 인간을 완성하려는 불교의 목적과 승가(僧伽)의 참 이상을 실현하려고 하는 것이 곧 한국불교의 과제이며 바람이다. 그 동안 한국불교는 호국불교에 치우쳐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이상을 소홀히 하였고 다른 종교와의 갈등에 원만히 대처하지 못한 점도 있었으나, 많은 불자(佛子)들의 대승적 노력과 특히 불교방송(佛敎放送;BBS)의 개국 등으로 인해 오해반목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불교의 현황-
인도불교는 20세기 중반에 주로 천민계급에서 신불교운동의 움직임이 나타났지만 영향력은 작다. 중국 불교는 거의 폐색상태에 있다. 한편, 전통적인 보수계의 장로부불교는 동남아시아 각국에서 성하고, 대승불교는 한국·일본·타이완에서 번영하고 있다. 티베트불교는 일시적으로 약화되어 있지만 세력은 뿌리가 깊어 튼튼하다. 또 대승불교의 여러 종파, 특히 선(禪)은 미국 등 세계 각지에 진출하였고, 일부에서는 포교에 성공하고 있다. 대승불교는 그 교의나 범절 외에 사상·예술·문화 및 기타 습속까지도 포함해서 이른바 대승문화로 발전하였고, 특히 한자문화권에 대한 영향은 매우 크다. 다만 그 최대의 특색인 관용이 지나쳐 세속에 영합하여 유행에 빠지기 일쑤이며, 특히 일본에서는 사자공양(死者供養)-장제의례(葬祭儀禮)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불교에 일관되는 엄격한 부정-초월의 논리는 과격한 절대화에 등을 돌린 채 다양성의 승인을 진척시켜, 마음의 평정과 평안을 추구하는 불교의 이상과 함께 오늘날 가장 중요한 평화에 대한 정신적 거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세계의 불교계 인구는 약 5억이라고 한다. 불교연구는 불교가 전해진 각지·각국에서 예로부터 왕성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진정한 의미의 문헌학에 기초한 불교학은 19세기 중엽 이후 유럽에서 시작되어, 곧 전세계로 확대되었다. 중요한 선각자로는 덴마크의 M. 파우스뵐·V. 트렝크너, 프랑스의 E. 뷔르누프·P. 펠리오·S. 레비·J. 바코·P. 드미에빌, 독일의 H. 올덴베르크·W. 가이거·H. 뤼더스·발레저·H. 글라저나프·발트슈미트, 오스트리아의 M. 빈터니츠·프라우발너, 영국의 M. 뮐러·T.W. & C.A.F. 리스 데이비즈, 이탈리아의 G. 투치, 헝가리의 K. 초마, 네덜란드의 J. 케른, 벨기에의 L.V. 푸생·E. 라모트, 러시아의 P. 스체르바츠키, 미국의 F.E. 에저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