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설 인사의 ‘영혼’/박록삼 논설위원
출처 서울신문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127027009&wlog_tag3=naver
길섶에서
설 명절 앞뒤로 무수한 인사들이 쏟아졌다. 제대로 열지도 않은, 혹은 채 마지막 문장까지 읽지 못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메시지가 대부분이다. 또한 사람의 흔적은 전혀 없이 컴퓨터가 처리해 줬을 카드와 연하장 등을 잔뜩 받았다. 영혼 없음과 무성의함 속 애꿎은 데이터와 나무만 축내는 것 아닐까 싶다.
개별성 없는 집단 메시지는 부질없다 싶어 받는 것도 싫지만 주지도 않았다. 가만히 헤아려 보면 명절에 따로 개인적 인사를 주고받은 이는 몇십 명 남짓일 뿐이다. 스스로 반성해 본다. 저런 부지런함이라도 부려 두루 조각만 한 신경이라도 쓰는 게 오히려 낫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이렇게라도 기억해 줘 고맙다는 마음도 설핏 든다.
설이 벌써 며칠 지났건만 동네 사거리에 빼곡한 정치인들의 영혼 없는 설 인사 플래카드는 사라질 줄 모른다. 사람들에게 별 감흥이야 없겠지만 저렇게라도 존재를 알리려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 애틋하기조차 하다.
박록삼 논설위원
빛명상
태어날 때 받고 나오는 세 가지의 사실
매년 한 차례씩 이맘때가 되면 공동묘지를 찾아 망자들의 안식과 명복을 비는 기도를 하고, 생전에 고인들이 살아온 삶을 회상하기도 한다. 새로 생긴 어느 묘지에서는 통곡 소리로 애간장을 짜기도 하고, 한탄과 비애의 독백으로 심금을 울리기도 한다. 매년 이곳에 올 때마다 못 보던 새 묘지가 이 골짝 저 골짝을 가득 채워 가고 있다.
여기 참배를 온 이 숱한 사람들 중에서도 내년엔 이곳에서 볼 수 없는 사람이 끼여 있을지 모른다. 작년까지만 해도 한 번도 거르지 않고, 분명히 곁에서 죽은 이를 아쉬워하며 기도했던 어느 아주머니가 금년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이렇게라도 성해 있을 때 한 번이라도 더 와 봐야지”라고 했던 그 할머니도 올해에는 보이지 않았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가장 확실하고 어김없이 받고 나오는 것이 세 가지가 있다. 이 세 가지에는 세상의 어떤 힘도 감히 근접하지 못한다.
첫째, 죽는다는 사실이다.
둘째,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것이다.
셋째, 반드시 빈손으로 간다는 것이다.
우리는 살아온 지난날을 돌이켜 보고, 어떻게 사는 삶이 가장 깊고 의미 있는 삶인가를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안쓰러운 마음으로 이 글이 마음의 작은 빛이라도 되어 주길 바란다.
출처 : ‘빛(VIIT)으로 오는 우주의 힘 초광력超光力’
1996.07.10. 1판1쇄 P. 206
병상에 계시는 분들을 볼 때
병원에 가끔 들를 때가 있다. 어린이가 크레용으로 검은색, 붉은색 잡히는 대로 온 벽에 괴발개발 그려 놓은 듯한 색깔들로 병원은 뒤범벅이 되어있다. 어두워졌다 밝아졌다 하는 가운데, 사람들의 한 생애가 시작되고 마치고 한다.
사람이 병원에 머무는 것은, 한 순간 삶이란 굴레에서 벗어나 고요히 생각해 보라는, 하늘이 주는 ‘그 마음’을 건져 보라고 하는, 그분의 뜻이 담겨 있는 것. 살아온 날들을 돌이켜 보고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 왔는가를,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해 보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 안에서 우리가 몰랐던 것을 발견하면 절대의 기쁨이 있다.
초광력超光力은 당신을 밝은 빛(VIIT)으로 이끌어 주는 지팡이와도 같다.
출처 : ‘빛(VIIT)으로 오는 우주의 힘 초광력超光力’
1996.07.10. 1판1쇄 P. 52
영육의 분리 앞에서 빛(VIIT)의 소리 들려오건만
비 온 후 산사에서 해가 질 무렵이면 바람결에 흔들려 오는 빛의 소리가 있다.
우주의 힘 초광력超光力을 온 세상 방방곡곡에 일러 주라고, 낙엽처럼 우수수 떨어져 내리는 영혼들의 소리가 가랑잎 비비는 틈새에서 애절하게 들려 온다.
살아 생전 깨치지 못해 세상 삶이 다 인양, 바락바락 살다가 어느덧 닥쳐온 죽음, 영육(영혼과 육신)의 분리 앞에서 빛(VIIT)의 소리, 그분의 소리가 아득히 들려 오건만, 앞을 가리고 선 검은 무리들…,
그 빛(VIIT)의 소리를 뒤로 하고 검은 무리에 섞여서 떨어져 내린다. 살아 생전에 빛VIIT의 소리, 우주의 마음을 조금만 깨쳤어도 찬란한 빛(VIIT)의 세상에 들 수 있었을 것이다. 후회 한들 어찌하리.
1백 년 채 못 되는 세상, 영원인양 살지만 영원한 세상은 죽은 후에나 있는 것을……, 자식에게 만큼은 일깨워 달라고 가랑잎 틈새에서 애절히 소리한다.
출처 : ‘빛(VIIT)으로 오는 우주의 힘 초광력超光力’
1996.07.10. 1판1쇄 P. 261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누구에게나 공평한 세 가지의 사실..
빛으로 오는 우주의 힘 초광력과 함께 할 수 있음을 감사드립니다.
귀한 빛말씀
마음에 담습니다.
감사합니다.
귀한 글 감사합니다.
귀한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