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보통 세상만사가 대부분 합리적인 의사 결정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사회는 가장 합리적인 원칙과 판단에 의해서 움직일 것이라는 일종의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사회는 그렇지 않으며 비(非)합리적인 면이 매우 많다는 주장이 있다.
1914년 영국 해군의 수는 15만 명, 군함(軍艦) 수리창의 관리자와 사무원은 3200명, 여기에 근로자가 5만 7000명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14년 후인 1928년에는 전쟁이 없어 해군이 10만 명으로 줄고 군함 수도 줄었지만, 수리창 관리자와 사무원은 오히려 4600명으로 늘었다. 또한 해군 본부의 관리자 수는 2000명에서 3600명으로 늘었다. 해군의 수는 30% 정도 줄었지만, 수리창의 관리자와 사무원 수는 40%, 본부 관리자 수는 무려 80%나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 일어난 이유는 ‘해야 할 업무’는 줄었는데도 관리자들이 일자리 수를 늘리기 위해 이것저것 하지 않아도 될 일을 만들어 ‘사람 수’를 늘렸기 때문이다. 결국 업무량 감소와 관리자 수의 변화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셈이다.
이런 현상을 분석하여 하나의 법칙으로 제시한 사람이 영국의 역사학자이자 사회 생태학자인 노스코트 파킨슨(N. Parkinson)이다. 그는 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해군의 사무원으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1955년 관료제의 본질을 파악하여 ‘파킨슨의 법칙’을 만들어 발표했다. 그 내용은 공무원의 수는 업무의 양(量)에 상관없이 증가한다는 것과 출세를 위해서는 부하의 수가 많아야 되기 때문에 일자리 수를 자꾸 늘린다는 것이다. 그는 공무원 수는 업무의 증감에 상관없이 매년 평균 6% 정도 증가한다는 내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뒤 수식으로 만들었다.
파킨슨 법칙은 지금부터 50여 년 전에 영국에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아직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비단 공무원 조직뿐 아니라 기업을 비롯한 사회 어느 조직에서도 이 법칙은 적용될 수 있다. 작은 기업이 계속 성장해서 큰 기업이 되고, 세월이 흐르면 이른바 ‘대기업 병(病)’에 걸리게 된다. 대기업 병에 걸린 대다수 기업에서는 파킨슨 법칙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파킨슨은 사회 곳곳에서 비합리적 의사 결정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사 결정 과정에서 허점들을 잘 파악할 수 있다면 비교적 유용한 의사 결정을 얻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즉, 정말 우수한 사람이 조직을 이끌고, 중요한 결정은 전문가들이 모여 신중하게 한다면 그 조직, 그 사회는 훨씬 더 발전한다는 것이다. 어느 조직이든 ‘제 밥그릇 찾기’, ‘자기 식구 챙기기’, 그리고 ‘책임 회피’ 등의 비합리적 의사 결정 요소들이 만연한다면 그 조직은 발전할 수 없게 된다. 기업이 이사회 제도와 최고 경영자의 역할 강화, 또는 수평적인 팀(team) 제도를 통해 의사 결정의 신속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을 이끌어 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제 대국이 되어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우리 기업들도 한 번쯤은 파킨슨의 법칙을 되새겨 보는 것이 어떨까. 우리 사회도 구성원들 사이에 혈연, 지연, 학연, 파벌 그리고 기득권 지키기 등의 비합리적 의사 결정 요소들이 뿌리를 내리게 되면 반목과 갈등의 굴레에 갇혀 발전이 어려워질 것이다.
http://cafe.naver.com/sagecurri/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