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보농사꾼에게 가장 힘든 병충해는 진딧물
- 진딧물 종류 약 600여가지, 알을 까고 부화하는데 1주일(2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ED1415CB79FED12)
○ 토종작물 위주의 도시농업, 넝쿨콩, 목화종 위주
- 삼동파
1. 식물 병해충, 생리장해에 대한 이해
○ 병해충의 정의
- 식물이 어떤 요인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 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탄저병, 희가루병)
- 생리장해 : 외부의 어떤 물리적, 이화학적 장해에 의한 비정상적인 생리현상(영양과다, 저온피해, 염류집적 등)
○ 해충 : 식물에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끼치는 벌레
○ 식물 건강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 및 생리장해
- 환경 : 광선, 기온, 습도, 바람, 토양습도, 양분, 유해염류
- 병원균 :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 해충 : 진딧물, 까지벌레, 응애 등
2.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는 노력(예방식물의학)
○ 병해충과 생리장해를 줄여서 성공하려면 작물을 튼튼하게 키워야 한다.
- 햇빛 : 적정 재식거리, 솎음
- 통품 : 흩어뿌림 vs 줄뿌림, 하엽 제거, 적엽(가지)
- 배수 : 배수로, 높은 이랑
- 균형시비 : 3요소 등 환경조성
○ 작물을 튼튼하게 키울것
- 고추 등은 장마철을 지나면 뿌리가 썩어 죽는다.
- 탄저병과 역병을 없애는 방법은 없다.(거의 대부분 토양병)
- 한 겨울에 밭을 한번 뒤집어 땅속의 벌레 등을 죽임
- 주로 재를 뿌려서 사용함(애벌레 살충)
- 비닐사용은 제초목적이 가장 큼
- 현실적으로 기계(경운기 등)와 비닐멀칭은 필요(800평 이상은 필수)
○ 멀칭방법
- 천, 신문지, 폐지판골, 한냉사(가을에 활용)
○ 예방적 병해관리(식물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의 개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방법)
- 전업농 근처의 모종이 상태가 좋다(저항성 있는 품종 선택)
- 적합한 작부체계 수립
- 양분의 균현관리가 중요
- 직파와 모종의 뿌리 상태는 다름(직파가 땅속 깊이 들어감-물을 적게 주는 경우도 동일)
- 고추를 심은 직후 지주대와 연결하지 말것
○ 텃밭에서 자주 발생하는 해충
- 배추흰나비, 진딧물, 도둑나방 등
- 병해충은 노란색을 좋아함
- 해충방제방법
① 오지않게하는 방법(터널피복)
② 황색끈끈이트랩
③ 손으로 잡는 방법
④ 침환경자재 : 난황유, 식물추출물 등
⑤ 농약 살포
3. 생리장해의 진단과 예방
○ 생리장해와 병해충 피해의 구별 요령
- 생리장해는 밭 전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나, 병이나 충해는 일부 한쪽에서 발병하여 점차 번져가는 형태가 많음
- 생리장해는 보통 잎의 앞과 뒷면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해는 한쪽면에서만 발생하여 뒷면까지 번지는 경우가 많음
- 생리장해는 전염되지 않지만, 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점점 퍼지거나 비가 오거나 흐린날에 급속히 번지는 경우가 많음
- 대부분의 생리장해는 냄새가 없는 반면, 병해는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음
○ 약해
- 밀폐된 공간에서 유기농살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잎이 오그라드는 현상이 발생함
- 전업농은 경제적인 이유로 농약을 미리 뿌리지 않는다.
- 도시농부는 사전에 뿌리는 것을 권장(재배평수가 작아 경제성과 연관 없음)
- 천적의 활용 : 무당벌레에도 익충과 해충이 있음
○ 생리장해 발생요인
① 영양장해 : 영양결핍, 영양과잉
② 식물공해 : 대기오염, 수질오염
③ 토양장해 : 토양의 통기성, 토양수분의 과부족, 토양수분의 급변화, 토양의 반응, 연작, 유해중금속
④ 기상재해 : 가뭄해, 수해, 풍해, 서리해, 우박해, 한해, 안개해, 설해, 고온해와 열사
○ 작물생육의 필수요소와 간이 건강진단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76E345CB7933B0D)
○ 습도환경
- 고추도 비가림 농법을 많이 함(고추농사가 생산성이 좋음)
- 논을 밭으로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복토를 한 후, 재배를 시작해야 함.
○ 곡과(구부러진 과실) : 수분부족, 영양불균형으로 발생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234355CB795C30F)
○ 열과 : 과실표면의 생장과 내부생장의 속도가 다를때 발생(토양수분 급변, 주양간 온도교차 심할 때)
- 비대 초기에 토양수분의 급변 방지 및 후기 다습에 유의
- 야간 온도 15℃ 이상 유지
- 장마철에 날이 뜨겁고 수분 많으면 열매 터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FCC3B5CB795870F)
○ 석회결핍증 : 열매의 측면에 약간 함몰된 흑갈색의 반점이 부패(2차로 잿빛곰팡이병 발생)
- 잎의 가장자리부분부터 시작하여 점점 안쪽으로 진전
- 심하면 과실의 배꼽 부근이 갈색으로 변하여 부패하고 과일의 내부가 변질되고 선도 유지가 곤란해짐.
- 굴껍질을 태워서 밭에 뿌림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4C43D5CB7953034)
○ 칼리결핍증
- 생육이 비교적 빠른 시기에는 잎면으로부터 잎살부위까지 괴사
- 생육최성기에는 중위잎 부근의 잎선단으로부터 갈변하여 고사
- 잎색이 이상하게 흑색으로되며 딱딱해진다.
- 먼저 생장이 쇠퇴하게되고 선단의 잎이 약간 위축하며
- 늙은 잎은 황색으로 변하여 잎이갈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고사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B45395CB7975210)
○ 붕소결핍증
- 생장점 부근의 마디 길이가 짧아지고 윗쪽의 잎이 바깥쪽으로 말리며 엽맥에 위축 현상
- 잎 가장자리의 일부가 갈변하고, 과실에 분비물이 생기며 과실 표피에 코르크화 현상 발생
- 생장점 부근의 위축, 고사는 칼슘결핍증과 유사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2A6395CB7988C10)
○ 목초액 과잉장애
- 목초액은 실질적인 효과가 없음(기피효과 일부-약 2시간)
- 목초액 150배액으로 엽면 살포하면 너무 진해 잎이 마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096375CB7994711)
○ 유인작물
- 병충해가 좋아하는 작물을 근처에 심너 병충해를 유인
- 대규모농사에 유용, 소규모에는 효과가 크지 않다.
4. 병해의 진단
○ 채소병해
- 종자전염가능 병해 : 탄저병, 노균병, 시들음병, 반점세균병,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병 등(소독 필요)
- 공기전염성 병해 :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검은별무늬병 등 가장 많은 병해
- 토양전염성 병해 : 역병, 뿌리썩음병, 뿌리혹병,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병 등(가장 퇴치하기 힘든 병해)
- 충매전염 병해 : 바이러스병
○ 흰가루병(오이, 참외, 호박딸기 등)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EE33C5CB79B3112)
○ 탄저병(고추, 참외)
- 토양병, 토양과 잎 사이를 높게 띄워져야 함.
- 사람 키만큼 키움 - 맛이 없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D9345CB79BFB0F)
○ 역병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B15355CB79D2712)
○ 고온바이러스(울퉁불퉁)
- 온도가 높고 건조할 때 많이 생기며 어린 잎부터 과일까지 영향을 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46C3B5CB79DB611)
○ 주요채소 작목별 병해 : 첨부문서 참조
5. 텃밭에서 병해충은 어떻게 방제할 것인가?
① 침입하지못하도록 차단
② 철저한 환경관리와 예방
③ 확산 전 초기 방제
④ 방제시 적정농도 제대로
○ 최근 뜨는 천연농약
- 제충국 + 에탄올
- 먹구슬나무 + 에탄올
- 백두홍 + 에탄올
- 15일 발효 후 사용 : 희석 100배 이상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