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의 초반부는 후한 말 어지러운 세상이 되면서 결국 중국이 삼국으로 갈라지게 되는 과정을 그렸다. 그 단초 중에 하나가 원래 백정이었던 하진(河進)의 벼락출세이다. 그는 누이가 영제의 후궁으로 뽑혀서 귀인이 된 후에 황자 변(辯)을 낳고 다시 황후로 승차하자 하진은 외척으로 권세를 잡았다.
그러나 무식한 사람이 용감하다고 하태후를 믿고 병권을 장악하는 등 국권을 농락하다가 당대의 실력자라고 볼 수 있는 환관 십상시(十常侍)들과 알력이 생겨 그들을 제거하려다 오히려 살해된다. 이에 조조와 원소가 궁정으로 쳐들어가 십상시들을 철저하게 제거하자 내시가 어린 소제(少帝)와 이복동생인 진류왕을 끌고 낙양을 탈출한다. 어린 황제와 진류왕이 사라지자 조조 등이 젊은 황제를 찾는 도중에 두 어린 형제는 내시들과도 헤어져 고립무원이 된다.
두 명이 길을 찾아 나서려고 하지만 캄캄한 밤이라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데 갑자기 반딧불이의 덩어리가 나타나더니 달빛처럼 그들 앞을 환하게 비쳐주었다. 그들은 반딧불이의 빛을 따라 나서 한 채의 농가에 들어가 결국 조정 대신들과 만난다. 여기에서 그들을 살려주는 것이 반딧불이의 밝은 빛이다.
반딧불이에 대한 유명한 이야기는 중국 동진(東晋)의 차윤(車胤)에 대한 일화이다. 그는 초를 살 돈이 없어 반딧불을 모아 공부를 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고생하면서도 꾸준히 학문을 닦는다’는 뜻의 형설지공(螢雪之功)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났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정말로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 하고 의문을 갖는다. 결론만 말하자면 적어도 차윤이 반딧불이의 빛으로 공부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이다.
충분히 많은 수의 반딧불이를 잡는다면 실내에서 책을 읽는 정도의 밝기를 얻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다. 물론 어린 황제와 진류왕의 길을 똘똘 뭉친 반딧불이가 어린 황제를 위해 스스로 비춰주었다면 이 역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반딧불이는 한 마리가 3룩스의 빛을 발한다. 반딧불이 80마리를 가지고 쪽당 20자가 인쇄된 천자문을 읽을 수 있으므로 200마리 정도이면 신문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한국의 반딧불이가 감성적이고, 일본의 반딧불이가 윤리적이라면 중국의 반딧불이는 현실적인데 반딧불이가 밤을 밝혀준다는 내용에서는 대동소이하다.
반딧불이는 절지동물문(門)의 곤충강(綱), 딱정벌레목(目), 반딧불이과(科)에 속하는 곤충에 대한 총칭이며, 흔히 개똥벌레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반딧불이를 줄여서 반디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반딧불은 반딧불이가 내는 빛을 뜻하고 여기에 대상을 가리키는 접미사 '-이'가 붙어서 '반딧불이'가 된 것이다. 나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손으로 낚아챌 수 있을정도이지만 몸에 취선이 있어서 손으로 잡으면 먼지벌레에 버금갈정도로 끔찍한 냄새를 풍긴다. 가장 큰 특징은 꽁무니에서 발하는 빛인데 다 자란 성충뿐만 아니라 알도 역시 빛을 낸다. 이 빛은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루시페레이스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산화되는 것으로서, 효소 작용에 의해 ATP와 합성되여 중간 유도체인 아데닐루시페린이 생성된다.
반딧불이의 실체는 매우 놀랍다. 우선 이들은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날개돋이(羽化) 할 때 입이 완전히 퇴화하여 살아가는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기름기(지방)를 몸에 가득 갖고 태어나기 때문에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아무 탈 없이 지낸다. 물론 외국의 어떤 종은 성충이 벌레를 먹기도 하며 식물의 꽃가루나 꽃물(nectar)을 먹는 종도 있다고 알려진다. 그리고 암놈들은 날지 못하는 종도 있다. 늦반딧불이의 암컷은 하나같이 겉날개(딱지날개)뿐만 아니라 얇은 속 날개(주로 이것으로 낢)까지 송두리째 퇴화하여 날지 못한다.
그렇다고 번식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암컷이 비록 날지 못하지만 풀숲에서 ‘사랑의 신호(signal)’인 깜박이를 날려 보내면 사방팔방 떼 지어 돌아다니는 수컷들이 몰려든다. 숫컷과 암컷의 성비는 무려 50 대 1로 숫컷이 대부분이다. 반딧불이의 수명은 대체로 2주일 정도이므로 이 동안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한다. 어른벌레는 2∼3일 뒤부터 짝짓기를 하고 4∼5일 지난밤 이끼에 300∼500개의 알을 낳고, 알은 20∼25도에서 20∼30일 만에 부화된다.
학자들은 반딧불이가 다른 천적들의 눈에 쉽게 보이게 됨에도 불구하고 빛을 내는 이유는 사랑하는 짝을 찾기 위해서 이다. 보통 수컷이 암컷보다 화려하게 빛을 내는데 수컷이 접근하면 암컷의 불빛도 강해지는 특징이 있다. 어른벌레는 암컷이 크고 수컷이 조금 작다. 반딧불이의 일생은 320일∼360일로 비교적 길지만 빛을 내는 기간 즉 살아있는 기간은 약 15일에 지나지 않는다. 그야말로 대부분의 생활은 성충이 되기 전이라 볼 수 있다.
북미의 반딧불이 중에서 포투리스(Photuris) 속(屬)에 드는 암컷이 다른 포티누스(Photinus) 속의 수컷 반딧불이를 잡아먹기도 한다. 수컷의 몇 배나 되는 암컷이 꼬마 수컷의 신호를 훔쳐서(일종의 의태임) 유인하여 잡아먹는다. 그래서 이런 암놈 반딧불이를 팜므 파탈(femme fatale)이라 이름 부르는데 원래는 자신의 매력으로 남성을 끝내 파멸에 이르게 하는 몰염치한 요부(妖婦)를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