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권. 《여람(呂覽)》이라고도 한다.
진나라의 정치가 여불위(呂不韋)가 빈객(賓客) 3,000명을 모아서 편찬하였다.
《사고제요(四庫提要)》에서는 <자부(子部)>의 잡가편(雜家篇)에 수록되었는데,
도가(道家)사상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나, 유가(儒家) ·병가(兵家) ·농가(農家)
·형명가(刑名家) 등의 설(說)도 볼 수 있다.
또한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의 시사(時事)에 관한 것도 수록되어 있어 그 시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론서이다.
내용은 <십이기(十二紀)> <팔람(八覽)> <육론(六論)>으로 나누어, <십이기>는 춘하추동 4계절을 맹(猛) ·중(仲) ·계(季)의 3기로, <팔람>은 유시(有始) ·효행(孝行) ·신대(愼大) ·선식(先識) ·심분(審分) ·심응(審應) ·이속(離俗) ·시군(恃君)으로, <육론>은 개춘(開春) ·관행(慣行) ·귀직(貴直) ·불구(不苟) ·사순(似順) ·사용(士容)으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이것이 완성되자 여불위는 셴양[咸陽]의 시문(市門)에 걸어놓고, 이 책의 내용을 한 자라도 고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천금을 주겠다(일자천금{一字千金}= 단 한글자라도 정정가감첨삭할수있는 글재주가 있는사람이 있으면 나오너라 당장 천금을 주겠다는 현상금을 걸어놓은 것은 고금동서에 없는 일대 문화의 자부심과 아올러 당시최고의 세계갑부인 여불위의 돈자랑을 겸하고있다)고 하여 완벽한 내용을 과시하였다.
일자천금(一字千金)이라는 말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에서도 김근(金槿)의 번역으로 1995년 민음사(民音社)에서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