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조류(鳥流)
두견새(접동새) / 산비둘기(쑥국새) / 뻐꾸기 / 작은 소쩍새 / 큰소쩍새
1. 접동새(두우<杜宇:두견새>, 자규<子規>)
〔크기〕 몸길이 28cm 〔무게〕 74g 〔먹이〕 벌레 〔사는 곳〕 동부 아시아
접동새<소월(素月) 김정식(金廷湜) 시(詩)>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진두강(津頭江)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 진두강 앞마을에 와서 웁니다.
옛날, 우리나라 먼 뒤쪽의 /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라고 불러보랴 오오 불설워 / 시새움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 /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아홉이나 남아되는 오랩동생을 /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夜三更)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 / 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아우래비 : 아홉 오라버니 ※진두강(津頭江) : 평안도 박천에 흐르는 강 ※가람 : (江)의 고어
※불설워 : 몹시 서러워(방언) ※오랩동생 : 오라비(오빠)와 동생 ※야삼경 : 밤 11시~새벽 1시
다정가(多情歌)<이조년(李兆年)/고려말 시조>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화(梨花) : 배꽃 ※월백(月白) : 하얀 달빛 ※은한(銀漢) : 은하수 ※삼경(三更) : 밤11~13시
※일지춘심(一枝春心) : 한 가닥 봄 마음 ※자규(子規) : 두견새(접동새)
접동새(두견새)는 뻐꾸기 과(科)의 조류인데 자기 둥지는 없고 다른 새 둥지에 알을 낳는 새다.
옛날 어느 부인이 아들 아홉과 딸 하나를 낳고 세상을 떠난 후 새로 들어온 새엄마는 딸을 몹시 미워하여 늘 구박하였다. 딸이 장성하여 시집갈 때가 되어 많은 혼수(婚需)를 장만하였는데 갑자기 죽어버렸다. 아홉 오라버니들이 슬퍼하며 동생의 혼수(婚需)를 마당에서 태웠는데 계모가 주변을 돌면서 태우지 못하게 말렸다.
화가 난 형제들이 계모를 불 속에 밀어 넣었는데 불에 타더니 까마귀가 되어 날아갔다.
죽은 처녀는 접동새가 되어 밤만 되면 오라버니들을 찾아와 울었는데 접동새가 밤에만 다니는 이유는 까마귀가 접동새를 보기만 하면 덤벼들어 죽이려 하므로 무서워서 그렇다고 한다. 결국 까마귀(계모)와 접동새(딸)는 원수지간이 된 셈이다. 접동새 우는 소리는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또, 중국에 내려오는 설화로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촉(蜀)나라 원제(元帝)는 억울하게 왕위를 빼앗긴 원한으로 밤에 우는 두견새로 변했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 원조(怨鳥), 두우(杜宇), 귀촉도(歸蜀途), 망제혼(望帝魂), 자규(子規), 촉조(蜀鳥), 촉혼(蜀魂) 소쩍새, 접동새 등으로도 불리는데 실제로 두견새는 뻐꾸기 과의 낮에 활동하는 새이고 소쩍새, 접동새 등은 올빼미과의 야행성(夜行性) 조류로 뭔가 오류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어디까지나 사람들이 지어낸 설화(說話)이니까.....
사전을 찾아보면 접동새는 두견새의 방언(경상도)이라고 나온다. 그런데 실제로 두견새는 뻐꾸기과의 조류(鳥類)로 낮에 활동하는 새이고 야행성(夜行性) 조류가 아니라고 기록되어 있다.
<두견새에 얽힌 설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촉(蜀)나라 원제(元帝)는 억울하게 왕위를 빼앗긴 원한으로 밤에 우는 두견새로 변했다고 하는데 다른 이름으로 원조(怨鳥), 두우(杜宇), 귀촉도(歸蜀途), 망제혼(望帝魂), 자규(子規), 촉조(蜀鳥), 촉혼(蜀魂) 소쩍새, 접동새 등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이 새는 ‘나는 촉(蜀)나라로 돌아가고 싶다’고 밤낮으로 ‘귀촉(歸蜀) 귀촉(歸蜀)’하고 울었다 하여 두견새를 귀촉도(歸蜀道)라고도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게 울면서 토한 피가 떨어져 붉게 물든 꽃이 진달래라고 하며, 이로 인하여 진달래를 일명 두견화(杜鵑花)로도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2. 쑥국새(Wild Dove/ 산비둘기의 전라도 방언)
〔크기〕 매우 다양 〔먹이〕 잡식성 〔사는 곳〕 남북극을 제외한 전 세계
쑥국새는 산비둘기의 전라도 방언인데 일명 멧비둘기라고도 하며, 몸길이는 대략 33cm 내외이다.
우는 소리는 ‘구굿-구-, 구굿-구-’ 하고 우는데 집비둘기는 주로 마을 부근에 서식하지만, 산비둘기는 산속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마을에는 잘 내려오지 않는다. 생긴 모양은 뻐꾸기와도 비슷하다.
쑥국새(산비둘기)는 주로 어두운 저녁, 풀숲 옆을 지날 때면 우는 소리가 들리는데 발자국 소리에 울음을 멈추었다가는 한참 지나오면 ‘쑥국~ 쑥국~’ 신음 같은 소리로 다시 울기 시작한다.
옛날 새로 시집온 며느리가 가난에 허덕이다 시어머니가 무서워 쑥국도 못 얻어먹고 굶어 죽어 새가 되어 밤에 슬피 운다는 새가 쑥국새다.
가난했던 옛날, 봄철 춘궁기(春窮期)가 되면 식량이 바닥났는데 먹을 식량이 없으니 들판에서 쑥을 캐어다가 된장을 풀고 쑥국을 끓여 밥 대신 한 끼를 대신했다.
시집온 며느리는 쑥국을 끓여 시댁 식구들을 퍼주고 나니 자신이 먹을 것이 항상 부족했었다.
결국, 며느리는 굶어 죽었는데 그녀의 영혼은 새가 되어 밤이 되면 마당가에 날아와 쑥국~ 쑥국~ 서글픈 울음을 울었다는 우리 민족의 가슴 아픈 설화이다.
3. 소쩍새(Oriental Scops Owl)
〔크기〕 몸길이 19cm 〔무게〕 20g 〔먹이〕 꿀, 벌레 〔사는 곳〕 아시아, 동남아시아
소쩍새는 올빼미 목(目)의 맹금류(猛禽類)로 야행성(夜行性) 조류이다.
옛날, 고약한 시어미가 며느리 시집살이 시키려고 솥이 작아 밥이 없다며 밥을 조금밖에 주지 않았다.
결국, 며느리는 굶어 죽어 새가 되는데 그 새가 매일 아침 ‘솥이 작아서~’ 라는 의미로 ‘소쩍, 소쩍’하고 우는 ‘소쩍새’가 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소쩍새가 자주 울면 흉년(凶年)이 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