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太歲 |
巳午未 |
申酉戌 |
亥子丑 |
寅卯辰 |
三災(生年) |
亥卯未 |
寅午戌 |
巳酉丑 |
申子辰 |
例) 癸巳年에는 亥(돼지띠, 들三災), 卯(토끼띠, 눌三災), 未(양띠, 날三災) 生에 三災가 있다.
太歲 |
亥卯未 |
寅午戌 |
巳酉丑 |
申子辰 |
三殺(方位) |
申酉戌 |
亥子丑 |
寅卯辰 |
巳午未 |
例) 癸巳年에는 寅方에 劫殺, 卯方에 災殺, 辰方에 歲殺이 있다. 이 坐를 놓고 건축하지 않는다. 또는 三殺方에 집을 짓거나 動土⋅墓도 쓰지 않으며 立石莎草(修墳) 등도 하지 않는다.
*大將軍 ; 죽음의 세계에서 近衛隊를 管掌하는 軍神을 의미하며 이 方位를 犯하면 여러 災殃이 따른다.
太歲 |
亥子丑 |
寅卯辰 |
巳午未 |
申酉戌 |
大將軍(方位) |
西方 |
北方 |
東方 |
南方 |
*喪門 ; 雜鬼, 죽은 지 한 달이 지나지 않은 사람의 넋.
*弔客 ; 喪門의 消息을 듣고 움직이는 雜鬼
例) 癸巳年의 喪門方은 未方이 되고 弔客方은 卯方이 된다. 이 方位에 動土⋅建築⋅修家를 아니 한다.
節氣
태양의 黃經에 맞추어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
한 달에서 5일을 1候, 3候인 15일을 1氣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節氣와 12中氣로 나누고 이를 보통 24節氣라고 하는데, 節氣는 한 달 중 月初에 해당하며, 中氣는 月中에 해당한다.
*黃道(ecliptic)
地球가 太陽을 도는 큰 軌道. 地球에서 보아 해가 地球를 중심으로 도는 것처럼 보이는 큰 원으로, 하늘의 赤道와 23⁰ 27'쯤 기울어져 있는 데, 赤道와 만나는 두 점을 春分點ㆍ秋分點이라고 함.
태양의 軌道面은 평면이 아니지만, 평면이라 보고 그 평균궤도면을 黃道面이라고 한다. 이것은 赤道面과 23⁰ 27'쯤 기울어 있고, 黃道上의 赤道를 가로지르는 두 점이 春分點과 秋分點이다. 黃道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黃道座標計라 하며,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편리하다. 행성의 궤도면이 黃道面과 이루는 각을 黃道傾斜라고 한다. 黃道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조금씩 변한다. 달의 궤도면인 白道面과는 5⁰ 9' 기울어 있다.
*白道 ; 地球 주위를 도는 달의 공전 궤도를 天球上에 투영한 큰 원.
지구상의 관측자가 본영 안에 있으면 태양이 전부 달에 가려지는 皆旣日蝕이 보이고, 반영 안의 관측자는 태양의 일부가 달에 의해서 가려진 部分日蝕이 보인다.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하고 있으므로 지구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다.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가 멀어져서 본영이 지구의 표면까지 미치지 못하는 때가 있는데 그러한 때에 본영의 원뿔이 연장된 곳에서는 태양이 달의 주위를 둘러싼 것 같은 金環日蝕이 보인다.
太陽曆에 의하면 節氣는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中氣는 19~23일 사이에 온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黃經이 0⁰인 날을 春分으로 하여 15⁰ 이동했을 때를 淸明 등으로 구분해 15⁰ 간격으로 24節氣를 나누었다. 따라서 90⁰인 날이 夏至, 180⁰인 날이 秋分, 270⁰인 날이 冬至이며, 春分에서 夏至 사이를 봄, 夏至에서 秋分 사이를 여름, 秋分에서 冬至 사이를 가을, 冬至에서 春分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季節의 기본으로 삼는다. 2013년 癸巳年 365일 중 春節은 90일, 夏節은 94일, 秋節은 92일, 冬節은 89일이다.
24節氣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立春:2월 4일[음력 12월 24일], 태양의 黃經이 315⁰이며,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기둥·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인다. 마을에서는 공동으로 입춘굿을 크게 하고 농사의 기초인 보리뿌리를 뽑아 풍흉을 점쳤다. 2)雨水:2월 18일[음 1월 9일], 태양의 黃經이 330⁰이며,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이다. 이때 大同江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 3)驚蟄:3월 5일[음 1월 24일], 태양의 黃經이 345⁰이며,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보리싹의 성장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했으며, 개구리나 도롱뇽 알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 하여 먹는 풍습이 있다. 또한 1년 동안의 빈대를 모두 잡기 위해 흙담을 쌓거나,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두기도 했다. 4)春分:3월 20일[음 2월 9일], 태양의 黃經이 0⁰이며, 태양이 赤道를 똑바로 비추고 있어서 낮과 밤의 시간이 같아진다. 농촌지역에서는 흙을 일구고 씨 뿌릴 준비를 한다. 그러나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바람이 강해 흔히 꽃샘추위가 찾아온다. 5)淸明:4월 5일[음 2월 25일], 태양의 黃經이 15⁰이며,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이다. 대부분 寒食日과 겹친다.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논밭둑을 손질하기도 하고, 못자리판을 만들기도 한다. 6)穀雨:4월 20일[음 3월 11일], 태양의 黃經이 30⁰이며, 봄비가 내려 여러 가지 작물에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므로 사람들은 穀雨물을 먹으러 깊은 산이나 명산을 찾기도 한다. 樹液을 받기 위해 나무에 홈을 파고 통을 매달아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7)立夏:5월 5일[음 3월 26일], 태양의 黃經이 45⁰이며,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며, 해충과 잡초가 많아져 농가 일손이 바빠진다. 8)小滿:5월 21일[음 4월 12일], 태양의 黃經이 60⁰이며,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이 자라서 가득차게 된다는 뜻으로 초여름 모내기가 시작된다. 9)芒種:6월 5일[음 4월 27일], 태양의 黃經이 75⁰이며,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 이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는 베어 햇보리를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므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이삭 줍기와 보리 끄스르기에 바쁘다.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는 풍습이 있다. 芒種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芒種의 시기로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음력 4월중에 芒種이 들면 좋다고도 한다. 10)夏至:6월 21일[음 5월 13일], 태양의 黃經이 90⁰이며 12시에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北半球에서는 낮시간이 1년 중 가장 길고, 일사량과 일사시간도 가장 많다. 햇감자가 나오고, 이 시기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마을마다 기우제를 올렸다. 11)小暑:7월 7일[음 6월 29일], 태양의 黃經이 105⁰이며 차츰 더워진다. 韓國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에 잡초를 뽑는다. 12)大暑:7월 23일[음 6월 16일], 태양의 黃經이 120⁰이며, 더위가 극도에 달한다. 대부분 中伏이 겹치며, 장마전선으로 비가 자주 온다. 13)立秋:8월 7일[음 7월 1일], 태양의 黃經이 135⁰이며,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농촌에서는 다소 한가하며, 김장용 무·배추를 심는다. 14)處暑:8월 23일[음 7월 17일], 태양의 黃經이 150⁰이며, 더위가 멈춘다는 뜻으로 쓸쓸해지기 시작하고 논벼가 익는다. 이때 조상의 묘를 찾아가서 벌초하며, 여름 동안에 습기찼던 옷가지와 이불 등을 햇볕에 말린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침과 저녁으로 서늘해 일교차가 심해진다. 15)白露:9월 7일[음 8월 3일], 태양의 黃經이 165⁰이며, 가을 기분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이다.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때로는 늦은 태풍과 해일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16)秋分:9월 23일[음 8월 19일], 태양의 黃經이 180⁰이며, 春分으로부터 꼭 반 년째 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아지며, 秋分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두기도 한다. 17)寒露:10월 8일[음 9월 4일], 태양의 黃經이 195⁰이며,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여 농촌에서는 추수로 바쁜 시기이다. 예전에는 이때를 전후해 국화전을 지져 먹고, 국화술을 담갔으며, 茱萸를 머리에 꽂아 잡귀를 쫓았다. 18)霜降:10월 23일[음 9월 19일], 태양의 黃經이 210⁰이며,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밤 기온은 서리가 내릴 정도로 매우 낮아져서 춥다. 이맘때쯤이면 추수가 거의 끝나고, 동물들은 일찌감치 겨울잠에 들어간다. 19)立冬:11월 7일[음 10월 5일], 태양의 黃經이 225⁰이며,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각 마을에서는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집안 곳곳에 놓으며, 이웃은 물론 농사에 힘쓴 소에게도 나누어주면서 1년을 마무리하는 제사를 올린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이날을 기준으로 김장준비를 한다. 20)小雪:11월 22일[음 10월 20일], 태양의 黃經이 240⁰이며, 땅이 얼기 시작하고 살얼음이 얼며 차차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가끔은 햇볕이 따뜻해 小春이라고도 하나, 이때가 되면 바람이 몹시 불어 어촌에서는 뱃길을 금했다. 高麗 때 孫乭이라는 뱃사공이 왕을 모시고 金浦와 江華島 사이의 鹽河라는 강을 건너는데 갑자기 바람이 불어 풍랑이 심하게 일자 배가 몹시 흔들렸다. 왕은 사공이 배를 일부러 흔든 줄 알고 사공의 목을 베었는데, 이때부터 이곳을 사공의 이름을 따서 손돌목[孫乭項]이라 했으며, 매년 이맘때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孫乭風]이라고 하고 金浦지역에서는 매년 孫乭祭를 올린다. 21)大雪:12월 7일[음 11월 5일], 태양의 黃經이 255⁰이며, 눈이 많이 내리는 계절이다. 예전부터 이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했다. 22)冬至:12월 22일[음 11월 20일], 태양의 黃經이 270⁰이며, 北半球에서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추위도 점차 심해지기 시작한다. 이날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았다. 새 달력을 만들어 걸었으며, 뱀 蛇자가 씌어진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놓기도 했다. 이날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것을 예상하기도 했다. 23)小寒:1월 5일[음 12월 5일], 태양의 黃經이 285⁰이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大寒이 小寒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듯이 韓國에서는 1년 중 가장 춥다. 24)大寒:1월 20일[음 12월 20일], 태양의 黃經이 300⁰이며, 보통 冬至가 지난 한 달 후 또는 小寒이 지난 반 달 후에 온다. 겨울의 매듭을 짓는 절후로 추위의 절정기이나, 小寒에 얼었던 얼음이 大寒에 녹을 정도로 따뜻한 해도 있다. 이날 밤에 콩을 땅이나 마루에 뿌려서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이와 같은 24節氣는 中國의 계절현상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韓國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經度에 따라 변하므로 양력은 매년 같지만, 음력은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음력의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閏月]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하는데, 태양력을 사용하는 오늘날에도 농촌에서는 관습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널리 쓰이고 있다. 그밖에도 寒食·端午·三伏·秋夕 등은 韓國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寒食은 4월 5일, 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인데, 이날 국가적인 행사로 宗廟와 陵園에 제향을 올리고, 각 가정에서도 성묘를 한다. 寒食에 대한 유래는 中國의 풍습 가운데 하나로 매년 이날은 풍우가 심하기 때문에 불을 금하고 찬 밥을 먹게 되었다는 설과 晉나라의 賢人 介子推가 산에서 타 죽자 이를 애도하는 뜻으로 이날만은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었다는 2가지 설이 있다. 端午는 中國 楚나라 懷王 때 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汨羅水에 몸을 던졌는데 그것이 5월 5일이었다. 그 뒤 해마다 屈原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이것이 韓國에 전해져 端午가 되었는데 명절의 하나로 端陽·重午節·千中節·수릿날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풍작을 기원하는 제삿날로 수리취 잎을 넣어 만든 절편을 만들어 먹었으며,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뛰기를 하고 남자는 씨름을 하던 풍습이 있다. 6월 13일이다. 三伏은 더위가 시작되는 날로 小暑 뒤에 7월 13일 初伏(夏至로부터 세 번째 庚日), 大暑 뒤에 7월 23일 中伏(夏至 후의 넷째 庚日), 立秋 뒤에 8월 12일 末伏(立秋가 지난 뒤의 첫째 庚日)이 온다. 末伏이 지나야 더위가 완전히 지났다고 하며, 복날은 더위를 이기는 음식인 삼계탕이나 개고기 등을 먹었다. 秋夕은 9월 19일[음력 8월 15일]이며 仲秋節 또는 한가위라고도 한다. 新羅의 嘉俳에서 유래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어 차례를 올리고 벌초와 성묘를 한다.
*參考 ; 癸巳年大韓民曆, 브리태니커
2012년 12월 17일 萬峰 丁 珉榮
첫댓글 정보 풍습 설에 대한 좋은 글 감사합니다. 너무 길어 조금씩 나누워 보겠습니다.행복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