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
2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등에 상한가 |
|
2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가장 빠른 상용화 가능 분석 등에 상한가 |
|
1 | 자회사 오상헬스케어, 코로나19 진단키트 이탈리아 긴급 공급 소식에 상한가 |
|
1 | 코로나19관련주 상승 속 관계사 솔젠트, 코로나19 진단시약 해외 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
1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UN 조달기구 공급업체 등록 등에 상한가 |
|
1 | 일부 마스크 테마 상승 속 마스크대란에 나노섬유 기술 부각에 상한가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일부 마스크 테마 상승 속 마스크대란에 나노섬유 기술 부각에 급등 | |
|
글로벌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자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코로나19 진단시스템 긴급사용승인 기대감 지속에 급등 | |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오상헬스케어와 코로나19 진단키트 사업 등 전략적 사업 협력 약정 체결 소식에 급등 | |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코로나19 치료제 '파나픽스' 임상실험에 노보텍 선정 소식에 급등 | |
|
자회사 레몬, 마스크대란에 나노섬유 기술 부각에 급등 | |
|
한국화학연구원, 코로나19 면역항원 관련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총 23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에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글로벌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美 이노비오와 공동 개발중인 DNA백신 '세계백신회의' 결선 진출 소식에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급등 | |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시장에서 금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
|
유가하락 수혜 전망 등에 급등 |
- 특징 종목(코스닥시장)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
자회사 오상헬스케어, 코로나19 진단키트 이탈리아 긴급 공급 소식에 상한가 |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자회사인 오상헬스케어의 코로나19 진단키트가 이탈리아 보건당국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았고, 이탈리아에 소재한 글로벌 진단기업에 공급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오상헬스케어측은 진단키트에 대해 "코로나19의 목표 유전자 3종(E Gene, RdRp Gene, N Gene)을 정성 검출하는 제품"이며 " 질병관리본부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해 현재 심사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 |
|
UN 조달기구 공급업체 등록 등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UN 조달기구의 공급업체 등록을 완료했다고밝힘. 공급업체 등급은 레벨 1로 개발한 진단제품을 등록하면 세계보건기구(WHO), 유엔난민기구(UNHCR), 국제노동기구(ILO) 등의 국제기구에서 검색을 통해 구매하게 됨. 동사가 등록한 제품은 뎅기열, 말라리아, 장티푸스, 결핵, HPV, 메르스, 지카바이러스 진단키트 등이 포함됐으며, 특히 이번에 개발 완료한 코로나19 진단키트도 포함됐음. | |
나노캠텍/레몬 | 마스크대란 속 나노섬유 기술 부각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김익수 일본 신슈대학교 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MB필터가 아닌
나노필터로도 충분히 KF94 마스크를 만들 수 있다"며, "마스크대란을 한국 기술로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전자파 차폐소재(EMI) 및 나노섬유 멤브레인 생산업체로 나노 관련 제품군으로 마스크를 생산하고 있는 레몬과 지난해 나노기술 전문기업 엔투셀과 협력해 나노섬유 필터 마스크인 '브레스실버'를 출시한 나노캠텍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나노캠텍, 레몬 | |
|
오상헬스케어와 코로나19 진단키트 사업 등 전략적 사업 협력 약정 체결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상자이엘의 계열회사 오상헬스케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 사업 협력을 포함해 진단 분야 및 헬스케어 분야 전략적제휴 사업 협력에 대한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힘. 특히, 동사와 오상헬스케어는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동으로 개발완료했으며, 동사는 진단키트에 사용되는 소재를 공급하게 될 예정. | |
|
한국화학연구원, 코로나19 면역항원 관련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
▷지난 6일 질병관리본부는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면역항원 제작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과제 수행 기관으로 한국화학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동사의 자회사가 지난 1월 한국화학연구원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과 코로나19 분자진단 및 면역진단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 |
|
총 23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에 급등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배양에너지 주식회사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072원, 전환청구일:2021-06-15 ~ 2023-05-14).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을확보 목적으로 이지스인베스트 유한회사 등 대상 18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072원, 전환청구일:2021-06-30 ~ 2023-05-29). | |
|
최대주주 보유 지분 확대에 강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전자공시를 통해 특수관계자 ㈜비젠테크의 CB 취득에 따라 최대주주의 보유 지분율이 25.42%로 증가했다고
공시. ▷이와 관련해 동사 강진모 회장은 이날 언론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와 책임 경영에 대한 의지의 일환으로 CB 매입을 결정했다며, 오버행 이슈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경영권과 지배구조도 더욱 안정화됐다고 밝힘. 한편, 비젠테크는 동사 강진모 회장이 실질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특수관계법인인 것으로 알려짐. | |
|
신약개발 및 연구업체 지분 신규 취득 및 총 680.12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에 강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신약개발 및 연구사업을 영위하는 OncoQuest Inc. 지분 21.17%(2,500,000주)를
600.15억원에 신규 취득 결정. ▷아울러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OncoQuest 대상 480.12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119원, 전환청구일:2021-03-06 ~ 2050-02-06). 또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햄프턴투자조합 대상 2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119원, 전환청구일:2021-12-31 ~ 2023-11-30). | |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상승 |
▷최대주주 (주)셀바스에이아이가 (주)알바트로스아이엔씨, (주)세원에 보유주식 4,827,344주를 12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0-03-13). | |
|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상승 |
▷19년 개별기준 매출액 1,252.35억원(전년대비 +19.45%), 영업이익 64.60억원(전년대비 +13.79%), 순이익
151억원(전년대비 +230.48%). ▷보통주 1주당 100원(시가배당율 0.6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19-12-31) | |
|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1,315.48억원(전년대비 -17.86%), 영업손실 4.54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2.5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실적발표,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2,091.99억원(전년대비 -23.83%), 영업이익 25.45억원(전년대비 -81.43%), 순이익 9.68억원(전년대비 -90.22%).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464.65억원(전년대비 -12.74%), 영업이익 4.12억원(전년대비 -75.20%), 순이익 42.91억원(전년대비 -2.61%).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실적발표.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2,828.76억원(전년대비 -3.92%), 영업이익 165.77억원(전년대비
-33.45%), 순이익 28.31억원(전년대비 -76.95%). ▷한편, 보통주 1주당 110원(시가배당율 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19-12-31). | |
|
93.89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손실 발생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93.89억원 규모 파생상품 금융부채(제10회차 전환사채, 제11회차 전환사채) 평가손실 발생. 이는 자기자본대비 29.16% 규모임. | |
|
27.45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손실 발생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27.45억원 규모 제36기(2019년)기말 결산시 내재파생상품(전환사채) 평가손실 발생. 이는 자기자본대비 28.02% 규모임.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19년 개별기준 매출액 588.14억원(전년대비 -20.78%), 영업이익 52.45억원(전년대비 -64.52%), 순이익 22.31억원(전년대비 -84.19%).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급락 |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3,786.02억원(전년대비 +0.34%), 영업이익 27.18억원(전년대비 -79.38%), 순손실 90.2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
|
스팩합병 첫날 급락 |
▷금일 하나금융10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변경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2,115원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친환경 자연 에너지인 지중 열을 이용하여 건물 및 시설물의 냉.난방 시스템 설치 시공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제조업체 두산퓨얼셀과 MOU를 체결하고 두산퓨얼셀의 건물용 연료전지를 바탕으로 설계부터 시공까지 진행하는 연료전지 사업도 영위중임. |
- 특징 종목(코스피시장)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
유가하락 수혜 전망 등에 급등 |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주 금요일 OPEC+ 회의에서 기존 감산량(210만배럴) 유지 및 추가 감산(150만배럴) 합의가
불발된 가운데, 유가 하락(5개월 후에 반영)은 하반기 이후 동사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ESG 강화에 따른 주가 수급 상의 불확실성을 감안해도 유가 하락에 따른 실적 상향 조정이 가능하며, PBR 0.2배는 매력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원[유지]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최초로 수소저장 액체기술(LOHC)을 활용해 시간 당 20N㎥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실증에 성공했다고 밝힘. | |
|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돌입 소식에 강세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국책 과제 공모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다고 밝힘. 한편, 동사가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함께 지원한 이번 정부 개발과제는 '합성항원 기반 코로나19 서브유닛 백신 후보물질 개발'과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로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기존의 다양한 백신과 유전자재조합 치료제 개발을 통한 축적된 연구개발 역량을 활용해 효과적인 백신및 치료제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고 언급.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실적발표.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5,729.46억원(전년대비 -5.9%), 영업이익 208.24억원(전년대비 -41.7%), 순이익 216.94억원(전년대비 -24.3%). | |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지난 6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19년 연결기준 매출액 527.54억원(전년대비 -1.00%), 영업이익 21.69억원(전년대비 -54.88%), 순이익 14.94억원(전년대비 -55.31%). | |
|
군산공장 생산중단에 약세 |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군산지청장으로부터 부분 작업중지명령서 접수에 따라 994.25억원(2018년 매출액 대비 54.15%) 규모 군산공장
생산중단. 생산중단 분야의 매출액은 2018년 동사의 군산공장 AnypolⅠ생산제품 기준 매출액이며, 생산중단일은
2020년3월7일임. ▷한편, 상기 건은 [2020.02.18 생산중단]관련 정기보수중 AnypolⅠ공장 내 폭발사고로 인해 광주지방고용노동청 군산지청장으로부터 시정 명령을 받은 건임. |
- 특징 섹터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금일 국내 증시가 코로나19 글로벌 확산 공포 및 국제유가 폭락 등으로 폭락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마감. 국제유가 폭락 여파에조선, 정유, LPG 테마가 급락. 한일 입국제한조치에 엔터테인먼트 및 음원/음반
테마도 하락, 글로벌 기준금리 인하 양샹 속 보험, 은행 테마가 하락. 2월 국제선 여객수요 급감에 항공/저가항공사 테마가 하락했고, 코로나19
등에 따른 증시 폭락 속 증권주도 하락. 이 외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PCB(FPCB 등), 그래핀, 마이크로 LED, 해운, 아이폰,
폴더블폰, 통신장비, 수소차, 국내상장중국기업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에 백신/진단시약/방역, 유전자 치료제/분석, 마스크 등 코로나19 진단키트 및 방역 관련 일부 테마만이 상승 마감. | |
백신/진단시약/방역/유전자 치료제/분석/마스크 |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 등으로 상승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금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일(8일) 0시에 비해 248명이
증가했다고 밝힘. 아울러 이탈리아, 이란 등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서구권 국가에서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처럼 빠른 대응을 위해 긴급사용승인제도가 승인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다수의 환자에게 테스트를 진행했던 레코드가 있는 국내업체들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진단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항체진단(신속진단)이 해결책이 될 수 있어 국내에서 개발을 마친 수젠텍, 바디텍메드, 피씨엘 등에 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밝힘. 특히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상용화가 가능한 회사는 수젠텍으로 현재 국내 대형병원과 임상계약을 마쳤으며, 임상을 수주 내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힘. 또한, 해외 규제기관(미국 제외)에도 수출 및 사용 허가신청을 마친 상태이며, 짧게는 한달길게는 수개월 내 승인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수젠텍, 씨젠, 랩지노믹스, 피씨엘, 레몬, 나노캠텍 등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일부 마스크 테마가 상승 마감. | |
생명보험/손해보험 | 글로벌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및 4분기 실적부진 등에 하락 |
▷교보증권은 최근 코로나 사태 등 2020년 글로벌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당분간 보험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한편, Coverage 4개 생보사(삼성생명, 한화생명, 동양생명, 미래에셋생명)의 2019년 4분기 실적은 YoY 적자지속, QoQ 적자전환했으며, 이는 2019년 9월말 기준 국고채 5년물 금리 하락에따른 변액보험 준비금 부담이 늘었고, 위험손해율 상승에 따른 보험손익도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Coverage 5개 손보사(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의 2019년 4분기 실적은 YoY 73.5%, QoQ 85.3% 감소했으며, 이는 전 보종별 손해율 상승에 따른 보험영업손실이 확대되었고, 회사별로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투자이익도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한화생명, 삼성생명,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등 생명보험/손해보험 테마가 하락 마감. | |
항공/저가 항공사(LCC) |
2월 국제선 여객 수요 급감 등에 하락 |
▷한화투자증권은 2020년 2월 전국공항 국제선 여객 수송량이 398.9만명(전년동월대비
-46.6%)을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밝힘.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3월8일 기준 총 103개 국가가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면서 단순 여객수요뿐만 아니라 출장 등 상용수요까지 모두 차단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유례없는 입국제한 조치로 과거 9.11테러, SARS, 금융위기, MERS 등의 사건보다도 큰 수요 충격이 나타났으며, 일본 불매운동과 홍콩 사태로 인해 이익체력이 낮아진 국적항공사 입장에서 최악의업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3월 예약률도 전년동기대비 6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단기간 내에 수요가 회복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 ▷이러한 소식에 에어부산, AK홀딩스, 한진칼,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테마가 하락 마감. | |
은행 |
글로벌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마진 축소 전망 등에 하락 |
▷케이프투자증권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50bp 인하했으며, 추가 인하의 기대도 높다고
전망. 특히, 글로벌 금리가 최저치 경신 또는 전저점에 근접한 가운데 한국 국채 1~5년물 금리도 사상 최저치를 기록. 그 원인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경기 침체 우려에 있으므로 대출 건전성 악화도 예상되며, 이자마진율 축소 및 대손율 상승 등으로 은행업종 수익성에 부정적일 것으로
분석. ▷이와 관련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B금융 등 은행 테마가 하락 마감. | |
증권 |
코로나19 공포에 따른 증시 급락 등에 하락 |
▷지난 주말 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우려 지속 및 국제유가 폭락 등에 급락한 가운데,
국내 코스피, 코스닥 양 지수도 급락. 시가총액 1~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4%, 6%대 하락 마감. 아울러 코로나19 공포 등에
중국, 홍콩, 일본 대만 등 주요 아시아 증시도 동반 급락. ▷이 같은 소식에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대우, 교보증권 등 증권주가 하락 마감. | |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 韓/日 입국제한 조치에 하락 |
▷日 정부가 금일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일본에 입국하는 사람은 14일 간 호텔이나 자택에서
대기하도록 하는등 입국제한 조치를 강화한 가운데, 한국 정부도 90일 무비자 면제 조치를 정지하고, 기존 비자의 효력을 정지하는 조치를 금일부터
시행하는 등 韓/日 양국 간 입국제한 조치를 강화하는 모습. ▷이와 관련,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해당 조치가 2분기에도 지속될 경우 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JYP, SM, YG 순으로 클 전망이며, 엔터 3사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의 하향 조정을 예상. 이에 조치 철회 전까지는 당분간 관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JYP Ent.,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큐브엔터, 키이스트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하락 마감. | |
정유/조선 | OPEC+ 추가 감산 합의 불발에 따른 국제유가 폭락에 하락 |
▷지난 6일(현지시간) 美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결정을 위한 OPEC+ 회동에서 러시아의 반대로 아무런 결과를 내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폭락 마감. 4월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4.62달러(-10.07%) 급락한 41.28달러를 기록했으며, 5월 브렌트유는 전일대비
4.72달러(-9.44%) 급락한 45.27달러를 기록했음. ▷이 같은 소식에 S-Oil, SK이노베이션, GS, 삼성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정유, 조선 테마가 하락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