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화분분(六花紛紛)
六花는 눈(雪)의 다른 이름이며, 紛紛은 눈이 내리는 모양으로, 눈이 어지럽게 내리는 모습을 말한다.
六 : 여섯 육(八/2)
花 : 꽃 화(艹/4)
紛 : 어지러울 분(糹/4)
紛 : 어지러울 분(糹/4)
눈을 육출(六出), 천화(天花), 옥설(玉雪), 옥설(玉屑; 옥가루), 옥진(玉塵; 아름다운 티끌) 등등 많은 이름이 있다.
모든 풀과 나무 꽃의 잎이 보통 다섯 이하인데 비해 눈은 여섯 모의 결정(結晶)체로 내리기 때문에 육출(六出)이나 육화(六花)라고 불러왔다.
눈이 내리는 모양에 따라, 눈이 펄펄 내리면 비비(飛飛)나 분분(雰雰), 어지럽게 흩날리면 난비(亂飛)나 분분(紛紛)이라 하고, 몹시 내릴 때는 비비(霏霏), 오락가락 가볍고 아름다우면 비비(斐斐)라고 한다.
또 눈은 풍년의 징조(豊年之兆)라고도 하며, 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하얘지는 백은세계(白銀世界)로 건곤일색(乾坤一色)이 된다. 검은 겨울에 흰 눈이라는 뜻에서, 현동소설(玄冬素雪)이라고도 한다. 하늘나라 선녀들이 꽃을 뿌려 준다는 천녀산화(天女散花)라는 말도 있다.
육화(六花)라는 말은 중국의 4대 기서(奇書) 가운데 하나인 수호지(水滸誌)에 나오며 그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송강(宋江)이 입춘 무렵 휘하 두령들과 함께 눈 구경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봄맞이를 하려고 나섰는데 큰 눈이 내린 모양이다.
두령 가운데 지문성(地文星) 성수서생(聖手書生) 소양(蕭讓)이 눈송이는 모양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며 이렇게 말한다.
當下地文星蕭讓對眾頭領說道, 這雪有數般名色。
한 잎은 봉아(蜂兒), 두 잎은 아모(鵝毛), 세 잎은 찬삼(攢三), 네 잎은 취사(娶四), 다섯 잎은 매화(梅花), 여섯 잎은 육출(六出)이라고 한다.
一片的是蜂兒, 二片的是鵝毛, 三片的是攢三, 四片的是聚四, 五片喚做梅花, 六片喚做六出。
눈은 원래 음기가 굳은 것이고, 육출은 음수(陰數)가 뭉친 것인데, 입춘이 지나면 모두 매화 아래이고, 육출은 내리지 않는다.
這雪本是陰氣凝結, 所以六出, 應著陰數, 到立春以後, 都是梅花雜片, 更無六出了。
그런데 오늘은 겨울과 봄이 바뀌는 때여서인지 다섯 잎도 있고 여섯 잎도 있다.
今日雖已立春, 尚在冬春之, 那雪片卻是或五或六。
(水滸傳 120回本/第093回)
🔘 六花
진법(陣法)의 일종으로, 당(唐)나라 태종(太宗) 때의 이정(李靖)이 제갈량(諸葛亮)의 팔진도(八陣圖)를 기본으로 하여 만든 진법이다.
또, 담복(薝蔔)은 치자나무의 별칭이고, 육화는 곧 치자꽃을 가리키는데, 치자꽃은 특히 육판(六瓣)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육화 또는 육출화(六出花)라고도 한다.
향기가 천하에 뛰어나서 인도(印度)에서는 이 향기를 불(佛)의 수승(殊勝)한 도력(道力)과 공덕(功德)의 향기에 비유하므로, 치자꽃은 흔히 승사(僧舍)를 상징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선비 이응희(李應禧)의 ‘병중에 눈을 만나[病中遇雪]’라는 시를 보자.
六花飛飛斜更橫
奇姿看處各殊形
육화가 날고 날아 이리저리 흩뿌리니, 보이는 곳마다 기이한 자태 제각각 다르네.
因風柳絮盈庭舞
滿樹梨花特地明
바람에 날리는 버들 솜이 뜰에 가득 춤추는 듯, 나무에 가득한 배꽃이 유달리 환히 핀 듯.
履穿行逕追高躅
肩聳騎驢慕爽情
해진 신발 신고 길을 간 높은 자취 따르고, 쭝긋 솟은 어깨로 나귀 탄 상쾌한 마음 사모한다.
病裏亦能淸興足
長吟賦雪小樽傾
병중에도 맑은 흥취가 넉넉할 수 있으니, 길게 눈을 노래하며 작은 술병을 기울인다.
[註]
🔘 육화(六花) : 눈의 이칭이다. 눈의 모양이 여섯 모로 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 바람에 날리는 버들솜 : 진(晉)나라 사안(謝安)이 눈 내리는 날 집안사람과 모여서 글 뜻을 이야기하다가 “백설이 분분히 내리는 것이 무엇과 같은가(白雪紛紛何所似)?” 하고 물었다. 조카인 호아(胡兒)는 “공중에 소금을 뿌리는 것이 다소 비길 만합니다(撒鹽空中差可擬).” 하고, 질녀인 사도온(謝道韞)은 “버들솜이 바람에 나는 것(柳絮因風起)으로 비유하느니만 못합니다.” 하였다. (世說新語 言語)
🔘 나무에 가득한 배꽃 : 당(唐)나라 잠삼(岑參)의 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에 “북풍이 대지에 세차게 불어 백초가 꺾이니, 오랑캐 하늘 팔월에 눈이 날린다. 홀연 하룻밤 사이 춘풍이 불어와, 천만 그루 나무에 배꽃이 핀 듯해라(北風捲地白草折, 胡天八月卽飛雪, 忽如一夜春風來, 千樹萬樹梨花開).” 하였다.
🔘 해진 … 자취 : 동곽 선생(東郭先生)이란 사람이 공거(公擧)란 부서에서 오래도록 대조(待詔)하였다. 그럼에도 매우 빈곤하여 옷은 낡아서 해지고 신발은 완전하지 못하여 눈길을 가는데 신발의 윗부분만 있고 밑창이 없어서 발이 모두 땅에 닿으니 사람들이 모두 웃었다고 한다. (史記 卷126 滑稽列傳)
🔘 쭝긋 … 나귀 : 눈 속에서 나귀를 타고 가며 시상(詩想)에 잠겼던 당(唐)나라 맹호연(孟浩然)의 고사를 말한다. 소식(蘇軾)의 증사진하수재(贈寫眞何秀才)란 시에 “또 보지 못했는가, 눈 속에 나귀를 탄 맹호연이, 눈썹을 찌푸리고 시를 읊으매 쭝긋한 어깨가 산처럼 높네(又不見, 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 한 구절을 차용한 것으로, 시상에 깊이 잠겼음을 뜻한다.
⏹ 육화분분(六花紛紛)
눈이 어지럽게 내리네
중국의 4대 기서(奇書) 가운데 하나인 수호지(水滸誌)에 송강(宋江)이 입춘 무렵 휘하 두령들과 함께 눈 구경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봄맞이를 하려고 나섰는데 큰눈이 내린 모양이다.
두령 가운데 지문성(地文星) 성수서생(聖手書生) 소양(蕭讓)이 눈송이는 모양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며 이렇게 말한다. “한 잎은 봉아(蜂兒), 두 잎은 아모(鵝毛), 세 잎은 찬삼(攢三), 네 잎은 취사(娶四), 다섯 잎은 매화(梅花), 여섯 잎은 육출(六出)이라고 한다. 눈은 원래 음기가 굳은 것이고 육출은 음수(陰數)가 뭉친 것인데, 입춘이 지나면 모두 매화 아래이고 육출은 내리지 않는다. 그런데 오늘은 겨울과 봄이 바뀌는 때여서인지 다섯 잎도 있고 여섯 잎도 있다.”
재미있는 말이다. 그런데 이런 말을 듣다 보면 궁금해진다. 눈의 결정체가 육각형이라는 건 지금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걸 어떻게 알았을까?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는 어떻게 새처럼 하늘 위에서 내려다본 듯 우리나라 지형을 알아냈을까?
어쨌든 풀과 나무 꽃의 잎이 보통 다섯 이하인 데 비해 눈은 육출이나 육화(六花)라고 불러왔다. 아름다운 티끌이라 해서 옥진(玉塵)이라는 말도 쓴다.
눈이 펄펄 내리면 비비(飛飛)나 분분(雰雰), 어지럽게 흩날리면 난비(亂飛)나 분분(紛紛)이라고 할 수 있다. 몹시 내릴 때는 비비(霏霏), 오락가락 가볍고 아름다우면 비비(斐斐)라고 한다.
오늘이 대설이지만 며칠 전 서울에 대설이 내렸다. 눈은 풍년의 징조(豊年之兆)라는데 올 겨울은 어떨지?
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하얘지는 백은세계(白銀世界) 건곤일색(乾坤一色)이 된다. 검은 겨울에 흰 눈이라는 뜻에서 현동소설(玄冬素雪)이라고도 한다. 하늘나라 선녀들이 꽃을 뿌려준다는 천녀산화(天女散花)라는 말도 재미있다.
▶️ 六(여섯 육/륙)은 ❶지사문자로 두 손의 세 손가락을 아래로 편 모양을 나타내어 '여섯'을 뜻한다. 五(오)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한자의 기원은 과히 뚜렷하지 않으나 다만 (四-六-八)은 닮은 글자이며 (五-七-九)도 같은 자형(字形)으로 되어 있다. ❷상형문자로 六자는 '여섯'이나 '여섯 번'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六자는 八(여덟 팔)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숫자 '여덟'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六자의 기원에 대해서도 명확한 정설은 없다. 다만 六자의 갑골문을 보면 마치 지붕 아래로 기둥이 세워져 있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었기 때문에 본래는 작고 허름한 집을 뜻했던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六자는 이러한 해석과는 관계없이 일찍이 숫자 '여섯'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六(육/륙)은 (1)여섯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여섯 ②여섯 번 ③죽이다(=戮)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한 해의 여섯째 달을 유월(六月), 60일 또는 60살을 일컫는 말을 육순(六旬), 열의 여섯 배가 되는 수를 육십(六十), 여섯 치 또는 재종 간의 형제나 자매의 서로 일컬음을 육촌(六寸), 한시에서 여섯 자로서 한 구를 이루는 형식을 육언(六言), 무엇을 직접으로 느끼어서 깨닫는 신비한 심리 작용을 육감(六感), 점괘의 여러 가지 획수를 육효(六爻), 사람의 여섯 가지 성정으로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를 이르는 말을 육정(六情), 여섯 가지의 곡물로 벼 기장 피 보리 조 콩을 이르는 말을 육곡(六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쉰 한 살을 일컫는 말을 망륙(望六), 언론계에서 뉴스 보도에 반드시 담겨져야 할 여섯 가지 기본 요소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를 일컫는 말을 육하원칙(六何原則), 온갖 법령을 다 모아서 수록한 종합 법전을 이르는 말을 육법전서(六法全書), 14~15세의 고아 또는 나이가 젊은 후계자를 일컫는 말을 육척지고(六尺之孤),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이 있으면 오뉴월의 더운 날씨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말을 유월비상(六月飛霜), 내장의 총칭으로 오장과 육부를 분노 따위의 심리 상태가 일어나는 몸 안의 곳으로서 이르는 말을 오장육부(五臟六腑), 서른여섯 가지의 계략 또는 형편이 불리할 때 달아나는 일을 속되게 이르는 말을 삼십육계(三十六計), 여덟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능력으로 다방면에 걸쳐 눈부신 수완을 발휘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팔면육비(八面六臂), 두 팔과 두 다리와 머리와 몸통을 이르는 말로써 온몸을 이르는 말을 사대육신(四大六身),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혼자서 여러 사람 몫의 일을 함을 이르는 말을 삼면육비(三面六臂) 등에 쓰인다.
▶️ 花(꽃 화)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化(화)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초두머리(艹)部는 식물, 花(화)는 후세에 생긴 글자로 본래는 華(화)로 쓰였다. 음(音)이 같은 化(화)를 써서 쉬운 자형(字形)으로 한 것이다. ❷형성문자로 花자는 ‘꽃’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花자는 艹(풀 초)자와 化(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化자는 ‘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본래 소전에서는 땅속에 뿌리를 박고 꽃을 피운 모습을 그린 芲(꽃 화)자가 ‘꽃’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지금의 花자가 모든 ‘꽃’을 통칭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花(화)는 성(姓)의 하나로 ①꽃 ②꽃 모양의 물건 ③꽃이 피는 초목 ④아름다운 것의 비유 ⑤기생(妓生) ⑥비녀(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⑦비용(費用) ⑧얽은 자국 ⑨꽃이 피다 ⑩꽃답다, 아름답다 ⑪흐려지다, 어두워지다 ⑫소비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꽃구경을 하는 사람을 화객(花客), 꽃을 꽂는 그릇을 화기(花器), 뜰 한쪽에 조금 높게 하여 꽃을 심기 위해 꾸며 놓은 터 꽃밭을 화단(花壇), 꽃 이름을 화명(花名), 꽃처럼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을 화용(花容), 환갑날에 베푸는 잔치를 화연(花宴), 화초를 심은 동산을 화원(花園), 꽃과 열매를 화과(花果), 꽃을 파는 곳을 화방(花房), 꽃병 또는 꽃을 꽂는 병을 화병(花甁), 꽃놀이 또는 꽃을 구경하며 즐기는 놀이를 화유(花遊), 비가 오듯이 흩어져 날리는 꽃잎을 화우(花雨), 온갖 꽃을 백화(百花), 많은 꽃들을 군화(群花), 꽃이 핌으로 사람의 지혜가 열리고 사상이나 풍속이 발달함을 개화(開花), 떨어진 꽃이나 꽃이 떨어짐을 낙화(落花), 한 나라의 상징으로 삼는 가장 사랑하고 가장 중하게 여기는 꽃을 국화(國花), 암술만이 있는 꽃을 자화(雌花), 소나무의 꽃 또는 그 꽃가루를 송화(松花), 시들어 말라 가는 꽃을 고화(枯花), 살아 있는 나무나 풀에서 꺾은 꽃을 생화(生花), 종이나 헝겊 따위로 만든 꽃을 조화(造花), 열흘 붉은 꽃이 없다는 뜻으로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이르는 말을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무늬가 같지 않음 또는 문장이 남과 같지 않음을 화양부동(花樣不同),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의 고운 자태를 이르는 말을 화용월태(花容月態), 꽃이 핀 아침과 달 밝은 저녁이란 뜻으로 경치가 가장 좋은 때를 이르는 말을 화조월석(花朝月夕),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이르는 말을 금상첨화(錦上添花), 말을 아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녀를 일컫는 말 또는 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을 해어화(解語花), 눈처럼 흰 살결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란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일컫는 말을 설부화용(雪膚花容), 마른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의 사람이 행운을 만나 신기하게도 잘 됨을 말함을 고목생화(枯木生花), 달이 숨고 꽃이 부끄러워 한다는 뜻으로 절세의 미인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폐월수화(閉月羞花) 등에 쓰인다.
▶️ 紛(어지러울 분)은 형성문자로 纷(분)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나누어 진다는 뜻의 分(분)으로 이루어졌다. 실이 흩어져 엉클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紛(분)은 ①어지럽다 ②번잡(煩雜)하다, 번거롭다 ③엉클어지다 ④(수효가)많다 ⑤왕성(旺盛)하다 ⑥섞다, 섞이다 ⑦깃발 ⑧술(장식으로 다는 여러 가닥의 실) ⑨패건(차는 수건) ⑩실띠 ⑪행주(그릇, 밥상 따위를 닦거나 씻는 데 쓰는 헝겊) ⑫성(盛)하고 많은 모양 ⑬분규(紛糾), 다툼 ⑭재난(災難), 화란(禍亂)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어지러울 문(紊)이다. 용례로는 말썽을 일으켜 시끄럽게 다툼을 분쟁(紛爭), 일이 뒤얽혀 말썽이 많고 시끄러움을 분규(紛糾), 어수선하고 떠들썩함을 분란(紛亂), 물건을 잃어버림을 분실(紛失), 떠들썩하고 뒤숭숭함을 분분(紛紛), 여러 사람의 의논이 일치하지 아니하고 이러니 저러니 하여 시끄럽고 떠들썩함을 분운(紛紜), 뒤섞이어 어지러움을 분착(紛錯), 뒤섞여서 어지러움을 분여(紛如), 뒤섞여서 어지러움을 분연(紛然), 분잡하고 화려함을 분화(紛華), 분분한 의논을 분의(紛議), 많은 사람이 북적거리어 어수선함을 분잡(紛雜), 흩어져 서로 얽힘을 분유(紛揉), 펄펄 날리는 모양을 분비(紛霏), 시끄럽게 떠들썩함을 분휜(紛喧), 오가는 사람이 많아서 와글와글 혼잡함을 분답(紛踏), 분잡하고 과람함을 분람(紛濫), 어지럽게 무너짐을 분붕(紛崩), 어지럽게 날림을 분비(紛飛), 얽히고 맺힘을 분결(紛結), 말썽이 여기저기서 어지럽게 자꾸 일어남을 분기(紛起), 어지럽고 시끄러움을 분효(紛囂), 서로 얽힘을 분요(紛繞), 흩어져 어지러움을 분피(紛披), 뒤섞이어 어지러움을 분효(紛淆), 내부에서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저희끼리 일으킨 다툼질을 내분(內紛), 규모가 작은 분란을 소분(小紛), 다투던 일을 해결함을 해분(解紛), 어지러운 온갖 세상일을 세분(世紛), 쇠붙이 따위를 가는 데에 쓰이는 모래를 마분(磨紛), 일이 뒤얽힘으로 산이나 골짜기가 중첩되어 있는 모양을 규분(糾紛), 여러 가지 의견이 뒤섞여 혼란하다는 말을 제설분분(諸說紛紛), 눈이 어지럽게 내리는 모습을 이르는 말을 육화분분(六花紛紛)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