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전기시설관리_정보공유 원문보기 글쓴이: 작은거인
|
스프링클러 헤드의 가용편의 용융 온도는 설치대상 건물 및 가용편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나 표준 용융온도(방수온도)는 67~75℃정도이다. 소방법 시행령 제18조의 규정에 의하면 각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수압력은 1kg /㎠ 이상 80ι/min(폐쇄형), 160ι/min(개방형)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표시온도(작동 표준 온도) |
설치실의 최고온도 |
해당실의 종류 |
헤드의 색깔표시 |
보통온도 79℃미만 중간온도 79℃~121℃ 고 온 도 121℃~162℃ 초고온도 162℃~204℃ 초고온도 204℃ 이상 |
39℃ 미만 39℃~64℃ 64℃~106℃ 106℃~148℃ 148℃ 이상 |
보 통 실 보일러실 등 불을 많이 취급하는 실 건 조 실 특수건조실 고온도건조실 |
흑 백 청 적 녹색 |
|
※ 68℃에 녹는 가용 합금의 예 =Bi50%+ Pb25% + Cd13% +Sn12% |
(3) |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ㆍ단점 |
① |
장점
ㆍ초기 진화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ㆍ소화제가 물이라서 값이 싸고 소화 후 복구가 용이하다. ㆍ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이므로 오동작이나 오브가 없다. ㆍ조작이 간편하며 안전하다. ㆍ완전 자동이므로 사람이 없는 야간이라도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 및 경보를 해준다. |
① |
단점 ㆍ초기 시설비가 많이 든다. ㆍ시공이 타 시설보다 복잡하다. ㆍ물로 인한 피해가 심하다. |
스프링클러의 시공
스프링클러의 시공
일제 살수식
(1)
헤드의 배치
<표9-7> 헤드의 간격
전 배관계통내에 가압수가 상시 충만되어 있는 설비로 거의 대부분의 설비가 여기에 속한다.
건식과 비교하면 구조가 간단하기 떄문에 설비비가 적게 들고 화재시 헤드가 개방되어 즉시 소화가 가능하나 동결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부적당하다.
건식 밸브를 중심으로 하여 수원 측으로는 가압수가 계통측으로는 헤드까지 공기나 질소가로 충진되어 있는 설비로서 동결의 위험이 없고 오동작으로 인한 피해가 적으나 화재시 소화 활동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비비가 많이 든다.
및
준비 작동식 최신의 설비 방식으로 건식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 감지기(열 또는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여 화재시 헤드가 작동하기 수분 전에 대류지밸브가 작동하여 밸브 하측의 가압수를 헤드까지 개방하게 되어 즉시 소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준비 작동식
밸브
(폐쇄형)
일제 살수식
(개방형)
건식 방식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건식 방식과 준비 작동식의 방식을 혼합한 방식이다.
첫댓글 무심코 지나칠수있는데 참 좋은정보입니다.
카페지기님 무지 좋은일들을 바쁘신데도 많이하세요.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