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해석 ◆ 부자간에는 친함이 있으며 군신간에는 의리가 있으며 부부간에는 분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으며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으니 이를 오륜이라 이르느니라.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고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고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를 삼강이라 이르느니라. 사람이 귀한 까닭은 그 오륜과 삼강(이 있기) 때문이니라.
◆ 유의 할 한자 ◆ ▪親 ▷ ①친할(친) : 親近(친근) ② 어버이(친) : 父親(부친) ▪君 ▷ 임금(군) ▪臣 ▷ 신하(신) ▪別 ▷ 나눌(별) 이별할(별) ▪幼 ▷ 어릴(유) ▪序 ▷ 차례(서) ▪朋 ▷ 벗(붕) ▪是 ▷ ① 이(시) : 是日(시일) ② 옳을(시) : 是非(시비) ▪謂 ▷ 이를(위) : 所謂(소위) → 이른 바 ▪是謂 ▷ 이를 ~라 이르다. ▪倫 ▷ 인륜(륜) :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 ▪綱 ▷ 벼리(강) : 근본 ▪所以(소이) ▷ ~한 까닭(이유)은 ▪以 ▷ 써(이) : 여기서는 ~때문이다⌋라고 해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