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마늘, 심장은 튼튼하게 정력은 왕성하게
‘마늘을 매일 먹으면 약이 필요 없다.’ 미국 국립암연구소가 발표한 가장 효과적인 항암식품, 올 1월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몸에 좋은 식품 10가지 중 하나인 마늘. 마늘은 그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만큼이나 싫어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좋은 약은 입에 쓴 법. 싫은 것을 참고 먹어야만 할 정도로 마늘은 많은 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좋은 약’이다.
▽마늘은 만병통치약?〓마늘이 피를 맑게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마늘의 주 성분인 알리신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분해해 혈압을 떨어뜨리며 심장병과 동맥경화, 뇌중풍(뇌졸중)의 발생률을 낮춰준다.
각종 암에 대한 효과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천준 교수팀은 알리신이 전립선암에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유방외과 양정현 교수팀도 마늘이 유방암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9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영양학과 아론 플라이샤워 박사는 매일 마늘을 먹으면 위암과 결장암 발생률이 각각 50%, 30% 줄어든다고 밝혔다. 타임지는 마늘에 들어있는 알리인과 스코르진, 알리신 등이 페니실린보다 강한 항생물질이라고 소개했다. 식중독과 결핵, 티푸스 등의 질병을 퍼뜨리는 미생물에 대항한다는 것.
지금 같은 환절기에 흔한 감기에도 마늘이 특효약이다. 마늘을 먹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기에 걸릴 확률이 약 3분의 1이며 감기에 걸려도 회복이 빠르다.
▽밤이 두렵지 않다〓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한영실 교수는 “5000년 전 고대 이집트 시대에 피라미드를 만들 때 노예들에게 하루종일 중노동을 시키려고 체력 유지를 위해 마늘을 먹였다”고 말했다. 마늘의 강장 효과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마늘은 예로부터 최음제로도 알려져 왔다. 강남경희한방병원 이경섭 원장은 “마늘은 호르몬 분비샘을 자극해 남성의 정자와 정액의 양을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말초혈관계의 노폐물을 제거해 발기력 증강에도 도움이 된다. 수도(修道)하는 사람에게 마늘을 먹지 못하게 하는 이유는 마늘이 자극적인 음식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마늘의 정력증강 효과 때문에 ‘불끈’ 솟아오르는 힘을 주체하지 못할까봐 걱정해서다.
▽얼마나 어떻게 먹을까〓마늘을 안 먹다가 갑자기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할 수도 있다. 한 번에 많이 먹지말고 하루 1, 2쪽을 꾸준히 먹는 것이 좋다. 위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공복(空腹)에는 피한다.
마늘이 싫은 사람은 다양하게 조리해 먹는다. 한영실 교수는 “마늘을 먹지 않는 아이들을 위해 구워 먹이거나 다른 야채 또는 우유와 함께 빵가루에 섞어 다진 마늘을 이용한 크로켓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이경섭 원장은 “마늘을 날 것으로 먹으면 인체의 상부, 즉 심장이나 폐에 좋기 때문에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구워 먹으면 소화기 계통에 좋고 식욕을 촉진하며 간장이나 된장에 재워 먹으면 아랫배가 찬 증상에 좋다는 게 이 원장의 설명.
일반적으로 건강 유지를 위해서라면 마늘을 익히거나 꿀에 재워먹는다.
채지영기자 yourcat@donga.com
자료출처: http://www.donga.com/fbin/output?f=todaynews&code=j__&n=200211030127&main=1
+++++++++++++++++++++++++++++++++++++++++++++++++++++++++++++++++++++++++++
혈당과 지질을 낮춰 당뇨치료에 효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수염뿌리는 얕게 뻗고 줄기 끝에 비늘줄기를 형성한다. 비늘줄기는 연한 갈색의 껍질 같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안쪽에 5∼6개의 작은 비늘줄기가 들어 있다. 꽃줄기는 높이 60㎝로 3∼4개의 잎이 어긋나며 잎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서로 감싼다. 7월에 잎 속에서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1개의 큰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흰 보라색이며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無性芽)가 달린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나 이집트로 추정된다.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단군신화와 《삼국사기》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재배의 역사가 긴 것으로 짐작된다.
마늘은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비문에도 남아 있을 정도로 스태미나를 강화하는 강력한 강정제다. 최근에는 혈액순환 개선, 정력증진, 피로회복 등에 효능을 내는 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서구인들은 마늘의 효과는 인정하면서도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 때문에 약이나 건강식품으로 먹기를 선호한다.
마늘에 들어있는 성분은 대개 황화합물(유황성분). 이 때문에 특유의 냄새가 나고 항산화작용으로 세포노화와 암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거는 확실하지 않으나 마늘을 갈았을 때 나오는 휘발성 황화합물은 암예방 효과가 있다. 또 가열했을 때 2차적으로 생성되는 아호엔이라는 물질은 동맥경화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 최근 실시된 역학조사 결과 연간 1.5㎏씩 마늘을 먹는 사람은 거의 먹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암에 걸릴 확률이 50%나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결과 정자를 증식하고 음경해면체 혈관의 확장을 유도해 발기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혈액순환촉진 효과도 뛰어나다. 마늘은 성질이 뜨거워 신체 구석구석을 따뜻하게 해주고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내려준다. 따라서 손발이 찬 사람이 먹으면 좋다. 마늘즙은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내려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 마늘의 지용성 성분이 혈당과 지질을 낮춰 당뇨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마늘에는 당질이 19.3%, 지질 0.1%, 무기질 0.5%, 들어 있는데 당질의 대부분이 과당이다. 비타민 B1, B2, C도 풍부하고, 무기질로는 칼슘, 철분, 유황 등이 많다. 마늘에 들어있는 톡 쏘는 맛을 내는 알리신은 전립선암과 방광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심장근육의 수축과 확장을 세게 하여 온몸의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마늘 성분인 알리신이나 비타민 B1이 혈형을 촉진시켜 준다. 마늘에 들어 있는 피톤찌드라는 식물성 살균소는 대장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을 비롯한 여러 가지 병균을 죽인다.
마늘은 해독작용과 항암효과가 있고. 음식 적체나 복부의 냉한 통증, 설사, 이질, 학질, 백일기침 등을 해독작용이 있고, 암 종양에 좋은 효과가 있다. 임상 응용에서도 고지혈증 예방, 셀레늄을 보충하므로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 위암, 식도암, 대장암, 유선암, 난소암등의 발병률을 줄여 준다.
콜레스테롤이 산화가 되면 동맥경화를 강력하게 일으키는데 그걸 막아주는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는 피가 엉기는 걸 막아주죠. 그래서 중풍이라든지 심근경색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마늘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혈전을 감소시키는 한편,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커다란 위험요인인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내리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침이 많이나고 가래가 많이 날 때에는 마늘(대산) 1개를 삶아 짓찧어 달걀 1개에 섞어서 먹는다. 또는 껍질채 약한 불에 구어서 그대로 먹는다. ♠ 천식증에 기침병이 겹쳐 있을 때는 짓찧은 마늘 반근을 꿀 한근에 3일 재워 두었다가 1회에 한 수저씩 하루 3번 먹는다. ♠ 배가 살살 아플 때는 마늘(대산)을 짓찧어 설탕을 넣고 물을 부어 약한 불로 끓여 식후에 먹는다. ♠ 저혈압땐 마늘 두 조각을 껍질채 끓여 하루 한번 식전에 먹는다. ♠ 치통을 완화하려면 마늘을 살짝 구워서 아픈 이에 넣어둔다. ♠ 마늘 한쪽을 입에 넣고 씹다가 딸꾹질이 나올때 삼킨다. ♠ 식도염 : 구운 마늘 15 ~ 20g개를 1회분으로 달여서 하루 2 ~ 3회씩 2 ~ 3일 복용한다. ♠ 대하 등으로 인한 음부 소양증에 마늘을 달여 그 액으로 씻는다. ♠ 탈모증에는 생마늘을 갈아 즙을 만들어 환부를 따끈한 수건으로 두들긴 후 바르면 효과적이다. ♠ 삼복지간에 풋마늘을 짓이겨 전해 겨울에 얼었던 자리에 하루에 1번씩 바르면 그해 겨울에는 그 자리가 쉽게 얼지 않는다. ♠ 만성 위염에는 껍질을 벗긴 마늘을 질그릇에 담고 밀폐한 다음 은근한 불로 질그릇을 달구면 마늘이 숯처럼 되는데 이것을 보드랍게 가루 내어 한 번에 찻숟가락 하나로 하루 3번 식전에 물로 먹는다. 한 달 동안 계속 먹는다. ♠ 만성 위염에는 통마늘 400g에 물을 부어 은근 불로 2시간 끓여 푹 익힌 다음 풀처럼 개서 식힌다. 거기다 계란 노른자위 5개를 넣어 다시 약한 불로 2시간 가량 끓이면 찐득찐득한 엿처럼 된다. 이것으로 콩알만한 환을 지어 한 번에 2알씩 하루 3번 식전에 먹는다. ♠ 마늘은 껍질을 벗겨서 절구에 보드랍게 찧어 같은 양의 꿀을 섞어서 뚜껑이 잘 맞는 그릇에 담아 1주일간 두었다가 한 번에 한 숟가락씩 하루 3번 밥 먹은 후에 먹는다. ♠ 만성 대장염으로 오는 설사에 : 껍질 채로 구운 다음 껍질을 벗기고 2~3쪽씩 하루 3번 끼니 전에 죽염을 찍어 먹는다. ♠ 기미/죽은께 : 껍질을 벗긴 마늘을 절구에 곱게 찧어 토종꿀을 1:2의 비율로 잘 섞은 후 유리병에 담아 냉장보관하면 약 3개월쯤 지나면 마늘이 꿀 속에서 노랗게 삭아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취침전, 이 마늘팩을 기미가 있는 부위에 살짝 얇게 바른다.
마늘에 대한 보충
★ 마늘, 폐고혈압 치료에 효과 미국 앨라배마 대학 약학교수 데이비드 쿠 박사는 마늘에 들어있는 핵심성분인 알리신이 폐동맥의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쥐 실험 결과 확인 됐다고 밝힌 것으로 헬스데이 뉴스가 3일 보도했습니다.
--------------------------------------------------------------------------------
◈ 마 늘 짱 아 찌
재료 통마늘 3통, 식초 1컵, 설탕 1/2컵, 간장 1/2컵, 물 1/2컵
만드는 법
깐 마늘이 잠길 정도의 물의 분량에 식초를 넣어서 1의 그릇에 붓고 뚜껑을 덮어 3일정도 저장한다. 냄비에 간장, 물을 넣고 끓인 뒤 완전히 식힌다. 마늘을 저장한 그릇에서 식초물을 따라내고 ①의 조미간장을 부어 저장. 저장 도중에 간장물을 다시끓여 식힌 후 붓는 과정을 2-3회 반복해도 된다. 맛이 들면꺼내서 그릇에 담는다. 초여름의 어린마늘로 장아찌를 담그는 것이 보통인데 만일 묵은 마늘로 담글 경우 마늘을 까서 식초에 더 오래 담가 매운맛을 충분히 뺀 다음 조리하도록 한다.
...............................................................
셰익스피어는 “우리는 마늘과 양파를 먹지 않기에 달콤한 숨을 쉰다”고 말했다.
마늘의 냄새는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환영받지 못한다.
그러나 마늘이 지닌 뛰어난 효과들은 이 냄새로부터 시작된다.
마늘을 싫어하는 우리 가족을 위해 마늘의 변신을 시도해보자.
무더위로 기운이 떨어져 보신을 해야 하는 여름이다.
여름 음식에 절대 빠지지 않는 마늘, 마늘의 변신은 무죄.
요즘 인기 최고인 흑마늘부터 짝퉁 중국산 마늘 피하는 요령까지
똑똑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알아보자.
마늘의 무한도전
비아그라보다 강한 알리신
고대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 건설에 종사하는 노예들에게
마늘을 주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만리장성을 쌓는 인부들에게
식사시 마늘을 제공했다고 전해진다.
마늘은 그만큼 스태미나에 좋은 음식이다.
스태미나를 기르는 주요 성분은 알리신으로 마늘 특유의
냄새의 원인이기도 하다.
시간을 돌리는 마늘의 힘
마늘은 인체의 면역력과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식품이다.
마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력증진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노화는 인체의 신진대사 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하고 신선한 세포가 감소되는 것이다.
마늘의 알리신이 체내에서 과산화지방 생성을 억제시키고
캅사이신이 활성산소의 생성을 차단해 노화를 억제한다.
맑고 고운 피부 만들기
마늘은 몸을 덥게 하고 위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피부트러블을 줄인다. 마늘의 세포 활성화 작용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해 피를 맑게 하고
고운 피부를 유지하게 한다.
마늘 세안법 :
마늘의 살균기능으로 피부 노폐물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마늘진액을 클렌징크림에 1~2방울 섞어
얼굴 전체에 골고루 마사지한다.
미온수로 씻어내고 냉수로 마무리한다.
마늘 스킨 :
마늘스킨은 세안 후 화장수에 마늘진액을 1~2방울 섞어
얼굴 전체에 바른다. 피부에 침투되도록 꼼꼼히 두드려주면
성분이 잘 흡수된다. 기미나 잔주름, 거친 피부에 사용하면
피부가 보드라워진다. (마늘진액은 마늘 3쪽을 물 200mg과 함께
냄비에 넣고 물이 반쯤 줄어들 때까지 졸인 것이다.)
토종마늘, 확실히 구별하기
|
통마늘 구별법 |
깐마늘 구별법 |
토 종 |
* 수염뿌리가 붙어 있고 가늘다. * 속껍질이 연한 자줏빛이고 흰줄
무늬 가 많다. 껍질이 얇다. * 속껍질이 쉽게 벗겨지지 않고 마늘
이 길고 가늘다. |
* 색깔이 연하고 맑다. * 모양이 뾰족하고 날씬하다. * 등 부분의 표면 골이 깊다. * 뿌리 부분의 면적이 좁다. * 세 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
중국산 |
* 수염뿌리가 없거나 약간 붙어 있고
굵은 편이다. * 속껍질이 진한 자주색이며 흰줄
무늬가 적고 껍질이 두껍다. * 속껍질이 잘 벗겨지고 마늘이 크고
통통하다. |
* 색깔이 우윳빛처럼 뿌옇다. * 모양이 퉁퉁하고 끝이 뭉툭하다. * 등 부분의 표면 골이 얕다. * 뿌리 부분의 면적이 넓은 편이다. * 마늘 면이 네 개 이상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