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연평해전 19주년 인터뷰①] 윤영하함 민욱현 함장 "여섯 영웅 숭고한 희생정신 이어받아 NLL 반드시 사수할 것"해군 2함대 장병, 출동 임무 수행 전 '제2연평해전 전적비' 참배하며 서해 수호 의지 다져
출처: 글김성훈기자 아카이브뉴스 |2021-06-28
▲ 유도탄 고속정으로 부활한 연평해전 6용사. 아래부터 윤영하함,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 박동혁함. 사진=해군 제공
월드컵의 막바지 열기가 뜨거웠던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경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북한군이 우리나라 해군 참수리 357호 고속정을 기습한 것이다. 30여 분의 교전(交戰) 끝에 해군은 적을 물리쳤고 우리 바다를 지켜냈다. 이 과정에서 6명의 전사자와 19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날 전투는 1999년 6월에 있었던 ‘제1연평해전’에 이어 ‘제2연평해전’이라 이름 지어졌다.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여섯 용사는 우리 바다를 지키는 6척의 전투함(戰鬪艦)으로 부활했다. 6용사의 이름을 딴 '윤영하함'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 '박동혁함'. 2008년 12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차례로 취역(就役·새로 만든 배가 임무에 투입되는 것)했다. ‘윤영하급 유도탄 고속함’이라 불리는 이들 전투함은 450t급으로 길이 63m, 폭 9m이다. 기존 참수리급 고속정보다 화력 및 방어 능력, 기동성이 한층 강화됐다. 최대 속력은 시속 74㎞다. 76㎜·40㎜ 함포와 함대함 유도탄 등으로 무장(武裝)했다. 현재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 소속으로 서해를 수호하고 있다.
▲ 평택 해군 2함대에 전시돼 있는 참수리 357호정. 사진=해군 제공
《조선펍》과 《어린이조선일보》는 제2연평해전 19주년을 맞아 변함없이 우리 바다를 지키고 있는 6용사 전투함 함장들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 번째로 윤영하함 함장 민욱현 소령을 인터뷰했다.
민 함장은 "NLL(북방한계선)을 사수하고 장렬히 산화한 고(故) 윤영하 소령이 보여준 해군의 전승(戰勝)을 계승하고 군인으로서 희생정신을 높이 기리기 위해 이 전투함이 만들어졌다"고 했다. 당시 윤영하 소령은 참수리 357호정 정장(艇將)으로서 포탄 파편을 맞아 부상을 당한 상태에서도 전투를 지휘하다 북한군의 총격에 전사(戰死)했다.
다음은 민 함장과의 일문일답.
- 소개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해군 제2함대사령부 윤영하함의 함장으로 근무 중인 민욱현 소령입니다. 고(故) 윤영하 소령의 이름으로 명명된 윤영하함의 함장으로 근무하게 된 것에 무한한 자부심을 느끼며 선배님의 뒤를 이어 NLL(북방한계선)을 빈틈없이 사수하겠습니다."
- 해군 장교에 지원하게 된 계기와 함정(艦艇) 병과를 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창 시절 부산에서 매일 바다를 보며 자라왔기 때문에, 바다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바다를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문구가 가슴에 와 닿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대한민국의 바다를 수호하는 해군이 정말 멋있게 느껴졌습니다. '바다에서 오는 적을 바다에서 막아내는 국제신사! 대한민국 해군 장교가 되어 구축함을 지휘하는 멋진 함장이 되고 싶다'는 꿈을 품고 부단히 노력해 해군 장교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 제2연평해전 6용사의 이름을 딴 특별한 의미를 가진 군함의 함장을 맡고 있는데요. 첫 임명 받으셨을 때 어떤 마음이었는지.
"처음 윤영하함의 함장이라는 직책을 부여받았을 때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부담감도 있었지만, 훌륭하게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었습니다. 윤영하 선배님과 함께 서해를 지킨다고 생각하니 마음 든든했고, 제2연평해전 여섯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이어받아 NLL을 반드시 사수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 고(故) 윤영하 소령. 사진=MBC뉴스 캡처
-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윤영하 소령의 헌신은 영해를 수호하는 함장께 더 특별한 의미로 다가올 것 같은데요.
"윤영하 선배님을 비롯한 선배 전우들이 '평소 흘린 땀 한 방울이 유사시 흘릴 피 한 방울과 같다'는 심정으로 교육·훈련에 임했듯이, 우리 승조원들도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는 신념으로 교육·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윤영하함의 함장으로 근무하면서 긴장됐던 순간이나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함장으로 근무하며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순간과 위기의 순간들이 종종 찾아오는데, 항상 준비하고 있기에 크게 긴장한 적은 없었습니다. 경비 임무 수행 중 응급 환자가 발생한 상황이 있었는데, 다행히 인근 경비 전력의 지원을 받아 무사히 육지로 환자를 후송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가 기억에 남습니다."
- 현재까지 윤영하함의 함장으로 근무하면서 느낀 소감이 궁금합니다.
"그동안 갈고 닦아온 군사지식과 과거 2함대에서의 근무한 경험이 있었던 저는 그 누구보다 서해 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자부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함장이 되어 임무를 수행해보니 스스로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서 더욱 열심히 공부하고 승조원들과 협동심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 윤영하함. 사진=해군 제공
- 윤영하함의 특징과 제원, 임무는.
"유도탄고속함은 연평해전, 6·25전쟁, 베트남전쟁 등 전투에서 귀감이 되는 인물의 이름으로 명명됐습니다. 윤영하함으로 명명하게 된 것은 NLL을 사수하고 장렬히 산화한 故 윤영하 소령이 보여준 해군의 전승을 계승하고 군인으로서 희생정신을 높이 기리기 위해서이며,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라는 국민들의 염원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윤영하함은 2008년 12월 취역해 2009년 6월부터 현재까지 작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450톤급인 윤영하함은 길이 63m, 폭 9m, 최대 속력 시속 약 74km(40kts)로 기동할 수 있으며, 76mm·40mm 함포와 함대함유도탄 등으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평시에는 해상 경비작전 임무를 수행하고, 유사시에는 해상에서 전투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 지금까지 해군이 우리 영해를 잘 지켜왔는데요. 언제 또 있을지 모를 북한의 도발에 맞서 어떤 대비태세로 임하고 있는지.
"저를 포함한 윤영하함의 승조원들이 실전적인 교육·훈련과 필승의 정신무장을 통해 주어진 임무는 반드시 완수한다는 각오로 오늘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북한의 추가 도발이 없어야겠지만, 만약 제1·2연평해전과 같은 전투가 다시 벌어진다면 어떤 마음가짐으로 대응할 생각인지.
"실전과 같은 강한 교육·훈련으로 준비하고, 필승의 정신으로 무장할 때 싸우지 않고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우리 승조원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윤영하함 총원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여된 임무를 완수할 것이며, 서해와 NLL을 반드시 사수하겠습니다."
- 서해 서북단 지역에선 북한뿐 아니라 중국 어선 등도 우리 국민에 대한 위협 요소로 존재하는데요. 현재 해당 지역에서의 우리 해군의 경계 태세는 어떠한지.
"서해를 지키는 윤영하함을 비롯한 2함대 전 장병은 각자의 위치에서 24시간 빈틈없이 임무를 수행하고 하고 있으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 해군 2함대 만의 전통이 있다면.
"출동 임무를 수행하기 전에 제2연평해전 전적비 참배를 하며 서해 NLL을 반드시 사수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습니다."
- 끝으로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여러분에게 윤영하함을 소개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평화로운 대한민국은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호국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서해를 지키다 산화하신 고 윤영하 소령을 비롯한 서해 6용사를 추모해 주시고, 가슴속 깊이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평화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윤영하함 함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리고 2함대 장병 모두는 국민 여러분들이 생업과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우리의 서해 바다를 빈틈없이 지키겠습니다."
▲ 제2연평해전 전적비. 사진=해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