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도 유투브등을 통한 웹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통한 광고에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Feature] Retailers go for self-produced shows, dramas as promotional outlet
유통업자들 판매촉진책으로 쇼, 드라마를 자체 제작
With short entertainment programs and drama clips, retailers seek to freshen up brand reputation and advertise items 소매업자들은 브랜드 평판유지와 광고로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 클립을 활용하고 있다.
By Jo He-rim 조혜림 기자
Published : Jul 28, 2021 - 14:53 Updated : Jul 28, 2021 - 17:23
Korea Herald
Once, getting a 60-second spot on prime-time TV was seen as the key to success for retailers.
소매업자들에게 중요시간대의 60초 스파트 광고를 얻는 것은 성공의 열쇠다.
Now in the era of social media, companies don’t need TV for exposure. They can even create 10-minute videos and drama series and air them on YouTube and other platforms. At the forefront of this new trend is CU, a leading convenience store chain here.
현재는 소셜미디어 시대라서 회사는 TV에 노출할 필요는 없다. 그들은 10분짜리 비디오와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하여 유투브나 다른 플랫폼에 방송할 수 있다.
Its self-produced entertainment show, “CUperman” has garnered an accumulated 2 million views via its YouTube channel, Facebook and Instagram -- in just a month. As of Wednesday, four episodes have been released.
자체제작한 예능쇼 “쿠퍼맨”은 한달만에 페이스북, 유투브와 인스타그람의 2백만비유를 확보했다. 수요일 현재 4개의 이야기가 발표되었다.
Unlike most TV commercials that focus on a product endorsed by a celebrity, “CUperman” has a reality show format, with each episode about seven to 10 minutes long.
유명연예인이 광고하는 제품에 중점을 둔 대부분의 TV 광고와 달리 “쿠퍼맨”은 한 개의 이야기가 7~10분정도이고 리얼리티 쇼의 형식을 띤다.
The series features Defconn, a South Korean rapper and television personality, who buys snacks and other items from a CU store and wanders around the streets in Seoul to resell them to random passersby.
이 시리즈에는 한국의 래퍼이며 TV출연자인 데프콘이 출연하는데 CU에서 스낵과 다른 물건을 사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다시 팔기 위해 서울의 거리를 돌아다닌다.
While the new attempt has yet to produce a tangible impact on sales of the featured items, the company believes it freshens the chain’s brand image with young consumers, and will benefit the company in the long run, Yoo Cheol-hyun from the public relations department of BGF Retail told The Korea Herald.
이 새로운 시도가 출연한 품목의 판매에 가시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했지만 젊은 소비자들에 대한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했다고 믿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회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BGF 리테일 홍보부의 유철현씨가 코리아 헤럴드에게 말했다.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encompassing those born from the 1980s forward, have together emerged as a target demographic group for retail companies in recent years.
최근, 1980년대 이후에 출생한 밀레니얼과 Z세대는 소매회사들의 목표그룹으로 부상했다.
Yoo said CU was listed among the top 10 companies where college students most want to work,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by Incruit, an online job portal. 유씨는 온라인 잡포털인 인크루트가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 CU가 대학생들이 가장 일하고 싶은 10대회사중 하나에 선정되었다고 말했다.
“That (the survey result) is something we could never have imagined in the past, and we believe these new marketing efforts helped create a new, trendy brand identity. And this will ultimately bring positive prospects for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Yoo added.
“조사결과는 과거에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마케팅 노력이 새롭고 트렌디한 브랜드 정체성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편의점업계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가져왔다.”고 유씨는 말했다.
As of Wednesday, the official YouTube channel for CU had over 555,000 subscribers. The convenience store chain said it more than 400,000 subscribers just in the last one year and three months.
수요일 현재 CU의 유투브 구독자는 550,000명을 넘어섰다. 이 편의점 체인은 지난 1년 3개월동안 400,000명 이상의 구독자가 생겼다고 말했다.
E-commerce platform 11st also said its YouTube entertainment program “Yeolil Sawon,” roughly translated as a “Hardworking Employee,” had scored over 100,000 views in a week of its release on Monday.
이 커머스 플랫폼 11번가는 유투브 예능프로그램 “열심히 일하는 직원” 으로 번역할 수 있는 “열일사원”이 월요일 발표한 주에 10,000 비유를 기록했다.
TV personality Kangnam appears as an intern working for 11st, and from this the online shopping platform naturally expos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ompany.
TV출연자 강남이 1번가에서 일하는 인턴으로 나오는데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이 회사의 근무환경을 자연스럽게 노출한다.
“We started the web-based entertainment program to broaden our contact with the customers, including the MZ generation,” said Lee Young-jin, the head of the brand communication team at 11st.
“우리는 MZ세대를 포함한 고객들과의 접촉을 확대하기위해 웹기반의 예능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11번가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팀장 이영진씨는 말했다.
“We want to approach the customers in a friendlier way, by show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our employees, with entertainment factors.”
“우리는 직원들의 근무환경을 보여 줌으로서 고객에게 친근하게 접근하려고 했다.”
To make these programs, the retailers cooperate with content experts. For example, CU forged a partnership with Sandbox Network, a YouTuber management startup, and 11st is working with Studio Lululala, a content production company backed by local cable channel JTBC.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위해 회사들은 콘텐트전문가들과 협업했다. 예를 들어 CU는 유투버관리 스타트업인 샌드박스 네트워크와 함께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11번가는 국내 케이블채널 JTBC가 지원하는 컨텐트 제작회사인 룰루랄라 스튜디오와 함께 일하고 있다.
According to an industry official, the key to grabbing viewers’ attention is to be able to follow the popular trends of the customer groups, and show it in trendy formats.
업계 전문가에 의하면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핵심은 소비자 그룹의 인기있은 트렌드를 따라서 트렌디한 포맷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
Some retailers are going further to produce and release short web-dramas to attract younger customers.
일부 회사들은 젊은 소비자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단편 웹드라마를 제작, 발표할 예정이다.
Handsome, a fashion brand by Samsung C&T, produced and released “Handmade Love” on YouTube, starring Lee Soo-hyuk, in December 2020.
삼성물산의 패션브랜드인 한섬은 2020년 12월, 이수혁이 출연한 유투브의 “핸드메이드 사랑”이라는 작품을 제작, 발표하였다.
In the drama, the main character makes clothes for people to cheer them up, letting the company naturally promote their clothes.
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사람들을 응원하기위해 옷을 만드는데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옷을 광고한다.
From this marketing strategy, Handsome said it witnessed its online sales grow during the broadcasting period from Dec. 11 to Jan. 5 by 105 percent on-year, and the purchasing price of millennial and Gen Z consumers jumped by 149 percent. 이런 마케팅전략으로 한섬은 방송기간인 12월11일부터 1월5일까지 전년동기대비 105%의 판매신장이 있었고 밀레니얼과 Z세대의 구매가격은 149% 증가했다.
2021. 7. 29.
김 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