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비봉습지공원
과 대보름축제
비봉인공습지공원은 시화호 상류천인 동화천,
삼화천, 반원천의 물을 임시로 가두어 갈대와
수서식물을 통해 정화시킨다음 시화호로
흘려 보내는 인공으로 조성된 공원입니다.

오늘은 인공으로 조성한 갈대밭과 습지를 이용하여 시화호로 흐르는
하천의 수질을 정화시키기위해 만든 인공공원인 화성 비봉습지공원을 찾았습니다.

공원안으로 들어가니 전체 면적은 314,000평의 울창한 갈대숲과
습지로 구성되어 있는 비봉습지공원의 모습이 보였습니다.
여름이라 갈대들이 푸르르고 싱싱한 모습이 참 좋은데요.

안쪽 관찰로로 이동하는 뚝방길의 모습으로 옆에는 늪지대 같은 하천이 있으며
갈대가 울창하게 우거진 모습이 시골길을 걷고 있는 착각까지 들게 합니다.

뚝방길을 지나니 양쪽으로 가로수처럼 나무들이 우거져 있는 중앙길이 나오네요.

습지 중간에 수심이 깊은지 갈대가 자라지 않고 있는 연못같은 곳도 있네요.
왼쪽에 보이는 집같은 시설은 비봉습지공원을 한눈에 볼수 있는 관찰전망시설 입니다.

길 중간에는 습지공원을 둘러보다 볼수 있는 전망대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군대의 초소같이 생겼는데 위에 올라가면 휴식을 취하는 철새들의 눈을
피해서 새들을 관찰할수 있는 관찰구멍이 나 있습니다.

조류 전망대 위에서 바라본 습지공원의 모습입니다. 비봉습지공원은
국내 최초 대규모 인공습지이기 때문에 저렇게 중앙에 관찰로를
만들어서 관람객들의 편의를 배려한 흔적이 있습니다.

아래로 내려와서 관찰로를 통해 이동하다보니 관찰로 옆에 있는 나무와 연결된 거미줄이
보였습니다. 거미는 보이지 않지만 엄청 열심히 거미줄을 만들어 놓은 흔적이 보이네요.

갈대사이의 습지에는 저물고 있는 해가 반사되고 있었습니다. 아직 해저물시간은
한참남아 있지만 여기서 보는 일몰도 멋질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봉습지공원에서 자라고 있는 갈대의 모습인데 지금 관찰로 위에서 봐서
그렇지 이 갈대들은 키가 2m 정되는 될정도로 거대했습니다. 이 거대한 갈대가
바람에 맏기어 흔들거리며 춤을 추는 모습은 장관인데요.

끝없이 이어질거 같은 멋진 갈대길 양옆으로는 갈대들이 푸르르게 자라고 있어 화려
하게 길을 돋보이게 하고 있습니다. 푸르른 여름에와야 볼수 있는 명장면 같습니다.

다시 반대편으로 돌아와서 관찰로와 갈대 그리고 전망대를 담아보았습니다.
갈대 뒷편에 있는 산과 멀리보이는 풍경이 맘을 편하게 해주는데요.

커다란 소시지 같이 생긴 이것은 잘포라고도 하는 부들로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키가 2m에 이르르며 잎은 선형으로 어긋나고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너비는 1㎝가 채 되지 않습니다.

여기는 관찰로 중앙에 있는 쉼터 입니다. 쉼터 주위에는 수련의
잎들과 갈대들이 자리하고 있고 모기같은 벌레들이 없어서 참 좋습니다.

쉼터를 지나니 앞쪽에 자그만한 섬이 있었는데 우거진 섬의
작은 오솔길을 지나니 앞에 환하게 비추는 관찰로길이 나오네요.

나무가 우거진 작은 섬에서 바라본 햇빛이 비치고 있는 관찰로를 보니
마치 어두운 동굴에서 밝은 빛의 세계로 나가는듯 한 착각을 들게 하네요.

갈대 등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정화 시설물로 국내 최초 대규모 인공습지인
비봉인공습지공원은안산갈대습지공원과 연결이 될정도로 규모가 커서전부를
돌아보지는 못하고 입구쪽의 간단한지역만 보았지만 안산갈대습지공원과는
다른 편안함을 주는거 같아 좋네요. 다음에 오면 날씨 선선한 날에 넉넉하게
시간을 두고 천천히 둘러봐야 겠습니다.
▼정월 대보름축제




















고독한 별
고 향:작사
남국인:작곡
나훈아:노래
석양도 흐느끼는 쓸쓸한 타향저녁
나홀로 외로이 슬픔에 목메인다
아~어머님의 자장가 곱게곱게
자랐건만 여기는 타향하늘 외로운 거리
그언제나 내고향 찾아서 웃으며 가나
♣
*오색등 붉고 푸른 네온이 좋다지만
조각달 비춰주는 고향달만 못하더라
아~애타도록 불러도 대답없는
어머니 여기는 타향하늘 낯설은 거리
네온불 피면 고향 그리워 목메어 운다.